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자아와 여성: 모어(G. E. Moore)의 윤리론과 D. H. 로렌스의 『사라진 소녀』(The Lost Girl)

        박시영 ( Seeyoung Park ) 한국로렌스학회 2017 D.H. 로렌스 연구 Vol.25 No.1

        D. H. Lawrence`s The Lost Girl, in a self-reflective exposure of the paralysis in the middle class England, provides a playful quixotic narrative which engages in a polemic about goodness and morality. A number of commentators locate this novel in the tradition of “the problem novel” which includes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Arnold Bennett`s Anna of Five Towns and G. E. Moore`s The Mummer`s Wife. Clearly Lawrence`s novel, as a `problem novel`, challenges the Victorian patriarchy based on self-discipline and utilitarianism. Yet it cuts another way when Lawrence reinstates `morality` and aligns it with metaethical investigation into `goodness`. In context, G. E. Moore`s conception of ethics sheds new light on Lawrence`s expressive struggle. Moore, in his Pricinpia Ethica, rectifies the conventional practical ethics which revolves around `good` conduct and practice. Moore suggests that ethics should touch on the issue of goodness and badness beyond casuitry. According to him, ethical goodness is indefinable, and the only possible form of ethics is `open question`. In this context, Alvina`s quixotic adventure can be seen as a novelistic representation of the Moorean ethics. Yet, the lost girl`s journey is far more radical.

      • KCI등재

        영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 분석 연구 : 2014-2016학년도 1차 필기시험 문항을 중심으로

        박시영,송민선,신상근,이은주,이미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영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1차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지난 3년간 출제되었던 67문항을 수집하였고, 평가영역 및 평가 세부항목, 그리고 문항 유형별에 따른 출제빈도와 배점비율을 분석하였다. 출제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영역별 출제비율은 영어교육학이 40%가 넘는 비율을 차지하였고, 일반영어의 비중은 급격하게 축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우수한 영어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하고 선발하는 데 기본 요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으나, 각 영역의 출제빈도와 비중이 지난 3년 동안 매년 변화하는 것은 수험생들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각 영역의 세부항목별 분석에서는 출제 내용이 일부 평가내용요소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향후 출제에서 고려해 봐야 할 문제라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문항 유형 분석에 따르면, 서술형과 논술형 문항의 등장은 객관식 문항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이나, 단편적인 지문 이해력을 확인하는 문항보다는 수험자의 심층적인 사고력과 응용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어과 임용시험의 개선안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est items from the written component of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 Focusing on the years from 2014 to 2016, the analysis was based on a collection of 67 test items. A frequency cou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t question types as well as the representation of each field and sub-fields of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out of all fields, questions regarding English educational knowledge represented more than forty percent of the test items while questions requiring general English knowledge vastly decreased. The exam appears to fulfill the basic criteria for evaluating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but the sudden changes in required content knowledge can cause confusion among examinees. The sub-fields of English education were also unevenly distributed, suggesting the need for a consistent guideline that secures balanced test content. Lastly, an analysis of the question types shows open-ended and essay-type question items as a measur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Nevertheless, some of the questions still remained at the level of assessing simple comprehension rather than the examinees’ abilities to synthesize, critique, and apply professional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