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초ㆍ중기 진주 동면의 右族 거주 里坊에 대한 연구

        박용국 ( Park Yong-gu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경상도지리지』 진주 임내 반성현의 四方界域에 의하면 그 구역 내에 해당하는 리방은 반성리·가수개리·정수개리·비라동리·부다리·상사리·용봉리·청원리·승어산리 등 모두 9개소였다. 그 리방의 자연촌은 연계재본 『진양지』에 의하면 35개소이지만 그 실태를 고증한 결과 모두 39개소였다. 우족이 정착한 리방의 자연촌과 시기를 검토한 결과 상사리 우곡촌에는 진양정씨 우곡공파 隅谷 鄭溫(1324-1402), 상사리 백야동에는 고려말기 진양정씨 은열공파 都染署令 鄭淳이 정착했다. 또한 백야동에는 울산김씨 白巖 金大鳴(1536-1603)의 고조부 奉化縣監 金國老가 정순의 딸과 혼인을 통해 이주했다. 그리고 정수개리 莫耶洞에는 16세기 초에 청주한씨 遯菴 韓承利(1477-1536)가 입향하여 정착했으며, 한승리의 사위 재령이씨 사의공파 大山 李琠(1502-1579)과 그의 仲兄 李琛이 입향하여 거주하기도 했다. 상사리 백야동의 정순의 내외손 가문들과 정수개리 막야동의 청주한씨 가문은 우족으로서 우월한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함안과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상우도의 유력 가문들과 혼인을 통해 사회적 기반을 확고히 하고 재지적 기반을 확장하였다. 그들 우족들은 남명학파의 인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삼고, 대과와 사마시 합격자를 다수 배출함으로써 정치·사회적 활동과 영향력도 적지 않았다. 특히 상사리 백야동의 우족들은 향촌지배권을 두고 진주목사 이제신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우족 가문들이 반성현의 縣內 외곽 상사리와 정수개리에 정착하여 번성함으로써 자연촌과 리방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상사리의 속방, 즉 자연촌 백야동은 白也里로 지칭될 만큼 리방의 규모로 성장했다. 정수개리의 중심 마을은 조선 초기까지 龍巖寺의 寺下村인 용암촌이었으나 16세기 초에 이르러 우족 가문이 정착한 막야동이 그 중심 마을로 성장했다. 정수개리와 상사리는 반성현의 지역촌 가운데 縣內 다음으로 이른 시기에 촌락이 형성되고 우족 중심의 리방으로 성장하였다. First, According to the four-way boundary of Bansonghyon, the Jinju Imnae of 『Gyeongsangdojiliji』, there were 9 Libangs within that area, including Bansongri, Sangsangri, and Jeongsugaeli. The natural villages in nine Libang were 35 places according to the Yeongyejaebon 『Jinyangji』, bu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39 places in al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atural villages and time period of Libang where Ujok settled, Jinyang Jeong Clan Ugoggongpa Jeong On settled in Sangsari Ugogchon and Jinyang Jeong Clan Eunyeolgongpa Jeong Soon settled in Sangsari Baekyadong in the late Goryeo, respectively. Also, Ulsan Kim Clan Kim Guk-ro moved to Baekyadong through marriage with Jeong Soon's daughter. Jeongsugaryri Makyadong was settled by Cheongju Han Clan Han Seung-ri at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and Han Seung-ri's son-in-law Jaelyeong Lee Clan Sauigongpa Lee Jeon and former second older brother Lee Chim moved there. Third, the Nae'oeson(內外孫) family of Jeong Soon of Sangsari Baekyadong and the Cheongju Han Clan family of Jeongsugaryri Makyadong established a social foundation through marriage with the influential families of Haman and Jinju, based on their superior social status as Ujok. Through this, they expanded their base within the region. These Ujoks, based on Nammyeonghagpa's human network, produced a large number of Gwageo Exam passers, so they had considerable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and influence. In particular, the Ujoks of Baekyadong had conflicts with Jinju Governors Lee Je-sin over the dominance of rural communities in the process. Fourth, Ujoks settled and prospered in Sangsari and Jeongsugaryri outside Hyunnae of Bansonghyon, leading to the growth of natural villages and Libang. Sangsari's Baekyadong was also referred to as Baekyari. This has a lot to do with Baekyadong's growth.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entral village of Jeongsugaryri was Yongamchon, the Yongamsa Saha village. However, by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Makyadong, where the Ujok family settled, has grown as its central village. Sangsari and Jeongsugaryri are considered to be Libang, where Ujok-centered villages were formed and developed in the earliest period after Hyunnae among the district villages of Bansonghyon.

