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령 사역의 한 방식으로서의 귀신 추방

        배본철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3

        A study on exorcism has at least more than two major difficulties; Among these two, one is that the Demonology itself is not so rational that the modern theology which respects and follows the stream of Enlightenment is too hard to embrace it. The other difficulty is its own sensibility and dangerousity that should select the authentic resources among the very diverse and confused informations on it. Is there any way do not let the Demonology fall into a dualistic world-view, instead, let it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evangelical Pneumatology? If one can regard the Demonology as the negative dimension of spirituality, Pneumatology will be the positive dimension of it. Nevertheless, each subject has been dealt differentially from each other. More than over, these two subjects seem conflict each other at times. Eventually, we have clearly seen that the dualistic viewpoint of Christian spirituality has been made between two. The writer has tried to seek the way of unification of spirituality which contains the Demonology and Pneumatology altogether so that the status of Demonlogy is not so far from the evangelical world-view. First of all, the writer has analyzed the various non-biblical Demonologies of which teachings are too different from the biblical statement on it; One false teaching is the denial of the existence of demons, the other is misguided conception on it. After that, the writer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the exorcism and the authoritative resources such as biblical statement, the experiences of Ancient Christian Church, and many useful theological and historical writings. The themes of Spirit Baptism and of the manifestation of Holy Spirit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investigation; The writer has found that both subjects have a lot of resources and evidences to enlighten the study. Demonology has been isolated from the main stream of theological study for many centuries in Christian history. As far as the writer is concerned, now is the time for the Christian spirituality do not let the Demonology fail to manifest the appropriate evangelical spirituality more. Demonology has to do with the Pneumatology. Then, the discourse of Spirit Baptism and the manifestation the writer has shown will provide the room for the teaching of exorcism to become a part of the evangelical Pneumatology. 두 가지 점에서 귀신 추방에 대한 연구는 접근하기에 난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 한 가지는 귀신론의 주제 자체가 합리성을 추구하는 현대의 계몽주의적 신학 체계 에는 걸맞기 힘들다는 점이다. 또 한 가지는 귀신론에 대한 연구가 너무나 왜곡성 이 짙은 여러 가지 자료들 중에서 분별력 있게 자료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민감한 면과 함께, 또한 내용상 수많은 위험성을 내포할 수 있다고 하는 면을 함께 지닌 어 려운 작업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동기는 귀신론의 연구를 이원론적 세계관에 빠지지 않도록 복음적인 성령론과의 긴밀한 연관 속에서 다룰 수는 없을까 하는 점이다. 귀신론을 영성의 소극적 차원으로 본다면 성령론은 그 적극적 차원으로 볼 수 있다고 보는데, 그럼 에도 불구하고 이 두 영역은 전통적으로 기독교 신학 내에서 서로 달리 연구되어 왔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종종 대치적 국면에서 별도로 다루다 보니 결국 영성에 대한 이분법적 신학 구조를 형성시켜 온 아쉬움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이 두 영역 을 병합시킨 통합적 영성의 차원에서 귀신론을 다룸을 통해 복음적 세계관에 입각 한 귀신론 연구의 길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경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먼 비성경적인 귀신론이 먼저 분석의 대상이 된다. 그 하나는 귀신의 존재에 대한 부정론이고, 또 하나는 귀신의 존재는 긍정하되 그러나 이에 대한 왜곡된 가르침에 대해서다. 어떤 점에서 이 두 가지가 그 논거의 타당성을 잃고 있는지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성경의 진술과 초대교회의 경험 그리고 많은 신학적 저술들을 통해 성령의 사역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귀신 추방의 실천에 직결되어 있는지를 조 사한다. 그 중 하나는 성령세례의 능력에 대한 진술인데, 이에 대한 성경의 교훈과 초대교회의 사례들 그리고 여러 부흥사들과 신학자들의 저술들이 이 점을 지지하 고 있었다. 또 하나는 성령의 나타남이 귀신 추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인데, 이 점에 대해서도 성경은 물론 그 외에도 신뢰할만한 많은 저술들이 그 복음적 근거 를 마련해 주었다. 이 주제와 관련된 앞으로의 신학적 과제는 귀신론이 합리성을 중심으로 하는 신 학의 일반적 범주로부터 더 이상 외면당하지 않게 해야 하며, 또한 극단적인 이원 론적 세계관에 빠져들지 않고 복음적 세계관의 틀 속에서 귀신론이 조명될 수 있어 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귀신론을 이전처럼 독자적으로 다루지 말고, 그 동안 충분히 확립되어 온 복음적 성령론의 주제 영역 속에서 전개해나가면 될 것이 다. 본 논문에서 다룬 성령세례 그리고 성령의 나타남에 관한 내용은 귀신 추방의 교훈이 어떻게 성령론 속에서 그 복음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 것이다.

