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기록종 검은두견이(Surniculus lugubris)의 첫 관찰 보고

        진선덕(Seon-Deok Jin),빙기창(Ki-Chang Ping),박진영(Jin-Young Park),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06 한국조류학회지 Vol.13 No.2

        2006년 5월 4일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에서 국내에 아직까지 기록이 없던 두견이 目 (Cuculiformes) 두견이科(Cuculidae)인 검은두견이 1개체를 관찰하였다. A Asian Drongo Cuckoo (Surniculus lugubris) was observed at the Hong Island, Heuksan-myeo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on May 04, 2006. This is the first record in Korea.

      • KCI등재

        파주시에서 수집한 폐사체 맹금류의 DNA 바코드 연구

        진선덕 ( Seon Deok Jin ),백인환 ( In Hwan Paik ),이수영 ( Soo Young Lee ),한갑수 ( Gap Soo Han ),유재평 ( Jae Pyoung Yu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2011년 6월 28일에 파주시 조리읍 장곡리 인근 도로에서 두부쪽이 손상되고, 해당연도에 태어난 맹금류 어린새를 발견하였고, 이를 DNA 바코드 기법으로 동정하였다. Mitochondrial DNA(mtDNA) cytochrome c oxidase I(COI) 유전자의 695bp 절편을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증폭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을 BOLD systems과 NCBI의 BLAST에서 유사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5개체의 왕새매가 검색되었고, 염기서열의 동일성은 100%로 조사되었다. 또한, DNA 분자성판별 결과는 해당 개체가 암컷임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도 파주에서 1968년 이후 43년만에 왕새매의 번식이 확인된 중요한 정보로, 향후 광역야생동물구조센터는 야생동물의 사체 수거 시 인근 기탁등록보존기관과 연계하여 DNA시료를 확보하고 보다 정확한 종동정과 성판별 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렇게 확보한 왕새매의 DNA 시료와 DNA 바코드 COI 유전자 서열은 유사종 연구의 참조표본(reference standard)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e juvenile raptor which was not able to be identified due to its head damage was discovered on a roadside in Janggok-ri, Jori-eup, Paju on 28th June, 2011. The species was identified by DNA barcoding. Afte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we obtained 695 bp sequences. We analyzed the obtained COI sequence with similar sequences from the BOLD systems and BLAST of the NCBI Genbank, and discovered that its sequence showed 100 % similarity values with the one of the five gray-faced buzzards which were previously research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o be a female through sex determination using DNA. Such results are important information as it confirms the breeding of the gray-faced buzzards for the first time in 43 years since its breeding was last recorded in 1968, in Paju. Wildlife rescue center needs to work with adjacent consigned registration and preservation institutions when carcass of wild animals is collected or DNA samples are obtained for more accurate both species and sex identification through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obtained DNA sample of the gray-faced buzzard and COI gene, DNA barcode, could be used as reference standards for similar researches in the future.

      •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체를 이용한 한국에 서식하는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의 계통지리학적 연구

