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영화에서의 뮤지컬 영화의 가능성 연구

        박승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Once showing signs of prosperity, Korean movie market has met a radical stagnation since 2007 and thu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view its reality of lacking diversified forms and genres. In this regard, as a fresh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stigator examined musical movies. The fact that there is no production of musical movies in the Korean motion-picture world is derived from the far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musical modality. As an attempt to understand musical movi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aspect of music of musical modality. Different from common movie music, musical movies intervene in a drama actively, thus playing the role of developing narrations and presenting characters' feelings. Presenting its themes in this way is a distinctive feature of musical movie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movie forms. Being successful in musical movies with a sound film Jazz Singer in 1927, Hollywood produced a variety of musical movies since then. Musical movies in its initial stage were concentrated on the possibility of grafting musical performance into it and of securing its probability. But with the advent of a variety of notable films in 1940s~1950s, it gained the very summit of musical movie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owever, musical movies have met a period of stagnation since then because it has not been able to keep pace with the changes of audiences,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Hollywood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TVs. Thus, musical movies have gradually lost its fame of the past. However, with the advent of 2000s, musical movies are highlighted again and produced abundantly. In the Korean motion-picture world, the production of musical movies has not existed at all. Although there were some movies of which main subject material was music, music was insufficient to present narrations and some pictures in which singers appearing played the role of popularizing the very singers. In the late years of 1980s, several movies adopted musical sequence but failed. And they were quite insufficient to be counted as a musical form. However, since 2006, movies that consist of musical sequence on the whole have appeared and gained quite good reputation. With the advent of these kinds of movies, the future of musical movies became bright gradually. In order for musical movies to success in Korea there must be correct understanding of musical's forms. Recently, business entities which cultivate musical specialists have appeared and the contents of musical movies have become abundant. So, the understanding of musicals will improve and musical specialists will increase in its number in the near future. When these musical specialists are successfully induced in the on-site production of musical movies, the activation of musical movies is seemingly realized. In addition, since musical performance is activated for the present, the industry of musical movies will become bigger soon. A stage musical can play the role of providing subject materials to Korean musical movies. Besides, the method of developing creative scenarios must be groped after to create musical movies directly. To depend only on a stage musical is not a good scheme of making a good picture. A stage musical must be used only as a basis of developing good musical movies. Because there is a gradually industrialized stage musical market, musical movies in Korea are seemingly not impossible. These diverse attempts should develop Korean movie industry all the more. The investigator hopes these diverse attempts are realized in a variety of movies in the future. 호황을 누리던 한국 영화 시장이 2007년 이후 급격한 침체기 맞으면서 그 동안의 한국 영화가 다양한 형식과 장르가 부족했던 현실을 되짚어보게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 신선한 시도로 뮤지컬 영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영화계에서 뮤지컬 영화의 제작이 전무했던 것은 뮤지컬 양식에 대한 이해가 너무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뮤지컬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뮤지컬이라는 양식이 가진 음악적 측면에 맞추어서 살펴보았다. 일반적인 영화의 음악과 달리 뮤지컬 영화는 적극적으로 극에 개입하면서 서사를 전개시키고, 인물의 감정을 드러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서 주제를 드러내는 것이 다른 영화의 형식과 가장 확연하게 구분되는 점이다. 뮤지컬 영화를 성공시켰던 할리우드는 1927년 유성 영화 <재즈 싱어 The Jazz Singer>의 성공 이후 다양한 뮤지컬 영화를 제작하여 성공하였다. 뮤지컬 영화가 처음 발생한 시기에 뮤지컬이라는 공연을 어떻게 영화로 접목시키면서 개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를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면, 이후 1940년대~1950년대까지의 황금기에는 명작이라고 일컬어지는 다양한 영화들이 등장하면서 뮤지컬 영화는 양적·질적으로 절정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이후로 관객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한 점과 할리우드 시스템의 변화, TV의 발전 등으로 뮤지컬 영화는 침체기를 맞으면서 점차적으로 뮤지컬 영화는 예전의 명성을 잃어가게 된다. 그러나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다시 뮤지컬 영화의 매력이 각광받게 되고, 현재에도 끊임없이 제작되는 형식으로 남게 된다. 한국 영화에서 뮤지컬 영화의 제작은 전무한 편이다. 