      • KCI등재

        조선 초기 함양 개평리의 사족 형성 연구

        박용국 ( Park Yong-guk ) 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논집 Vol.64 No.-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ajok of Hamyang Gaepyeongr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aepyeongri appears in history since the end of Goryeo. Gaepyeongri existed as Gaepyeongchon belonging to Deokgokr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aepyeongri has excellent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d high productivity. This condition is the main reason why Sajok has settled in Gaepyeongri in late Koryo and early Chosun. Hamyang Emigration of multiple families has a great significance for regional history in late Koryo and early Chosun. Because their families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Jaeji-Sajok of Hamyang area and Gyung Sang Woodo and has a big influence. Gaadyeongri emigration of Hadong Jeong Family has become a turning point where multiple families emigrated to Gaepyeongri. Especially Jeong Bok-ju of Hadong Jeong Family acted as a centripetal force for migration of multiple Sajok families to Gaepyeongri in late Koryo and early Chosu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Gaepyeongri history. Because Gaepyeongri not only formed Sajok village but also based on Gaepyeongri, those Sajok families have grown into the leading Jaeji-Sajok in the Hamyang area.

      • 특집 : 남명 조식의 문화유산으로서 뇌룡정 연구

        박용국 ( Yong Guk Park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이 논고는 雷龍舍의 의미와 장소성, 그 유산의 보전 노력, 토동의 뇌룡정 중건과 장소성에 관한 실증의 글이다. 먼저 뇌룡사는 함양을 의미하는 尸居와 淵默, 도의 실현을 의미하는 龍見과 雷聲에서 舍號를 취하였으므로 敬義의 의미를 지닌 장소였다. 뇌룡사의 의미 와 장소성을 대변하는 「신명사도」는 남명사상의 핵심인 경의를 나 타낸 그림이며, 「을묘사직소」는 남명 조식의 사회적 실천 의지를 보여주는 上流이다. 남명 생전에 삼가 토동의 뇌룡사와 덕산의 뇌 룡사가 있었는데, 전자에 비해서 후자가 보다 은밀한 장소성을 지녔다고 생각된다. 토동의 뇌룡사는 강의 이름으로 의미가 확산되 고, 그 의미가 인적 네트워크의 확대에 매개체가 되었다. 다음으로 토동의 뇌룡사는 1593년 왜군에 의해 불탔다. 이후 뇌룡사의 문화유산적 가치는 1678년 용암서원 내의 뇌룡정 중건·중수와 토동의 그 遺址 보전으로 말미암아 계승될 수 있었다. 다만 용암서원에 중건된 뇌룡정은 장소성의 변화를 겪었다. 남명 의 삶을 대변하는 뇌룡사의 의미를 잃었기 때문이다. 뇌룡정은 1758년, 1812년에 각각 중수되 었으며 , 1868년 대원군의 서 원철 폐령으로 말미암아 용암서원과 함께 훼철되었다. 그리고 삼가 토 동의 뇌룡사 遺址는 고을 선비들이 기단을 쌓고 松竹을 심어서 그 자리를 보전하였으며, 훗날 토동의 뇌룡정 중건의 기초가 되었다. 뇌룡사 유산의 보전의 노력들은 三洲 申領仁과 홉萬 曺禮奎의 기 록에서 잘 알수 있다. 끝으로 창와 조희규는 1873년과 1876년 두 번에 걸쳐 뇌룡사 의 옛 자리에 그 중건을 발의하였다. 그러나 창와가 1877년 세상을 떠나면서 중건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마침 신두선이 1883년에 삼가현감으로 부임함으로써 창와의 뜻이 실현되었다. 1885년 현 감 신두선이 주도하고 팀山 許愈 · 老拍幹 鄭載圭 등이 주관하여 토동의 뇌룡사 옛터에 뇌룡정을 중건하였다. 후산은 뇌룡사에 들 어온 듯하고 남명을 마주하는 듯하다고 감격했다. 그만큼 장소성이 강화되었다는 의미이다. 중건 후 그들은 ``雷龍亨約會節目``을 구 성하여 음력 3월 15일과 9월 15일에 솟禮를 올려 남명의 학덕을 추모하고, 후산과 노백헌이 서로 돌아가며 講長을 맡아 講會를 주 도하는 등 남명 기념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이런 기념사업을 제대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지방자치단체]의 관심 이 필요하다. 지역이 기억하지 않는 장소는 어느 누구도 찾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또 그 전체 조건은 남명연원 가문의 자존심이 뇌룡정의 장소성 강화에 절대적 가치를 지닌다는 인식의 공유와 실천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Noeryongjeong as a cultural heritage of Narnrnyeong. Josik. Noeryongsa was the place for forming an ideal personality and social practices of Narnrnyeong. "Sinmyeongsado" and "Eulmyo Sajikso" is to represent Noeryongsa``s meaning and Sense of Place. This "Sinmyeongsado" is a figure showing the Gyeong-Ui of the core of Narnrnyeong``s thought. "Eulmyo Sajikso" is a Sangso that showing the social practices of Narnrnyeong``s will. Noeryongsa is meant to spread into the river name, its meaning has become a vehicle for expanding social network. Noeryongsa is burned by the Japanese invaders in 1593. And conservation efforts of its heritage has been made in both directions. In 1678, Noeryongjeong was built again in. Yongam-Seowon. Then Noeryongjeong was done twice over a major repair. And Noeryongsa ruins in Samga``s Todong were preserved through the efforts of such scholars. they planted of pine and bamboo in there. Changwa. Cho hui-kyu offered to be rebuilt Noeryongsa on the ruins of Noeryongsa in Samga``s Todong over twice. But it did not work. Because he died in 1877. Finally Noeryongjeong was built back in 1885 on the rums of Samga``s Todong. This work is led Hyeongam Sin du-sun. Husan. Huh yu and Nohbaekheon. Jeong Jae-gyu, etc. were in charge of a reconstruction. Reconstructed Noeryongjeong is the successor to the previous Noeryongsa. Husan and Nohbaekheon tribute to the Hakdeok of Nammyeong throughout the spring and fall twice, and held various commemorative projects actively. What``s more, the commemoration of Nammyeong requires the restoration of self-esteem Nammyeonghakpa``s family. And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urgent attention to tha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투고논문 : 임진왜란기(壬辰倭亂期) 진주지역(晉州地域)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의병활동(義兵活動)

