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서술체의 시간범주에서 지속(durée)에 관한 연구 : 장면, 요약, 생략, 휴지를 중심으로

        서명수(SUH Myungs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8

        시간을 직접적으로 지각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영화에서 시간은 디제스의 구성이나 등장인물의 변화 또는 공간의 변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해되고 접근되었다. 그러나 영화를 서술체 자체가 아니라 서술체의 담화적 차원, 즉 서술행위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시간에 대하여도 다시 주목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서술행위와 시간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토도로프에 이어 주네트는 서술체에서 시간의 문제를 세분화하고 체계화하여 이해의 폭을 넓혔고, 고드로와 조스트는 주네트의 업적을 영화에 접목시켜, 영화에서 시간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잘 보여 주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서 영화에서 장면, 요약, 생략, 휴지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영화작품에 직접 적용시켜 봄으로써 디제스의 시간과 상영의 시간 차이에서 발생하는 리듬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서술체의 시간문제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영화의 서술성을 해체하고 순수이미지가 드러나는 영화를 통해 시간을 사유하고자 했던 들뢰즈의 영화미학을 보다 더 세밀하게 이해하는 지평을 열었다. In the film, time was indirectly grasped and approach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diegesis, the change of characters, or the change of space, as it is difficult to perceive time directly. However, as we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iscursive dimension of the film’s storytelling, it became more time-centric. The reason is that narrative action and time are closely related. Following Todorov, Genette widened the field of understanding by subdividing and systematizing the problem of time in the narrative. Gaudreault and Jost incorporated Genette’s work into the film, demonstrating how time is managed in the film. Through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concepts of scene, summary, ellipsis and pause in films, and examined the effect of rhythm which occur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the diegesis and the projection. From this understanding of the cinematic narrative’s time problem, we opened up the horizon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cinematic aesthetic of Deleuze, who attempted to reflect time in cinema that reveals a pure image.

      • KCI등재

        동서 비교문학을 위한 방법론 모색

        서명수(Suh, Myung Soo)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8

        Studies on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west of the 19th century occurred in the politico-cultural matrix in which European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to non-Europe nations politically increases. In facing this ethos J. W. von Goethe raised the necessity of world literature (Weltliteratur) in order to get over a hidebound nationalism. Goethe’s vision expedited the study for comparative literature and widened the extension of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re simultaneously in progress in the name of so-called ‘glocalization’. In the age of glocalization what is unavoidability of literature and should be? Some said that literary critics and scholars should be a comparativist. For this reason, comparative studies as a new academic methodology has been suggested. In response to this tendency I intend to suggest some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the study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East-West. Firstly, not seeing eastern literature with western eyes and vice versa but seeing one’s literature with each one’s eyes is necessary in the age of glocalization.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East and West can be widened. Thu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fusion of horizon (Horizontverschmelzung) that H.-G. Gadamer insisted for the way of hermeneutic conformity in ‘argumentum e contrario’ to the study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East-West. Secondly, Korean distinguished Buddhist monk-scholar Wonhyo’s idea of One Mind (一心) as a basis of hermeneutic fusion of horizon can be applied to the study of comparative literature. Thirdly, Dilthey’s hermeneutics of life as a structural nexus of lived experienc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has two aspects: the diachronic and the synchronic. According to Dilthey, life itself is prior to conceptual thought and knowledge. Life is experienced as a dynamic/productive nexus (Wirkungszusammenhang). Dilthey’s triadic nexus of life can be applied to the study of comparative literature as a basis of hermeneutic confirm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religious canons in East and West which supply literary imagination and thoughts. Even though the ways of expression are different human mental structure and desire for happiness of life, eternity, essence of beauty and so on are similar in East and West.

