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脫석탄 정책의 배경과 주요 법제

        박시원(Park, Si-Won),김승완(Kim, Seung Wa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환경법과 정책 Vol.24 No.-

        2015년 선언된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 세계 전력분야의 脫탄소화(decarbonization)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전력 분야에서 석탄발전소 운영을 중지시키는 정책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석탄은 세계전력 생산원의 약 40%를 차지하며, 천연가스보다 단위 전력량 당 이산화탄소를 약 2배 배출하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이기 때문이다. 2018년 인천 송도에서 채택된 파리협약 목표 이행을 위한 배출경로를 분석한 ‘IPCC 1.5도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하기 위해서 2050년까지 전 세계 석탄발전을 중단해야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탈석탄 정책이행을 위한 법 개정이 가장 활발한 곳은 유럽으로 이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가장 최근 독일, 헝가리, 그리스 등 15개 국가가 탈석탄 목표를 공식 선언하고 이를 법제화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논문은 전 세계에서 석탄발전의 역사가 가장 깊은, 그러나 가장 먼저 탈석탄 정책을 선언한 영국의 탈석탄 정책의 배경과 추이, 법제화 노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전력분야 개혁을 추진하면서 영국의 전력분야사례를 모델로 삼은 바 있으며, 현재 석탄발전 비중이 높은 상태에서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 석탄발전 강국에서 현재 탈석탄 국가로 앞서가고 있는 영국 사례를 참조하는 것이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영국은 1990년 이후 전력시장 민영화 및 경쟁체제를 도입하였고 기후변화 국제논의 시작에 맞추어 배출권거래제 등 탄소가격제도를 도입하였다. 2013년부터는 본격적인 전력분야의 탈탄소화 목표를 위해 탄소가격제도 이외에도 탄소세 성격의 탄소가격하한제, 신규석탄진입을 막기 위한 온실가스배출기준 강화, 재생에너지 촉진을 위한 발전차액제도, 탈석탄 이후 전력공급 안정화를 위한 용량보상제도 등을 도입하여 탈석탄 정책을 이행 중이다. 영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확고한 정책 의지가 있어야 한다. 둘째, 배출권거래제와 같은 가격정책, 시장정책만으로는 탈석탄 효과를 담보하기 어렵다. 셋째, 그럼에도 여전히 기후변화 외부비용을 내재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탄소가격정책은 탈석탄 목표를 위해 필요하다. 넷째, 영국의 사례는 에너지전환과정에서 전력분야의 안정성, 경제성, 환경성이라는 세 가지 정책 목표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Phasing out coal became one of critical policy tools to meet the 2015 Paris Agreement target in a cost-effective manner which requires decarbonization in the electricity field worldwide. Coal contributes 40% of electricity generation worldwide and emits carbon dioxide twice as much as natural gas, therefore is a major source of greenhouse gas. The IPCC’s 1.5 degree special report demands the 45%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30 from its 2010 emission level and achieving ‘net-zero’ by 2050 to meet the Paris Agreement’s target of 1.5 degree. In the electricity sector, this means the world needs to phase out the coal by 2050. In Europe, the coal phase out policy is being aggressively implemented. So far, the fifteen countries including UK, Germany, France, and Italy, declared the coal phase out and three more countries including Spain is considering adopting coal phase out policy. UK is the first country that declared the coal phase out.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UK phasing out coal and to analyze the core policy tools in phasing out coal. The UK study case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 to the Korean society, as Korea chose to adopt UK-style electricity market during its incomplete reform efforts in 1990s and also as a country with high share of coal electricity trying to find a right way to energy transition. Based on the UK case study, this article is trying to suggest policy options to meet the Paris Agreement target in the electricity sector while discussing the policy coordination with air pollution policy including earlier close down of coal power plants. Ultimately, this study strives to contribute to policy design to address climate change issues in the electricity sector. UK started the privatization of electricity sector starting late 1980s and adopted various market mechanisms including EU-ETS while the international society discussed collective way to address climate change. From 2013, UK has been aggressively adopting various policy tools to phase out coals such as carbon pricing floor, feed-in-tariff, carbon intensity standard and capacity mechanism. The followings are implications for Korea. First, there should be a clear policy toal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econd, price mechanism such as ETS is not enough to cease coal. Third, price mechanism still matters to internalize climate externalities. Fourth, it is complex and difficult to balance all three policy goals of electricity – stability, affordability and environmental substantiality.

