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적 빈자(Global Poor)에 대한 도덕적 의무와 초국적 정의 (Transnational Justice)

        백미연(BAIK Mi-Youn)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이 논문은 지구적 빈자 문제를 정의의 문제로, 그리고 지구적 빈자가 정의의 주체이자 행위자로 포함되는 도덕적 접근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참여의 평등원칙?과 ?종속을 공유하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원칙?을 기초로 한 ?초국적 정의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지구적 빈자가 처한 복합적인 지배와 종속의 교차라는 진짜 문제를 드러내어 부정의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성찰적?(reflexive)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서로 다른 이슈, 목적, 맥락에 따라 지구적 빈자가 정의의 요구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정의논쟁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주의적?(pragmatistic)이다. 따라서 지구적 빈자를 적극적인 정의의 주체로 포함하는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정의의 내용과 책임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생산해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성찰성과 실용성 면에서 강점을 지닌 초국적 정의 접근법은 한국사회에서 정의논쟁의 재구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the philosophical approach which treats the issue of the global poor as the matter of justice and includes the global poor into the subjects and agents of justice. To this end, I propose the transnational justice approach based on ‘parity of participation principle’ and ‘all-subjected principle’. The global poor are afflicted with the intersection of multi-dimensional dominations and subjections. This approach is ‘reflexive’ in that it exposes real problem of them and explains their problem as the intersection of multi-dimensional injustices. This approach also is ‘pragmatistic’ in that it tells us when and where to apply which frame. I want to contribute to the normative groundwork of a realistic approach on the global po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시대 정의의 범위

        백미연(Mi youn Baik)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2

        The key question of this paper is 'what is the proper scope of justice in a globalizing world?' or 'who counts?'. In the paper I reconstruct 'the scope of justice', examining 'justice in three dimensions' of Nancy Fraser, especially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Misframing' politicizes 'modern territorial state frame'. Thus, we need the proper principle to reset boundary. 'All-subjected principle' provides us the reflexive and determinative norm about question of 'who counts'. Able to mark out a plurality of 'who's' for different purpose, the all-subjected principle tells us when and where to apply which frame - and, thus, who is entitled to parity of participation with whom in a given case. This new type of debate on justice helps to enlarge and enrich debate on justice in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재분배’와 ‘정체성’을 넘어 ‘참여의 평등’(parity of participation)으로

        백미연(Mi-Youn Baik)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글로벌 시대의 맥락에서‘참여의 평등(parity of participation)’으로서의 정의관이 지닌 보편성과 적실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우리시대의 대표적 양대 정의관인‘운평등주의’와 ‘정체성 인정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 속에서, 정의에 대한 새로운 의미와 역할의 재규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운 평등주의와 정체성 인정이론은 각각 재분배와 인정이라는 각각의 영역에 배타적이고 환원주의적으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현실사회의 부정의에 대한 인식과 처방에 실패했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사회공동체의 구성원들 모두가 동의하고 지지할 수 있는 규범으로서의 보편성을 획득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참여의 평등’원칙은 운평등주의와 정체성 인정이론이 가진 이론적, 정치적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편성과 적실성을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임을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참여의 평등’정의관이 한국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의에 관한 논쟁의 지평을 확장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iversality and appropriateness of justice of ‘parity of participation’ in the global world. In the paper I criticize ‘luck egalitarianism’ and ‘identity recognition theory’, and I argue the necessity of redefinition of new meaning and function of justice. Because both luck egalitarianism and identity recognition theory are concentrated on redistribution or recognition exclusively, they fail to understand and resolve the diverse injustices in existing society. Also they aren’t approved of the universal norm that all people consent and support. But ‘parity of participation’ principle can overcome their theoretical and political difficulties and provide a new alternative in terms of universality and appropriateness. Furthermore justice of ‘parity of participation’ help to enrich debate on justice in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변화하는 한국사회와 여성 ; 한국의 독신모: 빈곤, 낙인, 배제

        백미연 ( Mi Youn Baik ) 한국민족연구원 2011 민족연구 Vol.0 No.45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 mother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in Korean society. However government have difficulty in making policies for them in the absence of coherent welfare paradigm. So,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single mother`s various difficulties and to help to make a integrative welfare paradigm. Single mothers suffer from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equalities in Korean Society They are marginalized in gender-differentiated labor market, meanwhile are in difficulties for tension between paid workers and nurturers. Also they are regarded as inferior, deviant, and immature people under the androcentric mainstream discourse. And they are excluded in making welfare policies decisions directly related in their lives. So welfare policies for single mothers treated them as the undeserving poor, and produced ``generative welfare``, ``workfare`` paradigm. According to the paradigm, they and their children are provided the minimum welfare and social stigma of ``welfare mother``. Therefore alternative welfare paradigm needs to integrate single mother`s multidimensional demands in a standpoint of social justice rather than a benevolent standpoint.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help to enrich debate on welfare and single mother`s issue in Korean Society.