      • KCI등재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성령세례 교리: 1970-80년대 한국교회 성령론 논쟁의 표적

        배본철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6 영산신학저널 Vol.36 No.-

        필자는 한국교회의 성령론의 역사를 다룸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주제는 성령론 논쟁의 시대를 살펴보는 일이라고 본다. 이 부분에 있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안점을 제시한다; 즉 그 논쟁의 시기는 1970-80년대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진원지는 주로 장로교 총회신학교와 고려신학교의 교수진 사이에서 벌어진 것이라는 점이며, 또 그 논쟁의 궁극적인 표적은 조용기 목사와 순복음교회가 강조하고 있던 오순절주의 성령론이었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 주제에 대한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일을 통해 본 논문을 전개한다. 1. 영산 조용기 목사는 왜 1970-80년대 한국교회 성령론 논쟁의 표적이 되었나? 순복음교회의 급성장과 함께 방언을 중심으로 한 오순절주의 성령론의 확산은 한국 교계 전체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그러자 기존의 교회 신자들 가운데 순복음교회로 옮겨가는 사람들이 급증하게 되고, 이를 크게 우려한 개혁주의 계통과 웨슬리안 계통의 교계와 신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마련하기에 급급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오순절주의 성령론의 확산에 대한 신학적 반격의 선봉에 나선 이가 바로 장로교 총회신학교의 박형룡 교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가 장로교 정기간행물인『신학지남』에 성령론을 게재하기 시작한 1970년대 초부터 1980 년대 전체에 이르기까지 영산의 오순절주의 성령론을 배격하기 위한 이른바 ‘성령론 논쟁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2. 어째서 1970년대 전에는 한국교회에 치열한 성령세례 논쟁이 없었나? 1970 년대 전까지는 한국교회 전체의 주목을 살 만한 특별히 각을 세운 성령론 논쟁이없었다. 그 까닭은 교회 대중들의 신앙이 선교사들이 전해준 성령론을 따라 일반적으로 19세기 후반 영국과 미국에서 일어난 근대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성령세례 신념을 받아들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1907년을 전후로 한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대한 장로교나 감리교 선교사들의 저술이나 선교 보고서 속에는 근대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전통을 따라 중생과 성령세례를 구분하는 경향이 짙게 나타남을 본다. 3. 조용기 목사를 표적으로 한 1970-80년대 한국교회 성령세례 논쟁의 양상은 어떠했나? 1970-80년대 성령론 논쟁의 직접적인 표적은 조용기 목사였다. 암묵적으로 오순절주의 성령론과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의 힘겨루기가 1960년대 말부터시작되다가, 1970년대로부터 80년대에 이르러서는 점차 공방의 수위가 높아져 가게 되었다. 그러나 영산에게는 당시에 신학적으로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에 맞서 오순절주의 성령론을 방어하고 변호할 만한 실력을 갖춘 신학자가 주위에 아직 없었다. 그런데 근대 개혁파 성령운동을 따르는 차영배와 안영복 등이 오순절주의 성령론을 대신하여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에 맞서 공방을 하다가 희생을 치룬 격이 되었다. 그동안 영산은 다만 묵묵히 교회성장만을 위해서 주력할 뿐 신학계로부터는 모진 뭇매를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4. 현재 조용기 목사는 어떤 성령세례 신앙을 갖고 있는가? 영산의 저술들과 설교의 내용과 주제를 다룬 분석의 결론은 첫째, 영산은 오순절주의 성령론에서 주장하는 중생과 성령세례 경험의 구분이나 성령세례의 대표적 표적으로서의 방언에 대해서 포기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영산에게 있어서 오순절주의 성령론과 실존적 영성은 서로 대립되거나 또는 어느 것에 ...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neumatological controversy as we study the history of Pneumatology in Korean Christianity. The writer is going to present three essential points concerning the controversy: it took place mainly in 1970-80’s, was pushed chiefly by Chongsin Seminary and Korea Seminary of Presbyterian Church, and their final target was the Pentecostal Pneumatology which Rev. David Yonggi Cho and his church, the Full Gospel Church emphasized. Five questionaries have been made for this study, and the writer will answer to each of them clearly. 