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절변수 탐색을 위한 기술수용모형 메타분석

        백상용(Sang Yong Baek) 한국경영학회 2009 經營學硏究 Vol.38 No.5

        Dav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has been well received in MIS research since its inception. The popularity of TAM is based on the virtues such as parsimony, concrete theoretical supports and easy adaptability to various adoption contexts. Recently, however, there was criticism on the overuse of the model by modification and extens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AM by performing a series of quantitative meta-analyses on the TAM studies in both Korea and US. Before performing the meta-analyses, the extant six studies of TAM meta-analysis are compared and reviewed critically. Especially, we discussed the problems of those six studies in dealing with the moderator exploration of TAM. The data for the meta-analyses are collected from 84 studies in 39 Korean articles and 40 US articles. Since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relationships in TAM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countries, we may say TAM is generally supported regardless of country. Some differences, however, are found that all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andard deviations are greater in the Korean studies than the US ones, and that the Korean studies paid less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and behavior than the US ones. Even importantly,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ail to pass the Q test, meaning that they are heterogeneous so that we need to explore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s. Before performing the analysis for exploring moderators, the classification schemes for culture, technology, and users are proposed and explained. For culture, national culture is selected because of its popularity in social sciences and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US. For technology, four types of IT are proposed with two criteria, enjoyment and risk. For users, we examined both whether the samples are students or not and whether the samples are proxy or not. The moderator analysis shows that national culture, risk as a technology characteristic, and student as a sample characteristic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we fin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national culture and enjoyment, which confirms that both national culture and technology characteristics are multi-dimensional. Based on the results of all the analyses, some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when using TAM in countries other than US, national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in setting research models and interpreting results. Second, when applying TAM to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technology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in constructing research models. Thir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ossible bias from student samples. Finally, the future TAM study should be devo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IS field rather than simply enlarging the TAM application domain.

      • KCI등재

        발달지체 영아를 위한 모아(母兒)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백상수 ( Sangsu Bae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장애 영유아를 위한 조기중재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도 무상교육을 명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장애 영유아들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그러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놀이 그룹을 통한 장애 영유아와 부모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지체 영아 8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된 놀이 그룹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특징과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재에 참여한 영·유아들의 발달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부모들의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특히 본 놀이 그룹 중재 모형에 참여한 부모님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자연스러운 부모강화를 통해 부모-영유아간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강화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해 놀이 그룹 중심의 조기 중재 모델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방안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early intervention play group program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Research. Perceptions eight mot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paly group intervention program were examined with attachment Q-set,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rom, and face interview. Overall, perceptions of participants were emerged in various issues. Mostly they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their attachement and reduced stress level. Parents reported that they received emotional support and learin to read their children’s cues and developmental information from other parents.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R-러닝에 대한 관심도 비교분석

        백상수 ( Sang Su Bae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Hall과 Hord(2001)가 개발한 관심중심수용 모형(CBAM)을 활용하여 R-러닝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 간의 R-러닝에 대해 관심도의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비사용자의 인식 패턴을 보였다. 로봇 유무에 따른 교사간의 차이에서도 유효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두 그룹 모두 비사용자적 유형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로봇이 있는 교사들의 경우 운영단계에 관심도가 높은 사용자적 특성으로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CBAM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고 R-러닝과 관련된 현장과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r-learning.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CBAM) instrument of Hall and Hord (2001) was used to survey the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dents, the both respondents` level of use(LoU) was non-user pattern. Further, teachers with robot have significantly higher concerned level on Management state then their counterpartners without robot.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fferent kinds of robots. Based on CBAM model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r-learning practice and inservice training also were discussed.

