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상남도 소재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학과의 운영실태와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진현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opinions on the educational affairs management an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songnam province in Korea. For solving the research problems as above, the method of questionnaires i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 dimensions: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derstanding the bachelor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the degree and th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ions. Students in these questionnaires thought, in general, that the present teaching methods and dire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suitable for it as an organization which awards a master's degree. They also insiste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perform the role of the re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y indicat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e lack of full-time professors and the curriculum that too much focused on contents of each subjects as the three problem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thought many various subject matters should be developed and ,in turn, they could get more opportunities to choose their favorite subject matters. Specifically, on the subjects of students' major, they hoped their subject matters should be deepened and supplemented as following order; the subject pedagogy, law, sociology, and politics. On the educational affairs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night schooling system more than the seasonal schooling system. In night schooling, they preferred evening time during the weekday as their the teaching hours than afternoon of Saturday. And they have positive attitudes on the credit system, completed credits, the term of study. On the articles and summative tests for their degree, they hoped these articles or summative tests would be substituted as the credit of their major subject matters or any form as the study report, considering their circumstances and conveniences. I have some advic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rst,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of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be splitted as two ways; one for teachers in schools and another one for students who is not a teacher. Third, the condition for a degree should be managed flexibly, reflecting students' needs. Fourth, to make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graduate students should join the class more actively.

      • 부산·경남 지역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1995-2004) 분석

        김상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ough we liv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era in the 21th century, it is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materials quickly and accurately in the plethora of a number of musical materials. So, it is necessary for us to require the necessity of the secondary documentaries urgently and to analyze according to master's thesis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as informational materials of the research for mu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helping for all people that have had interest in this field through the analysis of master's degree theses about musical education at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Kyungnam university, Gyeongsang university, Kosin university, Dong-A university, Pusan university, Changwon university and also is for the organized development of musical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organizationally. I have studied the 324 theses submitted from 1995 to 2004. In the introduction ( chapter 1 ) of the theses, I collected materials that researchers had analyzed the trend of the master's theses for musical education and compared each of them, which is on the purpose of leading to more scientifically analytical methods. In chapter 2, this is for investigation the history of educational purpose, the present condition of foundation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educational particularity. In chapter 3, I classified master's theses of musical education's thirteen fields and the others specifically and analyzed the trend of theses of musical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esenting domain- year analysis, school-domain analysis, school-year analysis as statistical results by each diagram. In the conclusion, this material is mentioned by result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when researchers go on trying to challenge with progressive and creative attitudes, our musical education can have a firm foundation.

      • 실과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박재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실과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을 통하여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초 연수 자료 또는 전문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 구안으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실과 교육과정 내용 항목별-분야별 교사들의 이해도는 어떠한가? 즉, 나와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도-나의 균형 잡힌 식생활에 대한 이해도-나의 자립적인 의생활에 대한 이해도-쾌적한 주거와 생활 자원 관리에 대한 이해도-건강한 식생활의 실천에 대한 이해도-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그리고 생활과 기술에 대한 이해도-생활 속의 동·식물에 대한 이해도-생활과 정보에 대한 이해도-생활과 전기·전자에 대한 이해도-생활 속의 동·식물 이용에 대한 이해도-나의 진로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둘째, 실과 교육과정 내용 영역별 현장 교사와 예비 교사들의 이해도는 어떠한가? 즉, 가정생활 영역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기술의 세계 영역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셋째, 실과 교육과정 내용 전체에 대한 교사들의 조사 변인별 이해도는 어떠한가? 즉, 교사들의 성별 전체 이해도-근무 지역별 전체 이해도-연령대별 전체 이해도-담당 학년별 전체 이해도-소지 자격별 전체 이해도-경력별 전체 이해도는 어떠한가,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들의 전체 이해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된 주된 자료는 제 1차 교육과정(문교부령 제44호, 1955) 자료, 제 2차 교육과정(문교부령 제119호, 1963) 자료, 제 3차 교육과정(문교부령 제310호, 1973) 자료, 제 4차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442호, 1981) 자료, 제 5차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87-9호, 1987) 자료, 제 6차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1992) 자료, 제 7차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1997) 자료, 2007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2007) 자료,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 361호, 별책 10) 자료,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성취기준·성취수준 자료였다. 본 연구의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442명이었다. 현장 교사는 376명(85.07%), 예비 교사는 진주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66명(14.93%) 이었다. 설문지 제작에 사용된 기본 자료는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 해설서(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실과 교사용 지도서(2015),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성취기준·성취수준(교육과학기술부, 2012.) 자료였다. 현장 교사의 설문지 배포 및 회수는 업무관리시스템 업무메일로 66개 초등학교에 460부를 배부하여 376부를 회수하였다. 그리고 예비 교사의 경우는 진주교육대학교 재학생 70명에게 배부하여 최종 66부를 회수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내용 항목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은 독립 표본 t 검정법 (Independent two-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OVA), 그리고 사후검정(Tukey test) 등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에 적용된 유의수준은 .05, .01, .001이었다. 