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트라빈스키의 <병사의 이야기> 분석 연구

        박찬미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Histoire du soldat (1918) is a theatrical work conceived by Russian composer Igor Stravinsky (1882-1947) based on the script of Swiss writer Charles Fedinand Ramuz (1878-1947). This work is made up of instrument music, ballet and narration. Since this work highlights Stravinsky's style in his music during his transition from neo-nationalism to neoclassicism, analysis of this work allows to identify his own composition style from instrumental composition, musical structure, harmony, rhythm, melod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al music. Furthermore, Stravinsky’s work influences to tides of musical history currently in that his own style has affected contemporary music and dance not only in 20th century music. Therefore, it is valuable to investigate this work. In this paper, we analyze Histoire du soldat focusing on four characteristics as follow: First, in this work, diverse figure, instrumental symbolism and technique are used to effectively portrait characters. In addition, rhythmic recitation in the narration enables realistic expressions and acoustic effects. Second, this work consists of 13 movements which share the main figure in common. Especially, all movements reflect obstinato bass figure or theme melodies of 1st and 2nd movement. Third, this work adopts repeated obstinato, irregular time and polyrhythm as the main rhythm pattern. But, it also presents a unique rhythm pattern by adopting elements in Jazz. Fourth, this work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in both neoclassical and contemporary music at once, since it attempts contemporary musical sound effects such as percussive effects, demodulation, and whole-tone scales of string instruments. Also,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integrates a lot of folk musics as well as Russia’s. Therefore, Histoire du soldat shows Stravinsky’s own style that presents the essence of neoclassical music with sticking to tradition. Even today, this work is loved due to its unique repertoire. 『병사의 이야기 (Histoire du soldat, 1918)』는 라뮈(Charles Ferdinand Ramuz, 1878-1947)의 대본에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가 작곡한, 나레이션과 발레를 포함하는 소규모 실내 극음악이다. 이 작품은 스트라빈스키의 신민족주의 음악이 신고전주의로 전환하는 과도기에서 스트라빈스키 음악이 갖는 특징들이 잘 드러나며, 이를 분석하는 것은 스트라빈스키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적용되어있는 악기편성과 음악적 구조뿐만 아니라, 화성, 리듬, 선율에서 나타나는 작곡가만의 독창적인 작곡 기법, 그리고 신고전주의 음악의 특징까지 모두 살펴볼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현시점의 음악사 흐름에서 스트라빈스키는 다양하고 다채로운 양식을 통해 20세기 음악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대 미술계와 무용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인 만큼 이 곡에 대한 연구의 가치는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병사의 이야기』를 분석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아치형 선율, 반복적인 아르페지오 등 각종 음형, 그리고 악기의 상징성과 다양한 주법을 통해 등장인물을 효과적으로 묘사했으며, 나레이션에서의 리듬 있는 낭송조 사용으로 사실적인 표현과 음향적 효과를 동시에 나타냈다. 둘째, 작품을 구성하는 13개의 곡들은 주요 음형을 서로 공유하고 있으며, 제 1곡과 제 2곡의 오스티나토 베이스(Ostinato bass) 음형이나 주제 선율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셋째, 반복하는 오스티나토(Ostinato), 변박, 폴리리듬(Polyrhythm) 을 주된 리듬으로 사용하되 재즈(Jazz) 요소까지 반영하면서 개성 있는 리듬패턴을 제시한다. 넷째, 신고전주의 음악의 특징을 드러냄과 동시에, 현악기의 타악기적 효과와 복조성, 온음음계 등 현대적인 독특한 음향 효과를 꾀하기도 하면서 전통과 현대음악 요소를 모두 갖는다. 또한, 러시아뿐만 아니라 여러 민족의 음악을 반영하면서 국제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병사의 이야기』는 스트라빈스키만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며, 전통을 고수하되 자신만의 독특하고 새로운 음악 요소를 통해 신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를 보여주는 매우 독창적인 작품임과 동시에, 현재까지도 청중에게 고유한 레퍼토리로서 사랑받고 있다.

