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기본법(안)의 이의신청 조항에 대한 검토 및 향후 법적 과제

        백옥선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9

        The formal objection system, both different and spread out within individual law, despite its function to expand the peoples’ protection of rights and strengthen administrative self-regulation has received criticism from various aspects. In particular, while regulating the grounds for formal objection against individual law rulings, as there are no clear positions on the overall appeals proceedings of such formal objections, distinctions made by the administrative appeals office are often ambiguous. Following formal objections it is unclear whether it is possible to file for administrative appeals, as individuals do not choose to make formal objections, the formal objection system is either pointless or the individual filing for formal objections may miss the chance to formally demand the protection of rights as the deadline for an administrative appeal or litigation passes while the formal objection is being processed. This enactment for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Law aim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legal confusions of the formal objection system in practice while, regulating the general grounds and procedures for formal objections to promote simple and prompt protection of rights, and def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and the Administration Litigation Act. As such, establishing a new clause regarding formal objections with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Law is expected to resolve pre-existing systemic confusion and make sizeable contributions in the aspect of peoples’ protection of rights. On the other hand, for the formal objec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readily, various legislative improvements and additional legal research is deemed necessary. For those reason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following legal challenges. First, the need for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to make cross-act associations feasible thus creating advanced appeals proceedings in regards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Administrative Trials Act, and Administration Litigation Act. Second, to make clear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clause for formal objection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Law, articles 3 and article 4 of Administrative Trial Act recognizing special cases of administrative trials must be clearly interpreted to allow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Trial Act and formal objections to take shape. Finally, there is a need to determine whether clauses of formal objection in individual law must be preserved, amended, or erased after taking to consideration whether after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Law accounts for the purpose of originally implementing the clause of formal objections in the individual law. 개별법에 상이하게 흩어져 있는 이의신청제도는 국민의 권리구제 확대 및 행정의 자기통제기능 강화라는 기능에도 불구하고 입법적으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 왔다. 특히 개별법상으로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근거를 두면서도 이러한 이의신청이 처분에 대한 전체 불복절차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명확히 규정하지 않아 행정심판과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많았다. 그 결과 이의신청을 거친 이후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는지 불분명하여 선택적으로이의신청제도를 활용하지 않아 제도의 존재이유가 없거나, 이의신청을 거치는 동안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제소기간의 경과로 이의를 신청한 국민이 정식의 권리구제절차를 놓치게 되는 것은 그동안 이의신청의 대표적인 문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행정기본법 제정안에서는 실정법상 이의신청제도의 문제점과 법체계적인 혼란을 해소하면서도 처분에 대해 간이·신속한 권리구제를 도모하고자 일반적인 이의신청의 근거 및 절차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였고, 「행정심판법」과 「행정소송법」과의 관계도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행정기본법에 이의신청 조항을 신설하는 경우 기존의 이의신청제도의 혼란을 해소하고, 국민의 권리구제 차원에서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의신청제도가 원활하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입법적 보완과 법리적 연구가 추가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의신청제도가 정착되기 위한 법적 과제로 첫째, 선진적인 불복절차를 구축하는 차원에서 「행정절차법」 및 「행정심판법」, 「행정소송법」상 관련 제도와 이의신청 제도 간 연계가가능하도록 보완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행정심판의 특례를 인정하는 「행정심판법」 제3조와 제4조의 해석이 명확하게 선행되어야만 행정기본법상 이의신청 조항의 적용범위에 대한 해석 역시 구체화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 마지막으로 이의신청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개별법의 이의신청 조항은 행정기본법의 제정 취지는 고려하면서도 개별법에 이의신청을 규정한 이유를 충분히 감안하여 이의신청 조항의 유지, 개정 또는 삭제를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과학기술시대에서 기술입법 개념정립 및 통제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