        진선덕 ( Seon Deok Jin ),전재훈 ( Jae Hoon Jeon ),김인규 ( In Kyu Kim ),백인환 ( Soo Young Lee ),이수영 ( In Hwan Paik ),정옥성 ( Ok Seong Jeong ),조성웅 ( Seong Woong Jo ),강정훈 ( Jeong Hoon Kang ),임정희 ( Jeong Hei Lim ),유재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는 천연기념물 제 361호이며, 멸종위기 Ⅰ급으로 등록 되어 있다. 국제적 희귀종으로 IUCN의 Redlist에 취약종(Vulnerable: VU)이며, 야생에서 2, 500개체 미만만이 남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노랑부리백로 집단번식지는 1987년 신도에서 최초 발견되어 천연기념물 360호로 지정받았고, 1991년 약 400여 둥지가 관찰되었으나, 이후 인위적 방해요인으로 인접 섬으로 이동하여 신도에는 현재 번식하지 않는다. 최근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이 확인된 곳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영광군 칠산도(제 389호), 연평도, 구지도, 서만도, 황서도, 보령의 목도 등이 있다. 노랑부리백로는 서해안 무인도서에서 집단으로 번식하고 있고, 전 세계 최대 번식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노랑부리백로와 같이 무인도서에 서식하는 종은 외부 위협 요인에 쉽게 취약하거나 교란될 수 있고, 괭이갈매기와 같이 무인도서내 집단번식의 확산은 서식지 감소로 이어져 멸종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종의 개체군 구조, 유전적 다양성, 소수개체군의 유전자 관리에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방법은 노랑부리백로와 같이 무인도서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는 멸종위기종의 보전에 중요한 정보와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노랑부리백로 서식지의 개체군 조사와 더불어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의 빠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노랑부리백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분석과 계통분류를 수행하고 근연종과의 비교를 통해 종 다양성 및 개체군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노랑부리백로 번식 및 서식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고, 번식 및 서식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번식지내 노랑부리백로 43개체의 혈액, 조직(사체), 알껍질 등에서 유전자원을 확보하였다. 이후 DNA 추출 후 QC테스트 한 총 18개체의 유전자원 샘플로 2개의 primer set을 제작하고 PCR 증폭을 진행한 후 100bp 이상 조각으로 해독하여, 약 1. 2Gb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를 생산 및 분석하였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현황 조사결과 전남 영광군의 칠산도, 납대기섬, 서만도, 황서도, 보령의 목도(나무섬) 등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 번식지이었던 신도, 구지도, 비도, 예도 등에서는 번식을 확인할 수 없었다. 최근 10년간 노랑부리백로의 둥지 수 변화를 보면 2004년 674개의 둥지에서 2006년 461개, 2008년 524개의 둥지로 감소하였다가 2010년 696개로 증가한 후, 본 조사인 2013년에는 367개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구지도의 번식 집단이 사라졌고, 서만도와 황서도의 개체군이 감소한 결과로 판단된다. NGS로 생산된 데이터를 기 보고된 노랑부리백로의 reference sequence에 BW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lign을 수행하였으며, samtools를 이용하여 각 샘플별 미토콘드리아 서열을 생산하였다. 전체 미토콘드리아 서열을 비교해본결과, 총 87개의 위치에서 다형성(polymorphism)이 발견되 었으며, 대부분이 D-loop(Control region)에 모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 보고된 중국의 노랑부리백로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새로운 두 개의 Haplotype이 한국 노랑부리백로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자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 보고된 중국의 노랑부리백로 데이터의 미토콘드리아 서열 중 D-loop 영역의 일부를 DnaS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Haplotype/Nucleotide diversity를 계산한 결과 각각 0. 956, 0. 00908을 얻었고, 중국의 노랑부리백로(Haplotype diversity: 0. 920, Nucleotide diversity: 0. 0087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ajima``s D test를 통해 한국에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의 미토콘드리아 control region에 선택압 (selection pressure)이 없다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과 중국에 서식하는 노랑부리백로의 지리적 변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Arlequin을 통해 AMOVA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를 진행하였으며, Haplotype frequency를 이용하였을 때 약 2. 27 %의 variation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Genetic distance를 이용하였을 때는 유의한 값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번식지별로 개체군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았으나, 샘플의 수가 적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도출되지 않았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지별 개체군간의 비교와 새롭게 발견된 Haplotype의 분석을 위하여 RAxML을 이용하여 계통도 분석을 한 결과, 특별하게 번식지별로 클러스터링(clustering) 되지 않아 번식지별 차이가 없었다. 한편, KHap1, KHap2는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된 Haplotype으로서 기 보고된 중국의 노랑부리백로 Haplotype 과 클러스터링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 집단이 중국에서 번식하는 집단과 유전적 교류가 있다고 판단되며, 번식시기보다는 월동지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모여 집단 월동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노랑부리백로 mtDNA와 STR genotyping의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한국에서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의 유전자 다양도와 계통분석을 심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미기록종 흰매( Falco rusticolus)의 첫 관찰

        진선덕(Seon-Deok Jin),한정란(Jeong-Ran Han),유재평(Jae-Pyoung Yu),백인환(In-Hwan Paik),김성현(Sung-Hyun Kim),박치영(Chi-Young Park),허위행(Wee-Haeng Hur),김화정(Hwa-Jung Kim),김진한(Jin-Han Kim),백운기(Woon-Kee Paik)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2010년 3월 20일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강 일대(E128° 14′ 25.6″, N36° 25′ 05.0″)에서 한국 미기록종인 흰매(Falco rusticolus) 1개체를 관찰하여 보고한다. 이는 국내 첫 관찰기록에 해당한다. 흰매는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툰드라지역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시베리아 북부와 그린란드 해변을 중심으로 번식한다. 관찰된 개체는 몸집의 크기, 색 등을 고려할 때 금번 관찰된 종은 F. r. candicans로 판단된다. On 20 March 2010, One Gyrfalcon (Falco rusticolus) was observed at Nakdong river, Sangju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E128° 14′ 25.6″ N36° 25′ 05.0″), an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for the Korean peninsula. The Gyrfalcon has distributed Eurasia and tundra of North America and bred around North Siberia and coast of Greenland. The Gyrfalcon observed on this time is considered possibly the F. r. candicans based on body size and colour.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 243-1호 독수리(Aegypius monachus)의 월동실태에 관한 연구