1. Why had Rev. Cho to be regarded as the target of the Pneumatological controversy in 1970-80’s Korean Christianity? All the denominations of Korean Christianity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rapid growth of the Full Gospel Church, and some of them were even greatly shocked or terrified because of its fiery evangelism that could raise the denominational migration moving from their own church to the Full Gospel. Many of Reformed and Wesleyan theologians started to write papers for the reaction against the such Pentecostal Pneumatology.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who guided the Reformed Pneumatology in those days was Prof. Hyung-Ryong Park at Chongsin Seminary of Presbyterian Church. Since Prof. Park opened the gate of Pneumatological controversy in early 1970’s, there had made a season for Pnematological controversy until the late 1980’s. 2. Why did not the controversy of Spirit Baptism happen before 1970’s? There had not been any Pneumatological controversies before 1970’s that could make the churches focus on. The reason is that many believers in those times freely followed after the doctrine of Pneumatology of the 19th century Revival movement in UK and the United States. Evidences are very apparent when we open and read the books or reports of the Presbyterian or Methodist missionaries to Korea who ministered during the revival season. Most of them high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pirit Baptism. They had conviction that the Spirit Baptism is not the Regeneration. And they usually distinguish the experience of Spirit Baptism from that of Regeneration as they taught. 3. How can we measure the Pneumatological controversy in 1970-80’s Korean Christianity which aimed at Rev. David Yonggi Cho? While the first beginning of attack from each other took place in 1960’s, and even more serious in 1970-80’s. Unfortunately, there seemed no capable theologians around Rev. Cho who could defend its theology from the opponent’s charges. Meanwhile, Prof. Youngbae Cha and Youngbok Ahn who were standing in the line of Reformed Spiritual Movement began to act against the Reformed Pneumatology, yet eventually they failed to resist Prof. Park. As for Rev. Cho, the only thing he could do was trying to strengthen the church even under the such opposition. 4. What kind of conviction does Rev. Cho has recently when he deal with the Pneumatology? The writer analyzed his writings and sermons and made the conclusion as followings: First, Rev. Cho has never refused the traditional Pentecostal Pneumatology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ersons of Pentecostalism. Second, the Existent Spirituality is along with the Pentecostal Pneumatology in him. They neither apart from each other, nor one belongs to the other. Third, Rev. Cho’s major concern has been gradually moved from the concern of early Pentecostal Pneumatology to that of Existent Spirituality. 5. What issues could be raised from this study for the denominations of Assemblies of God in Korea? (1) Speaking in Other Tongues: The members of Assemblies of God should consider carefully whether they boldly maintain the doctrine of Tongues as the accurate sign of Spirit Baptism. (2) the Position of Rev. Cho’s Existent Spiritualit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faith of Assemblies of God and Rev. Cho’s Existent Spirituality? (3) Tradition of Spirit...