음악을 영화의 주요 소재로 한 영화들이 있었으나, 음악이 서사를 전개시키기에는 부족했으며, 가수가 출연한 몇몇 영화는 가수의 노래가 가수 자체를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후 80년대 후반부터 몇몇 영화에서 뮤지컬 시퀀스를 빌려온 영화들도 성공적이지 못했으며 뮤지컬 형식으로 보기에도 상당히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2006년부터 영화 한 편 전체가 뮤지컬 시퀀스로 이루어진 영화들이 등장했고, 꽤 좋은 평가를 얻게도 되었다. 이런 영화들이 등장하면서 뮤지컬 영화에 대한 미래는 점차적으로 밝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뮤지컬 영화가 가능해지려면 뮤지컬이라는 형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최근 뮤지컬 전문 인력을 양성해내는 단체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그 내용 또한 풍부해서 앞으로 뮤지컬에 대한 이해도와 전문 인력들이 더욱 많아질 것이다. 이런 전문 인력을 뮤지컬 영화의 제작 현장으로 끌어들인다면, 뮤지컬 영화의 활성화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또한 뮤지컬이라는 공연 자체가 활성화되고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여 뮤지컬 영화 산업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무대 뮤지컬은 한국 뮤지컬 영화의 소재를 제공해 주는 창구의 구실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직접 뮤지컬 영화를 창작하기 위한 창작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방법도 모색해야 한다. 무대 뮤지컬에만 의존해서는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없다. 이것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갈 때에 더 좋은 뮤지컬 영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점차 산업화되는 무대 뮤지컬 시장이라는 좋은 토대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뮤지컬 영화도 불가능한 일이라고 볼 수 없다. 이런 다양한 시도가 이뤄질 때에 비로소 다시 한국의 영화 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은 앞으로 다양한 영화를 통해서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승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학생에게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금단 및 내성 증상을 경험하는 SNS 중독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의 기제에 대한 탐색 필요성이 증가하여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사회불안이 매개하고, 이러한 간접효과가 대인관계 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사용하는 만 18-25세의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통해 3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불안의 예측력이 남녀별로 달랐던 선행연구(Salvati & Trentini, 2015)와 각 변인에서의 성차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남녀를 분리하여 연구모형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대인관계 지향성을 제외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에서 유의한 성차가 발견되었으며, 세 변인 수준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성별과 무관하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사회불안 및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대인관계 지향성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또, 남녀 모두 사회불안은 대인관계 지향성과 부적 상관, 대인관계 지향성은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에는 남성의 경우, 유의한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으나 여성에게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 중독경향성 간에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성에게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남성에 한하여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대인관계 지향성이 높은 경우에만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경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서 비롯된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대인관계 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대인관계 지향성 값이 –6.14보다 큰 경우(남성의 상위 71.52%)에만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은 남자 대학생이 느끼는 사회불안은 SNS 중독경향성을 야기할 수 있지만 대인관계적 욕구 수준에 따라 그러한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여자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타인에게 완벽히 자신을 보여주고픈 욕구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대해 성별에 따라 다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의 기제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SNS 중독경향성의 예방적 개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addiction proneness through social anxiety.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to 2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ia an online survey. A total of 34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and PROCESS macro.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of gender differences in variable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dependent t-test, women were found to be at a higher level than men 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interpersonal ori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Second, regardless of gender,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for men and women, interpersonal orient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ad positive correlations for me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wome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ound only in men. In the case of wom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redicted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owever, social anxiety didn’t predict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moder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significant only for men. In other words, social anxiety predicted SNS addiction proneness only when the level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was high. Also, for men, interpersonal orienta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social anxiety.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nterpersonal orientation was in low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were discus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given.

