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상태 비교

        서윤석(Suh Yoonsuk),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7

        본 연구는 충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채소와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행동 변화 단계별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상태를 비교해 보고자 2007년 4월 19일부터 5월 1일까지 충남 연기군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 남자 122명, 여자 134명, 총 256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아동의 채소와 과일 섭취 행동 변화 단계의 구분은 설문에 의해 현재보다 더 먹으려고 생각하는가, 계획하는가, 실천하는가를 순차적으로 예나 아니오로 답하게 하여 고려전, 고려 및 준비, 행동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1)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로 답하게 하였을 때 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는 아동에서 건강상태가‘좋다’는 응답이 35.9%로 다른 단계에 비해 높았다. 영양제를‘항상 섭취 한다’고 답한 대상자가 고려전 단계에 있는 아동의 45.8%로 다른 두 군보다 높았다. 2) BMI 85백분위수 미만에서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고려전 단계에 속한 비율이 높고 고려 및 준비단계 이상에 속한 비율이 낮았다. 3)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행동 단계의 아동에서 비타민 C 섭취량 (p < 0.0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여아에서는 행동 변화 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의 비율이 비타민 B2 (p < 0.05)와 비타민C 섭취 (p < 0.05)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남아에서는 행동변화단계간에 섭취부족자의 비율에 차이를 내는 영양소가 없었다. 5)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식품 섭취 상태는 채소류 (p < 0.01)와 김치 (p < 0.05)섭취량이 행동 단계의 대상자에서 다른 단계보다 높았고, 난류에서도 행동 변화 단계의 진전에 따라 섭취량이 점차 높아졌다. 본 연구 결과 행동 변화 단계에 따라서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량이 행동전 단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행동단계에서 증가하였고, 비타민 C의 섭취량도 행동단계에서 확실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다른 비타민과 무기질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아동들의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채소와 과일섭취 행동변화단계를 높일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neral and vitamin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fruit and vegetable intake. The subjects consisted of 256 students, 122 males and 134 females, who ar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eongi-Gun, Chungnam province. The dietary intake was examined by 24 hr dietary recall for 1 day and by food record for 2 days from April 19 to May 01, 2007. Stage of change of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of the students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and action. The subjects at the stage of action took kimchi and vegetables more frequently, and also took more vitamin C as well. But the subjects at other two stag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intake of any food group and nutrients. Percentage of the male subjects who took less than EA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stage of change in all the nutrients. However, there was gradual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female taking less than EAR of vitamin C and vitamin B2. The result concludes that vitamin C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 gradually as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 of fruit and vegetable intake proceed although almost all vitamins and minerals tended to increase.

      • KCI등재

        채소와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이 행동전단계 초등학생의 사회심리적 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윤석(Suh Yoonsuk),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6