      • KCI등재

        기후변화 체제의 재정분야 쟁점과 녹색기후기금(GCF)의 역할

        박시원(Park, Si-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환경법과 정책 Vol.13 No.-

        국제사회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현행 국제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국제기후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치열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2015년까지 합의에 이르기로 약속한 新기후체제에서는 개도국들도 적극적인 감축행동을 이행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의 재정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리나라는 기후재정 메커니즘으로 새롭게 설립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의 사무국을 유치하는 성과를 거둔바 있다.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분야 지원을 위한 성공적인 국제 재정메커니즘의 운영은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해묵은 반목과 대립을 불식시키고 협상의 진전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임에 동시에 우리나라의 환경외교의 큰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산적하다. 기금의 규모, 조성방안, 민간자금의 활용범위 및 규모, 기금의 조성시기 등 중요한 쟁점이 여전히 미합의상태이다. 또한 현재 UNFCCC 협약 내외적으로 다양한 기후 관련 기금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GCF가 기후재정의 주요기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여타 기금과의 연계 및 차별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GCF가 현재 당면한 쟁점과 과제를 살펴보고, GCF의 역할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특히 GCF의 역할과 재정 메커니즘에 대한 주요국별 포지션을 분석한다하여 향후 협상 방향성을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GCF의 조기운영과 역할 강화를 위한 적응관련기금과의 통합 및 흡수방안을 제안한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in the midst of negotiation to design the new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gime, which will replace the current Kyoto Protocol.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Kyoto system and post-Kyoto system is that developing countries will bear burden to address climate change issues. The building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echanism to support mitigation and adaptation activ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is a key to the successful regime design. Against this backdrop, the Green Climate Fund was established in 2010, of which secretariat is hosted by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Green Climate Fund would bring new opportunities to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alike, there are still so many pending issues to be resolved before the meaningful operationalising of the Fund, including the size of thd Fund, sources, funding mechanism, timeline of capitalization, and so forth. This paper analyzes key challenges to the GCF’s early capitalization and operation. It also discusses the position of major negotiating members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and convergence in their positions. With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the GCF’s linkage with other adaptation-related funds and possible consolidation. Once the Fund has flow from public finance and gains experience in raising and executing funds in adaptation area, it would have more confidence and capability to actively engage in mitigation support business.

      • KCI등재

        휴양형 리조트 이용자들의 웰빙태도와 선택속성,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박시원 ( Park Si-w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8

        본 연구는 휴양형 리조트를 방문한 고객들의 웰빙태도, 휴양형 리조트의 선택속성, 고객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선행문헌고찰을 통해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설 1~4로 설정하였다. 다음 휴양형 리조트 방문객들 중 휴양을 목적으로 휴양형 리조트를 방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총 332부의 표본이 수집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가설 1검증 결과, 리조트 방문객들의 웰빙태도는 휴양형 리조트 선택속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다음으로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휴양형 리조트 선택속성은 선행연구들과 같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를 채택하였다. 가설 3을 검증한 결과, 리조트 방문객들의 웰빙태도도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며, 가설 4도 고객만족이 고객들의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환대산업에서는 주로 외식분야에서 활용되던 웰빙태도 개념을 리조트 연구분야에 도입하였다는 점이며,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휴양리조트 방문고객들은 주로 정서안정을 위해 방문을 하므로 이와 관련된 마케팅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Relation among Wellbeing Attitude of the customers who visit the vacation resort, Selection Attributes for the vacation resort,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o as to analyze that,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iming at the customers who visit the vacation resort for the purpose of relaxation, among the visitors to the vacation resort. The total number of the samples collected by this survey is 332, and the Actual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at result. The testing of hypothesis 1 suggests that Wellbeing Attitude of the customers who visit the vacation resort has a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lection Attributes for the vacation resort, so hypothesis 1 is partially adopted. The testing of hypothesis 2 suggests that, like the preceding studies, Selection Attributes for the vacation resor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o hypothesis 2 is adopted. At last, the testing of hypothesis 3 suggests that Wellbeing Attitude of the customers who visit the vacation resort also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testing of hypothesis 4 suggests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both hypothesis 3 and 4 are adopted.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otion of Wellbeing Attitude which is utilized mostly in the field of Food Service as to Hospitality Industry is introduced in the field of Study on Resort. And then,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since the customers visit the vacation resort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emotional stability, necessity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ing strategy in reference to that result is deduced.