      • 여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만남

        백미연(Baik, Mi You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2 다문화와 인간 Vol.1 No.2

        최근 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변화해왔다. 한편으로 ‘여성들 간의 차이들’을 고려하는 방법을 찾는데 부심하던 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를 적극 수용하면서 ‘인정의 정치 여성주의’로 발전했다. 다른 한편 자유주의 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가 여성주의를 위협한다고 강력히 반발해 왔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입장차는 상반되었지만, 이들 사이에는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다문화주의의 영향으로 여성주의의 주제와 관심이 ‘문화’에 집중되었다는 점이다. 여성주의는 문화적 인정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정치적, 사회적 평등과 관련된 여성이슈를 소홀히 다루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여성주의 목소리에서 사회구조적 불평등에 관한 문제가 약화되었다. 그 결과 여성주의는 여성억압의 현실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출하는데 실패하게 되었고, 여성주의에 대한 지지는 극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여성주의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평등과 차이’의 문제를 통합하는 이론과 운동을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1990s feminism and multiculturalism have been in a close relationship. On the one hand, some feminists were looking for a way to consider ‘differences among women’. They embraced multiculturalism and has been ‘feminist politics of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other feminists especially liberal feminists objected to multiculturalism on the feminist grounds by arguing that multiculturalism is not always in the best interest of women. Feminist politics of recognition and liberal feminists have opposing positions about multiculturalism. However both positions share one point. Both positions focused their attention exclusively on the ‘culture’. Due to the encounters of feminism and multiculturalism,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 was the most important gender issue. Both feminist politics of recognition and liberal feminists are concerned exclusively with injustice of cultural valuation; both neglect injustice of political economy. As a result, feminists failed to provide a reasonabl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women"s oppressions and faced with a reduction of the support. Therefore, the only way we can overcome this crisis is to develop approach that integrate ‘equality and difference’.

      • KCI등재

        젠더정의 논쟁

        백미연(Mi youn Baik)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struct a pragmatic gender justice conception with the reflexivity and democratic legitimacy. A autonomy-oriented gender justice approach provides a ground for women's deliberative exclusion, adopting 'adaptive preference'. As a result, this approach is hard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multiplicity of gender injustices. In this essay, I propose a broad conception of gender justice, capable of encompassing 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and capable of applying cross-culturally and universally without appealing for a particular conception of good life. A parity of participation approach also enables to open the possibility of a multi-level or transnational frames. This new type of debate on gender justice helps to enlarge and enrich debate on gender justice in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특수성과 다문화 정책

        이종두(Jong-doo Lee),백미연(Mi-Youn Baik)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2 국제관계연구 Vol.17 No.1

        한국의 다문화 정책은 서구의 다문화 모델을 기초로 성립되었기 때문에, 한국적 특수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않고 있다. 본고는 한국적 특수성으로'분단국가'라는 현실과'복지국가의 경험부재'라는 상황을 지적함으로써 대안적인 사회통합 논쟁 확대를 목표로 한다. 첫째,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은 종족적 민족주의에 기반 한 국가통합 정책과 통일정책을 생산했다. 따라서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무리 없이 작동할 수 있는 다문화 정책 생산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복지국가의 경험부재라는 특수성은 일반 국민으로 하여금 다문화 정책을 형평성에 어긋나는 역차별 정책으로 여기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일반적 차원의 복지정책과 긴장관계에 놓이지 않는 다문화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발전적이고 합의적인 다문화 논의를 위해서는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s founded on a western model of multiculturalism, and therefore does not properly reflecting specialities of Korean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ultimate goal of social integr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two Korean specialities, 'a divided country' and 'inexperience as a welfare state,' and help to enlarge an alternative debate on social integration. First, given the particular situation of being a divided country, the Korean state integration and reunification policies have been based on ethnic nationalism. Therefore, existing multicultural policies might be in conflict with state integration,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n refugees policies. Second, as a result of Korea's underdevelopment as a welfare state, multicultural policies in this country are at odds with the general welfare programme. Some of the multicultural policies are criticized for unfairness and reverse-discrimination. Hence, multicultural policies must be carefully revised in a way that accounts for Korean speci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