      • KCI등재

        롤랑 바르트의 『사랑의 단상』(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에서 ≪사랑해(Je t`aime)≫에 관한 연구

        서명수 ( Myung Soo Suh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41 No.-

        『사랑의 단상』(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에서 롤랑 바르트는 사랑에 대하여가 아니라, 사랑에 빠진 주체가 하는 말, 즉 그의 담화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그는 이 글을 통해 주변의 언어로부터 버림받고, 잊혀지고, 평가절하 되고, 희화화된 사랑의 담화가 복권되기를 원했다. 『사랑의 단상』은 제목이 보여주듯 조각난 담화이다. 담화의 조각화는 여러 문형들을 서로 아무런 관계성도 부여하지 않은 채, 모두 같은 수준에 유지시키고, 문형들을 분석하지 않은 상태로 놓아두기 위한 방법이다. 그러면 사랑의 담화는 편편하고 수평적인 담화가 된다. 이 담화에는 하나의 이야기로 통합하고 계층적 일관성을 부여하는 “서술적 대 타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롤랑 바르트는 독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상상력으로 틈들을 채우도록 초청한다. 그가 바라는 독서란 글쓰기/다시 글쓰기의독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텍스트의 중심부에 위치한 ≪사랑해≫라는 문형-이 문형에 모든 사랑의 담화가 수렴된다는 가정 하에-을 택하여, 분석을 시도하고 바르트가 우리에게 맡긴 메타언어를 더하는 작업을 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사랑해≫에 <고백>, <선언>, <외침>의 3개의 변별적 차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구분해내었다. 또한 우리는 사랑의 주체가 ≪사랑해≫를 말할 때 역설적 상황과 맞닥뜨린다는 것을 해독해 내었다. 그리고 우리는 <고백>이 베르테르의 담화, <선언>이 돈 주앙의 담화, <외침>이 완전한 결합을 꿈꾸는 자의 담화임을 보여주었다. Dans 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 Roland Barthes parle nonpas de l`amour mais de ce que le sujet amoureux dit, c`est-a-dire sondiscours. Il veut rehabiliter le discours amoureux abandonne, ignore,deprecie, moque des langages environnants. Comme le titre nous montre, le discours est fragmente en diverses figurescoupees de tout lien avec les autres. La fragmentation du discours, c`estpour laisser les figures rester aux meme niveau et pour eviter de les analyser;le discours amoureux devient plat et horizontal. Il n`y a pas de placepour le ``grand Autre narratif`` qui unifie le discours en une histoire etlui donne une certaine coherence hierarchique. En revanche Roland Barthesinvite ainsi les lecteurs a participer a combler les fissures avec leursimaginations; la lecture doit etre aussi ecriture et re-ecriture. Nous choisissons ainsi une figure centrale du texte, 《Je t`aime》, a laquelletoutes les figures amoureuses se convergent; nous essayons de l`analyserpour en ajouter le metalangage; c`est ce que Roland Barthes nous a confie. Nous avons ainsi distingue 3 dimensions distinctes au ``dire "Je t`aime"``: <l`aveu>, <la declaration> et <le cri>. Nous avons aussi montre quele sujet amoureux se trouve dans le paradoxe quand il veut dire "Je t`aime". Nous avons constate que <l`aveu> est le discours de Werther, <ladeclaration> celui de Don Juan et <le cri> celui du reveur d`union totale. Nous esperons que cette etude nous aide de reperer le point d`ancragea la prochaine lecture et d`investir notre imagination a la nouvelle ecriture.