        박용국 ( Yong Guk Park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글은 임진왜란기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을 연대기적 방법으로 정리한 것이다. 임진왜란기 진주지역의 의병활동은 주로 진주 동부지역 남명학파 인물들이 주도하였다. 그들은 金大鳴, 孫承善, 許國柱, 鄭惟敬, 河天瑞, 姜起龍, 鄭承勳 등이며, 주로 學脈이나 婚脈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은 1592년 5월 중순 무렵 진주성 방어체제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이후 진주 인근의 왜적을 방어하여 6월 중순까지 안정을 가져왔다. 그리고 왜군이 6월 중순 이후 1천여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하여 진주를 공격하자, 김대명ㆍ정유경 등의 의병은 金時敏의 官軍과 연대적인 방어체제 구축하여 고성과 진해의 적을 격퇴하여 물리쳤다. 1592년 제1차 진주성 전투 때 外援한 의병장은 곽재우를 비롯하여 尹鐸과 鄭彦忠, 崔堈과 李達, 趙凝道와 鄭惟敬 등이었다. 특히 정유경은 5월 중순 의병을 일으킨 이후 진주성 전투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응원을 하였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곽재우ㆍ최강 등은 수성과 외원이 불가능하다고 하여 의병을 보존하는 실리를 택하였다. 반면에 정유경과 강기룡 등과 같이 진주지역 남명학파 의병장들은 수성을 택하여 장렬히 순절했다. 成汝孝와 같은 진주지역 유생도 입성하여 희생되었으며, 韓誡, 김대명, 정승훈 등은 입성하지 않고 피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chronicles the Euibyeong(義兵) militia activities of Namyeong Hakpa(南冥學派) based in Jinju region during the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uibyeong militia activities during that period were mostly led by soldiers of Nammyeong Hakpa in eastern Jinju region including Kim Dae-myeong, Son Seung-seon, Heo Gook-ju, Jeong You-kyeong, Ha Cheon-seo and Kang Ki-ryong. They created the network based upon their school(學脈) and marriage ties(婚脈). Euibyeong activities of Nammyeong Hakpa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defense system in Jinjuseong(晋州城) in the middle of May 1592, and the soldiers defended the attack of Waegoon(倭軍) near Jinju region until the middle of June. In addition, in mid-June when Weagoon mounted an attack on Jinju with a force of more than a thousand soldiers, soldiers including Kim Dae-myeong, Jeong You-kyeong fought off the enemy in Goseong and Jinhae by building a joint defense system with Gwangoon(官軍), represented by Kim Si-min. Kwak Jae-woo, Yoon Tak, Jeong Un-choong, Choi Gang, Lee Dal, Joe Eung-do and Jeong You-kyeong were among Euibyeongjang, the leaders of Euibyeong troops, who provided assistance for the first Jinjuseong Battle in 1592. In particular, Jeong You-kyeong was the one who gave most active and continuous support to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in 1593 after raising Euibyeong by himself in mid-May. In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in 1593, leaders including Kwak Jae-woo and Choi Gang made a practical decision to preserve their own Euibyeong troops as they found it impossible to provide help for the battle and protect the fortress, Jinjuseong. On the other hand, Nammyeong Hakpa Euibyeongjang based in Jinju such as Jeong You-kyeong and Kang Ki-ryong chose to protect Jinjuseong and died gloriously in defense of the fortress. Yousaeng(儒生) in Jinju region including Seong Yeo-hyo made an entry into the fortress and were killed by the enemy. It is assumed that Han Gye and Kim Dae-myeong fled, not making an entry into the fortress.

