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연구

        반혜성 국립국악원 2011 국악원논문집 Vol.24 No.-

        Bongjanchwi is evaluated as a music that had been frequently performed until the 1960's and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anjo music. However, the performance of Bongjanchwi has now died out an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musician nor informant to ascertain the form of the music of the past. This paper has its priority in examining the musical traits of the overall sound sources of Bongjangchwi that has passed down on the SP record and LP record found. Next,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distinctive feature between each of the sound sources that has been passed down on the SP record and the LP record. Bongjangchwi is carried out with a typical gyemyunjo through every song. When performed as a solo, chung freely moves to a, e', d' and when performed as a ensemble, chung is mostly fixed to a. Bongjangchwi has no fixed instrumental formation, being able to be performed by any instru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s passed down, tungso, daegeum, and haegeum seemed to be the favorites. Furthermore, tungso representing the pung’gakjaeng’i, played both as a solo and as a ensemble together with haegeum and gayageum on the SP record. However, the tungso is no further used on the LP record. On the LP record, ajaeng which has not been seen on the SP record starts to perform the bongjangchwi with haegeum. Also piri forms an ensemble with haegeum, daegeum, gayageum etc. The composition of the jangdan of bongjangchwi seen on the SP record uses 1~2 jangdans or uses 2 jangdans together. The jangdans used include jungmori, jajinmori, ŏtmori, etc. Thus the composition or the change of the jangdan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usical contents of the bongjangchwi. However, in the case of LP records, the jangdan composition had four jangdans including Jinyang, jungmori, gudgŏri, and jajingudgŏri. These jangdans were played in a sequence that started from the slowest one gradually accelerating to the fastest one. Therefore the change of the jangdan's speed can be regarded as an influencing factor on the musical contents of the bongjangchwi.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ing artists of bongjangchwi had its origins from various regions, not concentrated on one region such as Gyeonggi, Jeolla, or Chungcheong. In addition, these artists were mostly pupils of the famous masters of the time or had outstanding natural talent on music.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se artists shared a musical background of most being an outstanding master and of having a tendency to range over various musical fields. It see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later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ome music genres such as bongjangchwi, sanjo, and sinawi. 봉장취는 1960년대까지만 하여도 종종 연주되었고, 산조의 형성에 영향을 준 음악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현재는 연주가 단절된 상태이며, 과거의 음악 형태에 대해서도 고증해 줄 연주자나 제보자도 없는 형편이다. 본고는 그동안 발굴된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음원 전반에 관한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다음으로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의 음원간에 어떠한 변별적인 특징이 존재하는가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봉장취는 전 곡을 통해 전형적인 계면조로 진행된다. 청의 이동은 독주로 연주되는 경우에만 a, e', d' 등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합주의 경우에는 거의 a에 고정되어 있다. 봉장취의 악기 편성은 정해진 바 없이 어떠한 악기로든지 편성이 가능하지만, 전해지는 음원들을 보면 가장 애용된 악기는 퉁소와 대금, 해금으로 보인다. 그리고 유성기음반에서는 퉁소가 풍각쟁이의 음악을 대표하며 독주로도 연주되고, 해금, 가야금과 함께 합주되었지만, 장시간음반에서는 더 이상 퉁소가 사용되지 않는다. 장시간음반에서는 유성기음반에는 없던 아쟁이 해금과 함께 봉장취를 연주하기 시작하였고, 피리도 해금, 대금, 가야금 등의 악기와 합주되었다. 유성기음반에서 보이는 봉장취의 장단 구성은 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등이 1~2개로 연주되거나 2개의 장단이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봉장취 음악에서 장단의 구성이나 변화가 봉장취의 음악적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장시간음반에서는 진양, 중모리, 굿거리, 자진굿거리 등 4개의 장단이 느린 것부터 점차로 빨라지는 장단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단의 속도에 따른 변화도 봉장취의 음악적 내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봉장취를 연주한 연주자들은 경기나 전라, 충청 등 어느 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광범위한 출신지역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은 당대의 유명 명인에게 사사했거나 천부적으로 음악적인 재능이 뛰어났던 연주자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 연주자들이 공유했던 음악적인 배경은 그들이 타고난 명인이면서 두루 여러 음악들을 섭렵했던 성향이 강했고, 이러한 특성은 곧 봉장취․산조․시나위 같은 음악을 창출할 밑거름이 된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광복군가집 제1집』(1943)의 특징과 의의