      • KCI등재
      • KCI등재

        돈 주앙의 유혹의 담화전략 II : 샤를롯트에 대한 유혹을 중심으로

        서명수 ( Suh Myung-soo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9 No.-

        유혹의 담화는 구애를 가장한 거짓의 담화이다. 유혹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구애가 성실한 담화라고 확신하고, 스스로 자발적인 정념을 갖도록 해야 성공한다. 본 연구는, 몰리에르의 「돈 주앙」에서 주인공 돈 주앙이 샤를롯트로 대변되는 평민의 여인들을 유혹하는 담화전략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돈 주앙은 대귀족이라는 신분에, 남성적인 에너지가 넘치고, 교양이 풍부한, 매우 매력적인 젊은이이다. 그래서 쉽게 여인들의 관심과 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신분이 높으면, 평민들이 자신들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 다른 말로 무관심의 대상으로 취급할 수도 있다. 그래서 돈 주앙은 첫 접촉에서부터 그들과의 대화를 구애의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그래야 이 후의 모든 행동과 말이 구애를 지향하는 담화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프레임 안에서 돈 주앙은 샤를롯트의 아름다움에 탄복하고 칭찬의 담화들을 발화한다. 이 담화들은, 구애의 프레임 안에서 발화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구애로 해석되는데, 동시에 샤를롯트의 마음을 매우 즐겁게 하면서 그녀의 지위를 상승시킨다. 이때 샤를롯트는 이런 은혜(?)에 대한 보상으로 구애를 받아들여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조건부이기는 하지만 돈 주앙의 구애를 받아들이게 된다. 돈 주앙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샤를롯트와 신체적인 접촉을 시도한다. 돈 주앙의 지속적인 요청에 대하여, 손에 키스를 하도록 허락한 샤를롯트는, 그의 애무로 인한 흥분과 황홀감 속에 자발적으로 돈 주앙을 갈망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돈 주앙은 담화를 독백적 감탄문의 형식으로 발화하는 전략을 통해서 자신의 모든 담화는 진실하다는 확신을 갖게 한다. 독백적 감탄문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발화라기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혼자 하는 발화이다. 때문에 감정이나 느낌을 억제할 필요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샤를롯트가 돈 주앙의 감정을 느끼고, 그 감정에 스스로를 이입할 수 있다. 또한 독백은 혼잣말이기 때문에 거짓말일 리 없고 따라서 성실성을 의심받을 이유가 없는, 절대적인 진실의(?) 담화인 것이다. 우리는 돈 주앙의 유혹의 담화전략이 ①즉각적인 구애의 담화, ②십자포화와도 같은 칭찬의 담화, ③우아하고 집요한 신체적 접촉의 담화(요청), 그리고 ④독백적 감탄문임을 알았다. 이런 유혹의 담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앞으로 담화의 차원에서 유혹과 유사한 행위들, 즉 속임수, 홀림, 미신 등을 연구하면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Le discours de la tentation est le discours de fausse declaration d`amour. La tentation sera reussie, lorsque l`autre est convaincu que le discours courtois est sincere et qu`il a lui-meme une passion spontanee. Cette etude est poursuivie pour savoir quelle est la strategie discursive de Dom Juan a seduire les femmes qui ne sont pas aristocrates comme Charlotte. Don Juan est un jeune homme aristorate, tres attrayant et pleine d`energie avec de la riche culture. Il peut alors facilement susciter une bonne impression aupres de femmes. Cela ne veut pas dire pourtant qu`il peut facilement les seduire. C`est pour cela qu`il essaie immediatement d`etablir le cadre de communication a declarer son amour des le premier contact avec les femmes, sinon elles le consideront comme quelqu`un d`autre monde. C`est la premiere strategie discursive de Dom Juan. Dans ce cadre de communication qu`il a etalbis, il complimente les femmes qu`il rencontre pour leurs beautes physiques. Ces discours de compliment plaisent aux femmes mais aussi soulevent leurs statuts sociaux. C`est sa deuxieme strategie pour qu`il oblige les femmes, contraintes de cette < grace > de compliment, a accepter sa declaration d`amour. Dom Juan ne s`arrete pas ici; il poursuit a seduire les femmes pour qu`elles puissent avoir elles-memes la passion spontanee. Il essaie le contact direct et physique avec Charlotte qui a le desir envers Dom Juan dans dans l`excitation vertigineuse. C`est sa troiseme strategie discursive. Avec ces trois strategies discursives, Dom Juan se serve de la forme rhetorique pour garantir la sincerite de ses discours : il declrare son amour sous forme d`exclamation monologique, car le monologue, discours recursif et non dialogique, est necessairement veridictoire.

