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敎儀禮에 나타난 眞言의 언어구성요소 고찰

        백도수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7 No.-

        This thesis deals with linguistic and contextual elements about constituents of Mantras involved in Korean Buddhist Ceremonial canons and Dictionary of Mantras, Dictionary of Tibetan esoteric Mantras and Mantra’s book etc. To understand Mantras, we should apprehend additional words, case of nouns and conjugation of verbs and various constituent sentences. Among those, the additional words include om hūm, he, phaṭ etc. and appear in the beginning or end of a sentence. The mantra sentence also begins with om, namaḥ in Mantras of The Thousand Hands’ Sutra and other Buddhist ritual canons. When we look at the grammar, the nouns of Mantra are mostly used as the vocative and dative. The vocative is the words used for calling Buddhas, Bodhisattvas etc. for naming and admiration. And the dative is used in worship and refuge to them as transcribed words like ‘-āya, te, aye, ānām, ebhyaḥ.’ Objects of the dative words are Buddhas, Bodhisattvas, all kind of Devas and their other names and conceptualizations. Especially, we should consider the same noun endings and divide them into the vocative and imperative because of the same form. The verb form of Mantras is important to know the imperative used as the second, third single and plural. The Mantra composes of one word, one phrase, one sentence, and several sentences, and more. The right translation of Mantras helps us to understand Buddhist Mantras unknown to everybody and contents of Buddhist Ceremony. In order to understand this, we should study the origin of Buddhist Mantras, compare Sanskrit, Tibetan, and Chinese Mantras, and translate these. 본고는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등의 불교의례 문헌과 『眞言事典』, 『藏密眞言寶典』, 『眞言集』에 나타난 진언의 구성요소에 대해 언어적 요소를 다룬 것이다. 진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투어와 명사격과 동사 활용의 문법적 이해 그리고 다양한 문장구성을 파악해야 한다. 그 중 간투어는 옴(om), 훔(hūm), 헤(he), 발탁(phaṭ) 등이 있으며, 주로 문장의 시작과 끝에 나타난다. 또한 진언문의 시작은 천수경의 진언뿐만 아니라 오대진언집, 진언권공에서도 대부분 옴이나 나무로 진행된다. 문법적으로 보면, 진언의 명사는 주로 호격과 여격을 사용된다. 호격은 명호나 찬탄을 위해 불보살, 천신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여격은 예배, 귀명과 관련된 구절에 나타나는데 단수형의 야(-āya), 제(-te), 예(-aye), 복수형의 남(-ānām), 폐(-ebhyaḥ)로 음사되었다. 그 대상은 불보살과 천신 등 존재 이외에 이명(異名)과 그와 관련된 개념화이다. 특히 진언 해석에서 동일한 명사어미의 해석을 고려하고 호격과 명령형이 동일형태이므로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진언 문법상으로 해석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해해야 할 부분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진언의 동사 형태는 특히 2인칭, 3인칭 명령형 자주 사용된다. 동사는 주로 현재와 미래형인데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엿볼 수 있다. 진언의 문장론적 요소는 한 단어, 구절, 단문, 복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능엄신주의 경우처럼 귀의와 찬탄, 악신들의 행위와 악신의 행위 제거 그리고 찬탄과 귀의를 포함한 한 경우로 간주될 만큼 다양한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언의 해석과 구성요소 연구는 불교의례 진언의 이해 폭을 넓히고 진언 의미에 합당한 불교 의례의식을 진행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그것은 진언의 기원을 고찰하고 범어, 티베트, 한문의 진언을 비교 해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그림의 전법활용에 관한 연구