      • 국내외 보컬트레이닝기법 비교 연구

        박찬미 경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예술은 누구에게 레슨을 받고 어떤 선생님에게 훈련받는지가 굉장히 중요하다. 한국 실용음악의 보컬 레슨 현장을 보게 되면 1시간의 레슨 시간에 발성, 소리 훈련이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몇 분 남짓이고 대부분의 시간은 가수의 노래를 카피하는 식으로 진행이 된다. 여기서의 문제점은 제대로 된 발성과 호흡의 지식이 없이 무작정 가수의 표현법을 따라하는 식이 된다는 것이다. 무작정 따라하는 것은 목소리에 아주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신의 개성을 발견하는 것이 어려워 질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발성법에 대해 제대로 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가수들을 직접 트레이닝하고 책을 저술한 트레이너들의 총 5명의 훈련법을 연구했다. 그들에게는 첫째 소리훈련과 표현훈련의 두 가지 부분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보컬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두 번째 소리훈련법이 끝난 다음에 표현훈련법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으며 세 번째 복합적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 네 번째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것과 다섯 번째 알기 쉽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훈련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다양한 노래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그 속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스타일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켜 개성을 창조할 수 있는 훈련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보컬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성에 대한 분석이라는 긍정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노래 카피에 급급한 잘못된 보컬트레이닝에 대한 문제 제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art, it's very important which teacher you've been taught and trained. When I saw the vocal lessons of practical music in korea, It takes only a few minutes for vocal training and sound training during an hour of lessons. And most of the time is dedicated to copying another singer's song. The problem here is to blindly imitate the way other singers express without having a proper knowledge of vocalization and breathing. It can be very damaging a voice, and it can be difficult to discover one’s individuality.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training of five trainers who directly trained many singers and wrote books, with a good knowledge of vocalization. First, they have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vocal training program in both voice training and sound training. Second, they proceed with voice training after sound training. Third, they are conducting complex training. Fourth, they operate training programs that allow them to think and practice themselves. Fifth, they use a method of training that is easy for anyone to know and can participate in. Finally, they use a method of training to listen to various songs, discover the styles that are best suited to them, and develop them to create individuality. This paper has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systemicity of vocal training programs. Through this, I hope to raise the issue of incorrect vocal training, which is simply focused on copying other’s songs

      • 하늘이미지표현에 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찬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하늘이미지표현에 대한 연구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ressing the Image of the Sky -Focused on My Works 미술학과 박찬미 지도교수 정갑주 본 연구는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하늘이미지표현에 대한 연구’를 논제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연을 추상적이고도 이상적인 본 연구자만의 이미지로 변형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생각이 본연구자의 작품에도 영향을 주게 되고, 그 중 ‘하늘’은 시각적인 이미지와 개인의 감성이 잘 부합된다. 습관이자 취미가 되었던 ‘하늘보기’는 본연구자의 감성을 자극하기에 좋은 소재가 된다. 심리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하늘의 이미지를 개인적인 습관과 기억을 바탕으로 작품화시켰다. 작품에서 주제가 되는 하늘은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작품 속 하늘은 공간의 개념으로 바라본다. 그 공간은 본연구자의 습관적 기억들이 작품 속에서 표현에너지로 인식되고, 그러한 인식이 평소 집착하던 ‘하늘보기’의 고정화된 습관들과 연구자의 복잡한 심상이 만나면서 하늘과 본 연구자의 이야기가 작품의 전개과정에 투사되면서 주관적 하늘이 된다. 연구자의 작품에서는 이미지(풍경)를 위해 하늘을 배경으로 둔 것이 아니라 하늘을 그리기 위해 풍경이 그려졌을 뿐이다. 풍경 또한 그 하늘공간안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본 연구자의 작품의 화면속에 보여지는 모든 것들, 예를 들어 낮, 저녁, 밤의 광채 속에서 빛나는 공간(하늘)이 대기 속 수분과 빛이 만나면 다양한 색으로 가득찬다. 본 연구자가 바라본 하늘은 노을과 구름, 안개나 연무, 그리고 인공적인 빛과 자연적인 빛이 투과 되어 느껴지는 공간과 그 안의 투영된 이미지까지 모두 하늘로 정의한다.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하늘을 표현하는데 있어 핵심은 한지라는 재료이다. 작품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한지는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좌우한다. 작품의 대상들이 등장하는 공간적 배경의 소재(하늘)를 현실과 환상의 중간적 역할과 그 속에 등장하는 이미지(건물)와 어우러지면서 비현실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또 한지 뒤로 투영되는 이미지와 드로잉이 한 겹, 두 겹 반복적으로 겹쳐지면서 공간차이를 주어 몽환적인 분위기를 극대화시킨다. 이를 위한 과정에서 한지를 본 연구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한 색과 개인의 심리상태가 부합된 하늘의 색으로 물을 들이고, 찢고, 붙이며 반복된다. 이는 한지의 색과 결, 그리고 이미지와 겹쳐지는 정도와 반복되는 횟수, 배치에 따라 공간의 깊이와 원근감까지 끌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미지들이 대부분 희미하거나, 정확한 형태가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점과 함께, 본 연구자가 느꼈던 하늘을 전달하는데 핵심이 될 수 있는 한지는 개인적인 기법연구를 통하여 재료적 역할과 효과로 본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한 하늘을 제대로 보여준다. 주요어 : 하늘, 하늘바래기, 한지, 안개, 공간, 이미지, 색채, 드로잉, 습관, 경험