      • KCI등재

        논문 : 유혹의 담화의 연극적 전략 -돈 주앙의 돈느 엘비르에 대한 유혹을 중심으로-

        서명수 ( Myung Soo Suh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4 연극교육연구 Vol.25 No.-

        Done Elvire lives a quiet life in the covenant. She is taught to live there as a virtuous woman and to devote her life to God. Don Juan, a shameless tempter, arrived to court her for marriage. Even though she knew all about him, she gets married and soon after rejected by him. Since we are examining Done Elvire``s temptation by Don Juan, we intend to look at cases in which the tempted is aware of the identity of the tempter. The discourse of temptation is spoken as if it was the discourse of love. It resembles a form of courtship that resonates with the listener. However, the discourse of courtship is true while the discourse of temptation is false; the discourse of courtship wishes to establish a real relationship while the discourse of temptation tries to achieve a different object through this relationship : in this point, the two discourses are quite different. The strategy of temptation is so to make the listener believe that discourse is true and to conceal a different objective through the success of courtship. Don Juan does not deny the tags attached to him that he is tempter. If he does, he shows his true face: tempter. It’s just like in the theater: to create the illusion, we fill the stage with the real object instead of saying that the spectacle we are assisting is not fiction, but real. Dom Juan, by circling Done Elvire de lover``s discourse and suspending her meta-discourse, makes her to engage his speech: she does not account for his tags. This does not last forever, but just as a dream, the plays down the lights in the audience which was interrupted meta-discourse is working again. This wakes Done Elvire from the illusion that Dom Juan truly loves her. This is because the reality can be maintained simply by just filling the stage. But if the public shares the emotion of specacle, the effect of real remains in his body after the curtain. Approaching Done Elvire with true passion of love, Don Juan makes sure his love is solid by having this experience. Dom Juan’s temptation for Done Elvire is filled with the theatrical metaphor; like the drama which moves the mind of the spectators by sharing the information and the emotion effectively, Dom Juan knows how to open the heart and conquer the mind by his lo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승우의 지상의 노래에 나타난 압살롬 이야기의 문학적 수용

        서명수 ( Myung Soo Suh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1

        이승우는 신과 인간의 관계, 인간의 구원과 초월, 인간의 내면적 욕망과 운명, 그리고 권력의 문제를 기독교적 세계관 속에서 천착해 왔지만, 교리적이거나 기독교 변증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감추기 위해 드러내고, 드러내기 위해 감추는 기법을 전략적으로 구사한다. 그러나 지상의 노래 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성서의 이야기를 문학적으로 수용하여 초월과 구원, 인간의 욕망과 운명, 그리고 권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 후의 사촌 누나 연희는 박 중위의 일방적인 욕망의 대상이 되어 희생당하고 후는 박 중위를 죽이려 하지만 자기 자신도 연희 누나에 대한 성적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후와 연희는 압살롬과 다말에 대비되고, 박 중위는 암논에 대비된다. 후는 나중에 정보기관 고위직에 있는 사람의 부인인 ‘사모님’과 성행위를 하면서 연희누나를 떠올린다. 그 순간 ‘사모님’은 곧 연희 누나이다. 따라서 후는 자기 안에 암논이 들어 있음을 깨닫고 고통스러워한다. 이 작품의 중요한 공간적 배경인 천산 수도원은 알렉산드리아 파로스 섬에 있었던 70인역 유대 번역공동체를, 천산 수도원의 일흔두 개의 방은 곧 유대번역가 일흔두 명이 사용했던 동굴방을 떠올린다. 이 작품은 성서 이야기를 수용하여 구성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LEE Seung-Woo`s literary world is based on Christian world view. He uniquely uses the literary technic of ‘reveal and concealment’ in his several novels. However, he is far more direct in The Song of the Earth. He shows a literary reception of the biblical narrative of Absalom, Tamar and Amnon in the Hebrew Bible(2 Sam. 13). Absalom`s naming of daughter as ‘Tmar’ means that he loves Tamar. Absalom has a latent sexual desire towards his sister Tamar who was raped by her half brother Amnon. Similarly the protagonist ‘Huh’ tries to kill Lieutenant Park who raped his cousin ‘Yonhee’ on the father`s side. He recognizes himself as Absalom who takes revenge for his half brother Amnon`s rape of Tamar. Yet he himself has a hidden sexual desire towards his cousin. In doing sexual intercourse with the high ranking intelligence agent`s wife, “samonim” in Korean, he identifies “samonim” with “Yonhee”. For this reason, at last he recognizes himself as Amnon in sinful feeling.