        백옥선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3

        Technical legislation is not a new term. However, it is true that legislation that regulates technology has been handled only passively by legislation considering limitations due to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However, some renunciation of the national regulatory authority due to globalization, the limit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technical norms, increasing legislation collaborating with private and public in cooperating countries, and the demand for changes to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require the relevant issues to be reviewed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on the discipline of the technology sector. In particular, the reform to the post-regulation method for products and services made in 2019 calls for a change in legislation in the technology sector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legislative limitations on the enactment, revision, and management of technical legislation, and seeks to establish a procedural and organizational control system for technical legislation. For this purpose, the delegation of technical legislation, cooperative legislation with the private and public, and the legal validity of Verweisung and Adoption as the legislative technology of the technical legislation were discussed. On the other hand, as a legal issue for regulatory management and system reform in the field of technology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technology legislation standard for the reform of the form of technology legisl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technology regul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en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technical legislation and legitimate legitimacy in acceptance. The result of these discussions is that technical legislation, at least, should be systematically and procedural supplemented as legislation, taking into account its legislative nature, and based on it, can enable innovation of technology, regulatory reform, and the transition to an advanced soc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 기술입법이란 새로운 용어는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기술을 규율하는 입법에 대해서는 그 전문성과 독립성에 대한 인정 및 한계를 고려하여 입법적으로는 소극적으로만 다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글로벌화로 인한 국가의 규제권한의 일부 포기, 기술규범에 대한 국내적․국제적 사법관할권의 한계, 협력국가에서의 국가의 사인 또는 공공과의 협력적 입법의 증가, 행정법의 일반적 원칙에 대한 변화 요구 등은 기술분야의 규율에 대해 입법적 시각으로 관련 문제를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2019년 초에 이루어진 제품․서비스에 대한 우선허용․사후규제 방식으로의 개편은 가장 먼저 기술분야 입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최근의 일련의 변화상황에서 기술에 대한 규제를 담고 있는 기술입법의 개념을 정립하고, 기술입법의 제정형식이나 제정절차에 대한 재검토를 위하여 관련 법적 쟁점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입법의 제․개정, 관리에 관한 입법적 한계를 분석하고, 기술입법 제․개정 관련 절차적․조직적 통제체계 마련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입법권의 위임과 민간․공공과의 협력입법의 문제, 기술입법의 입법기술로서 참조(Verweisung) 및 채택(Adoption)의 법적 효력 문제를 논의하였다. 한편, 기술입법 분야에서 규제관리와 체계개편을 위한 법적 쟁점의 하나로 기술입법의 형식 개편에 대비한 기술입법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국제 기술입법과 국내 기술입법과의 관계, 수용시의 입법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규제 관리시스템의 도입도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들의 결과는 적어도 기술입법 역시 입법적 속성을 감안하여 입법으로서의 조직적․절차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삼아야만 기술의 혁신과 규제개혁, 과학기술의 선진화 사회로의 이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 KCI등재

        입법형식과 입법평가

        백옥선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2

        Legislative evaluation is designed to evaluate the influence, effects, and etc. of legislation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and using a variety of methods. It has been fifteen years since legislative evaluation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however, as is has not yet been institutionalized, in-depth research into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legislative evaluation has also not occurred. Regardless of the need for research on legislative evaluation for it to be institutionalized, research on legislative evaluation must be carried out and developed with the aim to create good legisl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gislative evaluations, standards and methods to accurately evaluating legislation must be established. However, currently legislative evaluations are limited to being categorized based on the time point of the evaluation as either anterior, parallel, or posterior legislative evaluations each with their own standards and methods. Thus,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legislative evaluations and in order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legislative evaluation, the standards and methods must be specified in greatest detail. Accordingly, this paper, as a measure to break down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legislative evaluation, aims to review the usefulness of dividing the legislation, the subject of the evaluation, by form. Legislation form is general categorized by legislation’s type, characteristics, provisions, and agent. This paper examined what specifying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legislative evaluation first by legislative name, and second by form of provision would represent. On this basis, framework act and special act, as particular legislation form, require separate legislative evaluation and in the case of ex ante and ex post legislative evaluation, areas tha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differ. Likewis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legislative evaluation standards and methods for the promotion act. It is expected that the specification of the legislative evaluation standards according to legislative form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gislative evaluation to a certain degre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while a certain level of limitation is estimated in deducing formative standardization or common regulatory factors, the limitation is considered to be less compared to that of other methodologies. It is essential that in the future, research on legislative evaluation must not be limited to research by it self, but must work along side research on legislative form and overall legislation. Through this,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legislative evaluation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hroughout the general process of legislation. 입법평가는 입법의 영향이나 효과 등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입법평가가 소개된 지 15년이 지났으나, 입법평가가 제도화 되지 못하면서 입법평가의 기준과 방법에 대한 연구는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입법평가연구는 입법평가를 제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연구와는 별개로 좋은 입법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도 지속되고 발전시켜야 한다. 입법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법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이 잘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단순히 입법평가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입법평가를 사전적ㆍ병행적ㆍ사후적 입법평가로 구분하고 각각의 평가기준과 방법을 정하는 데 그치고 있어, 입법평가를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데 한계가 되고 있다. 체계적ㆍ효과적인 입법평가를 위해서는 입법평가의 기준과 방법을 최대한 구체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입법평가의 기준과 방법을 세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대상인 입법을 형식적으로 구분하는 것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입법형식은 일반적으로 법 종류, 법 성격, 법 조문, 법 제정주체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법평가기준과 방법을 1차적으로 법제명 형식, 2차적으로 법조문 형식으로 구체화하는 것이 입법평가방법론을 구축하는 데 있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입법형식별 입법평가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수한 법형태인 기본법과 특별법은 각각 입법평가의 필요성이나 사전ㆍ사후적 입법평가시 고려할 사항이 상이하다는 점, 마찬가지로 진흥법제에 대한 입법평가의 기준과 방법도 달리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입법형식에 따른 입법평가기준의 구체화는 어느 정도 입법평가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는 형식적인 통일이나 공통적인 규율요소를 도출하는 데 있어 일정한 한계는 있을 수 있을지라도 다른 방법론에 비해 비교적 그 한계가 적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앞으로의 입법평가연구는 그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입법형식 등 입법 전반에 대한 연구와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입법전반에 걸쳐 입법평가의 기준과 방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전기요금 규제의 공법적 쟁점과 규제체계 개편을 위한 과제