        본 연구에서는 채소와 과일 섭취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이 행동변화단계의 진전에 따라 사회심리적요인에 변화를 초래하는지 파악하고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행동전단계를 두 단계로 나누어 이 두 단계 아동들의 채소와 과일 섭취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인지, 인지적 · 행위적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의 수준 변화를 조사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71명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해 행동전단계 (고려전, 고려, 준비)로 분류된 47명을 대상으로 2007년 11월 19일부터 12월 24일까지 6주 동안 채소와 과일섭취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전과 후에 사회심리적요인의 수준을 설문지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1) 영양교육 후 채소섭취의 장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고려전단계나 고려 및 준비단계에 속한 대상자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단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두 단계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일섭취에 있어서는 장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에서는 고려전단계와 고려 및 준비단계 모두에서 교육 후 변화가 없었으나, 단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고려전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만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p < 0.01). 채소섭취에 대한 장점과 단점에 대한 인지 개선 영양교육은 두 단계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2) 영양교육 후 채소섭취의 인지적 변화과정에서는 고려 전단계의 대상자에서 의식향상 (p < 0.001)점수가 증가되었고, 고려 및 준비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는 걱정해소 (p < 0.01), 자기재진단 (p < 0.05), 환경재평가 (p < 0.01), 사회규범변화(p < 0.05) 등 여러 변수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과일섭취의 인지적 변화과정에서는 고려전단계에 있는 대상자에서 환경재평가 (p < 0.01)점수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고려 및 준비단계에서는 변화를 보인 변수가 없었다. 채소와 과일섭취의 행위적 변화과정에서는 모두 변화가 없었다. 3) 영양교육 후 채소섭취에 관한 자아효능감은 고려전단계에 있는 대상자에서‘채소를 보이는 곳에 둔다’ (p < 0.01)와‘혼자 채소를 먹을 때 권장섭취 횟수만큼 먹을 수 있다’ (p < 0.01).‘채소 먹을 시간을 낼 수 있다’ (p < 0.05)에서 증가를 나타내었다. 고려 및 준비단계에서는 고려전단계에서 나타난‘혼자 채소를 먹을 때 권장섭취 횟수만큼 먹을 수 있다’ (p < 0.01)와‘채소 먹을 시간을 낼 수 있다’ (p < 0.01)의 항목을 포함하여‘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살 수 있다’ (p < 0.01)에서 교육 후에 자아효능감이 높아졌다. 즉 채소섭취의 행동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의 수준이 성숙됨을 보였다. 과일섭취에 대해서는 영양교육 후 고려전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과일을 보이는 곳에 둔다’의 자아효능감의 점수가 증가되었다 (p < 0.05).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영양교육 후 행동전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행동변화단계의 진전이 일어났고, 고려전단계와 고려 및 준비단계에서 모두 사회심리적요인의 수준이 높아졌으나 두 단계 간에는 교육효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과일에 비해 채소섭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요인에서 교육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심리적요인들 중에서 판단균형의 단점에 대한 인지도, 인지적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이 영양교육의 평가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of level of psychosocial factors of decisional balance, processes of change, and self-efficacy after nutrition education on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Forty-seve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Yeongi-Gun, Chungnam-Do were categorized into pre-action stages from a total of 71 children by four-stage questions, and then finally into two stages of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 preparation. After 6 weeks nutrition education, recognition of both of pros and cons of vegetable intake were improved in the two groups of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 preparation. In fruits intake, however, recognition of pros was not changed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either stage, but recognition of cons was improved only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However, no difference in any psychosocial variables was found between precontemplation stage and contemplation & preparation stage.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the score of consciousness raising of vegetable intake belonging to cognitive process of change increased in the subjects of the precontemplation stage, wheres the scores of dramatic relief, self-reevaluation, environment reevaluation and social liberation increased in the group of contemplation & preparation. In fruit intake, however, no change was found except in the environment reevaluation in the precontemplation group. The behavioral process of change of vegetable and fruit intake did not show any change in either group after nutrition education. Self-efficacy scores of vegetable intake of keeping the foods at hand, eating the recommended number of servings and making time to eat increased in the precontemplation group, while in the contemplation & preparation group, self efficacy scores of shopping for a variety of vegetables, instead of keeping the foods at hands, as well as the scores of the rest two items of eating the recommended number of servings and making time to eat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However, in case of fruits intake, no difference was shown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except an item of keeping the foods at h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age of change was progressed in the pre-action stage after nutrition education and the scores of many psychosocial factors increased in both pre-action stages. It is suggested that the recognition of cons as well as the cognitive process of change and self-efficacy could be best used as indicators of the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egetable intake.

      • KCI등재

        외식 빈도에 따른 대전시민의 영양상태 비교

        서윤석(Suh Yoonsuk),강지현(Kang Jihyun),김한숙(Kim Hansook),정영진(Chung Young Jin)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2