        진선덕,유재평,백인환,한성우,김성만,한갑수,강태한,김인규,유승화,이기섭,김수호,김태좌,김성현,최종수,홍길표,조해,빙기창,강정훈,박치영,김우열,오홍식,백운기,Jin, Seon Deok,Yu, Jae Pyoung,Paik, In Hwan,Han, Sung Woo,Kim, Seong Man,Han, Kab Soo,Kang, Tae Han,Kim, In Kyu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1

        2008년 1월 11일부터 12일까지 전국 독수리 주요 도래지 및 관찰기록이 있었던 17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관찰된 독수리 월동 개체수는 총 1,912개체로 과거 독수리월동조사와 비교 시 가장 많은 개체수를 기록했다. 독수리는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인 중부지방에 1,500개체(78.45%), 경북, 경남, 전남, 제주 등의 남부지방에 412개체(21.55%)가 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독수리의 월동 개체군은 장단반도 777개체, 철원 지역 488개체, 산청군 193개체 등 3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과거조사와 비교하면 2006년 이후 20~30% 정도가 남부지방으로 분산되고 있다. 이는 먹이주기 행사를 중단한 이후 독수리개체군이 다소 남부지방으로 분산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결과를 보인다.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 11 to Jan. 12 2008 on 17 areas which were the wintering area of Aegypius monachus and where the bird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 total of 1,912 individuals were observed to winter in the areas, which was larger than any previous observation. The study found that 1,500 individuals winter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cluding Gyeonggido and Kangwondo, which accounted for 78.45%, and 412 individuals (21.55%) in the southern region such as Gyeongbuk, Gyeongnam, Jeannam and Jejudo (Island). Given the number of individuals wintering by region, Jangdan Peninsula (777 individuals), Cheorwon (488 individuals) and Sancheonggun(193 individuals) were mostly found.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20-30% of the individuals have moved south since 2006. This movement might be attributed to the suspension of feeding campaigns, but the birds still crowded some specific areas.

      • KCI등재후보

        간척지의 환경변화가 흰뺨검둥오리 서식에 미치는 영향

        진선덕(Seon-Deok Jin),백인환(In Hwan Paik),박치영(Chi Young Park),최성훈(Seong Hoon Choi),유재평(Jae Pyeong Yu),백운기(Woon Kee Paek),강태한(Tehan Kang)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시화호 환경변화에 따른 흰뺨검둥오리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평균 개체수는 12,204개체이었고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동지수(Fi)는 2010년에 2.16로 가장 높았다. 개체군 변화경향은 겨울철은 급격한 감소, 가을철과 봄철에는 보통감소, 여름철은 보통 증가경향을 보였다. 주요 서식지로는 북측간척지, 방수제, 탄도수로, 인공습지 이었다. 기온과의 상관관계는 봄, 여름, 가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겨울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척지 환경변화에 따라 흰뺨검둥오리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연구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Spot-billed ducks due to changes in reclaimed land, we conducted a monthly survey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4 at the Shihwa Lake. The average number of Spot-billed ducks was 12,204 individuals. The average population was decreased. The yearly index of fluctuation (Fi) was the highest at 2.16 in 2010. TRIM(TRends and Indices for Monitoring data) showed a steep decline in winter and a moderate decrease tendency in autumn and spring. However, in the summer season, it showed an moderate increasing tendency. The main habitat were Northland reclaimed land, agricultural land and wetland area, Tando waterway, Shihwa artificial wetland in upstrea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pot-billed ducks and the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in spring, summer, autumn. However, winter w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affects the community of Spot-billed duck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of reclaimed land. In future, effective management is needed to prepare alternative habitat based on basic data like this stud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pot-billed ducks during reclamation 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덕유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 사면방향, 계절에 따른 조류군집 특성

