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선삭공정에 있어서 공구선택용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백인환,권혁준,Paik, In-Hwan,Kwon, Hyeog-Jun 한국정밀공학회 1992 한국정밀공학회지 Vol. No.

        This paper deals with developing an Expert system for tool selection using knowledge base system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For the sake of building of knowledge base, the information from process through sensor, tool handbook and interview with expert are referrenced and managed. The system developed shows good application flexibility in providing the actual cutting process with the selection of tool(insert, holder) and cutting conditions(feed, speed, rake type, and so on), is found as a useful system for real-time machining process. The Expert system for tool selection is written in TURBO PROLOG ver. 2.0 for inference engine capability, and can be run in interactive mode for user friendliness. In order to apply the system developed in actual cutting process, more parameters should be considered and scrutinized, and the system should be further extended in modular basis.

      • KCI등재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번식기 조류상과 관리

        백인환 ( In Hwan Paik ),진선덕 ( Seon Deok Jin ),유재평 ( Jae Pyoung Yu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2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번식기에 서식하는 조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원내 해안선 지역과 10개의 도서 지역을 선정하여 2009년 7월 5일부터 9일까지 3개 팀으로 나누어 동시 조사하였다. 전체 관찰종은 58종 7,323개체였고, 해안선 지역은 48종 6,187개체, 도서 지역은 33종 1,136개체였다. 공원내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로서 약 60%에 이르며, 공원과 인접한 도서에서 집단 번식한 개체로 추정된다. 한편, 연안 지역에서만 관찰된 조류는 흰뺨검둥오리, 물닭, 중백로 등 25종 318개체이고, 도서 지역에서만 관찰된 조류는 가마우지, 칼새, 섬개개비 등 10종 308개체였다. 도서지역에서는 가의도를 비롯한 유인도서에서 종과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도서 면적과 수자원 유무, 다양한 서식지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자료와 금번 조사 결과, 주요 우점종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07년 기름유출사고 지역임에도 2004년보다 수조류가 증가한 점에서 회복되어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태안해안국립공원과 인접한 연안은 매립과 조력발전소가 조성 및 예정되고 있고, 도서지역은 펜션증가 등이 예상되면서 중요한 서식지 훼손과 교란이 예상된다. 이러한 위협요인에 대비하고, 공원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조류정보가 부족한 도서 지역에 대한 조류모니터링을 강화하거나 탐조가의 조류결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류정보시스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survey was done in order to find what kinds of birds visit Taeanhaean National Park during breeding season, where we fixed up 10 coastal areas and islands within the National Park. Three groups concurrently performed the field research from 5th to 9th of July in 2009. Total 58 species and 7,323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Taeanhaean National Park. 48 species including 6,187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coastal areas and 33 species including 1,136 individuals in island are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National Park are Larus crassirostris which accounts for 60% of the birds inhabiting there, and they seem to have been bred in the islands near the National Park. The birds observed only around the coastal areas include Anas poecilorhyncha, Fulica atra, Egretta intermedia and the others which consist of 25 species and amount to 318 individuals, and the birds found exclusively in island areas include Phalacrocorax filamentosus, Apus pacificus¸ Locustella pleskei and other birds, which consist of 10 species and the number of those individuals observed was 308. The inhabited islands areas such as Gauido were characterized by high ratio of waterbird population, which seems to be correlated with the factors such as the extent of island, the richness of water resources, and the diversity of habita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research and other data from the previous observations, the kinds of dominant species remain nearly unchanged. And in spite of the oil spill accident in 2007,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aterbirds compared to 2004 may be the evidence that the area is recovering from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t present, the tidal power plants are being built or scheduled to be built and large-scale reclamation is also under way. What is worse, those areas are seeing the increase of pension construction, which is likely to be the potential cause of damage and disturbance against some key habitats for the waterbirds. Therefore, it is a major priority that we build the bird information system to efficiently manage the knowledge-based asset collected from bird-watching groups and to better monitor the areas that need enhanced database through which the National Park can be appropriately administered.