      • 유머 전략의 화법 교수 학습 적용 방안 연구

        박찬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ways of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of Humor Strategy in Speech Education‘Humor’ which means funny word or behaviour. The ability to speak well of humor that people tend to get a better assessment. It is therefore the books on humor in a bookstore can be found easily. And then, the humor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wondering how we're dealing with it. In fact, among four kinds of high school speech textbook which based on seven curriculum, humor related sections of the textbook is only one. That is the niggardly result of referring of the section on humor in the curriculum. Also, the discussion of ways of using humor is abstract and predictable. Therefore, the improvement is needed. In this thesis, we analyzed causes of laughter through analyzing two materials of spoken language. At first, we investigate humor strategies used by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the ‘National middle-high school story competition’. Second, we analyze humor strategies of comedian through the TV show of ‘1 Night 2 Days’. That show deals with story of travel. So we can easily analyze everyday conversation and dialogue. The biggest disadvantage of these materials is intent and pre-prepared. Actually, the best material is that of transformation from spoken language which contains everyday dialogue to written language. When recorded, we should seek to understanding to talking people in advance. However, it is not good material because of destruction of spontaneity. So, in this thesis, we try to use material of daily conversations with the most similar. Causes of laughter can be utilized as a strategy of humor. After the data obtained by analyzing the cause of laughter, we propose common strategy of humor compare with previous other researches. As a verbal humor strategy, there are disambiguation, dialect, slang, excretory taboos and the strategy of reversion of honorifics grammar. As a nonverbal humor strategy, there are reversal, hit on a vulnerable spot, parady, more description, humble oneself, use of weakness, overcharge, background infor -mation, sexual joke and expression of absurd situation. As a paralanguage expressions humor strategy, there is utilize of accent. As a body language, there ar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For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to humor strategy, we set the three step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se three steps are understanding of humor strategy, understanding of humor situation and applying humor strategy. In the step of ‘understanding of humor strategy’, we set activity of understanding and applying to humor strategy. Second, through the step of ‘understanding of humor situation’, learners have attitude of utilization of humor considering on speaker, listener and scene of dialog. At last, in the step of ‘applying humor strategy’, learners apply of humor strategy with telling the story of their own. We propose teaching-learning plan based on above three steps of humor strategy and it is easily to apply directly to the class. However, in this thesis, we did not experiment our conclusion in real situation of teaching-learning. And there is limitation which is speaker-oriented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Furthermore, we expect listener-oriented research which is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humor. ‘유머’는 남을 웃기는 말이나 행동이라는 뜻으로, 본 논의에서는 웃음을 유발하는 말이나 행동을 모두 일컫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재담’과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유머를 잘 구사하는 사람은 능력보다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고 유머를 잘 구사하여 난처한 상황을 면하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 까닭인지 서점에서 유머 화술에 대한 책들을 쉽게, 또한 종류별로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유머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실제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법 교과서 네 종류를 찾아보면 유머 관련 단원이 딱 하나 차배근(2003)에 편성되어 있다. 이것은 유머의 장점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네 교과서 모두 긍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되는 점이다. 