      • 기후변화가 작물 재배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정보 활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 : 서산·태안지역 마늘을 중심으로

        박승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는 사회·경제·산업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농업은 기타 산업에 비해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분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작물의 생산성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하여 향후 전 지구적인 식량난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농가에 기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산·태안 지역의 마늘을 중심으로 하여 기후변화가 작물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농가의 기후정보 활용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산·태안 지역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기상·기후 및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해 서산·태안 지역의 기상·기후 특성과 기후변화 추세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 8.5)를 이용하여 향후 해당지역의 마늘 파종 및 수확적기와 병충해 발생시기를 예측해보고 끝으로 마늘 재배 농가에 기후정보를 제공했을 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생산량을 고려하여 기후정보의 경제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산·태안 지역에서 마늘을 재배하고 있는 농업인 22명을 대상로 한 설문조사에서 95.5%의 농업인들이 마늘재배와 기상·기후가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의 소득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산량과 품질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기상조건과 병해충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여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해서 마늘의 파종 및 수확시기와 병해충 발생 시기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63.6%의 농업인이 기후변화로 인한 향후 서산· 태안 지역의 마늘 재배에 대해서 부정적이거나 불확실한 입장을 보여 해당 지역의 향후 마늘 재배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서산·태안지역 기상·기후 특성 분석을 위해 전국의 마늘 주산지를 전남 고흥, 경남 남해, 제주 서귀포, 경북 의성, 충남 서산으로 선정하여 평균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풍속에 대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산지역은 겨울철 평균기온이 영하 1∼2℃로 다른 주산지에 비해 낮은 편이며 일조시간은 179.4시간으로 마늘 주산지의 전체 평균 일조시간보다 4.5시간 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겨울철 인편분화에 필요한 저온 요구도가 높으며 난지형 마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일조시간을 필요로 하는 한지형 마늘의 재배에 적합한 특성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서산지역의 연평균기온과 연평균 누적강수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상대습도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일조시간은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연평균 풍속은 증가추세에 있는데 5년 이동평균 풍속의 경우 1998년 이전까지는 크게 변화가 없다가 1999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등 서산지역의 기후가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늘 재배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 8.5)를 이용해 마늘의 파종 및 수확적기를 예측한 결과 RCP 4.5 시나리오의 경우 2010년에 비해 2100년에 한지형 마늘은 52일, 난지형 마늘은 53일 재배 기간이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8.5 시나리오의 경우 2010년에 비해 2100년에 한지형 마늘은 78일, 난지형 마늘은 87일 재배 기간이 줄어들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라 향후 서산·태안 지역에 마늘 재배 농업인이 파종 및 수확시기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마늘의 주요 병해충인 흑색썩음 균핵병, 녹병, 고자리파리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발병 기상조건을 도출 하여 발생시기를 예측하였다. 마늘에 가장 큰 피해를 끼치는 흑색썩음균핵병의 기상조건을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 8.5)에 적용한 결과 향후 흑색썩음 균핵병의 발병 시기는 두 시나리오 모두 현재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예측되어 향후 마늘 생육시기동안 흑색썩음균핵병으로 인한 피해를 입는 기간이 더욱 길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마늘의 생육시기별 기후정보로 인한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마늘 생산량 변화는 기후정보에 따라 8.9%를, 병충해 및 농약시기 정보를 모두 고려할 경우 전체 생산량의 약 13.0%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마늘 재배에 있어 기후정보가 주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산·태안 지역에서 마늘 재배시 기후정보로 인해 연간 88,257.0∼26,7962.5백만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어 마늘 재배 농가에 기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추진 결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적응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다양한 방안 지원책이 마련될 수 있지만 작물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 궁극적으로 지역의 기상·기후 특성과 작물 재배특성을 고려한 맞춤화된 기후정보를 제공하여 농업인 스스로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기후변화의 완화와 적응을 위하여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우리의 삶에 이미 밀접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모두가 관심을 기울이고 실천방법을 찾아나가야 함을 깨닫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20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 음악의 특징과 그레고리안 성가의 사용 : Maurice Durufl의 'Veni creator op.4‘를 중심으로