      • 2020 년 안흥시험장 해상통제 통계량의 정량적 분석

        백상화(S. H. Baek),이아윤(A. Lee),이우성(W. Lee),최계숙(K. Choi),우병환(B. Wo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충남 태안에 소재하는 국방과학연구소 안흥시험장은 매년 평균 000 건의 유도무기 및 총포탄약 사격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약 80%는 해상을 탄착지로 하고 있다. 사격시험 수행 시 안흥시험장 보유 해상시험통제선박으로 미사일이나 탄이 탄착하는 위험구역에서 조업 중이거나 이동하는 선박을 안전한 곳으로 소개 및 유도하게 된다. 소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을 해소하고, 조업하는 어민들의 원활한 어로활동과 안전을 보장하고, 안흥시험장의 시험 및 안전통제 효율을 높이고자 2019 년부터 해상사격장 내의 월별 시험일수, 선박통제 횟수, 통제시간, 통제면적, 통제조업 선박수 등의 해상통제 통계량을 DB 하고 있다. 2019 년 통계량과의 비교를 통해 2020 년 해상통제 통계량의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2020 년 해상으로 사격한 시험일수는 128 일이 였으며, 조업 중인 선박의 통제횟수는 260 회였다. 일평균 약 2 회의 해상안전통제를 실시하였고, 매월 약 10 일 정도 해상으로 사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일수와 안전통제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산점도를 분석한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시험일수 증가 시 안전통제 횟수가 비례해서 증가함을 의미한다. 안흥시험장은 여러 방안을 통해 해상으로 사격하는 시험일수를 줄이는 계획을 갖고 있다. 안전통제가 9 월과 10 월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평균 통제시간은 3.84 시간으로 2019 년 4.26 시간보다 10% 감소했다. 통제시간이 9 월, 10 월, 11 월이 다른 달보다 길었다. 일평균 통제면적은 60.84 ㎢ 로 2019 년 63.29 ㎢ 보다 4% 감소했다. 통제평균면적은 봄, 여름, 가을이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 일평균 통제 선박수는 4.8 척으로 2019년 5.5 척보다 약 13% 감소했다. 통제선박수가 적다는 것은 위험구역 내에 조업선박수가 적다는 것으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요인들이 있다. 결론적으로 2019 년에 비해 2020 년에는 조업 선박에 대한 통제시간, 통제면적, 통제선박수가 모두 감소하였다. 시험일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에 기안할 수도 있으나 안전통제부서가 평소 지역주민들과 상호 상생의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사격시험 전 정확한 시험계획을 주민들에게 적시에 공지하고, 시험체계부서에서 조업이 많은 오전보다 오후에 사격시험을 실시하고, 위험구역을 안전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 및 최적화하고, 시험계획부서는 여름과 가을에 계획된 시험들을 봄, 겨울로 분산 배치하는 등 2020 년 시험계획 수립 시 안전통제부서의 협조를 받아 2019 년 해상통제 통계량의 분석자료를 반영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조업선박이 많이 출몰하는 해상구역을 회피하여 사격을 함으로써 근본적으로 조업선박에 대한 통제횟수를 줄인 것도 한몫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안흥시험장의 사격시험 및 안전통제 효율의 증대, 지역 어민들의 어로 활동 보장, 조업선박에 대한 안전을 증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해상 통제 통계량을 DB 및 분석하고 다중 모집단(연도별 해상통제 통계량)의 비교상관분석을 통해 해상 통제 통계량의 수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sea control statistics of the fishing boats of Anheung Proving Ground in 2020. The sea control statistics are the number of tests per year and the numbers of controlled fishing boats, the required times of controlling fishing boats, the controlled area size and the numbers of controlled boats. The number of test per year is 128 days. The average time to control the fishing boats is about 1.89 hours. The size of controlled sea area is 60.84 ㎢ per a day. The number of controlled fishing boats per a day is 4.8. Many tests were focused on fall season. The Tests for the weapon systems using the marine firing rang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re more efficient and safer.

      • KCI등재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백상수 ( Sangsu Baek ),오정숙 ( Jung Sook Oh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통합교육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협력교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D대학의 교육대학원과 특수교육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277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협력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과 이해정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98명 응답자의 성별, 소속대학원, 특수교육 경력 정도를 배경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연구하였다. 첫 번째, 여섯 가지 협력교수 방법들에 대한 선호도와 기여도에 대한 인식, 두 번째, 여섯 가지의 협력교수 방법들의 현장 실행에 대한 인식, 마지막으로, 협력교수 관련 현행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에 대한 제안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협력교수가 학습 및 상호작용 등의 측면에서 통합교육에 기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팀 협력교수와 교수-지원 협력교수이었다. 그러나 팀 협력교수 방법을 선호함에도 불구하고 유능감과 실행의사는 낮게 나타났으며, 교수-지원 협력교수의 경우는 유능감과 실행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관련 경험과 교사교육 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교사교육 및 연수과정에 전공자들의 필요와 인식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개별 협력교수법을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tudents regarding co-teaching issues such as teacher training, school supports, contribution to inclusion and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utilization.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77 graduate students, and 100 surveys(36%) were returned. Findings indicated that almost half of respondents indicated the undergraduate teacher program did not provide co-teaching related training, whereas half of them indicated they received training from their graduate program. Although respondents felt that co-teaching will contribute to inclusion and students’ achievement, they perceived that there was not enough support from school to implement co-teaching methods. Respondents suggested recommendations to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effectively include the co-teaching topic in the curriculum.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