        반혜성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한국광복군은 일제가 패망하는 순간까지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의 유일한 정규군이다. 본고는 한국광복군 제2지대 선전위원회에서 1943년에 제작ㆍ배포한 『광복군가집 제1집』을 조명하였다. 『광복군가집 제1집』에 수록된 곡은 본격적인 독립운동이 펼쳐지던 1910년대부터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어 활동한 1940년대까지 중국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불렸던 항일가요의 결정체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노래의 유형은 직접적인 항일투쟁을 상징하는 힘찬 곡조의 군가, 조국 그리움이나 독립의 염원을 담은 서정 가요, 그리고 곡조 차용의 한국민요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특히 한국광복군 소속의 대원이 군가집 의 가창자이면서 소유자이고, 또 수록곡을 직접 만든 작곡자와 작사자이기도 한 것은 이 군가집이 지닌 주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따라서 『광복군가집 제1집』에는 항일투쟁의 전선에서 활동한 인물이 직접 참여하여 항일노래를 만들었 다는 음악적 의의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지역에서 진행되었던 독립운동사의 흐름 안에서 불렀던 항일노래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이 군가집에 모아졌다는 역사적 의의가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독립운동사 안에서 어떤 독립운동단체에서도 제작한 바 없는 유일한 항일노래의 군가집을 한국광복군이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Korean Gwangbokgun (Korean Independence Army) was the only regular arm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d fought for Korea’s independence until the moment of Japanese defeat. This paper provides analysis on the First album of Gwangbokgun’gajip which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by the Second District Propaganda Committee of Korean Gwangbokgun in 1943. The 16 songs that consist the First album of Gwangbokgun’gajip are considered to be the essence of anti-Japanese songs which were continuously sung in the Chinese region from the 1910s, when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earnest, and the 1940’s, when Gwangbokgun was founded and active. The songs include military songs of a powerful tone symbolizing direct anti-Japanese movements, lyrical songs containing the nostalgia and love for the nation, and songs that borrowed melodies from Korean traditional Min’yo (folk songs). A notable feature of the songbook was that the composer and lyricists of the songs were actual active members of the Korean Gwangbokgun. The musical significance that lies in the First album of Gwangbokgun’gajip is that the producers of the songs were actual acting members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that fought in the front line of the battle. There also lies a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the anti-Japanese songs that were sung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ese region had transcended beyond space and time to be consolidated into a single songbook. Yet the largest meaning that could be derived was that the Korean Gwangbokgun was the producer of the only war songbook, which no other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had made during the history of Korean liberation movements.