      • KCI등재

        Bird accidents in Southern Mongolia

        Onolragchaa Ganbold,Gi-Chang Bing(빙기창),Erdenetushig Purevee,Munkhbaatar Munkhbayar,Won-Suk Choi(최원석),Ariunbold Jargalsaikhan,In-Hwan Paik(백인환),Zoljargal Purevdorj,Namsrai Jargal,Woon-Kee Paek(백운기)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몽골의 초원이나 사막과 같은 개방지역에 설치된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조류 감전사고는 매우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류피해조사를 위해 2017년 몽골 남부지역의 준사막 지역에 설치된 15-kV의 송전선로에 4월, 7월, 9월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50개의 전신주 구간에서 총 12종 45개체의 감전사한 조류를 확인하였다(10㎞마다 1.12% 사망률). 주요 감전 피해 조류는 멸종위기종인 Falco cherrug (n=11)와 Milvus migrans (n=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과 같이 개방된 환경에서의 조류를 위한 잠자리 또는 휴식처의 부족은 보다 많은 조류의 감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몽골의 다른 개방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고현장에서 종동정이 어려운 개체의 경우, 시료의 유전자 증폭 등을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몽골의 개방지역에서 조류의 감전사고는 조류에게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맹금류에게 빈번하며, 간헐적으로 이동철새에게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된 지역일 경우 조류의 감전사고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조류의 위험요소를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은 멸종위기종과 같은 종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ird electrocution on contact with electricity lines is well reported and is quite common in Mongolian open areas. We visited 15-kV electricity distribution pole lines in a Southern Mongolian semi-desert region three times in 2017, in April, July, and September, to assess their risks to birds. The carcasses of 45 electrocuted birds representing 12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250 poles (overall mortality rate of 1.12% every 10 km). The majority of these electrocuted birds were endangered Saker Falcon (n=11) and common Black Kite (n=11). The lacks of roosting or perching sites in our study sites (indeed other open areas in Mongolia) may resulted for such high rate bird electrocution. A 751-base pair (bp)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 was amplified for DNA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carcasses that were difficult to identify directly. Our findings revealed the high electrocution risk for birds in Mongolian open areas, especially for the birds of prey, with relatively low-efficiency electrocution mitigation approache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isk of bird electrocution, particularly in the open areas. This will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 KCI등재후보

        간척지의 환경변화가 흰뺨검둥오리 서식에 미치는 영향

        진선덕(Seon-Deok Jin),백인환(In Hwan Paik),박치영(Chi Young Park),최성훈(Seong Hoon Choi),유재평(Jae Pyeong Yu),백운기(Woon Kee Paek),강태한(Tehan Kang)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시화호 환경변화에 따른 흰뺨검둥오리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평균 개체수는 12,204개체이었고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동지수(Fi)는 2010년에 2.16로 가장 높았다. 개체군 변화경향은 겨울철은 급격한 감소, 가을철과 봄철에는 보통감소, 여름철은 보통 증가경향을 보였다. 주요 서식지로는 북측간척지, 방수제, 탄도수로, 인공습지 이었다. 기온과의 상관관계는 봄, 여름, 가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겨울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척지 환경변화에 따라 흰뺨검둥오리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연구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Spot-billed ducks due to changes in reclaimed land, we conducted a monthly survey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4 at the Shihwa Lake. The average number of Spot-billed ducks was 12,204 individuals. The average population was decreased. The yearly index of fluctuation (Fi) was the highest at 2.16 in 2010. TRIM(TRends and Indices for Monitoring data) showed a steep decline in winter and a moderate decrease tendency in autumn and spring. However, in the summer season, it showed an moderate increasing tendency. The main habitat were Northland reclaimed land, agricultural land and wetland area, Tando waterway, Shihwa artificial wetland in upstrea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pot-billed ducks and the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in spring, summer, autumn. However, winter w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affects the community of Spot-billed duck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of reclaimed land. In future, effective management is needed to prepare alternative habitat based on basic data like this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pot-billed ducks during reclamation construction.