        외식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대전시민 137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6일부터 2008년 12월 15일까지 외식 빈도와 체위, 혈압 및 혈청성분, 영양소 · 식품군 섭취량을 조사하고, 외식 빈도를 주 1회 미만, 주 1회, 주 2~3회, 주4회 이상의 4개 구간으로 분류하여 외식빈도에 따른 건강 및 영양상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1) 외식 빈도에 따라 체위와 혈압, 혈청지질과 혈당 수준, 혈청 GPT와 GOT활성도의 평균치가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속하면서 외식 빈도가 높은 주 2~3회 외식군에서 수축기 혈압과 혈청LDL콜레스테롤과 혈청총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혈청중성지방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총단백질 (p < 0.01), 동물성단백질 (p < 0.01), 동물성 지방 (p < 0.05), 인 (p < 0.05), 비타민 B₂ (p < 0.05)의 평균 섭취량은 외식 빈도가 높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 (p < 0.05)의 평균 섭취량은 외식빈도가 낮은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높았다. 3) 탄수화물 에너지 비율은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높았고 (p < 0.001), 단백질 에너지 비율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았다 (p < 0.01). 4) 외식빈도에 따라 영양소의 평균필요량이나 충분섭취량 미만자의 분포에서 칼륨은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부족자의 비율이 높았고 (p < 0.05), 식이섬유소 (p < 0.05), 비타민 C (p < 0.05)는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부족자의 비율이 높았다. 5) 음료 · 차류 및 주류의 섭취량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주 4회 미만 외식군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 < 0.01), 감자 및 그 제품류는 주 2~3회 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p < 0.05). 또한 총동물성식품군, 기타식품군 중 음료 · 차류 · 주류의 섭취량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다른 외식군보다 높았다 (p < 0.01). 비록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채소류 및 과실류, 총식물성식품군의 섭취는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당류와 유지류의 섭취는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육류, 어패류, 우유류는 주 2~3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식횟수가 과다하면 총동물성 식품군과 음료 · 차류 · 주류 등의 기타식품군의 섭취를 증가시켜 총단백질, 총지방, 인의 과다 섭취를 초래하고, 비타민 C와 철분, 아연의 미량영양소의 섭취부족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비타민 C가 많은 채소류 음식 등 식물성 식품의 식단을 보강시키도록 요식업체에 대한 계몽과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dults according to frequency of eating out. One day food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24 hr recall dietary survey and body size, blood pressure and some blood lipids and other constituents were measured on 137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20 yrs old and above who visite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physical examination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6, to December 15, 2008.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ere categorized into four levels: less than once a week, once a week, 2-3 times a week, 4 times a week and abov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blood lipid, blood glucose, GPT and GOT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out of the subjects. Though, systolic blood pressures and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howed a little tendency to be high in the subjects eating out 2-3 times a week. In the contrary, serum triglyceride level tended to be low in the same group. The subjects eating out 4 times a week and over took more total protein, animal protein, animal fat, phosphorus and vitamin B2 than any other group. Also protein energy ratio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eating out 4 times a week and above and they took more animal food group, other food group, beverages·teas and alcohols than other groups eating out. These results showed that higher frequency of eating out leads to higher intake of protein, fat, phosphorus, animal food groups and other food groups (oils, beverages, seasonings) and to lower intake of vitamin C and plant food groups. It, thus, suggested that the strategy for restaurant business is required to provide the menu substituted animal food by more plant food.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야식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서윤석(Suh, Yoonsuk),이은경(Lee, Eun-kyoung),정영진(Chung, Young-Jin)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night eaters using the data from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3,903 subjects aged 20 and above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using 24-hr recall data according to the night snack calorie intake: non-night snack, night snack less than 500 kcal and 500 kcal and more. Their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n the socio-demographic, anthropometric, blood pressure, blood parameters and dietary characteristics. Among the subjects, non-night eaters were 66.0%, night eaters of less than 500 kcal were 28.4% and 500 kcal and above were 5.6%. Male adults, young-aged, higher educated, higher income earner, breakfast skipper and frequent dine-outer (3 times and more a day) were found more in the night eaters with 500 kcal and above. Night eaters above 500 kcal showed higher waist circumference, Glu-FBS, Glu-PP120 and also showed higher daily intake of fat and alcohol per 1,000 kcal and food groups of meat & eggs, beverages and alcohol drinks (p < 0.05), while they showed the lowest carbohydrate energy ratio of 58.3 ± 13.7 among the thre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bitual night snack intake above 500 kcal could lead to abdominal obesity and diabetes due to higher intake of meat, fat and alcohol. (Korean J Nutr 2012; 45(5): 479 ~ 488)

      • KCI등재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충남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관련 사회 심리적 요인

        서윤석(Suh Yoonsuk),최애숙(Choi Aesook),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7

