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박은하 ( Eun Ha Park ),최수정 ( Su Jung Choi ),오충현 ( Choong Hyeon Oh ),정부희 ( Boo Hee Jung ),이나연 ( Na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ㆍ교육적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concept of Eco-welfare emerg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ealthy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eco-welfare policy realization by conceptualizing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since national parks are appropriate places for eco-welfare to be optimally implemented. A pre-workshop and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 and the main elements to be included in ecosystem service.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defined as efforts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ecosystem and create harmony between ‘National Park Ecosystem Welfare’ and ‘National Park Human Welfare’.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policy, we identified the main elements of ecosystem servic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Park. These are comprised of 3 elements (food, fresh water and genetic resources) from supply service, all elements from regulating service and supporting/habitat service and 4 elements (aesthetic information, recreation-based ecotourism, healing, and knowledge systems with educational values) from culture servic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established, and its policy objectives and scope were suggeste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ction plans areand thereby realize the policy.

      • 24㎓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주차환경 지도 제작

        서동은(Dong-Eun Seo),김병성(Byung-Sung Kim),완주(Wan-Joo Park),김동석(Dong-Suk Kim),이쾌희(Kwae-Hi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deals development of an suitable methods that detecting a parking lot in various parking situations. The methods are merging points according to objects on parking map and removing a scattering points using reflected signal amplitude information of 24㎓ Short Range Radar. Results through these processes to make parking map have maximum error +/-10㎝ in experiment T-parking and P-parking situations. This result is better stable than ultrasonic, laser sensor.

      • KCI등재후보

        노후산업단지의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사례중심으로 -

        박은병(Park, Eun-Byung),인(Park, In) 대한부동산학회 201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9 No.1

        ‘60년대 초부터 도시내 조성된 노후화된 산업단지 및 산업지역의 재정비가 국가적 과제 및 지역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도시내 산업단지는 도심이라는 지리적 기반을 바탕으로 도시성장을 견인하고, 또한 새로운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고부가가치형, 환경친화형 산업단지로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노후 산업단지의 재정비 및 재생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수익성과 복잡한 이해관계 때문에 현 제도 하에서 원활한 재정비 추진이 곤란한 실정이다. 노후산업단지에 대해서 업종구조의 고도화 및 기반시설 재정비 등을 통해 국가 및 지역경쟁력의 제고와 이를 위한 재생차원의 방안이 모색되기 위하여, 먼저 사업시행을 원활히 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먼저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후 산업단지의 재정비 및 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도적 실행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노후산업단지의 재생을 위한 주요 쟁점과제를 도출하고 국내외 선진사례검토를 통해 주요 쟁점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Reorganizations of aged industrial park and industrial area that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960s has been issued to the regional level of autonomous government as well as national level for vital economy. The old industrial park in the city has been leading the city development for the past, and are encountered to change the city development adopting the high-value and environment friendly industrial park for the future. Even we are fully understood that the reorganization and regeneration of aged industrial park are needed, the complexity and profitability of the project are not smoothly implemented. Therefore, the plan for the business type advanced of the aged industrial park and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will be reviewed and prepared to make the nation and region to have competitive edge for regional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a institutional strategy to implement the project are prepared and supported. This study is to conclude controversial issues on the regeneration of aged industrial park from the domestic and foreign experiences and case studies and suggest some lessons and implementing strategy for the successful regeneration of aged industrial park.

      • KCI등재후보

        〈통영개타령〉의 연원 연구

        박은현(Park, Eun-hye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24 국악교육 Vol.54 No.54