      • KCI등재

        파주시에서 수집한 폐사체 맹금류의 DNA 바코드 연구

        진선덕 ( Seon Deok Jin ),백인환 ( In Hwan Paik ),이수영 ( Soo Young Lee ),한갑수 ( Gap Soo Han ),유재평 ( Jae Pyoung Yu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2011년 6월 28일에 파주시 조리읍 장곡리 인근 도로에서 두부쪽이 손상되고, 해당연도에 태어난 맹금류 어린새를 발견하였고, 이를 DNA 바코드 기법으로 동정하였다. Mitochondrial DNA(mtDNA) cytochrome c oxidase I(COI) 유전자의 695bp 절편을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증폭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을 BOLD systems과 NCBI의 BLAST에서 유사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5개체의 왕새매가 검색되었고, 염기서열의 동일성은 100%로 조사되었다. 또한, DNA 분자성판별 결과는 해당 개체가 암컷임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도 파주에서 1968년 이후 43년만에 왕새매의 번식이 확인된 중요한 정보로, 향후 광역야생동물구조센터는 야생동물의 사체 수거 시 인근 기탁등록보존기관과 연계하여 DNA시료를 확보하고 보다 정확한 종동정과 성판별 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렇게 확보한 왕새매의 DNA 시료와 DNA 바코드 COI 유전자 서열은 유사종 연구의 참조표본(reference standard)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e juvenile raptor which was not able to be identified due to its head damage was discovered on a roadside in Janggok-ri, Jori-eup, Paju on 28th June, 2011. The species was identified by DNA barcoding. Afte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we obtained 695 bp sequences. We analyzed the obtained COI sequence with similar sequences from the BOLD systems and BLAST of the NCBI Genbank, and discovered that its sequence showed 100 % similarity values with the one of the five gray-faced buzzards which were previously research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o be a female through sex determination using DNA. Such results are important information as it confirms the breeding of the gray-faced buzzards for the first time in 43 years since its breeding was last recorded in 1968, in Paju. Wildlife rescue center needs to work with adjacent consigned registration and preservation institutions when carcass of wild animals is collected or DNA samples are obtained for more accurate both species and sex identification through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obtained DNA sample of the gray-faced buzzard and COI gene, DNA barcode, could be used as reference standards for similar researches in the future.

      • KCI등재

        시화호 남측 초지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

        박치영 ( Chi Young Park ),김호준 ( Ho Joon Kim ),백인환 ( In Hwan Paik ),유재평 ( Jae Pyoung Yu ),백운기 ( Woon Kee Pai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conducted to from 2009 to 2010 in Sihwa South Grassland, Gyeonggi-do, Korea. Total 49 species were recorded and the sum of maximum counts was 2,258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was 2.21 and the species richness was 6.22. In South Reclaimed , we recorded maximum score of 38 species. and maximum score of 1,083 individuals in Dinosaur Egg Fossil. Comparison between areas were use average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Mostly Dinosaur Egg Fossil and South Reclaimed were higher than Sihwa Lake upstream. As a results of the ANOVA test, all areas were different. also, Sihwa Lake upstream only difference was that the bird community. In the sea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richness.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richnes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eason. but individuals and species diversity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ear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but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 Between areas was different patterns of bird communities. but including water space Dinosaur Egg Fossil and South Reclaimed were showed a similar bird communities and bird diversity was higher. In the season, the resident was using of consistent patterns. bu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igratory patterns of populations. In the year, every year was communities of a similar patterns. Sihwa South Grassland is of the high conservation value ecosystem as the only domestic. Propose an opinion for maintaining biodiversity when planning future habitat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decrease.

      • KCI등재

        Hatching and Livability of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n Relation to the Egg Size in Hongdo Island