      • KCI등재

        파리협정과 Post-2020 신기후체제의 서막

        박시원(Park, Si-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환경법과 정책 Vol.16 No.-

        기후변화 국제체제에 있어 2015년은 중요한 해이다. 지금까지의 국제질서를 제공했던 유엔기후 변화협약 하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2020년 완료됨에 따라 2015년 12월 파리총회(유엔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이후 새로운 국제질서에 합의를 마무리하기로 하였기 때문이다. 본 글은 파리회의가 가지는 중요성과 여러 시사점에 주목하며, 지난 25년간 변화한 기후변화 국제규범의 변화를 살펴보고(II), 파리총회에서 협상쟁점 중 법적 쟁점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Ⅲ). 파리총회의 결과를 쟁점별로 분석하고(IV), 이를 바탕으로 파리총회의 의의를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간단히 살펴본다(V). 특히 합의문의 구속력, 감축목표(INDC), 차별화, 이행점검 이라는 네 가지 법적 쟁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파리협정은 195개국 이상의 당사국이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구속력 있는 국제조약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감축노력에 참여하기로 한 국가들의 배출량이 전세계 배출량의 95%를 상회한다는 점1)에서 의미 있는 신기후체제의 서막을 알렸다. 또한 기존의 교토의정서 식의 이분법적 국가차별화에서 벗어나 자국이 스스로 결정하는 차별화 방식을 택하였다는 점에서 보다 많은 국가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교토의정서 식의 강력한 이행준수 및 제재조치에 대한 내용은 없지만, 대신 5년 단위로 각국의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보고하고 이에 대한 국제적 이행점검을 실시하는 제도를 채택하였다. 각국은 감축목표를 설정할 때 기존 목표보다 보다 강화된 목표를 제시하여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있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은 새로운 기후변화체계를 향한 첫걸음에 불과하며, 향후 각국의 협정 비준, 각국이 제시한 감축목표의 상향조정 정도, 각국의 감축의무 이행확보 수단, 개발도상국에 대한 실효적인 재정지원 등 다양한 쟁점을 해결해 나가야 하는 과제가 있다. The year 2015 was a significant timing for the global climate regime. The Kyoto Protocol under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single international law governing climate change, was to terminate in 2020. The international society agreed to agree by 2015 in Paris the post-2020 climate governance.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Paris meeting,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y of the global climate regime for the past 25 years (Ⅱ), identifies the legal issues of the Paris meeting (Ⅲ), analyzes the results of the meeting by issues (Ⅳ), and summarizes the impact of the Paris meeting and the future work (Ⅴ). In particular, this articles focuses on four legal issues - legal character of the agreement, INDC, differentiation, and review of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The Paris Agreement represents a significant step forward in global climate regime as it is an internationally binding treaty agreed by more than 195 parties and the participating parties represents more than 95% of global emission. In addition, it overcame the dichotomy of Kyoto Protocol, and facilitated broader participation among parties with the principle of self-differentiation. Although the Paris Agreement does not contain the articles on strong compliance and punitive penalty clauses, it has a strong transparency system where each party has to submit its emission targets and a global stocktake which tracks the progress of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Each party shall submit a new emission target which shows a progress beyond the previous target. Despite these significant results, the Paris Agreement is only a stepping stone for the new climate regime. In coming years, parties must solve all the remaining issues including ratification process, inducement of higher INDC, implementation of each INDC, assurance of meaningful assistance to developing counties.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서의 미국 환경소송에 대한 고찰

        박시원(Park, Si-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江原法學 Vol.38 No.-

