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직문화의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박재진 ( Park¸ Jaej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교직문화와 관련한 국내 연구가 어떠한 동향을 보이는지 시기를 구분하여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내용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교직문화 동향을 심층적으로서 분석하여 교직문화의 일반적 동향과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내의 교직문화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108개의 연구물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문화 관련 연구는 점차 증가하다가 현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유아교사 대상의 연구도 유사한 증감 경향을 보인다. 둘째, 교직문화 연구의 대상은 학교 급간별로는 초등교사, 유아교사, 중등교사 및 혼합교사, 고등교사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담당 학생의 특성별로는 일반 교사의 연구가 특수 교사의 연구보다 많았으며, 유아교사 대상의 연구는 다른 학교 급간에 비해 특수교사에 대한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양적 연구, 문헌 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높았으며, 유아교사의 연구는 최근에 양적 연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넷째, 연구내용은 특성 분석, 관계, 이론 및 동향, 도구 개발 순으로 높았다. 과거에는 유아교사의 연구에서도 특성 분석의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관계를 살피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직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교사의 교직문화에 대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o date by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according to the period.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from the general trend of teaching profession culture by in-depth analysis of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 To this end, degree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culture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08 stud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but recently decrease,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as that for all teachers. Second, by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middle school and mixed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in the order of research subjects o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By characteristic of the student, it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studies 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greater than tha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roportion of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n other schools.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ratio of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But recently in the research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quantitative studies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s to the researchers. Fourth,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amount of researches were a lot in the order of characteristic analysis, relationship, theory and trend, and tool development. In the research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re were many studies on characteristic analysis in the past, but recently, there are more studies examining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eaching profession cultur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 KCI등재

        엔터테인먼트 스타들의 자선적 기부 캠페인, 어떻게 공중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가? : 해석수준 이론을 중심으로

        박재진 ( Jaejin Park ),황성욱 ( Sungwook Hwang ),조윤용 ( Yoon Y. Cho ) 한국PR학회 2018 PR연구 Vol.22 No.3

        Objectives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CLT), three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elebrities’ voluntary service campaigns. Methods Consistent with the idea of CLT, campaign messages in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framed with phrases evoking either high- or low-level construals to measure which message strategies are effective in terms of enhancing the public’s intent to participate in volunteer service campaigns. Results Experiment 1, with 128 participants, manipulated the temporal distance in the near and distant future to demonstrate that respondents preferred specific and feasibility-related messages for near-future events. Experiment 2, with 140 participants, manipulated the spatial distance in the near and distant future in terms of place to demonstrate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spatial distance and message framing did not impact the respon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ampaigns. Experiment 3, with 124 participants, measured the social distance of individuals’ dispositional traits to prove that the respondents preferred specific, detailed, and contextualized messages when their social distance toward the cause was positive.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urrent stream of research that uses CLT to better understand audiences’ behaviors, especially responses to celebrities’ philanthropic activities.

      • KCI등재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의도에 대한 이해

        박재진(Park, Jaej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4

        이 연구는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이성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에 근거하여 개발된 계획적 행동이론(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및 혁신기술수용모델(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소비자의 인터넷쇼핑 행동분야에 적용시켜 어느 이론이 보다 우수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해 줄 수 있을지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초점이 인터넷쇼핑에서 인터넷관련 기술의 사용에 맞춰져 있다면 혁신기술수용모델이 계획적 행동이론보다 더 나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연구의 초점이 인터넷쇼핑과 관련하여 사회적 그리고 개인의 비의지적 요인들을 포함한다면 계획적 행동이론이 혁신기술수용모델보다 더욱 공고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두 이론의 비교 분석을 통한 풍부한 이론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redictive powe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re compared for online-shopping behavior. The two models afford a trade-off between information provided by models and parsimony. While the TPB provides more information, it is also more complex to use. The TAM is more parsimonious and provides directive information, but it explains only attitudinal components. Thus, this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model, which decomposes components of the TPB into specific multidimensional belief constructs like the TAM.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을 위한 래스터 처리기의 설계와 구현

        박재진(Jaejin Park),황택규(TakGyu Hwang),김광(Kwang Kim),허신(Shin Heu)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Ⅰ

        본 논문에서는 국가 지리정보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에서 래스터 형태의 공간 정보를 처리하는 래스터 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먼저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저장 시스템안에 저장될 래스터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형태로 구현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작성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래스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문 작성에 포함되는 질의 연산 및 관련 모듈을 구현하여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질의 수행기에 삽입하여 래스터 정보의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사회과 교과지식의 연계성 분석