        박승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of 20th century in France and to understand the use of the Gregorian chant, which was often used in Neo-classicism, through the Durufle's organ work, which is Prelude, Adagio and Chorale variations on the theme of "Veni Creator" Op.4.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France, the Impressionism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trend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Impressionism formality, which combined the trend of art to music was established by C. Debussy and M. Ravel. Also, the Neo-classicism formality which combined the 17th and 18th century music style to modern style in contrary to superfluous emotionalism of Post-Romanticism had appeared. In such a historical background, Durufle, a French organist, composer and educator had worked as a organist after Charles Arnold Tournemire and Louise Viern in St. Clotilde Cathedral and St. Nortre-Dame Cathedral. His organ work had were abundant creativity; especially he composed many works which based on religious subject and catholic belief. One of his representitve work is Prelude, Adagio and Chorale Variations on the theme of "Veni Creator" Op.4, which was dedicated to his teacher Viern. The work has characteristics of all the symphonic formality of the Post Romanticism, Impressionism and Neo-classicism. Specially, this work had used "Veni Creator" of Gregorian chant, this was not just a borrowing but an enlargement and development of motive which formed a new passage and structurally uused through whole passage. The key of the whole movements is in mixolydian. On this mixolydian, the progress of chord in 7th, 9th, 11th degree and equivocally mysterious color of impressionism had appeared well-comb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t sequence, imitation, repetition and structural inversion had been also appealed on basic frame of polyphony. In his work, thus, the use and the formality of Durufle's internal and scrupulosity characters had made perfect balance and harmony with the works, after all, it became a personal and unique characteristic of his own. 본 논문은 20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 음악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신고전주의 음악에서 자주 사용하였던 그레고리안 선율(Gregorian Chant)의 사용을 두루플레(Maurice Durufle´, 1902-1986)의 오르간 작품 Pre´lude, Adagio et Choral Varie´ sur "Veni Creator" Op.4를 통하여 이해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20세기 초 프랑스에서는 19세기 후반 미술의 대표적 조류였던 인상주의를 비롯한 주요 예술 사조를 음악에 결합시킨 인상주의라는 양식이 드뷔시(C. Debussy, 1862-1918)와 라벨(M. Ravel, 1875-1937)을 통해 확립되었고, 또한 후기 낭만주의의 과다한 감성주의에 반대하여 17,18세기 음악형식을 부활시켜 현대의 새로운 스타일을 가미시킨 신고전주의 양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작품 활동을 한 20세기의 프랑스의 오르가니스트 및 작곡가, 교육가인 두루플레는 끌로띨드 대성당(St. Clotilde)과 노트르담 대성당(St. Nortre-Dame)에서 뚜나미르(Charles Arnold Tournemire, 1870-1939)와 비에론(Louise Viern, 1870-1937)의 뒤를 이어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였다. 그의 오르간 작품은 풍부한 창의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종교적인 주제와 가톨릭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신념을 가진 작품을 많이 작곡하였다. 그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인 Prelude´, Adagio et Choral Varie´ sur "Veni Creator" Op.4는 그의 스승 비에른에게 헌정하는 작품으로서, 후기 낭만주의의 교향악적인 양식과 인상주의, 신고전주의적인 성격을 모두 갖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그레고리안 선율의 "Veni Creator"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단순한 차용이 아니라, 동기를 확대, 발전시켜 새로운 악구를 형성하며 전 악구에 걸쳐서 구조적으로 사용되었다. 모든 조성은 믹소리디안(Mixolydian)이며 이 선법위에서 7,9,11도 등의 화음진행과 모호한 신비성을 보이는 인상주의적 색채들과도 잘 결합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폴리포니(Polyphony)의 기본골격위에 잦은 동형진행(sequence), 모방, 반복, 구조적인 전위 등의 특징도 나타난다. 이와 같은 그의 작품에서는 그레고리안 선율의 사용과 형식에 두루플레 자신의 내면적이고 세심한 성품이 작품 전체에서 완전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그의 음악에 있어서 독자적인 특성으로 자리 잡고 있다.