        유재평(Jae-Pyoung Yu),진선덕(Seon-Deok Jin),김현숙(Hyoun-Sook Kim),백운기(Woon-Kee Paek),송호경(Ho-Kyung So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동쪽 사면 · 계곡부인 향적봉-백련사 지역과 서쪽 사면 · 계곡부인 중봉-안성 지역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계절적, 고도별 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루어졌다. 흉고직경 30cm 이상 대경목 비율과 엽층별 피도량은 향적봉-백련사 지역이 중봉-안성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산림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60종이었고, 향적봉-백련사 지역이 55종, 중봉-안성 지역이 40종으로 향적봉-백련사 지역의 종수가 많았다. 계절별로는 봄에 종수, 밀도, 종다양도, 종풍부도가 가장 높았고,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감소하였다. 해발고도별로는 종수, 밀도, 종다양도, 종풍부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해발고도의 증가에 따른 서식지 면적의 감소와 토양수분의 감소 및 낮은 기온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한 수목 생장의 한계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류군집의 종구성에 있어서 사면방향에 따른 두 지역의 종구성은 같은 고도에서 서로 유사하였고,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종구성에 차이를 보여 해발고도가 조류 군집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견이 Cuculus poliocephalus는 휘파람새 Cettia diphone의 분포 범위와 일치하고, 매사촌 C. fugax, 검은등뻐꾸기 C. micropterus, 벙어리뻐꾸기 C. saturatus는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등의 분포고도와 일치하여 두견이목 조류들은 탁란 대상종의 분포 범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딱따구리류와 박새류에 있어서 소형종인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와 쇠박새 Parus palustris, 진박새 P. ater는 전체 고도에 분포하였고, 중형종인 큰오색딱다구리 D. leucotos, 오색딱다구리 D. major, 박새 P. major, 곤줄박이 P. varius 등은 1,200m 이하의 고도에 분포하여 소형 종은 높은 고도까지 분포범위를 넓혀 종간 경쟁을 최소화하는 생존 전략으로 판단된다. 계절에 따른 종별 분포는 고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nd altitudinal bird communities in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of eastern slope and valley section and Jungbong-Anseong area of western slope and valley section, Deogyusan National Park from July of 2008 to June of 2009. In terms of the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trees over 30cm and coverage of leaf layer was the highest in Jungbong-Anseong area and the lowest in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Birds which is observed in forest area were total 60 species, and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is 55 species, and Jungbong-Anseong area is 40 species, so there were a lot of number of species at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In spring,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and the number decreased in summer, fall and winter in the order of severity. The higher altitude is, the more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decreased. That suggests that area of habitat and soil water content is lower in higher altitude, and low temperature contributes to limiting the growth of trees. Also, species composition of bird communities of two areas by direction of slope was similar in same height, and altitude was shown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Thus, altitude causes bigger effect in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ies than direction of slope. Cuculus poliocephalus used same habitat with Cettia diphone distribution extent, and C. fugax, C. micropterus and C. saturatus with distribution extent of Urosphena squameiceps and Phylloscopus coronatus etc. unitedly, Cuculiformes habitat is judged related with parasite species. Also, small-sized Dendrocopos kizuki, Parus palustris and P. ater distributed in all altitudes, and woodpeckers and tits, such as D. leucotos, D. major, P. major and P. varius ranged in altitude fewer than 1,200m. Therefore, small size species is used survival strategy that minimize interspecific competition widening distribution range to high altitude. Distribution pattern of birds according to the season showed differences by altitude.

      • 제2분과 :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 ; 일본 황새복원 사업에 대한 고찰