        백옥선 한국법제연구원 2022 법제연구 Vol.- No.63

        The current electricity rate regulation system i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Price Stabilization Act」 and 「Electricity Business Act」, but it was not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y law. Although there is a regulatory procedure for electricity rates, it has been limited to formal procedures or has been regulated in a regulatory way using non-authoritative mean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total cost method is established as a regulatory standard under the law, the concept of uncertainty, which falls under the area of judgment room such as price stability under the 「Price Stabilization Act」, has been used as a regulatory standard. This structural problem can be said to be the reason why it was difficult to predictably determine electricity rates based on the law.In order to maintain the electricity rate regulation system under the law,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organize it by not being the only factor considered in the electricity rate determination process or separating the electricity rate policy and setting the legal use order and limit. If this is realized, electricity rate determination can be made through clearer regulatory standards, and the scope of judicial review by the courts on electricity rate determination can be expanded.However, this discussion is still based on the premise of establishing a professional organization that can operate the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power industry, which is still monopolistic and difficult to compare with the competitive market, and the interpretation of regulatory standards is inevitably complicated and specialized. In addition, since the purpose of electricity rate regulation is for the government to coordinate between electricity operators and electricity user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procedural legal controls that allow interested parties to participate in the determination and calculation of electricity rat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thesis discusses the legitimacy and limitations of public law related to the current electricity rate decision by examining the legal issues related to electricity rate regulation, and presents a legal reorganization plan focusing on various issues of the electricity rate regulation system. has a purpose Electricity rate regul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wholesale price in the electricity market and electricity user's retail price regulation. To this end, first, as the most premise of electricity rate regulation, the legal nature of electricity rate and the overall legal system related to rate regulation will be reviewed, and legal issues related to the standard and method of regulation of electricity rate under the current law will be reviewed. It is divided into the problem of the level of electricity rate, the problem of the rate system, and the problem of the rate regulatory agency, and draws out the issues and problems of each. Lastl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establish the electricity rate regulation system for the rationality of electricity rate regulation, we would like to present public legal tasks for reorganization of the electricity rate regulation system and establishment of governance. 현행 전기요금 규제제도는 「헌법」,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 및 「전기사업법」에 근거와 기준, 절차가 규정되어 있으나, 규제법적 관점에서 조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전기요금에 대한 규제절차가 갖춰져 있지만 형식적 절차에 그치거나, 비권력적 수단을 이용한 규제방식으로 규제가 이루어져 왔다. 법령상으로는 총괄원가방식이 규제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상의 물가안정 등 판단여지영역에 해당하는 불확정개념이 규제기준으로 활용되어 왔고, 이는 전기요금이 법에 근거하여 예측가능하게 결정되는 것이 어려웠던 이유라 할 수 있다. 전기요금 규제체계를 법적 기반 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가안정이라는 요소가 전기요금 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단 하나의 요소가 되지 않도록 법제를 명확히 하거나, 전기요금정책과 물가안정정책을 분리하여 법적용순위와 한계를 정하는 법적 구조로 전환할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실현될 경우 전기요금 결정이 좀 더 명확한 규제기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요금 결정에 대한 법원의 사법심사 범위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논의는 여전히 독점적이고 경쟁시장과의 비교가 어려우며, 규제기준의 해석 또한 복잡하고 전문적일 수밖에 없는 전력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조직의 설치를 전제로 한다. 또한 전기요금 규제는 국가가 한국전력 등 전기사업자와 전기사용자 간의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전기요금 결정 및 산정시 이해관계인 등이 참여할 수 있는 절차법적 통제 역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전기요금 규제에 관한 법적 문제를 검토함으로써 현행 전기요금 결정과 관련된 공법적 정당성과 한계 문제를 논의하고, 전기요금 규제제도가 가진 여러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법적 개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기요금 규제는 넓게는 전력시장에서의 도매가격과 전기사용자의 소매가격 규제로 구분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전기요금 관련 문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소매가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전기요금 규제의 가장 전제가 되는 것으로서 전기요금의 법적 성격과 요금규제에 관한 법체계 전반을 살펴보고, 현행법상 전기요금 규제기준 및 규제방식과 관련한 법적 쟁점을 검토한다. 전기요금의 요금수준의 문제, 요금체계의 문제, 요금규제기관의 문제로 구분하여 각각의 쟁점과 문제점을 도출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전기요금 규제의 합리성을 위해 전기요금 규제체계를 어떻게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의 관점에서 전기요금 규제체계 개편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공법적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해상교통안전진단 협의제도에 대한 행정법적 검토