      •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 체험 연구

        박승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is about the understanding on lived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It examined their experience details 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For the study, it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participants's experience and furth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deeply through analysis and description in the language given by the participants as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to derive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 mens who belong to domestic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from local professional and special graduate schools. From July to November 2012,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hrough which necessary data were collecte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written down under the participants' content. Each of the interview took about 1 to 2 hours, and 1-3 interviews were given to each participant. When it was judged that data were saturated, no more interview was performed. All the recored data were copied as the participants described,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nalyzed into main ten compositions, <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 < To understand the human being >, < Fascinated by Art Therapy >, < The Art Therapy as the combination of Art and Psychotherapy >, < Decision to attend the Art Therapy Master’s Program >, < Deeply understand both Art and Psychotherapy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s Program >, < Facing the difficulties as the early trainees >, < Explorationand Recognition of self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 < Personal Growth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 < Realization of the need of continuous studying of this learning > and 30 other subdivi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ur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students had their interest in Art Therapy for their own stability of their life and to have self-healing power. They experienced the power of Art Therapy, the safe way of knowing and understand about self through freely expressing and finding their unconscious. Those experiences led them to apply to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to learn professionally. Second, they get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both Artistic experience and the basic psychological knowledge to become an Art Therapist. The ones who do not have enough artistic experience, they need to broaden their experience to help the clients to give therapeutic experience through art and to give them appropriate materials. Moreover, they need to study enough psychological theory to have basic understands of human being. Third, through having many opportunities of finding and exploring about their unknown self, they get to have fear of recognizing self and experience the difficulties as the early trainees.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the progress of self-awareness. It is important because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can be connected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The process of exploring includes realizing and treating their sufferings,understand oneself as a person and accept who they are. Fourth, to understand and accept about self become the healing and the growth of one person and that makes their life meaningful. As an Art Therapy Master student, they get to have a chance to know about self and this life experience influence on their real life. They may have flexible thought about others and it may useful to help them. Therefore, they may help someone else’s growth through their own growth. The whole process of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facilitated the students to grow mentally and intellectually. Moreover, it taught them how to understand themselves, the world and the human being. Through their growth and stimulation that they gained from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they became not only satisfied with themselves but also gained the wisdom of help the suffering for their inner growth. This research gives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Art Therapy Master Program. It would be helpful for the Art Therapist to have the optimal adaptation and accept their identity clearly. Furthermore, thi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of the Art Therapy for their growth as an Art Therapis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에서 그들의 경험이 어떠한 의미와 본질을 지녔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들로부터 주어진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체험의 의미구조를 도출해냄으로써,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 1학기~4학기 과정 중에 있는 미술치료 석사 과정생 10명으로 그들이 속한 미술치료대학원은 전문대학원 1곳, 특수대학원 3곳이다. 2012년 7월부터 11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참여자의 동의하에 메모와 녹음을 병행하였다.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1회에 1~2시간 정도로 참여자 별로 1~3회씩 만나 면담이 진행되었다.