        박재진 ( Park Jae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교과지식의 연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현행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이다. 분석의 내용적 기준은 사회교과협의회(NCSS)에서 제시한 사회과 교과지식 하위 내용 중 유아교육에 적합한 사회 교과인 지리학, 역사학, 사회학과 심리학, 경제학의 하위 내용이다. 연계 형태의 분석 기준은 선행연구에서 수정 보완된 계속성과 계열성을 준거로 한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지식은 하위내용별로 내용이 구성되어있는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학교 급간 간의 연계와 비연계가 복합적으로 나타났으나 연계의 비율이 비연계보다 조금 높았다. 사회과 교과지식 하위 내용별 연계의 차이가 있었으며, 역사와 사회학과 심리학의 경우 다른 교과지식에 비해 비연계의 비율이 높았다. 해당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사회과 교육 내용의 연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교사에게 필요한 사회과 교과지식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과 지식의 연계를 위한 유아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rticulation on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ies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re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The analysis criteria on contents are the sub-contents of geography, history, sociology, psychology, and economics, which are suit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e were derived from the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ies provided by the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NCSS). The analysis criteria on articulation are based on continuity and sequenc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prior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the contents were organized by sub-contents between the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i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there was a combination of articulation and non-articulation between level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 proportion of articula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on-articulation. There was a difference of articulation per each sub-content of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ies, and the proportion of non-articulation for history, sociology and psychology was higher than that for other studies. This research can provide information on necessary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y to kindergarten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articulation of contents of bo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urthermore, this research offers information regarding the role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articulation of knowledge of social studies.

      • KCI등재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집단별 인식 비교 및 분석

        박재진(Park, Jaeji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3

        본 연구는 교사들이 영유아의 어떤 행동들을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 경력별로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고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저경력교사, 고경력교사 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각 집단별로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의사소통, 언어, 성교육, 또래관계, 소유, 부주의·위험행동, 감정조절, 과잉행동의 항목에서 문제행동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집단 활동, 기본생활습관, 병적 질환 항목에서는 문제행동이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식습관 항목에는 문제행동이라고 생각하거나 그렇지 않은 비율이 유사하였다. 둘째, 예비교사의 응답 결과에서는 병적 질환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문제행동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저경력교사의 응답 결과에서는 언어, 성교육, 부주의·위험행동, 감정조절, 과잉행동의 항목에서 문제행동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식습관, 집단 활동, 기본생활습관, 병적 질환 항목에서는 문제행동이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고경력교사의 응답 결과에서는 의사소통, 언어, 성교육, 부주의·위험행동, 감정조절, 과잉행동의 항목에서 문제행동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식습관, 소유, 집단 활동, 기본생활습관, 병적 질환의 항목에서는 문제행동이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다섯째,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해 예비교사 집단은 저경력, 고경력교사 집단과 다소 상이한 응답 패턴을 보였다. 해당 결과들로 영유아교사들이 경력에 따라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할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교사교육을 실행하는데 교사 경험과 경력별로 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eachers perceive child problem behavior and how different the perceptions of child problem behavior are depending on teacher care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67 pre-service teachers, low-career teachers, and high-career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 for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communication, language, sexual education, peer relationship, possession, dangerous behavior, emotional control, and hyperactivity are regarded as problem behavior while group activity, basic life habit, pathological disease are not. Regarding eating habit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a problem behavior or did not was similar. Second,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with high percentage that the rest of sub-scales except for ‘pathological diseases’ are problem behavior. Third, low-career teachers responded with high percentage that language, sexual education, dangerous behavior, emotional control, and hyperactivity are regarded as problem behavior whereas eating habits, group activity, basic life habit, and pathological diseases are not. Fourth, high-career teachers responded with high proportion that communication, language, sexual education, dangerous behavior, emotional control, and hyperactivity are regarded as problem behavior while eating habits, possession, group activity, basic life habit, pathological disease are not. Fifth,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showed a different response pattern to the child problem behavior from the low-career and high-career teacher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mpar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 differ according to their careers. This is expected to be served as basic data on how the contents of education can be differentiated by teaching experience and career in implementing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인터넷 광고에 대한 불쾌감 형성요인

        박재진(Jaejin Park),이정교(Jung-Gyo Lee),정영권(Younggwon Jung) SBS 2010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8 No.3