        Jae-Pyoung Yu(유재평),Byun-Sun Chun(전병선),In-Kyu Kim(김인규),Jeong-Hoon Kang(강정훈),In-Hwan Paik(백인환),Kyu-Hwang Hahm(함규황),Woon-Kee Paek(백운기) 한국조류학회II 2006 한국조류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335호 해조류번식지로 지정되어 있는 홍도에서 1988년 4월 초순에서 7월 중순까지 70개의 괭이갈매기 둥지에서 산란에서 이소까지의 번식생태에 관하여(알 크기와 낳는 순서가 새끼의 부화율과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것이다. 괭이갈매기의 한배산란수는 2.43±0.51개 였고, 포란기간은 평균 26.4일(범위 24~29일, n=31)이었다. 알 측정치의 평균은 장경 61.3±2.3㎜, 단경 43.1±1.3㎜, 무게 56.1±3.7g이었고, 새끼의 무게는 부화시 49.3±8.7g이었고, 5일경 무게는 110.6±25.5g, 10일경 무게 235.9±37.8g이었다. 부화율은 91.11%였고, 생존율은 81.71%였으며, 생존율은 15일까지 생존해 있는 새끼들을 대상으로 계산하였다. 첫 번째 낳은 알이 두 번째, 세 번째 낳은 알보다 무거웠으며, 부화율, 생존율 또한 높았다. 따라서 산란 순서는 새끼가 부화하고 생존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plicating the influence of egg size and the order of laying on the hatching rate and the livability in seventy nests of Larus crassirostris from early April to mid July in 1988 in Hongdo, a plac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335 for a breeding place of seabirds. The average number of brood is 2.43±0.51, and the period of the Black-tailed Gulls' incubation is 26.4 days in average (Range 24~29 days, n=31). The size of the egg was 61.3±2.3㎜ in the major axis and 43.1±1.3㎜ in the minor axis respectively, and the weight was 56.1±3.7g. The weight of the first chick was 49.3±8.7g, and the weight of the first chick. On the fifth day and tenth day after hatching, was 110.6±25.5g and 235.9±37.8g respectively. The hatching rate was 91.11% and the livability was 81.71%. The livability was calculated by investigating chicks survival until 15 days after hatch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eggs are a slightly bigger and heavier than the second and third one. Furthermore, the hatching rates of the first and second-laid eggs are higher than the third one, as well as the livablity of the two egg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ize of the egg and the order of egg-laying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hatching rate and livability.