      • KCI등재

        서울굿 만신 이상순의 무당학습과 중디밧산 거리의 음악적 특징

        반혜성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features of shaman-learning (the learning one should go through in order become a shaman) in Seoul-gut by taking the Seoul-gut shaman Lee Sangsun as an informant and to further reveal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haman songs that are transmitted during this process. Despite her Ipmu (receiving of spirits, the starting point of a shaman) was through Ibuk-gut, this paper considers Lee Sangsun as the most adequate informant as she is currently an active and representative shaman for Seoul-gut whilst being a holder of Seoul-Saenam-gut which was designated as the 104th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Korea. Lee Sangsun’s shaman-learning were mainly done in Seoul-gut fields where she went with the renown shamans of the period. The studies done at fields enhanced Lee Sangsun’s understanding in Samhyun’yukgak while helping him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music that were made together with the instrument musicians. By learning through the Doje style (an apprentice style of learning while living with the trainer), she was able complete the extension of Munseo (the information that contains the details of performing a Gut, in this context mainly focused on the lyrics of shaman songs) and complete a rich-leveled <Bari’gongju> and <Hwangje’pul’i>. However, the true achievements of Lee Sangsun comes from the unification and the making of a single transmission structure of Seoul- Saenam-gut which used to have a separated transmission structure. Her achievements can be said to be a result of constant efforts in learning and revising through regarding various shamans of Seoul-gut as teachers as well as spiritual parents of his. In Joongdi’batsan-geori for which Lee Sangsun is the sole inheritor, <Joongdi’chongbae>, <Joongdi'batsan> and <Joongdi'Noraetgarak> are sang. Among these, <Joongdi'batsan> is a song with Garaejojangdan in which instrument musician’s performance of Samhyun’yukgak is inserted in between songs of shaman. Albeit current <Joongdi'batsan> is sang in an imperfect way, the true meaning of this song by Lee Sangsun was to strictly and legitimately succeed the tradition. This paper could find that the true meaning of the saying “Yonggum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spirits) are given by spirits, while the performance are learnt by humans” are not that Yonggum and performance are separate, yet that the two should be intertwined in a cycle in order for a true shaman-learning to take place. 본고는 서울굿 만신 이상순을 사례자로 삼아서 서울굿 안에서 이루어지는 무당학습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 과정에서 전승된 중디밧산 거리의 음악적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입무의 과정이 비록 이북굿으로 이루어졌지만,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04호 서울 새남굿의 보유자이면서 서울굿의 대표 만신으로 활동 중인 이상순은 본 논의에 가장 적합한 사례자이다. 이상순의 무당학습은 당대의 명무와 함께 굿을 다니는 굿판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굿판이라는 현장의 학습은 이상순에게 무당으로서의 역할과 재주를 키우는 공간이 되었고, 삼현육각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서 악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음악의 중요성도 일깨워 주었다. 이상순은 각자의 전문분야가 있는 여러 만신에게 도제식의 공부를 하면서 문서의 확장을 이루어 풍부한 내용의 <바리공주>와 <황제풀이>도 완성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이상순 무당학습의 성과는 분리된 전승 구도였던 서울 새남굿을 자신에게로 모아 하나의 전승 구도를 만든 것에도 있다. 이는 서울굿의 여러 만신을 선생 삼아, 신부모 삼아, 부단한 학습과 복습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이상순이 유일한 전승자였던 중디밧산 거리에는 <중디청배>, <중디밧산>, <중디노랫가락>등 세 종류의 무가가 sol-la-do'-re'-mi'(fa')의 경토리로 불린다. 이 가운데 <중디밧산>은 무당의 무가에 악사의 간주가 들어가서 교대로 연주되는 가래조 장단의 무가이다. 현재의 <중디밧산>이 비록 불완전한 형태의 가래조 장단으로 노래된다고 하더라도, 서울굿 전승의 맥락 안에서 판단한다면, 이 무가는 이상순이 실천한 전통의 올곧은 계승이라 할 수밖에 없다. ‘영검은 신이 내리고 재주는 인간이 배운다.’라는 말의 참뜻이 영검 따로 재주 따로가 아닌 상생의 순환 고리 안에서 함께 돌아가야만 무당학습이 완성된다는 것을 이상순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 발행 『애국창가』 연구

        반혜성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This paper reviews the publishing background and system as well 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egukchangga which was published in Honolulu, Hawaii in 1916. Aegukchangga was published with a clear intention of evoking the sentiments of resistance and un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music. Albeit being published in the American regions, Aegukchangga shares the patriotic and anti-Japanese sentiments with the Changga albums published in the Northern Manju and Korea.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main themes underlying the 77 songs of Aegukchangga are ‘Inspiration of Patriotism’ and the ‘Desire for Independence.’ Majority of the songs included in Aegukchangga are songs that were composed by inserting newly made lyrics onto an existing melody, rather than composing a new melody line. The borrowed melodies include various types of music such as hymn, military songs, Changga, folk music and popular music. However, all shares a musical commonality of eventually ending up with a simple monophonic song of Changga, which is practically the most simple in terms of singing compared to harmonic songs. There had been no precedents of a Changga album being named and classified as a ‘Patriotic Changga’ before the Aegukchangga was published in 1916. Aegukchangga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Patriotic song’ that reinforces the national identity through adding lyrics of ‘patriotic nature’ which evokes national sentiments onto the simple monophonic melodies of Changga. 본 논문은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발행된 『애국창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 편찬 배경과 체제, 그리고 수록곡의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애국창가』는 노래를 통해 민족적 저항과 단결을 이루고자 한 분명한 동기를 갖고 간행된 노래집이다. 미주지역에서 만들어졌지만, 당시 북만주, 그리고 국내에서 발행된 창가집과 서로 공유하는 애국과 항일의 정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애국창가』에 수록된 77곡을 아우를 수 있는 큰 주제는 ‘애국심의 고취’와 ‘독립의 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애국창가』의 수록곡은 창작된 곡보다는 곡조를 빌려다가 가사만을 새로 지어 만들어진 곡이 대다수를 이룬다. 차용된 곡조는 찬송가, 군가, 창가, 민요, 대중가요 등 다양한 계통을 수용하고 있지만 화성음악보다는 가창 실현의 차원에서 간결한 단선율의 노래, 즉 ‘창가’로 음악적 특징이 귀결되었다. 1916년 발행된 『애국창가』가 나오기 이전까지는 ‘애국창가’라 이름하여 분류된 창가집의 사례는 없었다. 『애국창가』에는 형식이 단순하면서도 박절감 있는 선율단락을 지닌 곡조에 민족적 감흥을 일으킬 수 있는 ‘애국’의 가사를 입혀서 그 정체성을 확고히 한 ‘애국창가’를 탄생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에서 불린 애국창가의 전개 양상 -1910년을 전후하여 필사된 애국창가집을 중심으로-