        본 연구는 충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채소와 과일 섭취의 사회 심리적 요인을 행동 변화 단계별로 비교해 보고자 2007년 5월 14일부터 5월 30일까지 충남 연기군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 남자 122명, 여자 134명, 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조사 하였다. 조사대상 아동은 행동 변화 단계를 고려전, 고려 및 준비, 행동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1) 고려전 단계에 81명 (31.6%), 고려 및 준비 단계에 90명 (35.2%), 행동 단계에 85명 (33.2%)이 속하였다. 2) 행동 변화 단계별 고려전 단계 분포에서는 4학년 34.4%, 5학년 42.3%, 6학년 20.7%로 5학년이 가장 높았다 (p < 0.05). 건강상태의 자가평가에서는 전체대상자에서‘좋다’가 60.7%로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으며, 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는 아동이 35.9%로 다른 단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영양제를 항상 섭취한다’고 답한 대상자가 고려전 단계에 있는 아동의 45.8%로 다른 두 군보다 높았다. 3) BMI 85백분위수 미만에 속한 정상체중의 아동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고려전 단계에 속한 비율이 높고, 고려 및 준비 단계 이상에 속한 비율이 낮았다 (p < 0.01). 4) 채소와 과일 섭취에 대한 판단균형에서 장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단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고려전 단계에서 높았고, 행동 단계에서 점수가 낮았다 (채소 p < 0.05, 과일 p < 0.01). 5) 채소섭취의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인지적 변화과정 중 의식향상 (p < 0.001), 걱정해소 (p < 0.01), 자기재진단 (p < 0.05), 환경재평가 (p < 0.01) 등 4개의 변수에서, 행위적 변화과정 중 자극조절 (p < 0.01), 자기결심 (p < 0.01) 등 2개의 변수에서 고려전 단계에 있는 대상자들 보다 행동 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 높았다. 과일섭취의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인지적 변화과정 중 의식향상 (p < 0.05)변수에서, 행위적 변화과정 중 자기결심 (p < 0.01)에서 고려전 단계와 고려 및 준비 단계보다 행동 단계에서 높았다. 6) 채소섭취의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자아효능감은 많은 항목의 자아효능감에서 행동 변화 단계 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행동 단계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 < 0.001). 과일 섭취의 자아효능감은‘집에서 먹을 때는 더 많은 과일을 먹을 수 있다’의 1개 항목에서만 행동 단계에서 높게 나타났다 (p < 0.05). 이상의 연구 결과 충남지역 초등학생에서 채소와 과일 섭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의 종류와 수준이 행동변화 단계에 따라 다르며, 채소와 과일 간에도 사회심리적 요인의 종류와 수준이 다름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ccording to stage of change in rural children. Total 256 elementary school children, located in Yeongi-Gun, Chungnam-Do were surveyed from May 14 2007 to May 30 2007. Stage of change on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of the students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precontemplation (PC), contemplation & preparation (CO&PR) and action (AC). Psychosocial factors consist of decisional balance based on pros and cons, process of change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rocesses, and self-efficacy. The recognition of cons out of decisional balanc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subjects at the stage of PC and lowest score in those action stage. While, no difference was shown in the score of recognition of pros among the stages. Both level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rocess of chang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pre-action stages, PC and CO&PR. However, the subjects of action stages got higher scores in more number of the variables in both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rocess of change compared to those of pre-action stages with more remarkable in results vegetables than in fruits. The results of self-efficacy on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showed that the higher stages of change, the higher the self-efficacy score. From th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items and level of psychosocial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and between fruits and vegetables in rural children.

      • KCI등재

        한국 수유부 유즙의 콜린과 베타인 농도 및 영아의 콜린과 베타인 섭취량

        정한옥(Jeong Hanok),서윤석(Suh Yoonsuk),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6