      • 야생조류 정보 수집과 활용을 위한 시민과학의 접근과 적용-eBird 사업을 중심으로

        백인환 ( In Hwan Paik ),진선덕 ( Seon Deok Jin ),유재평 ( Jae Pyoung Yu ),임정희 ( Jeong Heui Lim ),전병선 ( Byung Sun Chun ),이상보 ( Sang Bo Lee ),박치영 ( Chi Young Park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1990년대 말부터 쌍방향, 참여, 사회적 소통과 같은 웹2. 0 형태의 온라인 저널 블로그나 집단지능과 같이 협업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는 위키가 등장하면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는 지구규모의 환경 현안에 대한 대응 체계로서도 정보화 시대의 쌍방향 네트워크는 환경정책 의사결정에 시민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특히, 대륙 및 국가간 이동하는 야생조류의 경우 대규모의 시민관찰 정보가 공동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되고 유통되면서 야생조류의 정보와 지식 생산의 중심에 시민과학(Citizen Science)의 영역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과학 활동이 활발한 북미의 eBird 웹사이트(eBird. org)를 중심으로 야생조류 정보 수집과 활용 체계를 검토하여 국내 야생조류의 연구 분야에서 시민과학의 접근과 적용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시민과학은 지속가능한 사회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과학 기술과 과학의 공공성 회복에 대한 시민 사회의 의심과 민주적 참여가 확대 되는데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시민과학의 정의는 대중과학(crowd science), 크라우드소싱 과학(crowd-sourced science), 네트워크 과학(networked science)이라고 불리우며, 아마추어 과학자 또는 비전문과학자 등이 과학 연구의 일부 또는 전체에 참여하면서 자연 현상의 탐구, 체계적인데이터 수집과 분석, 기술 개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래서 과학 활동에 종사하는 일반 대중의 구성원 또는 사회의 공익적 이익에 봉사하는 과학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례로 Galaxy Zoo(galaxyzoo. org) 프로젝트와 같이 수백만 장의 천문 사진을 분류하는데 아마추어 천문학자의 집단 참여로 다양한 천문데이터가 신속하게 수집되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논문으로 이어지면서 천문과학자와 아마추어 천문학자 사이에 지속적인 집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북미의 아마추어 탐조가도 여가 시간의 증가, 공공에 개방된 방대한 양의 지식 접근, 최첨단 장비 활용 등으로 대규모 야생조류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오듀 본협회(Audubon Society)에서 실시하는 북미의 조류 개체군 조사 ‘크리스마스버드카운트(Chrismas Bird Count: CBC)’는 1900년 27개소에서 시작하여 2006년 기준으로약 2천개의 단체와 6만 명의 시민과학자가 동시에 헌신적으로 야생조류의 관찰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현재는 온라인상의 웹과 앱을 통해 정보를 상호 교류하고 있다. 북미의 탐조활동(bird watching)은 수백만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그들이 관찰한 이동조류의 이동경로, 개체수 정보는 단순한 기록에서 eBird 웹사이트에 스스로 관찰한 내용과 현장 정보를 입력하여 공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과거에 불가능했던 과학적 가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가공해서 과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된다. eBird 사업의 참가자는 탐조가부터 개체군·분포·보존 생물학자, 계량 생태학자, 통계학자, 컴퓨터 과학자, GIS 및 정보과학자, 어플리케이션(App) 개발자, 데이터 관리자 등이 참여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양과 질을 관리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시민과학자의 능력, 불완전한 종동정, 시공간적 데이터 편차 등을 체계적으로 계량화 하도록 컴퓨터 과학의 협조는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데이터로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eBird 데이터는 학생, 교사, 과학자, NGO, 정부 기관, 토지 관리자 및계획가, 정책의사결정자 등 폭넓은 이용자가 활용하고 있고, 조류서식지 보전과 종 분포를 예측하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eBird 데이터는 야생조류의 종분포 모형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나 정부와 지자체의 환경영향 보고서에도 활용되는 등 광범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eBird 데이터를 이용한 논문만도 90건 이상이 게재된바 있다. 이러한 eBird 데이터 활용은 공동 연구와 탐조 커뮤니티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면서 야생조류의 지식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국내도 많은 탐조가의 활동으로 수집된 정보가 민관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민간 분야에서는 BirdDB(birddb. com), 한국야생조류협회(kwbs. or. kr)등에서 탐조회원의 자발적인 참여로 국내 야생조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정부 부처에서는 환경부의 관련기관과 국립중앙과학관 등에서 전문가의 야생조류 정보를 DB로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eBird와 같이 야생조류 정보의 대규모수집이나 데이터 접근과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효율성과 유연성 개선,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플랫폼 제공 등 사용자의 참여와 활용을 높이려는 노력 등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시민과학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은 과학의 발전과 과학 활동의 증가를 통해 지식을 창출하고 있다. ICT(정보통신)의 발전은 생물다양성 정보 데이터의 신뢰성과 융합성을 지원하며, 생태계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반에는 시민과학자의 양성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정부3. 0 등 국가적으로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하는 사업도 시민과학의 참여와 협력 기반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eBird와 같은 야생조류의 수집과 활용 체계는 국내에서도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제2분과 :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 ; 일본 황새복원 사업에 대한 고찰