실과 교육내용 분야별 교사들의 이해도를 요약하면, ‘나와 가정생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남자 교사들의 이해도가 여자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난 것, 시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가 군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난 것, 연령대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1~2학년 담임교사의 이해도가 5~6학년 담당교사의 이해도 보다 높게 나타난 것, 현장 교사들의 소지 자격별·교원 경력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나의 균형 잡힌 식생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군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가 시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 20대 연령 교사들의 이해도가 40대 연령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높게 나타난 것, 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교원 경력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들의 이해도가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다. ‘나의 자립적인 의생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 부장(수석) 교사의 이해도가 1급 정교사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 교원 경력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쾌적한 주거와 생활 자원 관리’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교원 경력별 이해도 분석 결과들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들의 이해도가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다.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부장(수석) 교사의 이해도가 2급 정교사의 이해도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난 것, 교원 경력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들의 이해도가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다.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교원 경력별 이해도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생활과 기술’ 분야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교원 경력별 이해도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생활 속의 동·식물’ 분야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여자 교사들의 이해도가 남자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 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소지 자격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교원 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가 교원 경력이 15년 이상 20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높게 나타난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생활과 정보’ 분야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 이해도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교원 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가 교원 경력이 15년 이상 20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높게 나타난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 분석 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생활과 전기·전자’ 분야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군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가 시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 연령대별·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 이해도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교원 경력이 5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가 교원 경력이 15년 이상 20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 높게 나타난 것, 그리고 예비 교사들의 이해도가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다. ‘생활 속의 동·식물 이용’ 분야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근무 지역별·연령대별·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교원 경력별 이해도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그리고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이해도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나의 진로’ 분야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들은 성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시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가 군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 20대 연령 교사들의 이해도가 50대 이상 연령인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높게 나타난 것, 담당 학년별·소지 자격별 이해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교원 경력이 5년 미만과 15년 이상 20년 미만인 교사들의 이해도가 교원 경력 20년 이상인 교사들의 이해도 다소 높게 나타난 것, 그리고 예비 교사들의 이해도가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들과 논의 자료들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정생활 영역의 나와 가정생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학생들이 자신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는 가족과 가정생활의 소중함을 알고, 가족구성원으로서 가정의 일을 분담하여 실천함으로써 나눔과 배려의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나의 균형 잡힌 식생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균형 잡힌 식사가 자신의 성장과 건강유지에 필수적임을 이해하고, 고른 식품군-다양한 식품-적절한 양의 섭취를 통해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며, 건강 간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기초식생활관리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나의 자립적인 의생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학생들이 옷의 기능을 이해하여 신체성장과 상황에 맞는 건강하고 안전하며 예절바른 옷차림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옷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자립적인 의생활 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쾌적한 주거와 생활 자원 관리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학생들이 깨끗한 주거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과 소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쾌적한 주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며, 생활자원 관리의 중요성을 알아 시간과 용돈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학생들이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을 선택하고 건강을 고려한 음식을 선택·마련할 수 있으며, 일상적인 한식을 중심으로 자신의 식사를 직접 만들어 봄으로써 건강하고 예절 바른 식생활 실천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창의적인 의생활 실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학생들이 손바느질의 기초를 익혀 간단한 헝겊 용품을 만들 수 있으며, 바느질 도구를 이용한 생활 용품을 창의적으로 만들어 씀으로서 환경을 생각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의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기술의 세계 영역 생활과 기술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물건들이 기술과 발명의 활동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게 하고, 생활에 필요한 간단한 생활용품을 새로운 아이디어로 발전시키고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생활 속의 동·식물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인간 생활 속에서 동·식물이 갖는 중요성과 가치 및 환경과의 관계를 알게 하고, 동·식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긍정적인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생활과 정보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일상생활 속에서 올바른 정보윤리 의식을 가지고 정보 기기와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며, 정보기기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자료를 창의적으로 만들어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생활과 전기·전자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전기·전자의 원리를 이해하여 간단한 제품을 만들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로봇을 탐구·체험하게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생활 속의 동·식물 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생활 속의 동·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의 의의와 종류를 알게 하고, 가꾸고 돌보는 방법과 과정을 이해하여 실제 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나의 진로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는 일과 직업의 의미 및 중요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탐색·설계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 가정과 예비교사의 전문자질 교육요구와 교육적 준비에 관한 연구

        양지선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curricular requirements to enhance professional qualification through achievemen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qualification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readiness for teacher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teachers improve professional qualification and test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achievement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among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the highest achievement was found in the area of morality while the lowest achievement was shown in that of abilities to use. The highest achievement was found in the questions related to subject matter belief including ‘a sense of duty as a home economics teacher’ and ‘pride as a home economics teacher.’ The lowest achievement was found in the questions of ‘teaching ability for classroom management’ and ‘a future vi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by types of establishment, desired subject for application, professo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urricula.