      • KCI등재

        문학과 종교의 접점을 위한 신학적 성찰

        서명수(Myung-Soo Suh)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문학과 종교는 본질과 출발에 있어서 생래적 친근성을 가지고 있기에 성서를 포함하여 많은 종교 문헌들은 말할 것도 없고, 고대 신화나 설화, 그리고 고전 문학(Classics)에서는 문학과 종교 사이에 연대와 조화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근대 사회로 진입하면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고, 산업 혁명으로 인해 인구의 도시 집중화가 가속화하여 많은 사회 변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변화로 인해 인간의 주된 관심에도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문학은 점차 종교와의 친근 관계에서 길항 관계로 바뀌게 된다. 이런 문학사적 성찰은 이제 4차 산업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로 하여금 다시 한번 문학과 종교의 본질적 관계에 대해 성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본 소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먼저 문학과 종교의 관계 패턴인 친근 관계와 길항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사다리의 발판처럼 둘 사이를 연결하는 접점들(nexuses)에 대해 문학과 종교의 친근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고찰한다. 본 소고에서 제시하는 문학과 종교의 접점들로는 체험과 표현, 직관과 여성적인 것, 이탈과 일탈, 필연성과 우연성, 신의 섭리와 인간의 우연성이다.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an inherent familiarity with nature and origin, and many religious texts including the Bible and classical literatures show solidarity and harmony between literature and religion. However, in the modern society, a change of perception occurred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d the urban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which resulted in many social changes. This change also caused psychological changes in various human interests, and literature gradually changed from a familiar relationship with religion to a competitive relationship. This reflection on literary history requires us, now living in the AI era,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reflect once again on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ligion. With this problem in mind, this paper first looks at the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and religion: familiarity and antagonism. It then considers the nexuses that connect the two in an emphasis on the familiarity of literature and religion. The nexuses between literature and religion presented in this essay are experience and expression, intuition and femininity, secession and deviation, inevitability and coincidence, divine providence and human coincidence.

      • KCI등재

        논문 : 연극의 오브제에 대한 고찰-연극기호학의 반성과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

        서명수 ( Myung Soo Suh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3 연극교육연구 Vol.23 No.-

        Semiotics has advanced greatly from the research results of linguistic. Theatric semiotics also started out modeled on linguistic. It is a fact that theatric semiotics has benefited from results based on the strong reappearance of narrative-style theater, but a limitation has appeared in the applicability of theatric semiotics in the studies of ‘theatre de la marionette(E. G. Craig)’, ‘theatre de la mort(T. Kantor)’, ‘theatre d`objet(Philippe Genty)’, ‘theatre d`image(Robert Lepage, Robert Wilson)`, ‘Cirque du Soleil’, and ‘the theater of the absurd’, and ‘the theater of everyday life’. Since from this perspective, the need for us to carefully reexamined what is the essential form of the theater is clear, in order to see the essential reality(not the reenacted) that is the ‘object’, preceding the linguistic symbol. Thus we have been able to find a path to understanding the theater itself as the art of the "ostension" in a logical and methodological way. We expect that much fuller results on theatric semiotics will be brought forth from the research of pure non-linguistic theatric semeotics stemming from the concept of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