        온실가스를 규제하는 연방정부 차원의 법제와 정책수단이 전무한 가운데 미국 주정부와 시민단체는 환경소송 절차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정책의 방향을 바꾸는데 주된 역할을 하였다. Massachusetts v. EPA 판결에 따라 온실가스는 청정대기법 하 대기오염물질이며 미 연방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은 온실가스를 규제할 권한을 갖게 되었다. 4년 후 미 대법원은 American Electronic Power Co. v. Connecticut 판결에서 온실가스 규제의 유일한 근거법은 청정대기법 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미국의 환경소송은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문제점 인식을 제고하고, 기후변화 과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동시에 소송을 통한 규제 제고는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미국 사법부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스스로 심사 가능 여부를 제한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온실가스 규제관련 정책과정에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시민사회 등 모든 사회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기후변화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 그리고 더 넓은 의미에서 환경 정책 의사결정과정에 적극적인 시민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보다 활발한 환경 소송이 허용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현행법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The US states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advocate groups have used litigation as a strategic tool to nudge the federal government to take actions in the issue area of climate change. The U.S. supreme court decision in Massachusetts v. EPA clarified that greenhouse gases are air pollutants under the Clean Air Act and the U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has the authority to regulate greenhouse gas. Four years after the Massachusetts v. EPA, the U.S. supreme court heard the climate related case again and reconfirmed that the Clean Air Act is the legal basis of climate regulations. Climate related litigations in the United Stat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aising public awareness on negativ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developing climate science. However, the impact of climate related litigation on climate policy have a limited role because the US courts have showed the trend in limiting the scope of judicial review in climate relate cases.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in the field of greenhouse gas regulati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branches of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s pivotal.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the consensus on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can be made. Ultimately, vigorous exercise of environmental litigation will serve an important tool to promot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in policy decision process of climate change in Korea as well. Therefore, appropriat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will be needed for promoting environmental litigations.

      • KCI등재

        제17차 유엔 기후변화 더반 당사국 총회의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박시원 ( Si Won Park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환경정책연구 Vol.11 No.3

        2011년 12월 12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제17차 유엔기후협약 당사국 총회가 예정보다 36시간 연장협상 끝에 더반 플랫폼을 채택하며 폐막했다. 더반 총회는 예상과 다르게 교토의정서 연장에 합의하고 2020년부터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감축 체제 협상 출범에 합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교토의정서의 연장과 2020년 이후 전지구적인 기후체제 출범 합의라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기후체제의 안착을 위해서는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총회 이전부터 일부 감축 의무국들은 교토의정서 제2차 감축기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공표하여 교토의정서 연장의 실효성을 반감시켰으며, 협상당사국들은 새로운 협약 하의 국가별 감축목표, 목표 이행의 법적 구속력 여부 등 다양한 의제를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에 한국은 교토의정서 연장으로 인해 당분간 감축의무를 면제받았다는 것에 안도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내 기후변화대응정책을 재정비해야 할것이다. 장기적인 석유 의존도를 줄이는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위해 기후변화대응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범국민적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 비용효과적인 감축정책 마련을 위해 고민하며, 국제협상에서는 전지구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국가 간 신뢰 형성에 일조해야 할 것이다. The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Durban 2011, ended on December 12, 2011, 36 hours over its schedule, delivering the Durban Package, which consisted of, inter alia, the extension of the period for Kyoto Protocol term and the launch of Ad-hoc working Group on the Durban Platform for Enhanced Action. Despite the positive progress made in Durban, the future of post-2012 climate regime still seems cloudy. Before the Durban conference, some of Annex I countries with emissions reduction commitment under the Kyoto Protocol`s first commitment period openly declared their intention not to participate in the second one, reducing the effectiveness of Durban agreement. Parties to the conference have a long list of difficult issues disturbing the materialization of the new legal agreement in 2020 such as level of mitigation targets of individual countries and legal nature of their commitment. Given this uncertain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inforce its domestic climate policies rather than settling in the fact that it remains as a non-Annex I county party under the Durban Agreement due to the extension of the Kyoto Protocol period. Domestically, it needs to continue to raise the public awareness for rigorous climate policies to transit its economy to low carbon pathway which reduces the country`s dependency on fossil fuel in the long term. It is also important to implement cost effective climate policies to cope with domestic resistanc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ternationally, its priority would be working for trust-building in the on-going negotiation meetings to encourage meaningful participation of all parties.