        반혜성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2 No.-

        이 글은 1910년을 전후하여 필사된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 『잡집』, 『창가휘집』, 『창가』에 주목하여 국내에서 불린 애국창가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4종의 필사본은 애국창가의 가사를 수록한 창가집이지만, 『잡집』과 『창가휘집』은 교과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이론이나 명문장, 산술 같은 내용까지 포함하여 통합교재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음악적인 면에서 국내에서 불린 애국창가는 찬송가와 창가의 곡조를 주로 활용하였고, 일본 창가보다 한국 창가의 곡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이외에 작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애국창가가 많은 점은 이름을 밝힐 수 없는 시대의 상황이라 이해되었다. 하지만 작자 미상의 곡은 어느 1인의 창작물일 수도 있지만, 애국계몽기를 시작으로 일제강점기 동안 조국의 국권 회복과 자주독립을 염원했던 애국지사들이 함께 만들어 부른 집단 창작물일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필사본 애국창가집이 만들어지던 시기는 일제가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식민지화하는 과정과 맞물려 있어서 대중의 가창물로 애국창가는 철저한 통제의 대상이었다. 필사본 4종에 모두 실린 <정신가>는 국권이 피탈되는 위태로운 시대의 흐름과 이를 바라보는 민족의 시각과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어서 1909년에 이미 국내에서 불온창가가 되어 가창이 금지된 곡임을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여러 형태로 애국창가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졌지만, 개인의 차원에서는 당대에 불린 애국창가를 기록하여 민족적 정서와 감수성을 고스란히 남길 수 있었다. 1910년을 전후하여 국내에서 만들어진 필사본의 애국창가집은 나라를 잃은 애통한 마음을 한탄하면서도 애국정신을 모아 독립을 쟁취하자고 노래한 시대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물이라 하겠다.