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 national university, hoped to major only in home economics and apply for home economics, studied under professors majoring in subject matter education or incumbent ones or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curricula showed higher achievement. Demand for professional qualification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was high in abilities to teach and use and low in subject belief. The highest demand was found in questions of ‘ability to teach for learner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skill to interact with students’ while the lowest demand was shown in questions of ‘historical backgroun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knowledge of changes in curricula of home econom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and for professional qualifica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urricula. That is pre-service teachers satisfied with the general curricula showed high recognition of the demand. Educational demand for professional qualification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was higher in abilities to use. The highest educational demand was found in questions of ‘counsel teaching ability needed in school practice’ and ‘teaching abilities for classroom management’ while the lowest demand was shown in questions of ‘historical backgroun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 aspect of human beings pursued by home economics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 private university hoped to major only in home economics and apply for home economics studied under professors majoring in study of content and were dissatisfied or somewhat satisfied with the general curricula showed higher educational dema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in terms of educational preparation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by types of establishment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s as a student teacher.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 national university hoped to major only in home economics and apply for home economics and conducted more than 20 instructions showed higher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Readiness for teacher was highest in expectation and showed no difference by types of establishment hope to apply for appointment test, professo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s as a student teacher. Maturity in character was highest in openness and showed no difference by types of establishment, desired subject for appointment test, and professo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ird,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 achievement were correlated with types of establishment, professo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urricula. Those who were in national university, studied under professors majoring in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curricula showed higher achievement.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achievement was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urricula, followed by types of establishment, professo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chool, and desired subject for application. This study placed importance on investigating conditions for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through special research; various researches on home economics teacher curricula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reflect demands for teacher curricula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가정과 예비교사의 전문자질 성취도와 필요도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전문자질을 기를 수 있는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교육적 준비 정도를 알아보고 이것을 통해 교사의 전문자질을 향상하고 예비교사들을 점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우편조사법으로 전국 14개 대학 가정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517명을 대상으로 전문자질 성취도와 필요도, 교육 요구도, 교육적 준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4.0 program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비교사의 전문자질의 성취도에서 가장 높은 성취도를 보인 영역은 도덕성이었으며 낮은 성취도는 보인 영역은 활용능력이었다. 전체 문항 중 가장 높은 성취도를 보인 문항은 ‘가정과 교사로서의 사명감’, ‘가정과교사로서의 긍지’와 같은 교과신념 영역의 문항이었다. 가장 낮은 성취도를 보인 문항들은 ‘학급경영을 위한 지도능력’과 ‘가정과 교육의 미래비젼’이었다. 관련 변인에 따른 전문자질 성취도는 설립형태, 임용고사 응시희망 과목, 재학 시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 전체 교육과정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설립형태가 국립이고, 임용고사 응시희망 과목이 가정응시희망이며, 재학 시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가 교과교육학 전공교수이거나 현직교사이고, 전체 교육과정을 만족하는 예비교사들이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전문자질의 필요도에서 가장 높은 필요도를 보인 영역은 지도능력과 활용능력이었으며 낮은 필요도를 보인 영역은 교과신념 영역이었다. 전체 문항 중 가장 높은 필요도를 보인 문항은 ‘학습자 동기를 위한 지도능력’, ‘학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었으며, 가장 낮은 필요도를 보인 문항은 ‘가정과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가정과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지식’이었다. 즉 활용능력과 지도능력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은 낮은 성취를 보였지만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련 변인에 따른 전문자질 필요도는 전체 교육과정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 교육과정에 만족한 예비교사들이 불만족/보통인 예비교사들보다 필요도 인식이 높았다. 그 외의 변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로 성취도에서 높은 성취를 보였던 국립대 재학생, 가정단일전공/가정응시 희망자,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을 교과내용학 전공교수에게 이수한 예비교사들이 필요도에서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자질 교육 요구도는 활용능력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교과신념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전체 문항 중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문항은 ‘학교현장에서 필요한 상담지도능력’, ‘학급경영을 위한 지도능력’ ‘학생의 생활을 지도하는 능력’이었으며, 가장 낮은 교육 요구도를 나타낸 문항들은 ‘가정과 교육의 역사적 배경’,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이었다. 관련 변인에 따른 교육 요구도는 사립대 재학생, 가정단일전공/가정응시 희망자이거나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을 교과내용학 전공교수에게 이수하였거나, 전체 교육과정 만족도에서 불만족/보통이라고 응답한 예비교사들이 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여기서 교육 요구도가 높다는 것은 대학에서의 성취도에 비해 현장에서의 필요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성취도에서 가장 낮았던 활용능력 영역이 필요도에서는 높았기에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예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수업에 대한 성의와 열의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수업계획 및 조직, 의사소통능력, 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육·학습 환경조성 영역의 순이었다. 설립형태에 따라 전체 실천적 교수역량 및 의사소통능력, 교수·학습 환경조성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여 국립대 재학생이 사립대 재학생보다 실천적 교수역량이 높았다. 의사소통능력 영역에서는 수업횟수가 20회 이상인 예비교사들이 수업횟수가 10회 미만과 10~20회 미만인 예비교사들보다 실천적 교수역량이 높았다. 교직 준비도는 소명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역할기대 적극성이었다. 설립형태, 임용고사 응시희망 과목,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 교육실습 시 수업한 횟수의 관련 변인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격적 성숙도는 개방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자율성, 사회적 책무성이었다. 설립형태, 임용고사 응시희망 과목,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 교육실습 시 수업한 횟수의 관련 변인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관련 변인과 전문자질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문자질 성취도는 설립형태,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 전체 교육과정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었다. 설립형태가 국립이거나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가 교과교육학 전공이거나 전체 교육과정에 만족할수록 성취도는 높았다. 전문자질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전체 전문자질 성취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인은 전체 교육과정 만족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설립형태,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 임용고사 응시희망 과목이었다. 즉 설립형태가 국립일 때, 임용고사 응시희망 과목이 복수·연계전공/복수·연계과목 응시희망이 아닐 때, 교과교육학 분야 과목 담당교수가 교과교육학 전공교수나 현직교사일 때, 전체 교육과정을 만족할수록 전문자질 성취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한 민화 교수·학습 지도 방법 연구