      • KCI등재

        한국 오순절 성령운동의 역사와 전망: 성령론 논제들의 발생과의 연관성

        배본철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9 No.-

        I have carefully examined the history of the Pentecostal Movement in Korean Christianity and tried to analyze the historical estimation of it. By doing this, I could divide the Pneumatological history inKorea into three periods; pre-liberation period, modernization periodand globalization period. There were various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speaking in other tongues and the Spirit Baptism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while the former pre-liberation period only concentrated on the labor that differentiated the Christian belief from the other religious spirituality and from the transmissive mentality. The third period, the modernization period, has recently realized on the responsibility of concrete examinat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essence and phenomena of Pneumatology. What then will be the future for the Pentecostal Movement of Korean Church? As for the Reformed Pneumatology, first of all, it seems to preserve the Union with Christ motive, and to accept speakingin tongues and divine healing as well as the signs and wonders in its practice. The Wesleyan-Holiness Movement tries to preserve the Purity and Power motive, while welcoming the Spiritual gifts. It also has been more affiliated with the motive of Union with Christ and of Christlikeness. Meanwhile, the Charismatic Movement also hasgradually been changed. Though the Classical Pentecostalism first regarded the speaking in other tongues as the accurate evidence of the Spirit Baptism, nowadays many confess that the speaking in other tongues is also one of the Spiritual gifts rather than the evidence of the Spirit Baptism. As I mentioned above, the most general phenomena of all three types are Union with Christ motive and the evangelistic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accompanies the gifts and manifestation. In order to define the tendency, I use the terminology Holistic Pneumatology of which leading force is the Lordship of the Holy Spirit. The Lordship of the Holy Spirit is the work that Jesus Christ who is the chief of the Christian life and evangelism guides personally inevery believer as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It is also realized by the lifestyle that the wholly-consecrated believer witnesses Gospel with the manifestation of the Holy Spirit and with the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Lord Jesus at times. I believe it will be better for the Korean Church to gather the historical fruition of Holistic Pneumatology and of the Lordship of the Holy Spirit. By doing so, the Korean Church will search and find out ‘the path of Pneumatological harmony’ together with other Christian faiths. 필자는 한국에서 일어난 오순절 성령운동의 역사를 분석하고, 또 이에 근거하여 복음적 성령론의 바람직한 방향을 전망하려는 목적으로 이 논문을 작성한다. 필자는 광의적 의미에서 한국 오순절 성령운동의 시기를 사회적 변화의 큰 격동을 따라, 해방 이전 시대, 근대화 시대, 세계화 시대의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해방 이전 시대의 성령론이 타종교 영성과 재래적 심성의 틈바구니에서 기독교적 성령론을 구분해 내는 점에 논제가 집중되었다면, 해방 이후 근대화 시대에는 좀 더 구체화된 성령의 은사, 방언, 그리고 성령세례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세 번째 시기인 세계화 시대에서는 성령론의 본질과 현상 사이의 관계를 올바로 규명하는 일에 대한 논제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을 본다. 그러면 한국교회의 오순절 성령운동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이 역사의 흐름 속에는 일정한 동인(動因)이 작용해 왔음을 보는데, 개혁파 성령론에서는 그 강조점인 ‘그리스도와의 연합’ 모티브의 보전과 함께 전에는 받아들이지 못하던 방언이나 신유 등의 은사 사용이라든가 기사와 이적을 전도의 현장에 적용하는 일 등을 신학적으로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성결파 계통의 성령운동에서는 ‘정결과 능력’ 모티브의 보전과 함께, 점차적으로 성령의 은사에 대한 포용성이 눈에 띄게 나타난다. 그런가 하면 ‘그리스도와의 연합’ 모티브에 중점을 둔 하나님 형상의 회복 또는 ‘그리스도 닮기’(Christlikeness)로서의 성결론을 강조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은사적 기독교에서 볼 때 전통 오순절주의에서는 성령세례 받은 첫 증거가 방언이라고 보았지만, 은사갱신운동을 거쳐 ‘제3의 물결’에 이르러서는 방언에 대한 강조가 성령의 여러 가지 은사 중의 하나라고 보는 입장으로 변화되어 왔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통 오순절주의자들도 이러한 영향을 많이 받아서, 반드시 방언을 성령세례 받은 첫 표적이라고 보기보다는 여러 성령의 은사 중의 하나로 보는 경향이 짙어져 가고 있다. 그리고 전에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던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라든가 ‘정결’ 모티브 등의 강조가 많이 보강(補强)되고 있다. 위에서 예로 든 성령론의 역사적 진전에 따른 예상되는 변화를 조사해 볼 때, 이 모든 노선에 가장 보편적인 현상은 ‘그리스도와의 연합’ 모티브와 함께 은사를 동반한 복음 증거의 능력의 강조가 모든 계통의 성령론 유형에서 더욱 드러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강조점을 ‘통전적(統傳的) 성령론’(Holistic Pneumatology)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통전적 성령론을 이끌어 가고 있는 핵심은 바로 ‘성령의 주되심’(Lordship of the Holy Spirit)에 있다고 본다. ‘성령의 주되심’이란 “그리스도인의삶과 복음 전파의 주체가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령의 위격으로 각 신자 안에서인격적으로 인도하시는 사역”이라고 필자는 정의한다. 그동안 한국교회와 신학계는 안타깝게도 소모적인 성령론 교리 논쟁에 힘을 빼앗겨왔다. 그 결과 한국교회는 현재 참다운 영성으로부터 오는 은혜에 매우 갈급해있으며, 따라서 성령의 능력에 대한 요청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이제 한국의 신학계는 지금까지 대립되기 일쑤였던 성령론 논쟁의 화두들을잠시 뒤로 하고, 우선 복음적 성령의 능력에 대한 연구로 함께 눈길을 모으는 ‘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