        모유 수유를 받는 영아는 생후 6개월까지 모유에 거의 모든 영양소 섭취를 의존하기 때문에 유즙의 콜린 농도가 영아의 콜린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품에는 콜린과 베타인이 함께 들어 있고 체내에서 콜린은 베타인으로 산화되어 메칠기 운반에 관여하므로 식품속의 총 콜린 함량만이 아니라 베타인 함량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유기간별 유즙의 총 콜린, 유리 콜린, 베타인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LC-MS방법을 사용하여 수유부 유즙의 콜린과 베타인 농도를 분석하여 영아의 콜린과 베타인의 섭취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모유의 총 콜린 농도는 수유 첫 1개월째 145.03 ㎎/L (1.39 mmol/L), 2개월째 157.83 ㎎/L (1.52 mmol/L), 3개월째 165.99 ㎎/L (1.60 mmol/L), 4개월째 153.67 ㎎/L (1.48 mmol/L), 5개월째 145.05 ㎎/L (1.39 mmol/L)이었다. 모유의 유리 콜린 농도는 수유 1개월 24.96 ㎎/L (0.239 mmol/L), 2개월 29.56 ㎎/L (0.284 mmol/L), 3개월 29.40 ㎎/L (0.283 mmol/L), 4개월 23.41 ㎎/L (0.225 mmol/L), 5개월 24.03 ㎎/L (0.231 mmol/L)로 수유월령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모유의 베타인 농도는 수유 1개월에 4.424 ㎎/L (0.038 mmol/L), 2개월 3.442 ㎎/L (0.033 mmol/L), 3개월 3.200 ㎎/L (0.031 mmol/L), 4개월 2.257 ㎎/L (0.022 mmol/L), 5개월 2.433 ㎎/L (0.020 μmol/L)이었다. 2) 수유기간별 영아의 유즙 섭취량은 2개월에 771.1 mL/d, 3개월에 792.0 mL/d, 4개월에 796.5 mL/d, 5개월에 711.0 mL/d이었다. 3) 영아의 총 콜린 섭취량은 2개월 124.61 ㎎/d, 3개월 120.90 ㎎/d, 4개월 126.50 ㎎/d, 5개월 104.09 ㎎/d로 4개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생후 5개월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영아의 체중 kg당 총 콜린 섭취량은 2개월 19.76 ㎎/d, 3개월 16.67 ㎎/d, 4개월 16.14 ㎎/d, 5개월 12.80 ㎎/d이었다. 4) 영아의 유리콜린 섭취량은 2개월 24.15 ㎎/d, 3개월 21.57 ㎎/d, 4개월 19.35 ㎎/d, 5개월 17.10 ㎎/d이었고, 수유기간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영아의 체중 kg당 유리콜린 섭취량은 2개월 3.85 ㎎/d, 3개월 2.97 ㎎/d, 4개월 2.47 ㎎/d, 5개월 2.08 ㎎/d이었다. 5) 영아의 베타인 섭취량은 2개월 3.12 ㎎/d, 3개월 2.82 ㎎/d, 4개월 2.10 ㎎/d, 5개월 1.83 ㎎/d로 유리콜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영아의 체중 kg당 베타인 섭취량은 2개월 0.50 ㎎/ d, 3개월 0.39 ㎎/d, 4개월 0.27 ㎎/d, 5개월 0.22 ㎎/d이었다. 6) 영아의 콜린 섭취량은 모유의 콜린농도와는 r = 0.982(p = 0.000), 모유섭취량과는 r = 0.414 (p = 0.028)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한국인 수유부 유즙의 총 콜린농도와 유리콜린농도는 외국인 수유부의 유즙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이며, 이로 인해 영아의 콜린 섭취상태는 부족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영아의 총콜린 섭취량은 모유 섭취량보다 모유의 총콜린 농도와 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모유의 콜린농도가 영아의 콜린 섭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Most nutrients taken by pregnant women are secreted into their breast milk. Food contains choline together with betaine, and in human body choline is oxidized to betaine which transfer methyl group.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s of choline and betaine in breast milk of Korean lactating women and the choline and betaine intakes of their infants. Total choline, free choline and betaine concentrations in breast milk of some lactating women living in Daejo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every month by using HPLC-MS and enzymatic method during the first five months. Total choline concentrations of breast milks were 157.64 ㎎/L (1.52 mmol/L), 157.83 ㎎/L (1.52 mmol/L), 165.99 ㎎/L (1.60 mmol/L), 153.67 ㎎/L (1.48 mmol/L), 145.05 ㎎/L (1.39 mmol/L) by month after delivery for five month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ine and free choline in breast milk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for the five months while the betaine concentrations gradually decreased. Daily intake of total choline of the infants appears to be adequate for the infant’s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US DRI; 124.6 ㎎/d, 120.9 ㎎/d, 126.5 ㎎/d 104.1 ㎎/d from 2nd to 5th month after birth. Free choline and betaine intakes of the infan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four months except showing decrease in betaine intake per kg body weight. Choline intakes of the infants more correlated with choline concentrations of the breast milks (r = 0.982, p = 0.000) than intake amount of the breast milk (r = 0.414, p = 0.028).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oline intake of Korean breast-fed infants appears to be adequate and the intake could be affected by the choline concentration of the breast milk.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간식 빈도에 따른 대전지역 고등학생의 학교매점 이용 실태와 건강매점에 대한 요구

        김연정(Yeon-Jeong Kim),서윤석(Yoonsuk Suh),정영진(Young-Jin Chung) 한국생활과학회 2013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2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school tuck-shops by students and the desire for healthy tuck-shop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nack. From April 4 to April 13, 2012, a survey was conducted on 348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rom six high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nack frequency in school tuck-shops was divided into 3 groups: 2 times a week or less(lower snack group), 3~4 times a week(middle snack group), 5 times a week and above(upper snack group). Out of total subjects, lower snack group was 41.4%, middle snack group 21.8% and upper snack group 36.8%. The upper snack group showed more in male students and more in the students with monthly pocket money more than 50,000 won and more expense per snack. The main reason for taking snacks was hunger at approximate 70% of total subject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reasons by frequency of snack. About 90% of total subjects wanted healthy tuck-shop in school, but upper snack group showed less percentage and less care for healthy snacks. This result suggests that under the circumstance that most of high school students take snacks for relieving themselves from hunger at schools, it is desired to run healthy school tuck-shops in Daejeon Metropolitan, dealing with healthy snacks of balanced nutrition at resonable prices and to implement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for high frequent snack t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