        백옥선 한국비교공법학회 2022 공법학연구 Vol.23 No.2

        This paper reviews legal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related to the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System under the Maritime Safety Act focusing on administrative law consultations. Among the consultations widely used in legislation, the system for cooperation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with expertise in administrative disposition, such as consultations on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differs in character from those of consultation to seek expert option or opinions. As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these consultations is to seek agreement or consent with the institution requested for consultation, the responsibility for the outcomes and of the follow up management is considered central to the policy even after the consultations. For these reasons, various impact assessment laws includ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which utilizes aforementioned consultation system, legislation has been re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consultative body's post-intervention authority is strengthened. However, as consultations to this effect are generally introduced in areas that require professional and rational management, such as the environmental or land use-related fields, it is difficult to find a legislative case that applies its use to safety regulation. Recently, with the use of maritime space rapidly increasing,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are becoming more frequent. Thus, it is anticipated that not only marine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safety issues of maritime transportation will increase in the future. Even if the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system was initially implemented with the purpose of preemptively preventing traffic safety effects in maritime space by using a methodology similar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secure safety, the nature of the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consultation system needs to be reexamined to account for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consultations recognized as binding, improvements are being made in the attempt to strengthen their practical binding force.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limitations, and some argue that these limitations can only be overcome if the consultation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position and made the subject of litigation. Therefore, rather than implementing a consultation method that is legislatively ambiguous, it is advisable to reorganize the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consultation system to a permit or approval method, so long as the operation or follow-up management has already been reformed to hold a similar purpose and method to that of the permit system. This method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the safety legislation, to clearly grant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administrative agencies from the start, rather than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consultative body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the consultation system. As the current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consultation system itself lacks coherence in relation to the related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view various aspects such as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the scope of projects subject to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the setting of target waters, and specification of diagnostic criteria. 본 논문에서는 「해사안전법」상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와 관련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향을 행정법상 협의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법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협의 중에서도 해상교통안전진단 협의와 같이 행정처분을 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가진 행정기관과의 협치를 위하여 두는 협의제도는 자문이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협의와는 성격이 다르다. 이러한 협의는 협의를 두는 목적 자체가 협의를 요청받은 기관과의 의사합치 혹은 동의를 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협의 이후 결과에 대한 책임소재 및 사후관리가 협의제도의 핵심이 된다. 때문에 이와 같은 협의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 법」을 비롯한 각종 영향평가법에서는 협의기관의 사후 개입권한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법제가 개편되어 오고 있다. 협의 중에서도 구속력이 인정되는 협의에 대해서는 별도로 처분성을 인정하고 독립된 소송대상으로 보자는 논의는 그만큼 협의의 실질적 구속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다만, 이러한 취지의 협의는 대체로 환경 분야나 토지이용 등과 관련된 분야처럼 전문적․합리적 관리가 필요한 영역에서 주로 도입되고 있으며,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와 같이 안전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분야에서는 타기관과 협의를 활용하여 안전규제를 하는 입법사례를 찾기는 어렵다. 이는 안전법에서는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소관기관을 명확하게 정하고, 해당 기관이 사전규제와 사후관리의 책임을 전적으로 책임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급격하게 해양공간 활용이 증대되면서 이해관계자 간 충돌이 잦아지고 있어, 앞으로 해양환경문제는 물론이고 해상교통의 안전문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에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환경영향평가제도와 유사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해양공간에서의 교통안전 영향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고 하더라도,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 협의제도의 성격을 환경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해상교통안전진단 협의제도의 운영이나 사후관리를 이미 허가제도와 유사한 목적과 방식으로 개편해오고 있는 이상 법적 성격이 모호한 협의 방식보다는 허가나 승인방식으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협의제도의 틀을 유지하면서 협의기관의 권한을 강화해나가는 것보다는 처음부터 행정기관에게 권한과 책임을 명확하게 부여하는 것이 안전법제의 취지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 법제에서는 해양공간의 활용이나 관리와 관련된 법제가 정치하게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상교통안전진단 협의제도의 개편을 위해서는 해양공간에서 교통이 이루어지는 수역을 조사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체계를 구축하고, 그 이후에 해상교통안전진단 대상사업의 범위, 대상수역의 설정, 진단기준의 구체화 등 여러 가지 세부 사항을 제도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행정기본법」 제정에 따른 이행강제금제도에 관한 재론