        인터넷 광고의 강제성과 침입성은 수용자들의 광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가지게 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브랜드 및 광고를 집행한 웹 사이트에까지 부정적인 평가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인터넷 광고에 대한 연구들 중에서 소비자의 불쾌감에 대한 논의를 한 실증적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인터넷 광고가 양적, 질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인터넷 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평가를 측정하기 위한 지수개발 연구는 실무적, 이론적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불쾌감을 구성하는 다양한 차원들을 밝혀내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적으로 신뢰성 및 타당성이 높은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관련 분야의 문헌고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 정화, 다양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등의 절차를 거쳐 본 연구는 인터넷 광고에 대한 불쾌감을 측정하기 위한 총 1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4개의 요인(불편성, 강제성, 반사회성, 기만성)을 두 번의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하였다. By employing a multi-stage, multi-phase, and multi-sample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of the unpleasantness toward Internet advertising. Following traditional methods of scale development, four dimensions were identified: inconvenience, anti-sociality, deception, and compulsion.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e multidimensional scale showed a high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Scale development procedures and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derived scale were discussed.

      • KCI등재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박재진 ( Park Jae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개념 이해, 지도 방법, 지도 시 어려움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행동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를 통해 현직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기본 인적사항, 문제행동의 개념 파악, 지도를 위한 원인 파악, 지도를 위한 지원전략, 지도 시 어려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제작된 설문지는 서울, 경인 지역의 영유아 교사에게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유아 교사들은 행동이 공격적이며 타인에게 물리적 피해를 입히는 경우를 문제행동이라고 생각한 반면, 유아 개인의 문제, 타인에게 물리적 피해가 가해지지 않는 경우는 문제행동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영유아 교사들은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원인을 파악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성인에게 원인을 찾기보다는 영유아에게 원인을 찾고자하였고, 지도 전략을 행하는 데 있어서는 교사의 담당 연령과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유아 교사들은 문제행동 지도에 대해 약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경력에 따라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problem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concept, teaching methods and difficulties in child problem behavior.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a questionnaire that reflected the opinions of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standing of concept about problem behavior, identifying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strategies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difficulties in guiding children's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at aggressive act or physical harm to others can be a problem behavior while personal problems or actions not causing any physical harm to others can not be considered as a problem behavior. Second, teachers tri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behavior. Nevertheless, instead of searching for the cause from adults, they tried to find the cause from the chil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ategies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and type of institution. Third, teachers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in guiding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 teacher's career.

      • 최적영농관리기법(BMPs)을 이용한 무 재배지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분석

        박재진 ( Jaejin Park ),송지예 ( Jiye Song ),유나영 ( Nayoung Yu ),이수인 ( Suin Lee ),최중대 ( Joongdea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비구조적 삭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질토 특성을 가진 밭에 평지(3%) 완경사(8% 내외) 등 2개의 경사도에 대해 각 4개씩 총 8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였다. 각 시험포장의 크기는 폭 5 m, 길이 30 m로 외부 유입수를 차단을 위한 경계벽을 매설하였으며, 하류부에는 유출수를 차집할 수 있는 gutter(차집시설)와 H-flume을 설치하였다. 또한 강우시 플륨을 통해 배출되는 유출수의 수위(유량)를 측정하고, 수질시료를 채취 하기 위하여 수위계와 자동채수기를 설치하였다. 밭은 3%와 8% 각 시험포 마다 경운시험포 2개와 무경운 시험포 2개로 경운하였다. 자연강우 조사는 2회 (2013년 8월23일/94.2 mm, 2013년 9월 13일/72.0 mm), 인공강우 실험은 강우강도 약 30mm/h로 경사도별로 1회씩 수행하였다. 수질분석은 유출수 발생시 수질시료를 채취하여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SS, BOD, T-P, T-N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연강우 시 경운방법 대비 무경운 방법의 유출율 저감효과는 경사도 3%에서 22.8%, 경사도 8%에서는 약36.6%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부하는 수질항목별로 3%에서 45~95%, 경사도 8%에서도 약 50~99%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강우 결과 자연강우와 동일하게 무경운이 경운보다 유출율과 오염부하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율 저감효과는 약 62.8%, 오염부하는 BOD 81.6%, TN 83.9%, TP 88.3%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같이 자연강우와 인공강우 실험에서 유출율과 오염부하 발생과 저감효과에 차이는 있었지만, 경운보다는 무경운 방법이 유출률과 오염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경운의 경우 기존 작물 수확 후 남아 있는 뿌리와 잔류물 등에 의해 빗물의 토양 침투능을 증가시켜 유출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토양이 교란되지 않아 토양 내에 있는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2번의 자연강우와 1번의 인공강우의 모니터링을 통한 분석 결과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