        백인환 ( In Hwan Paik ),진선덕 ( Seon Deok Jin ),이시완 ( Si Wan Lee ),백운기 ( Woon Kee Paek ),김세빈 ( Se B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일반적으로 야생동물 복원사업은 야생에서 멸종된 종을 역사적인 서식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생존하도록 정착시키는 사업으로서 IUCN의 기준으로는 재도입(Re-introduction) 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재도입보다는 복원이라는 대중적인 용어로 명명하고자 한다. 야생동물 복원 사업은 크게 과학적인 전략과 사회적 전략으로 구분할 수있다. 전자의 경우는 인공증식, 서식지 조성 등과 같이 개체와 서식지 관리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복원 분야라 한다면, 사회적 전략은 지역 사회 구성원이 야생동물에 대한 합리적수용을 위한 정책, 제도, 예산, 교육 분야라 할 수 있다. 본연구는 후자의 사회적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일본 황새복원 사업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일본 황새복원 사업은 역사적으로 4단계의 시기로 구분하고 있는데, 1단계(에도시대에서 1930년대)는 현재의 황새 복원지역인 도요오카시(豊岡市) 마루야마(円山) 강유역에서 50∼60마리의 황새가 서식하고, 주변 지명이 ‘학논(鶴田)과 학산(鶴山)’이라 불리웠고,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시기이다. 2단계(1940년대 ~ 1970년대)는 지역 주민의 보호 활동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산림 벌채(번식 둥지 감소)와 개체군 감소, 이후 경제개발에 따른 습지 감소와 대규모 농약 사용 등으로 황새가 멸종된 시기이다. 3단계(1985년 ~ 2004년)는 야생에서 멸종된 황새의 인공증식과 야생 훈련, 황새 서식지 조성 시기였고, 4단계(2005년 ~ 현재)는 인공증식한 개체를 지역에 방사하고, 황새 스스로 생존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 황새의 생태계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시기였다. 2013년 기준으로 황새는 사육개체수가 90개체, 야생방사는 72개체에 이르며, 2005년 야생방사한 이후로 3세대의 개체가 번식에 성공하고 있다. 일본 황새복원의 사회적 전략은 2003년에 수립한 ‘황새야생복귀추진계획’에 잘 나타나 있다. 황새와 공생할 수 있는 환경이 사람에게도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풍요로운 환경이라는 인식하에 ‘사람과 자연이 공생하는 지역 창조를 목적으로 황새의 야생복귀를 추진한다. ’라고 명문화하고 있다. 또한 황새복원과 지역발전을 광역지자체인 효고현과 기초지자체인 도요오카시의 조례로 제정하여 경제활성화와 황새복원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일본 황새복원 정책은 국내외 환경 정책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2002년 국제사회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논의에 맞추어 ‘자연과 공생하는 사회’를 ‘신생물다양성국가전략’ 의 목표로 책정하여 국토의 자연보전과 함께 자연재생 추진, 지역 주민의 참여로 농산어촌의 2차적 자연경관지역인사토야마(satoyama)의 생태계서비스를 보전하고 지역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행동계획 등이 수립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국가전략의 기저에는 ‘주민 참여’라는 지역 주체의 의사결정이 중요해졌고, 기존의 자연환경 제도도 변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도요오카시의 마루야마 강유역권인 타마 분지는 특유의 하천 지형 및 지질 조건으로 황새가 서식할수 있는 논과 하천, 배후습지가 발달하였는데, 일본의 하천법도 기존의 이치수정책에서 환경보전과 지역 주민의 의사 결정까지 포함한 내용으로 변화하면서 황새서식지에 적합한 하천정비, 습지조성, 논어도 사업을 지역 구성원과 함께 추진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환경보전활동·환경교육추진법, 생물다양성기본법, CBD COP10의 아이치목표(Aichi Target) 채택, 생물다양성국가전략, 람사르습지 등록 등 일련의 일본 자연환경정책은 황새복원 사업의 당위성과 예산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한편, 일본의 황새복원 사업은 단순한 종복원에 머무르지 않고, 도시와 농촌의 교류사업, 생태관광 등을 축으로 한환경경제전략, NPO(비영리법인) 황새시민연구소와 지역의 학생에 의한 생물조사와 환경교육, 지역의 특화산업 촉진 및 환경기업 유치, 논어도 및 환경창조형 농법의 개도국지원 사업(JICA: 일본국제협력기구) 까지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가 확인되었고, 지역 이미지 개선과 지역 주민의 자부심 등 유무형의 경제사회적 지표도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재정 악화, 야생방사 개체의 고밀도 서식, 지역 주민의 관심 정체 등여전히 해결해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다. 현재까지 일본 황새복원 사업은 50년간 약 70억엔이 투자되어 지역 사회의 복지나 교육 재정 투자의 기회비용에 대한 비판도 있다. 다행히 2014년 도요오카시는 효고현립대학원 ‘지역자원관리연구과’를 개설하여 기존의 지구과학, 생태학에 인문사회과 학의 제분야를 통합한 황새복원과 지역 발전을 실현할 수있는 과학적 연구와 지역의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일본의 황새복원 사업은 IUCN의 야생생물의 재도입의 기준과 절차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정책, 제도, 예산, 교육 분야의 사회적 복원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