      • KCI등재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의 특징과 가치

        반혜성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5

        This article looks into Son Seung-yong Sujinbon Changgajip , which has been found from the estates of Son Seung-yong (孫承鏞, 1855~1928). Prior to the in-depth analysis on the songbook, activities throughout Son Seung-yong’s life had been addressed. From such, this paper could reveal that Son Seung-yong served as a Methodist minister, after being a journalist for the Independence Newspaper,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schools for modern education. Son Seung-yong can be assessed to be a journalist, an educator and at the same time a religious person. The timing of transcription had been estimated through analysis on the songs listed in the songbook. Son Seung-yong started the transcription around 1909 when he was at the Jamduhap’il school in Ganghwa, which was completed around 1911 when Son Seung-yong was at Gongjujeil church. The lyrics of the songs listed in Son Seung-yong Sujinbon Changgajip , indicated clear characteristics of a patriotic songbook, as it reflected the sentiments of the time which was to protect national sovereignty through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of the people. Son Seung-yong Sujinbon Changga objectively demonstrates the Changgas that were sung around schools or churches before the forced annexation. This paper also addressed the possibilities of Son Seung-yong Sujinbon Changgajip being referenced as drafts for two patriotic songbooks with musical notes, which are, Choisinchanggajip (1914) of Gwangsung middle school at Bukgan-do and Aegukchangga (1916) of Honolulu Hawaii. Despite being transcribed by an individual, Son Seung-yong Sujinbon Changgajip can be assessed to be the record of an aspiration of the time toward patriotism and independence, which arose from watching the progress of national sovereignty being forcefully taken away. 본고는 손승용(孫承鏞, 1855~1928)의 유품에서 나온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 을 분석한 글이다. 창가집을분석하기에 앞서 손승용의 생애와 활동을 살펴본 결과, 손승용이 독립신문사의 기자를 지낸 후 감리교의 목사로 활동하면서 근대교육을 위한 학교 설립에도 이바지하였던 인물임을 밝힐 수 있었다. 손승용은 언론인이면서 교육자, 그리고 종교인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물이다. 다음으로 수록곡을 통해 필사 시기를 추정하였는데, 필사가 시작된 시기는 손승용이 강화의 잠두합일학교에있었던 1909년경이고, 완성된 시기는 공주제일교회에 있었던 1911년경으로 보았다. 수록곡에는 문명개화를통해 국권을 지키고자 한 시대 정서가 노랫말에 투사되어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 은 애국창가집의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었다.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 은 일제의 강제병합 직전부터 학교와 교회를 중심으로 불렸던창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외에 악보가 있는 애국창가집으로 전하고 있는 북간도 광성중학교의 최신창가집(부악전) (1914)과 하와이 호놀룰루의 애국창가 (1916)의 저본으로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 가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비록 개인이 필사한 것이지만 국권 피탈의 과정을 바라보며 우러나는 애국심과 독립의 염원을 기록한 시대의 대표적인 결과물이 손승용 수진본 창가집 이라고 평가하겠다.

      • KCI등재

        서울굿 노랫가락의 전형

        반혜성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본고는 서울굿에서 거리마다 빠지지 않고 불리는 노랫가락의 고정적인 특징과 상대적으로 변동되는 특징을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노랫가락이 불리는 연행의 현장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노랫가락의 전형이 무엇일지를 고찰해 보았다. 노랫가락은 서울굿에서 연행되는 무무, 무의식, 무악(삼현육각), 무가 등과 같은 요소와 결합되면서 노래되는 특징을 보인다. 노랫가락은 거리나 신격에 따라 청배, 찬신, 그리고 종결이라는 기능을 갖고 불리는 가운데 일정한 규칙으로 고정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변동되는 특징을 갖기도 한다. 이에 따라 노랫가락은 주무와 조무에 따른 가창방식, 노랫가락이 불리는 위치, 그리고 사설의 구조 및 연행 요소 간의 결합이라는 방식을 통해 전형성을 갖는다. 노랫가락의 음악적 특징에서 보이는 전형은 선행된 연구의 결과와 다르지 않아서 장단의 구성은 여러 수를 노래하여도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선율구성은 장단을 최소 단위로 하여 8․8소박, 8․5․5소박, 5․8소박, 5․8․8소박 등으로 단락 지어 진다. 서울굿 노랫가락은 연행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서울굿의 다른 무가에 비해 보수적인 엄격함이 있다. 장단의 구성과 선율의 구조와 같은 음악적인 큰 틀은 거의 동일하게 반복되는 가운데 기능에 따라 다양한 연행 방식을 갖게 되어 즉흥성은 배제된다. 이러한 현상은 연행의 현장이나 무당에 따라서 변치 않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노랫가락의 전형은 엄격하고 고정된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는 반면, 거리나 신격에 따라 다양한 연행의 방식으로 변동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approach Noraetgarak, which is pivotal in every Gori of Seoul-Gut, in a diverse angle. The typical of Noraetgarak was studied by closely analysing the performance sites where they were performed. Noraetgarak in Seoul-Gut is combined with diverse performance elements such as Muga (songs), Mu'ak (Samhyun’yukgak), Mumu (dance), and Mu'uisik (rituals). As Noraetgarak contains the functions of inviting, celebrating, and ending according to the Gori or deity they relate with, they are fixed with certain rules while also having some varying traits. Therefore, Noraetgarak forms its typical features by combining vocal style (depending on main and sub shamans), location, lyric structure, and performance elements. The musical traits of Noraetgarak is not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repeating the rhythmic structure even in multiple verses. The melodic composition is formed with Jangdan as the minimum unit and is composed with 8․8 small-beats, 8․5․5 small-beats, 5․8 small-beats, 5․8․8 small-beats, etc. Compared to the other Muga in Seoul-Gut, Noraetgarak is conservative and restrictive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The aspect of impromptu play is eliminated as the bigger musical frame of the Jangdan composition and the melodic structure are repeated, while the method of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function. Such feature works as an unchanged component regardless of performance site or the Shamans. This means that the typical with Noraegarak has a strict and restricted musical trait, while varying through different performance methods depending on the Gori and the deity.