        백도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2

        The Buddhist method could be determined by various subjects and subjects,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deliver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ent of delivery and methods, focusing on buddhist canons, doctrine, practice and meditation, and Buddhist counseling. buddhist canons through pictures should be used by grasping the contents of buddhist canons. The Buddhavaṃsa, Diamond Sutra and Avatamsaka etc. could be pictured by the entire canons or partial content. The example was introduced in detail in each canon. The Buddhist Doctrine can be practiced with Three Jewels, three poison, Four noble truths, and Eightfold right Paths as the basis, pictures, and contents of the scriptures. 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criptures, that is, reincarnation, bodhisattva, etc., should be documented and the whole method must be practiced through pictures. Pictures can also be used in practice and meditation. You can present various pictures of practice or meditation, such as lotus flower, two wings of bird, non-bubble, and dog bone. Lastly, in Buddhist counseling, you could use the picture to grasp the temperament, find the material, and provide useful counseling to the client. In order to realize the painting method, picture materials suitable for the purpose have to be prepared, pictured, and videoized. In order to use painting in the modern law,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to ensure that data and practice are continued, and to strengthen the practice and practice of painting. Only then can the technique be expanded and the method can be optimized. 불교전법은 다양한 전달주체와 수용대상, 전달내용과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본고는 전달내용과 방법을 경전, 교리, 수행과 명상, 불교상담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림을 통한 전법은 경전의 내용을 파악하여 활용해야 한다. 『불종성경』,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등의 경전은 경전전체나 부분적 내용을 그림화 시킬 수 있다. 그 예를 경전마다 상세히 예를 들어 소개했다. 교리의 그림활용은 삼보, 삼독, 사성제, 팔정도 등을 경전의 근거와 그림, 내용으로 전법을 할 수 있다. 또한 경전의 구체적 내용 즉, 윤회, 보살 등에 대해 자료화하여 그림화 작업을 통해 전법을 해야 한다. 수행과 명상에서도 또한 그림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연꽃, 새의 두 날개, 비구거품, 개 뼈다귀 등 수행이나 명상에 관한 다양한 그림을 제시하여 활용할 수 있다. 끝으로 불교상담에서도 그림을 이용하여 기질 등을 파악하고 소재를 찾아 내담자에게 유용한 상담을 할 수 있다. 그림전법을 실현하기 위해 목적에 맞는 그림자료를 준비하고 그림화, 동영상화 하여야 한다. 현대적으로 그림을 전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재와 교육을 체계화하고 자료화와 실전연습이 지속되도록 해야 하고 그림전법훈련과 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그래야 전법기술이 확대되고 전법을 최적화할 수 있다.

      • KCI등재

        삼매(三昧)에 대한 분석적 고찰

        백도수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8

        This Study deals with meaning, names, numbers of Dhamma and development(bhāvanā) of Concentration(Samādhi) analytically. Samādhi should be translated into concentration, right concentration of mind, concentration of mind etc. Samādhi could be said one pointedness of skilled mind and the subject of concentration is called good mind, mind or belonging to mind and concentration established in one point. The method is samely, perfectly, calm down and not distracted. Samādhi, Samatha, Jhāna and Samāpatti are both the same meaning and different meaning. Therefore we should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d samādhi differently according to contexts. Compounds of the word samādhi consists of three parts, connected in before or end of a word samādhi and the both of the wor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number of Dhammas, in two Dhammas, Samādhi has a symmetry structure in threefold dhammas has a stage structure, in over fourfold Dhammas has a elemental structure. And Samādhi related with and belongs to the category of buddhist practices of every Dhamma. It is known that the samādhi has also subcategory. The first meditation involved with the concentration which has initial and sustained application, the concentration which has only sustained application without initial application. The lower stages of concentration helps make the higher concentr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s meaning according to the stages of buddhist practice like as in content of buddhist practice appeared in the first and second meditation. There are differences among concentration of the Buddha, Arhan, the learned and normal person. As a result, we need to study and analysis the aim, benefit and stages of the concentration in detail. 본고는 삼매(三昧 Samādhi)의 의미, 명칭, 법수(法數)와 수행에 대해 분석적으로 다룬다. 삼매는 학자에 따라 concentration, 바른 정신집중, 정(定), 삼매(三昧), 마음집중, 집중으로 번역되었다. 삼매는 한 대상에 전념하는 것이며, 방법은 고르게 완전히, 혼란하지 않으며 흩어지지 않는 것이다. 삼매와 사타마와 선, 정은 동의어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주로 구분하여 사용된다. 그래서 각각의 용어는 내용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해야 한다. 삼매의 복합어는 전, 후, 전후로 연결된 단어로 분석할 수 있다. 삼매는 세 가지 복합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법수별 분석에 따르면 삼매는 2법수는 대칭적 구조로, 3법수에서 단계적 구조 그리고 4법수 이상은 주로 요소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삼매는 다른 제법의 수행범주에 속하는데 수행과 관련되어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는 하위체계를 갖는 경우도 엿볼 수 있다. 한편 낮은 단계의 수행삼매는 높은 단계의 삼매형성을 돕는다. 또한 제1선과 제2선에서 생긴 삼매의 수행내용이 다른 것처럼 수행단계마다 삼매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아울러 붓다의 삼매, 아라한의 삼매, 유학의 삼매, 범부의 삼매도 차이가 있으며 삼매의 목적과 이득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바처럼 삼매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는 삼매의미와 삼매수행단계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분석하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