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르는 시점에 종료되었으며, 녹음된 모든 면담 자료는 참여자가 표현한 기술을 그대로 필사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하여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 경험을 분석한 결과, <삶의 의미와 행복에 대해 찾고자 함>, <인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함>, <미술치료에 매료됨> ,<미술과 심리치료과 합쳐진 미술치료> ,<미술치료 대학원 진학 결심> ,<미술치료 석사과정에서 미술과 심리치료 두 학문을 동시에 연마해야 함> ,<초기 실습자로서의 어려움 직면> ,<미술치료 석사과정을 통한 자기 탐색과 자기 인식>, <미술치료 석사과정을 통한 성장> ,<학문에 대한 지속적인 습득의 필요성을 느낌>의 10개 구성요소 아래 30개의 하위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들은 자신의 삶의 안정을 위한 노력과 자기 치유의 방법으로 미술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자신에 대해 표현할 수 있게 하며, 무의식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자기 이해에 도움을 주는 미술치료의 힘을 경험하고, 미술치료에 대해 더 전문적으로 배우고자 미술치료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훈련받는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적 경험과 심리학이란 학문적 기반의 양 측면이 고루 갖추어져야함을 알게 된다. 미술 경험이 익숙하지 않은 자들은 치료적 의미에서의 미술 작업을 돕고, 보다 적절한 매체를 제공하기 위해서 미술적 경험을 풍부히 가져야 한다. 또한, 인간의 이해를 위한 심리학 및 치료와 관련한 이론을 충분히 학습하고 숙지하여, 심리학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에서 자신의 여러 모습에 대해 발견하고 탐색하는 기회들을 많이 갖게 되면서, 자기 인식에 대한 두려움과, 초기 실습자로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동안 수업, 임상 실습, 타인과의 관계적 부분 등의 자신의 삶속에서 이루어지는 자기 인식 과정은 내담자와의 치료관계와 연결되어, 치료사로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자기 탐색의 과정은 고통스런 문제들을 훈습하고, 다양한 성격적 측면의 통합을 추구하며, 이해와 수용으로 나아간다. 넷째,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는 것은 치유와 성장 요인이 되었으며, 자신의 삶을 의미있고 가치있게 하였다. 자신에 대한 이해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 자신의 삶에서의 실제적 변화 및 적용 뿐만 아니라, 확장된 관점과 유연한 사고를 형성하게 하여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도울 수 있도록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자신의 성장을 통해, 누군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도울 수 있게 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교육과정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의 정신적, 지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자신과 세상, 인간에 대해 이해하고 알아가는 배움을 얻게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교육과정을 통해 성장과 배움을 촉진받아, 자기 삶의 만족을 충족할 뿐 아닌, 고통받는 사람을 치유하고, 그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에 대해 이해하며, 최적의 적응을 돕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그들의 성장을 돕는 미술치료학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 백석 시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가르치기 연구

        박승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ing of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poem by Baek-seok as discussion for applying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First, chapter Ⅱ examined the educational studies on poetry in secondary school, and reviewed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teaching models of Baek-seok's poems. And then it also prepared the base of this study examin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approaches to the target poetry work. Chapter Ⅲ examined the life of the poet and the situation of his times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nd grasped the work of poetry.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is a poem that Baek-seok wrote reminiscing on himself having stayed at foreign country when having come back home at his age mid 30 after he had kept wandering around without settling down at one place after he left his home to study in Japan as early as at his age 19. Learner would be able to remind his or her own experiences and fill life rich with capturing the feeling and emotions looking at the speaker who fell into despair due to regret and shame looking back on his past but soon laid the solid foundation of attitude of living, which is universal and common look. Chapter Ⅳ prepared a plan for instructing the poem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focusing on the drawing of the image in the head and the writing of appreciation by reviewing the goal of learning of the literature texts containing the target existing plans for instructing poetry class. The image in the head is power to draw the picture in one's head, that is, the scene in his or her head provoked by imagination. Any learners read literary works drawing images in the head. However even if most learners in secondary school have imagination, since they don't know how to make use of it properly, the power to draw pictures in the head varies dependng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Thus the appreciation of poem in this paper aimed at provoking and refining imagination through drawing the pictures in the head with hand and the process of sharing thoughts on the pictures in the head so as to fill clear and rich the learners' paintings in their head, once vague and loose. However teaching the appreciation of poem through drawing the image in the head for learners who are varied in their power of reading and drawing pictures in the head and unraveling them requires skillful instruction ability of teacher. This begins with expecting the images in the head of learner to be drawn based on thorough textual analysi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so it analyzed the image of the poem examining the well-ordered logical composition of this poem with the depiction of scenes and the techniques of description and prepared a practical plan for the instruction of drawing of the image in the head. Writing of appreciation is the instruction of expression in which learners put in writing their appreciation naturally after appreciation activities in