        〈통영개타령〉은 경상도 통영 지방의 통속민요로 알려졋으나 실상은 그 연원이 불분명하다. 이에 본고에서 〈통영개타령〉의 유래를 알아보기 위해 사설과 선율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사설의 검토는 통영 지방의 토속민요에서 현재의 〈통영개타령〉으로 발전되었다는 통설을 확인하기 위해 “개야 개야”로 시작하는 토속민요의 사설을 비교하였는데, 검둥개에게 짖지 말라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점이 〈통영개타령〉과 유사하다. 1960~1970년대에 발매된 〈개타령〉의 사설 또한 일부분에서 차이가 있을 뿐, 현행 〈통영개타령〉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선율의 검토는 사설이 유사한 악곡을 선별하여 현행 〈통영개타령〉과 비교하였는데, 경상도의 토속민요는 일부 리듬이 〈통영개타령〉과 유사할 뿐, 선율은 대체로 다르다. 1969년에 발매된 김세레나 노래의 〈개타령〉(진선미 작사, 김부해 작편곡)과 박귀희의 가야금병창 〈통영개타령〉은 현행과 선율이 동일하다. 1939년에 발매된 유성기음반 〈삽살개타령〉은 대체적인 선율의 흐름이 유사하나, 신경토리가 아닌 요나누끼 단음계로 구성되어 다른 느낌을 준다. 또한 선율을 확인할 수는 없으나 1933년에 경성방송국에서 방송된 가야금병창과 남도민요 〈개타령〉이 현행 가야금병창 〈통영개타령〉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므로 〈통영개타령〉의 연원을 적어도 1930년대까지 소급할 수 있다. 현행과 같은 형태는 음반 발매량이 대폭 증가한 1960년대 이후에 사설 구조와 선율이 정형화된 것이다. 〈통영개타령〉은 제목의 지역명으로 인해 경상남도 통영 지방의 통속민요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통영개타령〉은 토속민요와 서도의 재담소리, 신민요, 가야금병창 등의 다양한 음악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신민요인 것을 알 수 있다. 〈Tongyeong Gaetaryeong〉 is known as a Popular folk song in Tongyeong, but the actual origin is unclear. Therefore, in this paper, it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lyrics and melodies to find out the origin of 〈Tongyeong Gaetaryeo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yrics of the Local folk songs that begin with gaeya gaeya to confirm the general opinion that it has developed from the Local folk song in Tongyeong to the current 〈Tongyeong Gaetaryeong〉, which is similar to 〈Tongyeong Gaetaryeong〉 in that it consists of telling the black dog not to bark. The lyrics of many 〈Gaetaryeong〉 records, released in the 1960s and 1970s, also differ in part but are similar to the current 〈Tongyeong Gaetaryeong〉. In terms of melody, selected songs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Tongyeong Gaetaryeong〉. The melodies of Gyeongsang-do folk songs are generally different, although some rhythms are similar to 〈Tongyeong Gaetaryeong〉. The melody of Kim Serenas song 〈Gaetaryoeng〉(lyrics by Jin Sun-mi, composed and arranged by Kim Bu-hae), released in 1939, has a similar melody line to 〈Tongyeong Gaetaryeong〉, but it has a different impression due to being composed of a Yonanuki minor scale rather than a Sin-Gyeongtori. In addition, although the melody cannot be confirmed, the Gayageum Byeongchang and southern singing style of 〈Gaetaryeong〉 broadcast on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in 1933 appear to be related to the current Gayageum Byeongchang 〈Tongyeong Gaetaryeong〉, so the origin of 〈Tongyeong Gaetaryeong〉 can be traced back to at least the 1930s. The current form is that the lyrics and melody have been standardized since the 1960s when the number of record releas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ongyeong Gaetaryeong〉 is a New folk song formed by the influence of various music such as Local folk songs, Jaedam sori[joke song] of Seodo, New folk songs, and Gayageum Byeongchang.

      • KCI등재

        한국 영화 제목의 외래어 사용 실태

        박은하(Park, Eun-ha) 한국사회언어학회 2009 사회언어학 Vol.17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foreign words are used in Korean movie titl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itles of Korean movies released in or after 2000 and obtained the frequency with which foreign words are used in Korean movie title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Korean movie titles on the basis of the words used as follows: native, Chinese, mixed, and foreign. As a result, mixed movie titles a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Chinese movie titles, native movie titles and foreign movie titles. Especially for the foreign movie titles, this study also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structures, the number of their syllables/words, year of release, and their genres. When the movie titles were sorted by morphological structures, movie titles with word-type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the titles with phrase-type and those with sentence-type. And when the movie titles were sorted based on the number of syllables/words, the average syllable number was 4.75 and the average word number was 1.9. Finally, this study observed the patterns in the use of foreign words in Korean movie titles and further examined the types of misusage in terms of their Korean Romanization.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둔촌동 습지 복원 후 식물상 및 생활형 변화