      • KCI등재

        新羅 蓮池寺 鑄鐘佛事의 背景과 그 性格

        박용국(Park, Yong-guk) 신라사학회 2010 新羅史學報 Vol.0 No.20

        이 글은 蓮池寺 鑄鐘佛事의 背景과 性格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연지사종 鑄成의 지역사적 의미를 담아내고자 했다. 833년에 주성된 연지사종은 1593년에 7월 倭軍에 의해 일본으로 약탈되었다. 그동안 연지사종은 진주지역의 인간들에게 사회ㆍ문화ㆍ정치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였던 문화유산이었다. 연지사는 중앙지배층에 의해서 불교 통제의 중심 사찰이자 지방지배의 중심 사찰로서 일정하게 활용되었으며, 거기에서 행해진 주종불사도 그와 관련이 깊은 정치ㆍ사회적 목적에서 나왔던 것으로 정치적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菁州 州治의 在地勢力은 연지사의 주종불사를 주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청주 주치는 金憲昌의 반란에 가담하였던 곳이고, 연지사도 僧官制 관련 사찰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國人이 마음대로 財貨와 田地를 佛寺에 施主하는 것을 금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지사의 주종불사는 국가가 주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 물적 제공은 청주 재지세력(향촌주 등)과 그들 지배하의 공동체(州治)가 자발성을 가장한 施主의 형태였다. 주종불사의 비용은 청주 주치에서 나왔으며, 이를 실제 주도했던 세력은 검헌창의 난 이후 세력을 유지한 族團으로서 나말여초 진주지역의 호족세력으로 성장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making the Cheongju(菁州) Yeonjisajong(蓮池寺鐘),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It has come to the conclusion as below. Yeonjisajong was made in 833, and plundered to Japan in July 1593 by the Japanese army. During the time, the Yeongjisajong had been the cultural as sets that led the local residents to shar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xperiences. In addition, Yeonjisajong is the clue to under stand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the local powers during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Jujongbulsa(鑄鐘佛事) of Yeonjisa is significant when Cheongju, its background, is considered in the aspect of Juchi(州治). Yeonjisa Jujongbulsa can be the clue to understand the local residents in terms of the changes by opportunities and their continuity. In the macroscopic view, the communality, which was reformed in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lasted until the 15thcentury. Jujongbulsa was politically plotted in order to reunite the local powers and the local residents, which were shifted by the Kim Hun-chang`s Riot, under the central power through religious manifestation, which could be the most noble cause. However, the supply of materials was provided by Hyangchonju(鄕村主) and Chachonju(次村主) pretending that it was a voluntary act.

      • KCI등재

        조선 중기 삼가 구평리 파평 윤씨 가문의 혼맥과 사회적 위상

        박용국 ( Park Yong-guk ) 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논집 Vol.67 No.-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ore through a Marriage network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powerful Sajok of Samga-hyun after the Papyeong Yoon’s family settled down in Gupyeong-ri. This thesis was based on the method of thorough verification of the literature data. The Iphyangjo of Papyeong Yoon Clan of Gupyeongri is Yoon Yeon, the son of Yoon SaKon. He comes from the representative Hunchok family in the early and mid Joseon Dynasty. It was around 1470 when he entered Gupyeong-ri. He emigrated to his mother's hometown. Yoon Yeon increased the status of his family in the local community by expanding the social network through a Marriage network based on the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of the family of Jinyang Kang Clan. The Papyeong Yoon’s family in Samga-hyun consisted of the descendants of Yoon SuJong. The Yoon EonHyo and Yoon EonRae, the sons of Yoon SuJong, established their social status as the powerful Sajok of the Samga-hyun by their own power. Yoon Tak and Yoon Sun has made a great success by his loyalty and high office. Therefore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Gupyeong-ri Papyeong Yoon’s family has greatly increased. But the political base of the Gupyeong-ri Papyeong Yoon’s family was virtually collapsed by the enthronement of the king In-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