      • KCI등재

        경기 남부 진오기굿의 변모 양상

        반혜성 국립국악원 2015 국악원논문집 Vol.32 No.-

        Traditional Jinogi-Gut of Southern Gyeong'gi province is called Sani Saenam-Gut, performed by Sani and Miji. This gut is no longer performed after the 1980’s. This is the result of the proliferation of Seoul-Gut performed by Gangshinmu, whereas hereditary Southern Gyeong'gi Gut has been weakening. This paper aims to first analyze the SaniSaenam-Gut, performed by Sani and Miji in 1981, and trace the transformation of Jinogi-Gut of Southern Gyeong'gi province. During this process, partial performances of Jinogi-Gut for Osubok in 2011 was used as an example case of modern Gut, while previous reported cases were used for the transformation over the 20 years. Traditional SaniSaenam-Gut type, in Jinogi-Gut of Southern Gyeong'gi province from 1981, was almost extinguished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Seoul-Gut. However, Jinogi-Gut for Osubok in 2011 shows some styles of Southern Gyeong'gi province, although was previously agreed to be a Seoul-Gut. Looking at the SaniSaenam-Gut of 1981, some programs are included, which are not seen in Gyeong'gi-Dodang-Gut that is passed down until modern era. These programs include: Nokmaji, San Baraegi, Josang-Gut, Saenam, etc. The key program of SaniSaenam-Gut is Saenam, considering the following 2 factors. Sanbaraegi and Nokmaji are programs performed by Seoul Baksu. Chosang is a program to entertain along with Gun'ung. Therefore, the return of Saenam seems to be show the possibility of Jinogi-Gut of Southern Gyeong'gi performed as a traditional SaniSaenam-Gut of Sani and Miji, not as a Seoul-Gut as of now. This is because the full account of previous SaniSaenam-Gut performance has been shown throughout this paper, and is seen that the basis for hereditary tradition is not fully gone as Southern Gyeong'gi-Gut programs are included in 2011 Jinogi-Gut although previously agreed as a Seoul-Gut. 경기 남부의 전통적인 진오기굿은 산이새남굿이라 하여 산이와 미지가 함께 연행하는 세습무권의 굿이다. 그러나 현재에 이를수록 세습무계의 기반이 약화되는 가운데 강신무에 의해 연행되는 서울굿의 영향으로 경기 남부의 굿은 변모되고 있다. 본고는 우선적으로 경기 남부에서 전승된 1981년 산이새남굿의 연행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고, 다음으로 이 연행의 형태가 현재로 오면서 변모된 양상을 기존의 문헌에 보고된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2011년 오수복의 진오기굿을 분석하여 향후 경기 남부의 진오기굿의 전승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산이새남굿의 거리구성 및 내용은 현재 전승이 이어지고 있는 경기도도당굿과 무관하지 않다. 1981년의 산이새남굿을 보면, 경기도당굿에는 없는 넋맞이, 산바래기, 조상굿, 새남 등의 거리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산바래기와 넋맞이는 서울 박수에 의해 연행된 거리이고, 조상은 군웅과 함께 놀리는 거리임을 감안할 때, 산이새남굿의 핵심거리는 새남이다. 그리고 새남은 산이와 미지가 하는 맞군웅과 미지가 하는 천근소리, 그리고 산이가 부르는 죽음의 말이 중요한 연행요소가 된다. 따라서 현재의 연행자들이 온전하게 새남 거리를 재연한다면, 경기 남부의 진오기굿이 서울굿 일색으로 가는 양상에서 벗어나 산이와 미지의 전통적인 산이새남굿으로 대체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이는 과거 산이새남굿의 연행의 전모가 이 글을 통해 드러났고, 2011년의 진오기굿이 서울굿으로 합의됐음에도 경기 남부굿의 내용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미약하나 세습무계의 전통이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은 아직 무너지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서울굿 음악의 전형성을 통해 살펴본 금성당제의 음악