        이영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 외국인 수가 222만 명을 넘어서며 우리 사회가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상황 속에서 우리는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며 인정할 줄 아는 문화상대주의적 태도가 요구되어 진다. 나아가 다문화와 관련한 사회적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문화 이해 태도를 강조하고 있으며, 미술 교과에서도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교과 핵심역량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다문화 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에서 반영되어 학생들이 참여해 소통할 수 있는 활동은 그렇게 많지 않다. 이에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증진과 더불어 타문화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존 다문화 교육에서 나아가 상호문화교육으로 확대하여 미술교육을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상호문화교육은 모든 인간이 존엄하고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는 토대에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그들의 사고방식, 가치관, 삶의 태도 등이 동등하게 존중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사고와 태도의 전환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여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시대적 요구에 따라 미술교육은 상호문화를 이해하는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편성하고 학생들이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나와 자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문화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없애야 한다. 나아가 서로의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할 줄 아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해 민화를 활용한 미술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민화를 선택한 이유는 민화는 각 시대 서민, 평민들과 같이 일반 대중들이 그린 그림으로서 그림 속에 그 시대 사람들의 정서와 미의식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각 나라 민화 작품 감상을 통하여 미술 문화 이해 능력과 함께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상호문화교육의 이론과 교육 방법을 살펴보고, 수업 적용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각 나라 민화 작품에 대한 문헌을 검토해 연구 방향을 정하고 실행연구를 실행하였다. 둘째, 실행연구 절차에 따라 미술 문화 이해 능력과 함께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민화 감상 수업지도안을 작성해 수업에 적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수업 후 설문지 및 감상문, 학생들이 민화 수업을 통해 작성한 학습지와 결과물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한 결과물을 분석함으로써 본 수업이 학생들의 미술 문화 이해 능력 함양과 문화상대주의적 태도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을 통해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 민화를 비교하는 수업을 통해 한자문화권 안에서 생기는 보편적인 유사성과 함께 각 나라의 민화의 독창성을 알고, 각 나라 민화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긍정적인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둘째, 동아시아 민화 속 상징성을 학습하여 소재에 따라 민화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는 이미지에 담긴 상징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 신장과 함께 미술 문화 이해 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우리가 그 나라의 언어는 잘 모르지만,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전달하는 메시지를 읽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학습자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작품 제작에 필요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며 자기 주도적 미술 표현활동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수업 프로그램은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한 민화 감상 표현 수업을 통해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하고 나아가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migrants living in Korea has exceeded 2.22 million, and our society is rapidly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multicultural situation, we are required to have a culturally relativistic attitude that can remove prejudice against other cultures and respect and acknowledge other cultures. Furthermore, social interest in multiculturalism is steadily increasing, and it is being treated as important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an attitude to understand culture that reflects social changes, and art and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is a core competency in the art curriculum. However, despite the empha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ctual school settings, there are not many activitie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and communicate as reflected in the class. 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art education by expanding it to intercultural education beyond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education seeks social cohesion through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idea that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way of thinking, values, and attitudes of life should be equally respected on the basis that all human beings are worthy of dignity and respec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rt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time to understand mutual culture, and through this education, students should come out and understand their own culture to eliminate prejudices about other cultures. Furthermore, the class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people can have an attitude of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cultures. This study proposes an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folk painting based on mutual cultural educ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folk painting is that folk painting are paintings drawn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commoners and commoners of each era, and the paintings contain the emotions and aesthetic sense of the people of that er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students to develop cultural relativist attitudes as well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culture through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 of each country. To this end, first, the theory an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method of class application was studied. Then,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folk painting of each country, research problems were determined and implement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Second, according to the practice research procedure, various data were collected by preparing a lesson plan for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 to cultivate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nd cultural relativism attitud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mpressions after class, as well as worksheets and results written by students through folk painting classes. Finally, by analyzing the collected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is clas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nd cultural relativism attitude. The results drawn based on the contents collected through this clas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class comparing East Asian folk painting, it is possible to learn the originality of each country's folk painting along with the universal similarity that occurs with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folk painting.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positive cultural relativistic attitude based on cultural homogeneity. Second, by learning the symbolism in East Asian folk painting, we can infer the message we want to convey through folk painting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This can improv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symbols contained in the image, as well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and culture. Although we do not know the language of the country well, we can read and interpret the message conveyed through visual images. Third, learners can make plans on their own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actively compose the knowledge required to produce works, and engage in self-directed art expression activities. Furthermore, the ability to be used in real life can be enhanced. As such, this class program drew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it could cultivate a cultural relativist attitude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further enhance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and culture through folk painting appreciation expression classes based on mutual cultural education.

      • 대학입학시험의 인문사회계열 논술 개념 연구