        박은하 ( Eun Ha Park ),오충현 ( Choo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습지는 과거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를 거치면서 쓸모없는 땅, 버려진 땅으로 치부되었으며 하천의 직강화·단순화와 댐과 수중보, 도로의 건설, 유기질 토양의 농지전용 등과 같은 인간중심적 개발 요구 및 토지이용에 의해 많은 양이 소실되었다(이우성 등, 2009). 전세계적으로 습지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재평가되면서 습지의 보전 및 복원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노력을 하게 되었다. 습지는 서울시와 같이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에서는 희소가치가 있는 서식지로서 현재는 경작 및 개발압으로 인해 훼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시급한 보호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습지의 보전을 위한 연구로 습지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생활형을 조사하여 습지의 다양한 환경조건과 식물의 생활방식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생활형은 생물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있는 형태로서 특정한 환경조건에 밀접하게 적응하고 주요 환경요소 등의 상호작용, 공존하는 식물들간의 직접적인 경쟁 등을 나타낸 것이다(김창환과 명현, 2009; 임양재 등, 1982) 또한 식물군집에서 종조성 뿐만아니라 보통의 환경요소에 대한 군집의 반응, 공간의 사용, 군집내에서의 경쟁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Muller and Dombois, 1974). 특히 도시습지는 도심 내 위치하거나 도시 주변에 위치하여 인위적 교란의 발생빈도가 높은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식물의 생활형분석을 통한 습지의 식생적 특징 분석은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둔촌동 습지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둔촌동 습지의복원 후 식물변화를 Numata 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향후 도시습지의 보전, 복원 및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은 강동구 둔촌동 212번지 일대 둔촌 주공아파트 뒤편에 남아있는 습지로, 4,865㎡가 2000년 3월 한강 밤섬에 이어 두 번째로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002년 12월 2일 기지정된 지역에 접한 산림에 자라는 오리나무림과 지하수 용출지를 포함한 19,831㎡를 확대 지정하여 총 24,696㎡(2012년 12월 기준)가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해당 습지에는 서울시내 산림지역에서 희소성이 높은 오리나무림이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용출수에 의해 습지가 형성된 서울에서는 보기 힘든 지역이다. 2003년까지는 밭경작으로 인한 훼손이 이루어졌으나, 동년 12월 매립표토의 제거, 담수지 조성, 용출지와 수로조성 등 물리적인 습지복원을 중심적으로 실시하여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지역의 2002년 식물상 조사결과 49과 124종 18변종 2품종 144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복원 후 2007년에는 59과 143종 19변종 1품종 163분류군, 2012년에는 50과 97속 100종 19변종 4품종 123분류군이 출현하였다(서울특별시, 2003; 2008; 2012). 휴면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1년생 식물(Th)이 2002년 42.2%에서 2008년 35.0%, 2012년 30.6%로 복원 전에 비해 감소하였고 반지중식물(G)은 2002년 42.2%에서 2008년 35.0%, 2012년 30.6%로 복원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 김창환(2011)에 의하면 습지평가가 우수한 습지에 반지중식물(G)이 많이 분포하고 교란이 심한 습지에서 상대적으로 1년생 식물(Th)이 많이 분포하였다. 지하기관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정착 초기에 유리한 단립식물인 R5가 2002년 68.1%에서 2008년 64.4%, 2012년 59.5%로 감소하였고 지하나 지상에 연결체를 만드는 종들이 증가하였다. 산포기관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력산포형(D₄)은 2002년 48.9%, 2008년 43.1%, 2012년 42.1%로 복원전에 비해 복원 후 감소한 반면 동물산포형(D₂)은 2002년 6.7%에서 2012년 13.2%로 다소 증가하였다. 생육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직립형(e)은 증가하였고 총생형(t)은 2008년 증가하였다가 복원 전에 비해 2012년 감소하였으며 인위적·자연적 교란에 의해 다양한 유형의 생육형이 공존하고 있었다.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은 복원 이후 이전보다 다년생식물이 늘어나고 다양한 야생조류, 양서·파충류가 출현하며 동물산포형 식물이 늘어나는 등 습지생태계가 전반적으로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수심유지를 위한 인공제방의 경우 자연적인 추이대 형성을 방해하고, 자연경관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인공제방이 아닌 습지생태계로 회복 및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변화관찰을 통해 보다 건전한 생태계로 발전하기 위한 보전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증례 : 혈액종양 ; T 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발생한 신경림프종증 1예

        석영 ( Suk Young Park ),지찬 ( Ji Chan Park ),이연수 ( Yeon Su Lee ),성필수 ( Pil Soo Sung ),정모은 ( Mo Eun Jung ),전병연 ( Byoung Yun Jun ),하욱 ( Ha Wook Park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6

        신경림프종증은 림프종 세포가 뇌신경을 포함한 말초 신경계를 침범하는 드문 질환이다. 신경림프종증은 최근 영상의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진단율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흔하다. 저자들은 T 세포 림프종 치료도중 수근 하수 증상이 나타난 신경림프종증 환자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eurolymphomatosis, defined as a selective infiltration of lymphoma cells into cranial nerves, peripheral nerves and nerve roots, is a rarely recognized manifestation of lymphoma. Its characteristic symptoms are often overlooked or mistaken for other conditions, such as a peripheral polyneuropathy, due to chemotherapeutic agents or clinical findings of metastatic lesio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cently, neurolymphomatosis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We present a case of neurolymphomatosis manifesting as peripheral mononeuropathy in a patient with T-cell non-Hodgkin`s lymphoma. (Korean J Med 79:714-719, 2010)

      • 전력보호제어 정보센터 · 구축운영 사례

        관창(Gwan-chang Park),천영식(Young-sig Cheon),일호(Il-ho Park),최형일(hyeong-Il Choi),봉석(Bong-Suk Park),김은식(Eun-Sig Kim),김인대(In-Dae Kim)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본 논문에서는 발전플랜트와 같은 소내전력계통의 보전력시스템관련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등의 자원들을 통합관리하고 원격제어기술을 이용 Server의 자원을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Web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한 사례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Web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환경과 각 구성시스템 자원들을 어떻게 이용하여 Server의 자원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용하는가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