        백인환 ( In Hwan Paik ),진선덕 ( Seon Deok Jin ),이시완 ( Si Wan Lee ),백운기 ( Woon Kee Paek ),김세빈 ( Se B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일반적으로 야생동물 복원사업은 야생에서 멸종된 종을 역사적인 서식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생존하도록 정착시키는 사업으로서 IUCN의 기준으로는 재도입(Re-introduction) 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재도입보다는 복원이라는 대중적인 용어로 명명하고자 한다. 야생동물 복원 사업은 크게 과학적인 전략과 사회적 전략으로 구분할 수있다. 전자의 경우는 인공증식, 서식지 조성 등과 같이 개체와 서식지 관리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복원 분야라 한다면, 사회적 전략은 지역 사회 구성원이 야생동물에 대한 합리적수용을 위한 정책, 제도, 예산, 교육 분야라 할 수 있다. 본연구는 후자의 사회적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일본 황새복원 사업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일본 황새복원 사업은 역사적으로 4단계의 시기로 구분하고 있는데, 1단계(에도시대에서 1930년대)는 현재의 황새 복원지역인 도요오카시(豊岡市) 마루야마(円山) 강유역에서 50∼60마리의 황새가 서식하고, 주변 지명이 ‘학논(鶴田)과 학산(鶴山)’이라 불리웠고,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시기이다. 2단계(1940년대 ~ 1970년대)는 지역 주민의 보호 활동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산림 벌채(번식 둥지 감소)와 개체군 감소, 이후 경제개발에 따른 습지 감소와 대규모 농약 사용 등으로 황새가 멸종된 시기이다. 3단계(1985년 ~ 2004년)는 야생에서 멸종된 황새의 인공증식과 야생 훈련, 황새 서식지 조성 시기였고, 4단계(2005년 ~ 현재)는 인공증식한 개체를 지역에 방사하고, 황새 스스로 생존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 황새의 생태계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시기였다. 2013년 기준으로 황새는 사육개체수가 90개체, 야생방사는 72개체에 이르며, 2005년 야생방사한 이후로 3세대의 개체가 번식에 성공하고 있다. 일본 황새복원의 사회적 전략은 2003년에 수립한 ‘황새야생복귀추진계획’에 잘 나타나 있다. 황새와 공생할 수 있는 환경이 사람에게도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풍요로운 환경이라는 인식하에 ‘사람과 자연이 공생하는 지역 창조를 목적으로 황새의 야생복귀를 추진한다. ’라고 명문화하고 있다. 또한 황새복원과 지역발전을 광역지자체인 효고현과 기초지자체인 도요오카시의 조례로 제정하여 경제활성화와 황새복원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일본 황새복원 정책은 국내외 환경 정책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2002년 국제사회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논의에 맞추어 ‘자연과 공생하는 사회’를 ‘신생물다양성국가전략’ 의 목표로 책정하여 국토의 자연보전과 함께 자연재생 추진, 지역 주민의 참여로 농산어촌의 2차적 자연경관지역인사토야마(satoyama)의 생태계서비스를 보전하고 지역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행동계획 등이 수립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국가전략의 기저에는 ‘주민 참여’라는 지역 주체의 의사결정이 중요해졌고, 기존의 자연환경 제도도 변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도요오카시의 마루야마 강유역권인 타마 분지는 특유의 하천 지형 및 지질 조건으로 황새가 서식할수 있는 논과 하천, 배후습지가 발달하였는데, 일본의 하천법도 기존의 이치수정책에서 환경보전과 지역 주민의 의사 결정까지 포함한 내용으로 변화하면서 황새서식지에 적합한 하천정비, 습지조성, 논어도 사업을 지역 구성원과 함께 추진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환경보전활동·환경교육추진법, 생물다양성기본법, CBD COP10의 아이치목표(Aichi Target) 채택, 생물다양성국가전략, 람사르습지 등록 등 일련의 일본 자연환경정책은 황새복원 사업의 당위성과 예산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한편, 일본의 황새복원 사업은 단순한 종복원에 머무르지 않고, 도시와 농촌의 교류사업, 생태관광 등을 축으로 한환경경제전략, NPO(비영리법인) 황새시민연구소와 지역의 학생에 의한 생물조사와 환경교육, 지역의 특화산업 촉진 및 환경기업 유치, 논어도 및 환경창조형 농법의 개도국지원 사업(JICA: 일본국제협력기구) 까지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가 확인되었고, 지역 이미지 개선과 지역 주민의 자부심 등 유무형의 경제사회적 지표도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재정 악화, 야생방사 개체의 고밀도 서식, 지역 주민의 관심 정체 등여전히 해결해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다. 현재까지 일본 황새복원 사업은 50년간 약 70억엔이 투자되어 지역 사회의 복지나 교육 재정 투자의 기회비용에 대한 비판도 있다. 다행히 2014년 도요오카시는 효고현립대학원 ‘지역자원관리연구과’를 개설하여 기존의 지구과학, 생태학에 인문사회과 학의 제분야를 통합한 황새복원과 지역 발전을 실현할 수있는 과학적 연구와 지역의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일본의 황새복원 사업은 IUCN의 야생생물의 재도입의 기준과 절차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정책, 제도, 예산, 교육 분야의 사회적 복원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