        박선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urrent society is based on knowledge and various information. In this situation the knowledge plays important roles. It is converting into more valuable one according to individual experiences, perspectives, insights, and so 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t's very important to view the world more critical way. It is also needed to accept the various information in a critical way. It's time to buil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this aspect, the essay examination can be one of the most suitable alternatives. A lot of universities took this test as the way of getting assessment function. After taking the essay examination as on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there have been a lot of concerns about the rebirth of " Bongosa". It can result in making the students go to private academies to prepare the test. In addition to this, there isn't clear curriculum to teach the students essay writing in public schools. Because the essay writing examina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university, students ne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tests separately. Students can apply for at least three universities, so that they have to search far and wide information. It's not easy to prepare it personally so the students rush to private academies. In public schools teachers have no curriculum and students even don't know what the authentic essay examination means. Becau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nter the university they want, more and more students are relying on private academies. The government released "The guideline of essay examination" in 2005 in order to get the consistency of this examination and relieve the students' burden of taking private academic lessons. There has been the confusion concerning this examination. This doesn't seem to be solved in a short period. The essay writing test in Korea has no clear evaluation standard. Up to this day, the students are depending on private academies to get the needed information. In this thesis, I assumed that each examination has its own concept or aim in itself according to universities. I firstly checked the essay writing examination according to each university. I find out the features in common. Based on these finding results, I intended to set up the concept of the essay writing examination. In chapter Ⅱ, I studied the problems of the essay writing tests from universit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halkface. From this study, I find out there needs the obvious conceptual definition about this examination. Based on this, I inferred the concept of essay writing examinations by analyzing and reasoning out the essay writing examinations of famous universities in Korea. In chapter Ⅳ, I look for the concepts which are commonly used in essay writing examination. I point out there's no agreement about the concepts. From the analysis of the three selected universities' essay writing examinations I made the concept of essay writing examinations clear and presumed expected effects. First, essay writing examination is about the form, contents and the stability of the aim. Because of the conceptual ambiguity,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among the contents from the university to th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itself lacks in consistency of the examination. It is helpful to assume the consistent concept of essay writing examination so that the education of essay writing can be linked between the chalkfac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ly, systematization of the essay writing education. Through this we don't need to change the policy about the essay writing examination and the tendency of questions. It can build the connec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o that we can have more associated essay writing education in the course of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Third, we can make students talented and creative with the former effec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ies aim to get the establishment of the definite essay writing examination concept. The sudden implementation of essay writing test causes the studies to seek the guiding principle. There's no other way to seeking the guiding principle without the conceptual definition. Most of all, it is needed to form the consistent concept of essay writing examinations to minimize the confusion about it and to make essay writing examinations firm in the educational system. 현대사회는 지식기반사회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이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넘쳐나는 정보와 지식들은 개인의 경험, 안목, 통찰, 또는 다른 지식과 만나 순식간에 더 창의적이고 더 가치 있는 지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삶은 그러한 지식들의 갈등과 조화가 공존하는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상황은 교육에서도 주체적으로 현실을 보는 눈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 이를 더욱 가치 있는 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 사회 현실의 여러 가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 역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논술시험은 이러한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올랐고, 대학들의 변별력 확보 방안으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논술시험에 대한 개념은 정립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학자들 간에도 논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가 어려우며, 각 대학의 논술시험의 형식, 내용, 목적도 규명하기가 모호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논술 기출 문제를 파악하여 문제 유형을 공부해야 하며, 현장에서는 일관된 논술지도를 하기 어려워 논술교육의 많은 부분을 사교육에 의존해 온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술시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대학의 논술시험 문제는 그 대학이 지향하는 논술의 개념이나 목표가 암시되어 있다고 보고 대학별 논술 기출 문제를 확인, 공통된 특징을 파악하여 논술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논술시험이 도입된 배경을 알아보고 논술시험의 문제점을 대학, 교육부, 교육 현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논술시험이 고등정신능력을 측정하고 대학의 수학능력을 검증하는 평가의 한 방법으로 도입되었지만 대학, 교육부, 교육 현장은 화합하지 못하고 결국 논술교육이 파행으로 치닫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논술시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대학별 논술시험의 개념을 추론하였다. Ⅳ장에서는 기존 논술시험의 개념을 정리하여 학자들 간의 일치를 보여주지 못하며, 제시하고 있는 논술의 개념이 ‘개념’이라기보다는 논술문 쓰기 형태에 대한 정의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하여 Ⅲ장에서 추론하였던 각 대학별 논술시험의 개념의 공통성을 파악하여 논술 개념 정립을 시도하고 그 기대되는 효과를 가늠하여 보았다. 논술의 개념이 정립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 내용, 목적의 안정성이다. 논술의 개념 불명확성으로 인해 대학과 대학의 논술시험도 차이가 있었지만 대학 자체로도 일관성이 유지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 논술시험의 개념을 추론함으로써 교육 현장이나 교육부와의 연계를 통한 논술교육이 가능하게끔 될 것이다. 둘째, 논술교육의 체계화이다. 논술의 개념 정립은 더 이상 대학이나 교육부가 논술시험에 대한 정책이나 출제방향을 자주 바꾸지 않아도 될 것이며, 이에 따라 초·중·고로 이어지는 논술교육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위의 두 가지를 통한 창의적 인재 육성이 가능하다. 교육부나 대학들이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바 개념 정립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술에 대한 연구는 대학입학시험에서 급작스럽게 논술시험이 시행되면서 교육 현장에서 지도 방안 연구에 치우친 면이 있었다. 이는 논술시험을 시행하는 대학에서도, 교육부에서도 이렇다 할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입시 관문에 서야 하는 학생들을 지도해야 하는 교육 현장에서는 지도 방안 연구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다. 혼란을 줄이고 논술시험이 교육의 흐름 속에 잘 자리 잡기 위한 개념의 정립은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이지원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교과목을 중심으로 하여 어떠한 교과목이 개설되고 있으며, 어떤 내용으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교과목의 이론과 실기의 비중 및 디자인 요소에 의한 교과목의 편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과거와 현재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변화와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교과목의 차이와 국내와 외국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과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교육은 미적 감각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디자인 교육과 섬유 각 분야에 대한 실기교육, 텍스타일 CAD를 이용한 디자인 훈련 및 섬유의 성질, 직물 구조에 대한 이론적 교육과 마케팅에 관한 기본 지식을 제공함으로 섬유산업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이너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의 독특한 전문성이나 특성을 찾아볼 수 없었으므로 앞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전공이 개설된 대학은 전문적인 텍스타일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교육을 위해 각 대학마다 특성을 살려 특화된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여 대학의 평준화와 획일화를 지양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방법에서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기교육이 증가하고 있었는데 이론교육에서는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 교육뿐만 아니라 연계학문에 대한 이론 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는 제품 생산에서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반에 걸친 창조적 활동분야임으로 텍스타일 공정 전반에 걸친 전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의 개설이 확대되어야 한다. 2. 