        백옥선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1

        이행강제금제도는 간접적인 행정상 의무이행확보수단으로 다수의 법률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법마다 이행강제금제도의 집행방식이나 기준 등을 상이하게 정하고 있어 행정의 실효성을 담보하면서도 국민의 권리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통일적·체계적인 규율의 필요성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2021년 3월 제정된 「행정기본법」에 이행강제금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으며, 2023년 3월 24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행정기본법」상 이행강제금 조항의 특이할 만한 점은 동법에 포함된 다른 조항과는 달리 개별법에 이행강제금의 근거를 두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는 입법사항을 입법지침의 성격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 조항의 입법지침적 성격으로 인해 「행정기본법」의 기능과 효력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입법지침을 담고 있는 이행강제금 규정에 따라 행정상 강제제도 중에서도 이행강제금제도는 빠른 시간 내 입법적 정비시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개별법제에 포함된 이행강제금제도 전반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쟁점을 구체화하고, 이행강제금과 관련한 개별법상의 문제점을 도출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이행강제금에 관한 일반적 사항을 규율하고 입법지침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행정기본법」상 이행강제금 조항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적 하에 이행강제금에 관해 다뤄진 일반적 이론 및 판례의 쟁점과 더불어 이행강제금과 관련된 입법적 쟁점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이행강제금제도의 합리적인 입법기준과 개편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행정기본법」상 이행강제금 조항의 개선이나 보완방안과 함께 「행정기본법」 시행에 따른 개별법상 이행강제금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시 화생방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법제정 정당성 및 입법방향

        백옥선 한국재난정보학회 201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0 No.2

        국가는 「헌법」에 따라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생명·신체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북한의 화생방전 공격의 위협이 있는 국가에서는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의 이행차원에서 국민의 생명·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법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현행 법제를 검토한 결과 전시상태에서 적용되는 「통합방위법」, 「민방위기본법」등 전시관련법은 전시상황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화생방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법제로 충분치 못하다. 그러므로 국가는 「화생방사태시 국민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전시 화생방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시사태에서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헌법상 국가의 보호의무의 이론적 논의, 화생방에 특수하게 국민보호조치가 필요한 이유와 이에 따른 입법적 정비방안의 방향 제시, 「화생방사태시 국민보호에 관한 법률」의 다른 법률과의 관계와 이 법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