유머가 중요하고 유익한 것은 인정하면서도 단원 편성은 하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교육과정에서 유머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는 데 인색한 결과이다. 어떻게 하면 유머를 잘 구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극히 추상적이고 당연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두 가지의 발화 자료를 분석하여 웃음 유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나는 ‘전국 중·고등학생 이야기 대회’로 실제 중·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유머 전략을 찾아낼 수 있다. 또 하나는 TV 프로그램 ‘1박 2일’로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예능 전문가들의 유머 전략을 분석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더군다나 여행을 떠난다는 프로그램의 특성상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일상적인 대화와 유사한 자연스러운 장면이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이 두 자료의 가장 큰 단점은 실제 우리 삶의 일상과는 달리 의도적이고 사전에 준비된 자료라는 점이다. 실제 일상 대화를 녹취하여 전사한 자료가 가장 좋은 자료이지만, 녹취를 할 때 사생활 침해를 피하기 위해 미리 양해를 구하면 자연스러움이 파괴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그나마 일상 대화에 가까운 자료를 구하려 애쓰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웃음 유발 원인을 잘 분석하면 뒤집어서 유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웃음 유발 원인이 모두 유머 전략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학습자의 입장에서 유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가려내었다. 두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도출된 웃음 유발 원인을 선행 연구의 웃음 유발 원인과 비교하여 공통적으로 겹치는 유머 전략을 정리하였다. 언어적 유머 전략에는 동음이의어, 사투리, 비속어, 배설 금기어를 활용하거나 청자 대우 등급을 바꾸는 전략이 있다. 비언어적 유머 전략으로는 비예측성을 활용하는 반전, 허 찌르기 등이 있고, 구조면에서는 패러디, 부연, 내용면에서는 자기 혹은 상대방 비하, 약점 이용, 과장, 배경지식, 성적인 농담 등이 있다. 반언어는 억양 살려 쓰기, 신체를 이용한 비언어에는 얼굴 표정, 몸동작 활용하기가 있고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표현하거나 묘사하는 전략도 있다. 도출된 유머 전략을 교수·학습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세 단계의 교수·학습 전개 과정을 설정하였다. 유머 전략 이해, 유머 활용 상황 이해, 유머 전략 적용의 세 단계로 나누어 순서대로 교수·학습될 수 있게 하였다. ‘유머 전략 이해’ 부분에서는 유머 전략을 이해하고 간단히 적용해 보는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한 ‘유머 활용 상황 이해’를 통해 화자와 청자 그리고 대화 장면을 고려하여 유머를 활용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게 된다. 마지막 ‘유머 전략 적용’ 단계에서는 유머 전략을 적용하여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해 보는 활동을 한다. 또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유머 구사가 필요한 가상의 문제 상황에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머 교수·학습 전략을 토대로 하여 실제 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여 교수·학습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그 동안 유머 화법 교육에 대한 논의가 턱없이 부족하였고 논의의 내용 또한 빈약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머 화법 교육을 고민하는 것은 평생 유머를 사용하게 될 학습자의 입장에서 볼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본 논의는 유머 전략을 화법 교수·학습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이다. 그러나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검증하지 못한 데다 화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유머 전략을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하였을 때 유머 구사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한 후속연구와 유머를 어떻게 하면 잘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청자 중심의 연구를 기대한다.

      • 코드(chord)를 활용한 단계적 음악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박찬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학교 현장에서는 창의력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음악교과에서는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연주하기의 활동보다 음악 만들기를 통해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음악 만들기 활동 중 하나인 ‘창작지도’에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그로인해 실제로 학생들은 다른 음악 수업 활동에 비해 창작활동을 해 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도움이 되고자 ‘코드(Chord)’를 활용하여 중학교 과정에서의 음악 만들기를 위한 지도안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작성된 지도안과 활동지를 활용하여 직접 익산시 소재 J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활동지와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코드’의 개념을 알고 ‘코드패턴(Chord Pattern)’을 활용한 창작 교수방법이 수업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창작을 할 때 피아노와 기타와 같은 실제 악기 사용에서 벗어나 코드의 구성음 만을 알고 만들어도 어느 정도 곡의 완성도를 보인 것에 학생들로 하여금 자심감과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음악이론 이해의 부족이 본 수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과정에서부터 음악이해 수업이 단계적으로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교수 학습 지도안을 학교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길 바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창작 교수 방법이 연구되길 기대한다.