which they think of pictures in their head and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with associ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new approach in the instruction of expression where there is relatively greater difficulty in teaching-learning in that this is the only composition that learners can relatively enjoy practicing the creation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ir creation. Thus, learner's appreciation of the poem consists of recitation and drawing of the images in their head, and teaching-learning of expression is done through the writing of appreciation. Lastly, I tried to deepen the appreciation of the learners by adding external approach to the appreciation with internal approach based on the text so far through sharing of thoughts on the poet. In addition, I prepared a plan for instruction for teacher with which he or she can cope with complicated situations in actual classroom by putting a instruction stage of winding-up in each instruction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In sum, the plan for instruction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suggest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Ⅰ. Appreciation 1. Recitation 2. Drawing the image in the head 3. Winding up Ⅱ. Expression 1. Writing appreciation, Association 2. Sharing thoughts of the poet, Thinking 3. Winding up Lastly chapter Ⅴ presents the actual instruction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for this poem. Since the success of the plan for instruction of this poetry class depends on teacher's skillful teaching abilities including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instructors who are not mature in the field yet have difficulty in applying it immediately, and in case of learners who have not been accustomed to draw the images in the head and of insufficiency of learner's experience compared to poem, it is hard to apply immediately. Thus, I tried to show the way in which this poem is taught actually. All teachers of Korean should review the goal of study before poetry class, understand the target poem and prepare a plan for instruction.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that actually such discussions as this paper is made in every poetry class. Therefore, although this discussion tried to set the desirable direction of instruction based on the academic results made by researchers of literature and education and to structure individual and concrete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so that it can help the actual instruc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should decide its applicability.

      • 미학적 마케팅디자인 개념을 이용한 기업 홈페이지 설계에 관한 연구

        박승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이 인터넷을 활용한 마케팅 활동에 미학적 마케팅을 적용하는 미학적 웹페이지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사전 연구로서, 인터넷의 개념과 웹의 조사 정리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현 시점의 기업 경영의 화두로 부각되고 있는 고객관계경영(CRM)의 개념을 정리하고, CRM을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활용하는 eCRM의 개념과 이를 적용한 기업들의 홈페이지 분석을 통하여 활용방안의 필요성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미학적 마케팅의 개념을 알아보고, 미학적 마케팅을 기업의 웹디자인에 활용하는 방법론을 4단계의 절차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의 응용사례를 예시하고자 하였으나, 시간적 한계로 인하여 미학적 선호경향의 개념을 도입하여 개발한 웹디자인의 비교사례만을 본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성의 근거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학적 웹페이지 설계방법론은 크게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는 고객정보분석 단계로서, 고객개인 정보, 고객거래정보, 고객미학정보를 정의하고 관리항목을 도출하고 분석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미학적 구분요소 도출 단계로서, 고객정보분석 단계로부터 분석된 정보를 활용하여 미학적 선호경향의 차이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미학적 웹 이미지 설계 단계로서, 앞 단계에서 도출해낸 미학적 구분요소에 따라 선호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언어를 도출하고, 이미지 언어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웹페이지 설계 요소로서 표현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성과분석 단계로서, 미학적 웹페이지 설계 방법론의 적용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전 단계의 개선에 반영하는 단계이다. 미학적 웹페이지 설계 방법론의 기본인 고객의 감각적 경험 중시 철학을 적용한 웹페이지의 설계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감성을 중시한 설계이다. 감성을 구분하는 기본요소로써, 연령, 성별이 기본적인 감성의 차이를 주는 요인으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설계의 방향과 예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구매력, 학력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른 접근을 제시하였다. 둘째, 단순성을 중시한 설계이다. 기존의 홈페이지의 문제점인 좁은 공간에 집약된 정보의 나열은 그 자체만으로 고객을 싫증나고 방황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단순하고 쉬운 홈페이지야말로 고객의 감성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그 결과는 기업에게 우호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마지막으로, 파격성을 중시한 설계이다. 홈페이지는 이래야 된다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는 것이야 말로 고객의 경험을 중시한 설계라 볼 수 있다. 독창적이고 신선한 설계를 지향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업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미학적 마케팅적 접근을 웹페이지 제작에 반영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이미 확보하고 있는 고객의 정보로부터 더욱더 고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고객 친화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의 연령, 구매경력, 취향에 맞는 홈페이지의 색상, 배치, 감성자극의 효과는 곧바로 매출의 향상과 기업이미지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둘째, 기존 인터넷 홈페이지의 조잡함과 복잡함을 탈피한 파격적인 단순성, 용이성, 향상된 품격은 사이버 공간에서 기업에 대한 고객 충성도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타 기업으로의 이탈을 최소화 시켜 줄 것이다. 