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각된 유능감과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동기 변인 예측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훈(Hun Jeon),봉미미(Mi Mi Bong),김성일(Sung Il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수학과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 개인의 지각된 유능감과 교실목표구조, 사회적 지지 및 학습동기 변인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사회적 지지 변인인 교사지지와 동료 지지가 교실목표구조와 동기 변인 사이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구조방정식모형(SEM)의 적용을 통해 분석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가 관찰되었다. 첫째, 지각된 유능감은 수학과 영어 두 교과 모두에서 교사와 동료지지 및 자기효능감,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 교실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교실숙달 목표구조는 두 과목 모두에서 교사지지, 동료지지, 숙달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교실수행목표 구조는 교사지지와 동료지지는 부적으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및 시험불안은 정적으로 예측 하였다. 셋째, 교사지지 변인은 예상과 달리 긍정적 교실정서 뿐 아니라 시험불안의 정적 예측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동료지지는 두 과목 모두에서 숙달목표의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지지와 동료지지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들 두 사회적 지지 변인은 지각된 유능감 및 교실목표구조가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동기 변인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부분적인 매개변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사회적 지지 변인의 매개효과는 교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일관된 양상을 보였다.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mpetence, classroom goal structures, social support, and motivation variables in math and English with a group of 300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variabl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perceived competence positively predicted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self-efficacy, mastery goals, performance-approach goals, and positive classroom affect. Whereas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s positively predicted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and mastery goals, classroom performance goal structures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while positively predicting performance-approach and -avoidance goals and test anxiety. Teacher support was a positive predictor of positive classroom affect as well as performance-avoidance goals and test anxiety. Peer support was a positive predictor of mastery goals. The two social support variables,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mediated the predictive relationships of perceived competence and classroom goal structures with motivation variables. The pattern was generally consistent across math and English, although some mediation paths differed between the two subjects.

      • KCI등재

        과제 유용가치의 시간적 근접성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흥미에 미치는 영향

        우연경(Yeon Kyoung Woo),김성일(Sung Il Kim),봉미미(Mi Mi B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과제의 유용가치가 상황적 흥미와 재참여 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유용가치를 단기 유용가치(proximal utility)와 장기 유용가치(distal utility)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산 과제에 대한 유용가치의 시간적 근접성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흥미유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유용가치가 흥미 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과 발달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학습 환경에서 수학이 필수적인 요소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실학습 상황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과 마찬가지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유용가치가 흥미 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과제에 대한 상황적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유용가치를 제공하는 경우 시간적 근접성과 자기효능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emporal proximity of utility value and self-efficacy on situational interest and reengagement motivation. In study 1, university students were provided with either proximal or distal values of mental calculation task.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distal utility value and high self-efficacy, indicating that distal utility value was more effective to induce situational interest and reengagement motivation for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 study 2, we replicated study 1 with high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differences and found the same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proximity of utility value in designing value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ICT 활용 수학수업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봉미미,송정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ICT를 활용한 수학수업의 효과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다양한 교사 및 학습자특성 변인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예상과 달리, 교사와 학생의 ICT 활용 효과에 대한 인식은 성별, 경력별(학년별), 또는 정보화 능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CT 활용실태에 관한 교사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중학교 수학에서 ICT의 활용비율은 전체 수업시간의 20% 미만이었으며, 정보의 검색이나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중심 학습보다는 단순한 시각자료의 제시에 그치는 경향을 보였다. 교사들은 ICT 활용의 저해요인으로 관련 기기 및 시설 부족, 업무량 증가, 시간 부족과 함께 특히 수학 교과내용와 직결된 소프트웨어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전반적으로 현장 교사들은 ICT 활용을 통한 이해 증진 및 교수-학습방법 개선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The authors examined the percep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potential benefits of ICT use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s. Contrary to the hypothe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s‘perceptions toward ICT use according to their gender, teaching experience, or technological competency. Nor wa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perceptions of ICT use by their gender, grade level, technological competency, o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computers. Teachers reported that they used ICT in less than 20% of their class time and largely for presentation purposes rather than information search or interaction with students. Shortage of high-quality software with contents directly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as rated as the most serious impediment for the teachers‘ICT use.

      • KCI등재

        학습동기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

        봉미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교육과학연구 Vol.31 No.3

        학습동기 관련 연구는 1990년대에 들어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변화를 겪었다. 본 논문은 현 학습동기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며 또한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심리적 구인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변화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성취목표 인론의 경우 과거 과제 목표와 수행목표의 이원화로부터 과제목표, 수행접근 목표, 수행기피 목표의 삼원화로 발전하였다. 또한 교사 및 학교 환경에서 추구되는 성취목표가 학습자 개인의 성취목표와 후속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는 추세다. 비학구적 성취목표로서의 사회적 목표에 관한 연구도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 연구의 경우에는 두 이론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찾는 노력과 함께, 자기효능감의 내적 구인구조를 정립함으로써 자아개념과의 차이를 초래하는 인지적 요인들을 밝히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제가치 연구에서는 과제의 가치에 대한 믿음이 성공에 대한 기대감과는 차별적 예측력을 지닌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성취가치, 내재가치, 활용가치, 비용 등 과제가치의 다중적 측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최근 학습동기 연구에서는 또한 상황특수적 측정, 인간중심 분석 관점의 등장, 분석단위의 다양화와 함께 과거에 비해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통계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의 학습동기 관련 연구들은 이러한 변화를 충실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cademic motivation research in the 1990s has experienced several important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nges.This article examines general trends in these changes with particular interest in some of the most popular and important psychological constructs in current academic motivation research.In the case of achievement goal theory, the task,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trichotomy has replaced the task versus performance goal dichotomy of the past.Achievement goal theorists have demonstrated growing interest in the effects of bigger psychological environments on individual learners´ perception, motivation, and behavior.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also tap students´ social goal and its effect on learning.Theories of self are now focusing mostly o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trying to establish each as a valid research enterprise.The task-value theory has also undergone important changes compared with the original expectancy-value model. Task-values have been shown to correlate positively with expectancies and to comprise multiple elements such as perceived importance, interest, perceived usefulness, and cost.As regards methodological changes, the current academic motivation research tends to use more context-specific assessment, person-oriented methods, diversified units of analysis, and more advanced and complex statistical techniques.Future studies in academic motivation are expected to incorporate these important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