      • 국내·외 상지재활을 위한 음악중재연구 내 악기연주 유형 분석

        박찬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외 상지재활을 위한 음악중재연구의 전반적인 연구 특징과 악기연주 유형 및 악기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임상적 적용을 확대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및 국외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2006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발표된 연구 중 포함기준에 따라 총 21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정된 연구들을 수행한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과 중재에 활용된 악기연주 활동의 기법 기술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악기연주 활동의 내용과 사용된 악기의 종류에는 공통된 특성이 나타났다. 국내에서 진행된 악기를 활용한 음악중재 연구는 주로 음악치료 분야였으며, 국외에서 진행된 연구는 주로 의학 분야에서 시행되었다. 의료 환경에서 음악활동이 보조수단으로 사용되었던 것에 비해 상지기능 개선을 위해 직접적인 재활도구로 악기가 사용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재활훈련은 주로 여러분야가 협력하여 집중적인 치료를 실시하기에 타 분야와의 교류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된 연구의 연구대상자로 뇌졸중 환자가 대부분이었기에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가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대근육 움직임 또는 소근육 움직임의 기능별 목표에 따라 진행된 연주내용에 차이가 나타났다. 대근육 움직임을 목표로 한 연구는 소근육 움직임을 목표로 한 연구에 비해 비교적 적은 수의 연구가 진행 되었으며 목표기능에 따른 악기연주의 활용에 대한 설명이 더욱 요구됨으로 악기연주 및 악기활용에 범위를 넓히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목표로 한 연구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지 기능 재활을 위해 악기연주 활동을 사용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실제 음악중재에서 사용되는 악기연주 활동에 대한 정보와 임상현장에서 적용 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s i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he overall research characteristics of music arbitration research, the types of instruments played, and the utilization of instruments was analyzed. A total of 21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targeting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specialized journa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who conducted the selected article and the technique of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used for music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content of musical instrument playing activities for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type of musical instrument used. Music intervention studies using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were conducted mainly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and music intervention studies in other countries were conducted mainly in the medical field. It represents rehabilitation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 exchanges with other fields, mainly in order for you to cooperate and provide intensive treatment.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stroke patients, suggesting that clinical studies targeting various neurological disorders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clinical setting should expande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progressed by the functional goals of the movements of gross motor or the movements of fine motor.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aimed at various functions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instrument performance and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 i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진로관련대화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박찬미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진로관련대화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이 어떻게 되는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진로관련대화의 효과는 어떠한지, 둘째,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진로관련대화의 효과는 남녀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작성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중학교 1학년 패널의 제6차 연도(2015년) 자료로서, 실질적인 연구대상자는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한다. 남자 1,176명, 여자 1,175명으로 총 2,35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신뢰도, 상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부모의 감독이 높을수록, 부모의 과잉기대가 높을수록, 부모의 과잉간섭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진로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는 결과이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또래와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또래와 신뢰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청소년기에 또래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진로관련대화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관련대화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진로관련대화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진로관련대화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의 남녀 간 비교 결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전반적인 효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컸다. 또한,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전반적인 효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컸으며, 진로관련대화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전반적인 효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을 높이는데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진로관련대화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애착 관계를 형성하고 진로와 관련한 대화를 많이 함으로써 진로정체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향후 청소년 시기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으로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er attachment, career-related conversation, which wer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that affects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ere observed and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as investigated. To this end, two study topics were defined.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er attachment and career-related conversation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by gender in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er attachment and career-related conversation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to examine the study topics defined abov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6th year (2015) data for the 1st grade of a middle school panels and actual study subjects are the 3rd grade of a high school. This study employed the data for a total of 2,351 samples, consisting of 1,176 in male students and 1,175 in female student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an influence of parental attitude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as significant.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as the supervision and expectation of parents become higher and the excessive involvement of parents becomes lower. This result exhibits that the formation of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can vary as parental attitude and enables to realize an importance of parental attitude once again. Second, an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as analyzed und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peer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The more the conversation with peers and the higher the credibility of peers, a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tended to become higher. This exhibits that an influence of peers is significant during the period of adolescent. Third, und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both parental attitude and peer attachment, the influence of career-related conversation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career-related convers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The more the career-related conversation,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Fourth, the difference by gender of an influence of parental attitude, peer attachment and career-related conversation, which wer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that of male students. The overall effects of both peer attachment and career-related conversation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ere higher in male students compared to that of female students.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ble to verify that parental attitude, peer attachment and career-related convers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an increase i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increase a sense of career identity by establishing a positive parental attitude as much as possible, forming a relationship of peer attachment and having conversations a lo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a formation of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 the future with different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identity during adolescent period. Keywords: Career identity, Parental attitude, Peer attachment, Career-related conversation