셋째, 디자인적 측면이 강화된 인터넷 마케팅 전략은 상품의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직접 마케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채널의 축소와 그에 따른 비용감소 효과가 있을 것이다. 물론, 인터넷 직접판매로 채널상의 갈등은 상호 보완적인 기능부여로써 해결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aesthetical web pag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aesthetical marketing concept in internet context. As a preliminary study, we examined the concept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and its application to internet environment- i.e. e-CR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aesthetical marketing concept and developed a four-stage methodology to apply to effective web page design.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web pages that are designed based on the aesthetical preference concept. In the case of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methodology suggested, we have obtained the several benefits. First, firms are able to execute customer-oriented marketing programs with customizing web pag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isting customer information analysis. By adjusting web page to customer preference, purchasing pattern, and age, firms may earn sales growth and improve corporate image. Second, simple, convenient, and qualified web page prevent consumers switching behavior and eventually, enhance loyalty. Finally, well-designed internet marketing strategy increases product and corporate awareness and enables to implement direct marketing so that it reduces the marketing cost. While, channel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and internet marketing channel should be settled by allocating relevant complementary functions into each channel.

      • 소득불확실성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박승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자료를 이용해서 2003년에서 2014년까지의 한국 가계의 소득불확실성을 측정하는 변수를 구하고, 이 변수와 가계의 소비증가분의 관계를 통해 한국 가계에 예비적 저축 동기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투사기반접근법(Projection-based approach)을 사용하여 소득불확실성 변수를 구하였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소득 충격에 대한 통계적 가정이 필요 없는 것과 현재 예측 불가능한 소득불확실성을 변수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추정한 소득불확실성 변수와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불확실성 변수를 비교한 결과 투사기반접근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소득불확실성 변수가 강건함을 알 수 있었다. 추정한 소득불확실성 변수와 가계의 소비증가분의 관계를 확인하기위해 고정효과모형을 패널회귀 분석한 결과 두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소득불확실성이 증가하면 불안감을 느낀 가계가 현재 소비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소비증가분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 현상은 한국 가계가 예비적 저축 동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분석의 강건성을 검증하기위해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수와 소득불확실성 변수의 교차항을 추가하여 고정효과모형으로 패널회귀 분석한 결과 소득불확실성 변수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왔다. 따라서 이 추정결과가 강건하다고 결론지었다. 본 연구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소득불확실성 변수와 가계의 소비증가분의 관계를 통해 한국 가계에 예비적 저축 동기가 존재하는 것을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소비증가분과 예비적 저축 사이에 직관적인 연관성이 부족하므로, 소득불확실성 변수와 저축의 관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추정한 소득불확실성 변수가 외부 충격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uses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estimates variables that measure the income uncertainty of Korean households from 2003 to 2014 and examines whether there are precautionary saving motives in Korean household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households. In this study, the projection-based approach is used to obtain the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The biggest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t does not require statistical assumptions about income shocks and reflects current unpredictability of income uncertainty in the variables. Comparing these estimated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with the currently used uncertainty variables shows that the estimated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using the projection-based approach are robus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imated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and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households, the analysis of the fixed effects model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is the result of an increase in income uncertainty as anxiety of households reduces current consumption and thus increases the size of the increase in consumption. Therefore, this phenomenon means that Korean households have a precautionary saving motives. In order to verify the robustness of this analysis,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influence of the income uncertainty variable is the most significant. Thus, it is concluded that this estimate is robu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Korean households have a precautionary saving motiv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that change over time and increase in consumption of households. However, because there is a lack of an intuitive connection between increase in consumption and precautionary sav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and sav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