        반혜성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구파발 소재의 금성당은 2008년 국가민속문화재 제258호로 지정되는 한편, 2016년에는 샤머니즘박물관으 로 개관되어 현재에 이르며 해마다 금성당제를 복원하여 거행하고 있다. 이 글은 총 11차가 거행된 금성당제 의 의례 구조를 우선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2019년 춘제와 추제, 그리고 2022년과 2023년 금성당제의 거리별 음악 구성을 분석하여 서울굿 음악의 전형성이 금성당제 안에서 연행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금성당제의 의례는 금성대왕굿과 금성대군굿, 이말산궁인 혼맞이, 당돌기, 제당맞이, 제당배웅과 같은 절차를 특화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거리를 포함한 금성당제의 전반적인 연행은 무가, 무무, 무의식, 삼현육각 등 의 연행 요소로 짜이는 정형화된 구조에서 서울굿 음악의 전형성을 담고 있었다. 특히 금성당제의 주신은 앉은 거리에서 <노랫가락>, 선 거리에서 상산장단의 <긴염불>로 청하고 있어서 음악적인 위상을 높이고 있었다. 한편 서울지역에서 전승의 위기에 있는 <황제풀이>와 단절되었다고 보는 <안당말미>가 금성당제에서 연행 되었다는 사실은 금성당제가 단순한 당제의 재현에 그치지 않고 음악적으로 독보적인 위상을 점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었다. <황제풀이> 무가를 포함한 성주굿의 연행은 충실하게 이행되었으나, <안당말미>의 구송은 아직 완전하다고 볼 수 없어서 그 존재를 드러내어 실재 자체를 고민하게 한 의도에 나름의 의미를 둘 수 있다. 과거 나라굿을 하였던 위상이 있는 금성당제는 현재의 연행에서도 나라의 태평성대와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내용의 공수를 주고 있다. 따라서 금성당제의 음악적 위상과 가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황제풀이>나 <안 당말미>와 같은 서울굿의 특수한 무가와 <자진한잎>이나 <길군악> 같은 보통의 천신굿에서는 듣기 어려운 삼 현육각을 통해 당제의 음악을 완성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구파발 금성당제는 서울의 도시화로 수많은 당이 훼철되고 그에 따라 당제도 점점 사라져가는 가운데서도 소생한 현재진행형의 당굿이라는 의미와 가치가 있어 보였다. 가까운 시일에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금성당제가 다른 지역에서도 소생하는 당굿의 대안이기를 바래어 본다. [ The Geumseongdang in Gupabal was opened as a shamanism museum in 2016 and Geumseong- dangjea has been restored and held every year. This article examined the typicality of Seoulgut music by examining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Geumseongdangjea, which was performed 11 times. Afterwards, the musical composition was examined for the Spring Geumseongdangjea and Fall Geumseongdangjea in 2019, and 2022 and 2023. The abov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umseongdangjea is made of characterizing procedures such as Geumseongdaewanggut and Geumseongdaegungut, Honmaji, Dangdol, Jedangmaji, and Jedang Baewoong. Geumseongdanjea which include the procediures above include the typicality of Seoulgut music through shamanic songs, music, ceremony and Samhyeonyukgak.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re highly considered especially because the main spirit for Geumseongdangjea asks for “Noraetgarak” in seated performance and Sansanjangdan’s “Kinyeombul” for standing performance. “Andangmalmi” is believed to have been cut off from “Hwongjeapuri”, which is on the verge of extiction in Seoulgut. The fact that these are performed indicates that Geumseongdangjea intended to gain an unrivaled status, rather than simply reviving. The intention of provoking thoughts behind the existence of “Andangmalmi” itself is meaningful, because the singing of “Andangmalmi” has not been completed despite the fact that the performance of Seongjugut (including “Hwongjeapuri”) has been done well. Because Geumseongdangjea has held the position of doing gut for the country in the past, in its current performance, it still includes wishes and messages of peace for the nation and the citizens. In order to solidify the value and the musical reputation of Geumseongdangjea, improving the musical completion through the following is needed: rare shamanic dances in Seoulgut such as “Hwongjeapuri” and “Andangmalmi” and / or Samhyeonyukgak which is rare in typical Chonsingut such as “Jajinhanip” or “Gilgun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