현재 대학의 텍스타일 교과목의 변화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 경제 구조 및 산업현장의 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야한다. 그런데 과거에 비해서 현재의 대학은 전공 교과목의 수가 증가하였고, 전공 교과목의 학점 비중이 높아졌으며, 교과목의 구성이 좀 더 세분화, 전문화되고 있었다. 이론과 실기과목의 비중도 과거는 2:8에서 현재는 3:7로 이론과목의 비중이 증가했고, 디자인 요소에 따른 교과목의 비중도 심미성에 관련된 교과목의 비중이 낮아지고 상품성, 작업성과 관련된 교과목의 비중이 높아져 있었다. 이는 대학 교육이 예술과 창의성을 장려해야 하지만 텍스타일 디자인은 산업과 직결되므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의 끊임없는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방향은 산학협동을 통한 산업체의 공정과정과 대학 교육에서 예술적인 과정이 접목되어 예술성과 작업성을 갖춘 내용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3.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교과목의 비교에서는 4년제 대학이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기과목의 비중이 높았으며, 디자인 요소적인 차원에서는 작업성을 다룬 교과목의 비중이 2년제 대학보다 높았다. 이는 4년제 대학에 비해서 2년제 대학은 2년 과정으로 되어 있는 관계로 한 학기에 배정된 교과목이 많아서 한정된 짧은 기간 내에 보다 전문적인 교과내용을 교육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대학처럼 교육과정이 고정화되어 있지 않고, 교육과정을 순수예술 전문가 과정과 산업인력 전문가 과정 등으로 특성화시켜 전문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방향에 따라 학교를 선택하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적성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4. 국내에서 텍스타일 디자인과목이 개설된 역사는 섬유선진국에 비해 짧다. 하지만 교과목의 구성면에서는 섬유선진국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것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경우 현대 산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서 산업체와 더욱 긴밀한 연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섬유산업체의 디자인 프로세서에 학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산업체 현장의 전문가를 학교교육에 참여시킴으로서 실무와 대학 교육과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This research shows what kind of courses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domestic textile design are set up, and how the lectures are managed. Also, bias of subject by theory of subject and weight of practical skill and design component recognizes is some, and sequence that compare with design education to be texture another thing of change of design education and 4 years to be texture another thing of past and present and junior college difference of subject and domestic and abroad is as following. Textile design educ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targeted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lead the textile industry. However, there were no speciality among universities. Hence, universities or colleges that would found the department of textile design should develop its own curricula in order to raise professional textile designers and to prevent universities from being standardization and equalization. The curricula of the textile design have developed to foster students who can cope with the changeful economic frame and the industry.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requisite courses and more credits have been assigned to the major courses. In addition, the curricula have become more and more sophisticated. These changes mean that it is needed to create upgraded curricula which correspond to prevalent circumstances. Since colleges have limited time to educate a lot of courses compared to universities, it appears to be more difficult to instruct advanced ( or superior) courses than universities do. Therefore, course of study does not become ossification like 4 years junior college, and university executing education that is specialized doing specification in purity art expert process and industrialist power expert process students according to own course direction school select and that should derive so that can go forward for own enemy character and target by a student think. The history of textile design in Korea is shorter than developed countries. Nevertheless, it is admirable that curricula of textile design are not inferior to those countries. It is needed, however, for domestic universities to connect with industries more profoundly. It can be possible by making students practice more in the textile industry and specialist in textile industry instruct university students.

      • 자율주행 코딩을 활용한 초등학교 인공지능 윤리교육 수업방안 연구 : 블렌디드 학습과 정의 추론을 중심으로

        송수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의 목적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도덕적 딜레마 토론을 활용하여 블렌디드 학습 상황 안에서 자율주행 코딩과 윤리교육을 융합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인공지능이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에서 인공지능 윤리는 인공지능 기술의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기능한다. 각국의 인공지능 윤리교육 또한 같은 맥락으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인공지능 윤리교육 경우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존재한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상 초등학교급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2022 개정교육과정상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구체적 방향 설정이 없다. 셋째,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융·복합적 교수설계가 없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제한점을 지닌 학교현장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AI 융합교육의 맥락에서 블렌디드 학습 및 정의 추론을 기반으로하는 자율주행 코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 AI 융합교육의 맥락에서 블렌디드 학습 및 정의 추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코딩을 윤리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AI 융합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윤리교육은 향후 국가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현행자료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조사를 실시한 뒤 수업방안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질적 사례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인츠 딜레마 토론의 경우 ‘관점채택의 확장’을 보였다.토론 초반 학생들의 행동근거는 대부분 처벌의 회피 혹은 개인의 이익에 있었다. 하지만 토론 후반에서 학생들은 사회 전체의 선을 위하여 사회의 구성원이 법을 지켜야한다며 개인주의로서의 도덕선택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트롤리 딜레마 토론의 경우도 개인의 이해관계에서 ‘사회규칙이나 생명’을 행동기준으로 선택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회적 쟁점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에 관해 토론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지향해야 할 삶의 모습에 대하여 주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블렌디드 학습은 먼저 ‘온라인 학습과 코딩학습의 연계를 용이’하게 했다. 인공지능기술이해에 대한 수업시수의 절대적 부족을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해결하였으며 블록코딩에 대한 학습공유를 통하여 학생들은 코딩학습을 더 수월하게 진행하였다. 또한 블렌디드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학습 내용에 대한 주도적인 이해가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및 집중도를 높였으며 온라인 학습이 오프라인 학습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인공지능 윤리 수업은 ‘의도를 반영한 머신러닝과 코드들이 나타남’을 통해 효과성을 볼 수 있었다. 윤리매트릭스 활동을 통해 만든 새로운 딜레마로 자율주행기술을 코딩하여 산출물을 발표하는 것이 수업방안의 후반부 내용이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딜레마 상황 안에서 자동차를 의도를 가지고 움직여야 했다. 윤리와 융합하지 않은 단순 코딩수업의 경우와 다르게 융합수업에서 학생들은 피해야할 대상이 정해지자 코딩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피해자로 표현되는 오브젝트를 제거하는 것에 감정을 이입하였으며 대상을 최대한 보호해 다치지 않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의도를 반영하기 위한 코딩을 위하여 평소에 쓰지 않는 코드를 쓰거나 쓰던 코드라도 다른 의도를 반영한 조건 코드를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블렌디드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블렌디드 학습의 특성상 학생의 수업 개별화가 가능했으며 수업시수에 쫓기지 않고 관심 주제에 대하여 심도깊은 고민이 가능했다. 또한 딜레마토론·윤리매트릭스 활동으로 수행되는 정의 추론 역시 학생들의 도덕적 추론 및 판단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소프트웨어 원리학습과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일원화가 이루어진 단적인 모습으로 윤리적 감수성이 인공지능 기술교육과 결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율주행 코딩을 활용한 윤리 수업방안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인공지능 윤리 이슈와 가이드라인,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교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블렌디드 기반 인공지능 수업방안 개발기준을 선정하였고 차시별 학습주제, 활동내용, 수업형태를 정하였다. 