      • KCI등재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의 도시관광 활성화 전략도시관광요소의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이태원-경리단길을 중심으로

        박시원 ( Si Won Park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이태원-경리단길)의 도시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도시관광객들이 방문 전에 인지하는 도시관광요소의 중요도와 방문 후에 지각한 만족도를 분석하는 IPA분석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였으며,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한 30개의 도시관광요소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이태원-경리단길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5년 10월1일~10월11일 까지 총 11일간 무작위표본추출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총 423부의 설문이 수거되었으며, 이 중 331부(78.3%)가 실증분석에 활용되었고 IPA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태원-경리단길 관광객들은 도시관광요소 중 ``다양한 음식``, ``지역의 특색있는 음식``을 가장 중요하고 만족도가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 IPA분석모형에서 중요도가 높으나 만족도가 낮게 지각된 항목인 ``깨끗한 주변환경``, ``도보에 편리한 환경``, ``다양한 편의시설``은 개선해야함을 밝혔다. 또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항목들 중, ``완벽한 치안``, ``지역주민들의 환대태도``, ``관광정보제공``은 비록 인지된 중요도가 낮으나 보편적으로 관광지에서는 중요시 여기는 항목이므로 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래의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정적인 요소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이 될 수있는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s object is extablish a vitalization strategy of Urban tour of cultural-led gentrification region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rom October 1 2015 to October 11 2015, Date were collected from 423 visitors of the Itaewon-GyeongLiDan St., which is a representative cultural-led gentrification region in Korea. Excepting a 92 insincerity & errored questionnaire, total 331 questionnaire is used to IPA. Results of IPA analysis showed that the Visitors of Itaewon-GyeongLiDan St. required ``Clean Surroundings``, ``Convenient Environment to Walking``, ``Various Facilities``. On the contrary, they have a Low priority to ``Rich Playground``, ``Rich City Squares and Parks``, ``Various Museums and Art Galleries``, ``Various Monuments and Landmarks``, ``Various Historical Buildings``, ``Convenient Accommodation``, ``Affordable and Diverse Shopping Facilities``, ``Beautiful Landscapes``, ``Perfect Security``, ``Welcoming Attitude of Local Residents``, ``Providing Tourist Information``.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that in order to vitalizing a cultural-led gentrification region(Itaewon-GyeongLiDan St.)``s urban tour, the stakeholders of Itaewon-GyeongLiDan St. should take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from those of the general on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척추안정화 및 MEDX 신전 운동을 병행한 장·단기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요통환자의 요부신전근력 및 통증, 일상생활 활동장애 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시원 ( Park Si-won ),오재근 ( Oh Jae-keu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8 스포츠사이언스 Vol.35 No.2

        본 연구는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안정화운동 및 MEDX 신전 운동을 병행한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요부 신전 근력 및 통증, 일상생활 활동 장애 수준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함으로써 기간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효과를 평가 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특별시 강남구 소재 N병원 운동센터에 내원한 만성 요통환자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운동 기간에 따른 요부신전근력 및 통증지수, 일상생활 활동장애 수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요부신전 근력 수준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1)단기 운동 집단에서 요부 신전 최대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 운동집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집단별 최대 요부 신전 근력 변화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단기 운동 집단 측정치와 장기 집단 측정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요부 관절 가동범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1)단기 운동 집단에서 요부 관절 가동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 운동 집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집단별 관절 가동 범위 변화의 차이는 단기집단과 장기집단 수치의 증가폭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요부 통증 점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단기 운동 집단에서 요부 통증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 운동집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일상생활 활동장애 수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단기 운동집단에서 일상생활 활동장애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 운동 집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duration in patients who have chronic lumbar back pain with comparative analysing the lumbar extensor muscle strength, pain, and disability Index before and after spinal stabilization and extension exercise of spine with MEDX. The subjects were thirty 30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o had visited the "N" hospital sports center.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ng the changes of lumbar extensor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program application, (1)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rt term group and long term group. (2)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ort term exercise group and long term group exercise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maximum lumbar extensor muscle strength each groups. Second,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according to the program application, (1)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ort term exercise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long term exercise group. (2)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of range of the motion between each group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of lumbar pain score according to program appl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ort term exercise group and in the long term exercise group.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DI according to program appl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rt term exercise group and long term exercis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