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 성과, 한계, 그리고 HRD 함의

        배을규 ( Eul Kyoo Bae ),동미정 ( Mi Jung Dong ),이호진 ( Ho Jin L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과거 전문성 연구 문헌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함으로써 HRD 이론과 실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관련 대표적인 단행본 5편과 국내 논문 16편, 외국 논문 51편을 검토하였다. 국내 논문은 ``전문가``와 ``전문성``을 1차 검색어로, ``expert``를 2차 검색어로 하여 도출되었고, 외국 논문은 ``expert``와 ``expertise``를 1차 검색어로, 논의 주제 관련어를 2차 검색어로 하여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전문성 개념은 퍼포먼스의 결과뿐만 아니라 요소, 과정을 포함하고, 전문성의 사회적 의미는 영역 포괄적인 능력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전문성은 다양한 구성 요소 간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행위로서 상황적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발달 과정은 비선형적이고,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의도된 집중적 실천이 요구되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한 HRD시사점으로 이론적 측면에서는 현대적 의미의 전문성 개념과 구성요소 이해 등을 제안하였고, 실천적 측면에서는 실제 조직현장에서 전문성 개발을 위한 인간수행공학적 접근 전략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expertise literature in order to examin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ose research and draw upon some implications for HRD theory and practice. For doing so, 5 books and 67 articles written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were selected and reviewed. Key words as ``expert``, ``expertise``, and so on were used to select some related articles from both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The results of those literature review were as follows. The concept of ``expertise`` includes performance elements and process as well as performance outcomes. As the nature of expertise is basically complex and dynamic,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expertise is not linear. In addition, deliberate practice were recognized as strong influence factor for developing human excellent expertis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to draw upon several implications for HRD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HRD기업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배을규 ( Eul Kyoo Bae ),이민영 ( Min Young L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기존의 자기주도학습 개념, 모형과 측정도구를 고찰하여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특성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RD 기업구성원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1차(first-order)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 21개 문항을 확인하였으며, 적합도는 RMR= .031, GFI= .927, CFI= .967, RMSEA=.046였다. 그리고 2차(second-order)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2차 요인, 7개의 1차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2차 요인모형 적합도 역시 RMR= .036, GFI= .916, CFI= .957, RMSEA= .051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인지적 영역(학습과정관리, 학습결과평가), 정의적 영역(학습동기, 자아개념), 행동적 영역(학습활동의 지속성, 학습자원 이용·관리, 학습환경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 for employees in HRD companies. The target for this study was 360 employees in HRD companies and 356 final data excluding 4 insincere and missing valu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In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level of the using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data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calculated and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7 factors(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 motivation for learning, self concept, continuity of learning activity, using and management of learning resource and making learning environment) were produced with 33 item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lso items in each factors showed appropriate Cronbach`s alpha values, which means internal consistency of items in each factor was established. Second, through first-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re were appropriate relationships between 7 factors with 21 items and all path-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fit indexes showed quiet good(RMR=.031, GFI=.927, CFI=.967, RMSEA=.046). Third, through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re were appropriate relationships between 3 constructs with 7 factors and all path-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o. Model fit indexes showed quiet good(RMR=.036, GFI=.916, CFI=.957, RMSEA=.051).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HRD field.

      • KCI등재후보

        보건교사의 역량 요구 분석

        배을규(Eul Kyoo Bae),박경선(Kyoung Sun Park),김대영(Dae Yo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4

        이 연구는 보건교사 역량 모형을 활용하여 역량의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보건교사 역량 개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별 비율표집을 통해 전국의 보건교사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리치 공식에 의거하여 보건교사 역량별 요구도를 분석하였고, 허쉬코비츠 임계함수를 활용한 각 역량별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급별, 학급규모별 역량의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보건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종합 우선순위 상위 5개 역량은 ‘자기 조절’,‘상담 지도’,‘교수 활동’,‘전문성 개발’,‘정보 관리’이다. 둘째, 학교급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초·중·고등학교 보건교사 집단 모두‘상담 지도’, ‘정보 관리’,‘전문성 개발’역량을 종합 우선순위 상위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학급규모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도 모든 집단이 공통적으로‘상담 지도’,‘정보 관리’,‘전문성 개발’ 역량을 개발 대상 상위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etency needs and priorities for health teachers in Korean schools, so that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health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s of health teachers` competencies, based upon Park and Bae(2012)`s health teacher competency model.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19 health teachers sampled proportionally from whole nation. Only 424 pieces out of them were collected and 413 ones were finally analyzed except for inappropriately responded questionnaires. The Borich’s formula was applied to analyze health teachers` competency needs, while the Herschkowitz critical function method was employed to examine health teachers` competency prior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ntire respondents of health teachers perceived ‘self control’, ‘consulting and teaching’, ‘teaching activity’, ‘professional expertise’, and ‘information management’ as top five priorities of competencies for health teachers. However, each of ‘consulting and te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 expertise` was taken for top one priority of competenc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Those three competencies were equally considered as a priority, regardless of class size. This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health teachers` competency at schools.