도덕적 딜레마토론, 인공지능이해, 윤리 매트릭스, 코딩-산출물 발표로 활동을 크게 나누었다. 도덕적 딜레마 토론에서는 역할채택을 통해 인공지능 윤리기준에 대한 정당화 근거를 찾았다. 윤리매트릭스 활동은 문제해결 참여 과정에서 윤리적 알고리즘 기준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게 하였다. 코딩을 통한 산출물 발표는 수업 전반에 걸친 결과물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공지능 이해도 및 활용능력, 윤리적 판단력을 판단할 수 있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점을 뛰어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공지능의 기술적 이해 및 소프트웨어 원리학습과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이분법적 구분이 해결되지 않았다. 또 교과와의 융합·연계 활동에서도 수학, 과학 교과가 중심이 되어 인공지능 윤리를 통한 도덕발달을 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학교현장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한 몇 가지 과제를 설정해보고자 한다. 첫째, 인공지능 윤리를 인공지능 기술교과의 하위범주로 두지 않고 다양한 학교급과 교과에 융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학교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교사 역량 개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의 이해 및 활용을 주제로 윤리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더 다양한 교수방법 및 학습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prepare a class plan that can fuse self-driving coding into ethics education in a blended learning situation by utilizing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of moral dilemma discussion on justice. In a society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AI) affects life as a whole, AI ethics functions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adverse functions of AI technology and its importance in education is also emphasized in many countries. In Korea,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AI ethics education. First, any element of AI ethics has not been reflected in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econd, there is no specific direction and specialized process for AI ethics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no specific convergence and complex instructional design is considered in the application of AI ethics education to various fiel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I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with such limitations,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chieve the suggested research purpose. First, why is self-driving cod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and justice reasoning necessary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I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I convergence education, what is the plan to use self-driving coding in ethics classes based on blended learning and justice reasoning? Third, how will AI ethics education be linked to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n extensive literature survey on previous studies and current data,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12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city for class plan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e qualitative case study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Heinz dilemma debate, there was an 'expansion of the point of view adoption'. At the beginning of the discussion, most of the students' behavioral grounds were in the avoidance of punishment or individual interests. However, in the latter part of the debate, students showed that members of society should obey the law for the good of society as a whole, going beyond moral choices as an individualism. In the case of the trolley dilemma debate, it wa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pattern of selecting 'social rules or life' as the standard of action in individual interest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issues that can lead to social issues, students were able to think independently about the appearance of life they should pursue. Blended learning first made it 'easy to link online learning with coding learning'. The absolute lack of class hours on AI technology understanding was solved through online learning, and students proceeded coding learning more easily through learning sharing on block coding. In addition, blended learning was 'effective for self-directed learning'. A leading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increased students'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 class, and online learning made offline learning more abundant. AI ethics classes were effective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codes reflecting intention'. The content of the second half of the class plan was to present the output by coding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with a new dilemma created through ethical matrix activities. Students had to move their cars with intent within their dilemma situations. Unlike simple coding classes that did not converge with ethics, students tended to code accurately and in detail when the objects to be avoided were determined in the convergence class. Emotions were immersed in removing objects represented as victims, and code was written to protect the object as much as possible so that it was not hurt. For coding to reflect this intention, even though a code that is not normally used or was used, a conditional code that reflects other intentions was selec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this dissertation, I would make discussions and conclusions on research issues as follows. First, blended learning was effective in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blended learning, it was possible to individualize students' classes, and it was possible to think deeply about topics of interest without being chased by the number of classes. Furthermore, justice reasoning performed through dilemma discussion and ethical matrix activitie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oral reasoning and judgment ability. It can be seen that ethical sensitivity was combined with AI technology education in the form of unified software principle learning and AI ethics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develop an ethical class plan using autonomous driving coding, domestic and foreign AI ethical issues and guidelin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related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standards for developing blended-based AI teaching methods were selected, and learning topics, activity contents and class types were determined for each time. The activ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moral dilemma discussions, AI understanding, ethical matrix, and coding-output presentations. In the moral dilemma debate, the justification for AI ethical standards was found through role adoption. Ethical matrix activities allowed insight into ethical algorithm standards to b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problem-solving. The presentation of outputs through coding was able to judge students' understanding of AI, ability to use it, and ethical judgment based on the results throughout the class. Thir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id not exceed the limitation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dichotomous distinction between technical understanding of AI and software principles learning and AI ethics education has not been resolved.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develop morality through AI ethics with informatics,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centered on convergence and linkage activities with subjects. In this situation, I would like to set up some tasks for AI ethics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o that AI ethics can be fused to various school levels and subjects without placing it as a subcategory of AI technology subjects. Second, opportunities for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AI ethics education can be conducted in the school fiel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integrate ethical aspects under the theme of understanding and using AI.