      • 환상의 대상으로서의 1933년 백스테이지 뮤지컬 영화 : <42번가>, <골드디거 1933>, <풋라이트 퍼레이드>를 중심으로

        박찬미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라캉의 욕망이론은 대상을 향한 주체의 채워질 수 없는 욕망에 관한 것이다. 욕망은결핍을 충족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발현된 것이지만 주체가 늘 끊임없이 다른 대상을 욕망하기 때문에 결코 소멸될 수 없다. 때문에 주체는 욕망의 종결을 꿈꾸며 상상적 각본에 의한 상상적 드라마를 연출한다. 이것이 바로 환상이다. 환상은 허구적 이미지인 환각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그 근원에는 현실을 반영한 주체의 욕망이 기초되어 있다.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은 오직 죽음뿐이므로 환상은 실재하지 않는 대상을 향한 갈망의산물이다. 이는 상상을 통해서라도 결핍을 해소하고 싶은 주체의 욕망이 과잉된 형태이며, 이 과잉은 굳이 필요하지 않은, 즉 잉여적 속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잉여적 속성이 1933년에 버스비 버클리와 워너 브라더스 영화사로부터 탄생한 세 편의 히트작인 <42번가>, <골드디거 1933>, <풋라이트 퍼레이드>가 이전의 뮤지컬 영화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관점을 가지고 시대의 경계를 구분 짓는다. 이 영화들은 뮤지컬 영화의 형태 중 쇼 뮤지컬의 범위에 해당하는 백스테이지 뮤지컬로서, 버스비 버클리의 트레이드마크인 거대한 스케일의 군무와 신체 구석구석을 훑듯이면밀하게 촬영하는 크로취 샷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특징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그러나 사실 이 요소들은 영화의 내러티브 전개에 있어 크게 중요하지 않은 과잉된 연출이다. 다시 말해 내러티브를 이해함에 있어 굳이 필요하지 않은 불필요한 장면들인 것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이 과잉된 연출이 버클리의 스타일을 만들었고 영화를성공으로 이끌었다. 어려운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지닌 관객들에게 환상의대상으로서 작용했기 때문이다. 1933년의 뮤지컬 영화가 환상의 대상으로서 작용했다는 것은 영화를 바라보는 관객들의 욕망이 이전과는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1920년대 후반 초기 뮤지컬 영화를 바라봤던관객들의 욕망은 토키가 선사하는 생경함만으로도 영화를 즐길 수 있는 순수한 성질의것이었다. 그러나 경제대공황이라는 척박한 현실이 계속해서 비슷한 스타일만 양산하는뮤지컬 장르로부터 등을 돌리게 만들었다. 그런 관객들의 관심을 다시 끌어온 것이 바로<42번가>와 그 후 연이어 제작된 <골드디거 1933>, <풋라이트 퍼레이드>이다. 이 영화들이 더 이상 토키를 새로워하지 않아 뮤지컬에 대한 기대가 없던 관객들에게 다시금 많은 호응을 받을 수 있던 이유는 여체의 위력을 강조한 크로취 샷과 군무로 섹슈얼리티의스펙터클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더 화려하고 웅장해진 춤과 노래, 그리고 시선을 훔치는 아름다운 여배우들의 노출은 물리적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욕망을 지닌 관객들에게 환상의 대상이 되었고 뮤지컬 장르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하였다. 요컨대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논지를 전개해 나가기 위해 라캉적 관점의 욕망과 환상이론을 바탕으로 뮤지컬 영화사에 있어 1933년의 버스비 버클리식 백스테이지 영화가지니는 의미와 역할에 관하여 논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