      • KCI등재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배을규 ( Eul Kyoo Bae ),이민영 ( Min Young Lee ),장민영 ( Min Young Jang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4 HRD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경력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소기업 핵심직 무능력향상 지원사업에 참여한 업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60 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Anderson과 Gerbing(1988)이 제안한 Two Step Approach에 따라 각 변인별로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단일 차원임을 확인하고, 변인별 하위 요인을 측정 변인화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구성원의 경력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employees. This study used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hree parts, Protean Career Attitudes Scale(Briscoe, Hall, & DeMuth, 2006),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Bae & Lee, 2010), Subjective Career Success Scale(Career Satisfaction Scale: Greenhaus, Parasuraman, & Wormley, 1990; Job Satisfaction Scale: Mobley, Jaret, Marsh, & Lim, 1994; Employability Inventory: Johnson, 2001).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60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Core Job Competencies Development Program implemented by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inter-correlations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SMEs`` employees. Second, protean career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l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up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HRD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지 교사가 인식한 멘토의 감성지능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의 매개효과

        배을규(Eul Kyoo Bae),박순영(Soon Young Park),강선희(Sun Hee Kang) 한국성인교육학회 202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6 No.2

        본 연구는 학습지 교사가 인식한 멘토의 감성지능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W사 경인지역본부에서 근무하는 학습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47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자료를 제외하고 총 33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빈도분석, 연구 변인 간 상관 관계 분석,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확인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가설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 교사가 인식하는 멘토 감성지능, 멘토링 기능, 경력몰입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 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멘토 감성지능과 경력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학습지 교사가 인식한 멘토의 감성지능, 멘토링 기능, 경력몰입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멘토링 기능 향상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oring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mmitment in home study material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located in the home study of W Company located in Gyeong-In regional headquarters Korea, and a total of 347 data were collected. The final 339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the data judged to be unfaithfu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home study material teachers’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home study material teachers’ mentoring functi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ome study material teachers’ mentor’s emotional intelligence,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 KCI등재

        국내 조직 구성원 변화몰입의 선행 변인과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HRD 이론 및 실천적 관점에서

        배을규 ( Bae Eul-kyoo ),강선희 ( Kang Sun-hee ),박상오 ( Park Sang-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조직 구성원 변화몰입에 관한 국내 연구에서 나타난 선행 변인과 결과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HRD 관점에서 이론 및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4월 1주차부터 3주차까지 연구 목적에 따라 총 66편의 변화몰입 관련 논문을 선정하여 Comprehensive Meta Analysis(CMA)을 활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하여 Fisher‘s Z의 값과 상관계수의 값을 산출하였으며, 출판 편향 확인을 위하여 Funnel Plot, 절단과 보충(trim and fill)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몰입의 선행 변인들을 효과성 크기순으로 열거하면, 개인 태도/특성 선행 변인으로 심리적 주인의식, 긍정심리자본, 핵심자기평가, 학습목표지향, 셀프리더십, 공정성, 직무만족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내 관계 및 조직문화 선행 변인은 변혁적 리더십, 조직신뢰, 진성리더십, 집단효능감, 조직지원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화몰입의 결과 변인으로 조직 차원의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개인성과 요인은 효과성 크기순으로 적응수행, 변화지지행동, 혁신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변화몰입 증진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이론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mmitment to change and examine its effect size. For doing so, a total of 66 journals articles related to commitment to change of employees in Korea were selected from the 1st to the 3rd week of April 2020,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mprehensive Meta Analysis(CMA).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Fisher‘s Z valu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Funnel Plot, trim and fill were used for publication bia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tecedents of commitment to change in terms of personal attitude/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order of psychological own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re self-evalua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self-leadership, fairn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antecedents of commitment to change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found in orde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uthentic leadership, group 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consequences of commitment to change in terms of individual performance were found in order of adaptative performance, change support behaviors, and innovation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we propo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promote the commitment to change of employees.

      • KCI등재후보

        HRD 컨설턴트의 경력 만족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 대한 경력 정체의 조절 효과

        배을규(Eul Kyoo Bae),강명구(Myeong Gu Kang),이호진(Ho Jin Lee),김대영(Dae Yo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HRD 컨설턴트의 경력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경력 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경력 정체가 갖는 조절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HRD 컨설턴트 경력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reenhaus, Parasuraman과 Wormley(1990)의 경력 만족, Milliman(1992)의 경력 정체, Mobley(1977)의 이직 의도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수도권 소재의 HRD 컨설팅 기업 18개, 308명의 HRD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 만족은 구조적 정체, 내용적 정체, 이직 의도와 모두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구조적 정체, 내용적 정체, 이직 의도는 모두 상호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가설 검증 결과, HRD 컨설턴트들의 경력 만족은 이직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력 정체 하위 요인 중 내용적 정체가 경력 만족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HRD 컨설팅 기업의 생산성 증진과 성과 창출, HRD 컨설턴트들의 경력개발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consultant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HRD consultant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8 HRD consultants from 18 HRD consulting corporations located in national capital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satisfaction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tructural plateau, content plateau, and turnover intention. Structural plateau, content plateau, and turnover inten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career satisfaction had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and content plateau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HRD consulting corporation and the career development of HRD consul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