      • 남명 조식의 경의(敬義) 사상을 통한 도덕적 실천 능력 함양 방안 연구

        안시은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philosophy of “Gyeong-Ui” by Nammyeong Jo sik as a moral practice principle, and based on this, to come up with a plan to cultivate practical moral practice skills within the moral subject. Since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pass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2015, national and social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high, and it has been conducted by investing a large budget in the school field. However, students in schools are currently experiencing complex crises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The crisis of character education occurring in schools is that, first,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ChatGPT quickly answers any question, depriving itself of the opportunity to think deeply, that is, to develop intellectual curiosity or critical thinking. Second, in order to survive indiscriminate competition in the confines of education centered on specifications and academic background, it is not possible to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or collaborate by forming an excessive competitive structure, which appears to be a lack of empathetic consideration. Third, the scope of moral interest and empathetic consideration is limited to my group or our group, and by adopting an exclusive attitude, they are indulged in a biased way of thinking from an early age. In this crisis of character education, I felt the need to re-diagnose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or education that fosters morality. I tried to find and solve the answer to this research problem through Nammyeong Jo sik, a Joseon Confucian scholar who lived an exemplary life that matched learning and life even in a situation of extreme crisis. Nammyeong is a person who trained himself based on the discipline of Gyeong and lived a practical life by pursuing righteousness outside. He also claimed to live as a reclusive scholar, but he always had the 'spirit of love for the country' that he always cared about and loved the country, and this spirit continued through his disciples' education, 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is pupils put the teachings of their teacher into action. Moral Education emphasizes the role of the 'core subject' in charge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as a subject whose main task is to form the morality or personality of students. It is currently a given task of morality to seek ways to develop practical moral practice skill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moral inquir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moral practice of stud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through the lives and thoughts of Nammyeong, I looked for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ree keywords: CunYang(存養) and Xingcha(省察), Cultivating HAORAN ZHI QI(浩然之氣), and the spirit of patriotism. 본 연구는 남명 조식(南冥 曺植)의 ‘경의(敬義)’사상을 도덕적 실천 원리로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도덕 교과 내에서 실질적인 도덕적 실천능력을 함양하는 방안을 마련해보려는 것이다.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후 인성교육에 대한 국가적 · 사회적 관심이 뜨거웠고 학교 현장에서도 많은 예산을 투입해 인성교육을 실시해왔다. 하지만 현재 학교 내 학생들은 인성교육 측면에서 복합적인 위기를 겪고 있다. 학교 내 발생하고 있는 인성 교육의 위기는 첫째, 대화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는 어떠한 질문에도 빠르게 답을 줌으로써 스스로 깊이 사고할 기회, 즉 지적 호기심이나 비판적 사고를 키워나갈 기회를 앗아 버린다. 둘째, 스펙·학력 중심 교육의 울타리 속에서 무분별한 경쟁에 살아남기 위해 지나친 경쟁 구도를 형성하여 소통 혹은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은 자칫 공감적 배려의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도덕적 관심과 공감적 배려의 범위가 내집단 또는 우리집단 중심으로 제한되어 있고 그 외에는 배타적 태도를 취함으로써 이른 나이부터 편가르기와 같은 편향적 사고방식에 빠져 있다. 이러한 인성 교육의 위기 속에서 지금 행해지고 있는 인성교육 혹은 도덕성을 키우는 제반 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재진단해 볼 필요를 느꼈다. 극심한 위기의 상황 속에서도 배움과 삶을 일치시킨 모범적인 삶을 살아 낸 조선 유학자 남명 조식(南冥 曺植)을 통해 본 연구 문제의 답을 찾아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남명은 경(敬) 수양을 기본으로 자기를 닦고 밖으로는 의(義)를 추구하여 실천적 삶을 살아 낸 인물이다. 그리고 은둔 처사로서 삶을 자처했지만, 항상 나라를 걱정하고 사랑하는 ‘우국 애민 정신’을 품고 있었으며 이러한 정신은 제자교육을 통해 그대로 이어져 임진왜란 당시 그의 문인들은 의병 활동으로 스승의 가르침을 실천하였다. 도덕과는 학생의 도덕성 혹은 인격 형성을 주된 과제로 하는 교과로서 학교 인성교육을 담당하는 ‘핵심 교과’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도덕적 탐구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도덕적 실천력을 키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현재 도덕 교과에 주어진 과제이다. 남명의 삶과 사상을 통해 미래를 이끌어 갈 학생들의 도덕적 실천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존양성찰, 호연지기 함양, 우국애민 정신이라는 3가지 키워드에서 도덕 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첫째, 남명의 학문의 핵심과제는 마음을 인간답게 간직하고 충실하게 실현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마음을 밝히는 것은 존양성찰을 의미하며 이러한 남명의 존양성찰은 ‘시살(厮殺)적’, 즉, ‘모조리 죽여 없앤다.’라는 격렬성 혹은 독실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가 실천에 있어 높은 지조와 우뚝 솟은 기상을 항상 보일 수 있었던 것도 지독한 자기 수양의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남명이 흔들리지 않고 굳세게 의(義)를 실천해낼 수 있었던 것은 꾸준히 의를 행하여 쌓아온 호연지기 덕분이다. 남명은 자신이 믿고 따르는 신념 외의 다른 유혹에는 쉽게 흐트러지지 않도록 유의했다. 또한 인생의 여러 애로에도 그 뜻을 굽히지 않고 실천 의지를 굳혔다. 셋째, 남명의 우국애민 정신은 곤궁한 삶을 이어가는 백성들의 고통을 깊이 공감하고 이를 돕기 위한 이타적 감정이자 외척과 간신배들에 의한 국정농단을 인식하고 대처한 일종의 공동체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남명은 곧고 반듯하여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기질을 타고나기도 했지만 남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 이상으로 아파했다. 또한 남명의 ‘애민(愛民)’은 백성이 나라의 근본임을 깨닫고 백성을 향한 외민(畏民)의 태도를 보인 참 선비의 정의관이기도 하다. 남명은 지식과 이론을 겸비한 유학자이자, 실천 유학의 대교육자이며, 참 선비의 전형이라 정의할 수 있다. 남명의 정신은 아직도 살아 현대인들에게 주는 교훈은 가히 지극하다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