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사회의 미디어 담론과 이데올로기 : 공교육 위기에 대한 재현의 정치

        박선웅(Sunwoong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5 현상과 인식 Vol.29 No.1ㆍ2

        This study is aimed to illuminate how ideology works through the media discourse in civil society which represents an event in such a specific way that demands the legitimacy of a specific policy. For that purpose, this study is built upon Hall's study on media and Alexander's theory of discursive structure of civil sociery. Hall argues that the media discourse represents "reality" in a particular way according to the universalistic structure of meanings. For him, ideology is that which the partial and particular accounts of the world achieves universality. Alexander ideal-typically constructs the discursive structure of civil society, showing the conflicting way in which such structure legitimates or delegitimates actions, relationships and institutions in civil society. Following his model, this study constructs the discursive structure of education regarding the three dimensions of motive, relationships and institutions. Then, I analyze the discourse of "school breakdown" developed in Chosun Ilbo. It is found that Chosun Ilbo has produced the discourse reflecting the Neo-liberal ideology out of selectively combining the lists of sacred educational codes, supporting the educational policies corresponding to that ideology.

      • KCI등재

        문화연구의 사회학화

        박선웅(Sunwoo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2005년 설립된 한국문화사회학회가 걸어온 10년의 발자취를 기록하며, 학회의 지난 성과와 의의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회 출범의 배경으로서 90년대 진행된 한국사회학계의 ‘문화적 전환’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학회가 걸어온 길을 다양한 유형의 학술활동, 교재 개발, 학술지 발행 등으로 구분하고, 지금까지의 학술․연구기획 및 활동이 어떻게 학회의 양적․질적 성장과 학회원 간의 소통에 기여하였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비록 학회의 제도화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회가 가려했으나 가지 못한 길에 대한 반성과 함께 향후 ‘문화연구의 사회학화’를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t to record a decade of the footstep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Sociology founded in 2005, to assess their achievement and significance, and to propose som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To this end, I will briefly examine the “cultural turn” of the Korean sociology taken in the 1990s as a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And then, I will explore the roads the association has taken in terms of various forms of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conference, textbook development, and journal publica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how those activities have contributed to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s of the association and communications among members. Alth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ssociation has been achieved to a large extent, I will to make some suggestions to further promote the sociologizing of cultural studies with self-critical reflection on the roads that the association has failed to take.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 전문가 델파이 및 의견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박선웅 ( Park Sunwoong ),은지용 ( Eun Jiy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사회·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분석을 통해 내용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과목의 성격 및 목표 측면에서는 `비판적 사고력`, `종합적 이해`, `개방적 태도`, `상호 주관적 소통 능력`, `연대 의식 및 실천 태도` 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단원별 내용 요소 측면에서 개선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단원에서는 교환이론 추가, 기능론과 갈등론의 도식적 접근 지양,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축소 등이 필요하다. (2) 단원에서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의 연관성, 젠더 균형적 관점, 일탈 행동의 구조적 관점 등의 강조와 사회화 기관의 유형 및 특징에서 축소가 필요하다. (3) 단원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화 개념 파악, 대중문화 강화, 문화 변동 양상 관련 개념 축소 등이 필요하다. (4) 단원에서는 다양한 불평등과 차별 내용 추가, 새로운 불평등 이론 소개, 소수자의 혼성적 정체성과 중층적 차별 소개, 사회 계층 구조의 도식적 접근 지양 등이 필요하다 (5) 단원에서는 거시적 사회 변동 양상 관련 최근 사례와 개인-국가-지구의 연관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ntent improvement through the expert Delphi on the 2015 revised society and-cultur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present with an emphasi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pen attitude`, `mutual subjective communication ability`, `solidarity and practice attitude,` etc. in the aspect of character and goal of the subject. The improvement directions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by unit are as follows: In unit 1, it is necessary to add the exchange theory, to avoid the schematical approach to functional and conflict theories, and to reduce the data collection method, etc. In unit 2,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the gender perspective, and the structural aspects of deviant behavior, and to reduc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ization institutions. In unit 3, it is necessary to grasp cultural concepts at various levels, in order to strengthen popular culture. In unit 4, it is necessary to add various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contents, to introduce new inequality theories, to deal with the hybridity of minorities` identities and overdetermine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nd to avoid the schematic approach to social hierarchy. In unit 5, it is necessary to underscore the recent case of macro social change and the nexus of individual, nation and the global.

      •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사회학

        박선웅(Park Sunwo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8 문화와 사회 Vol.4 No.-

        알렉산더는 문화사회학 연구 이전에 사회학 이론의 두 대립축인 행위와 구조, 물질과 관념을 통합하려는 이론적 야심을 갖고 있었다. 통합의 시도는 이론적 논리의 다차원성을 강조하는 신기능주의를 탄생시켰다. 다차원성의 메타이론적 요구가 문화사회학이라는 특정한 분야의 특정한 이론에서 반영될 수 있을까? 이러한 의심이 종종 알렉산더 문화사회학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지만, 이 글은 그의 문화사회학 여정에서 다차원성의 논리가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문화 연구의 사회학화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알렉산더는 문화의 상대적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기 뒤르케임의 종교사회학을 문화사회학 여정의 첫 출발점으로 삼았으며, 다차원성의 논리로 서로 모순적이기도 한 다양한 문화 이론들을 흡수함으로써 행위, 문화, 사회체계 간의 상호침투를 조명할 수 있었다. 특히 ‘시민적 개선’ 개념은 시민사회의 문화구조에 의해 조직된 담론이 사회체계의 영역들을 민주화시키는 방식을 탐색하게 한다. 최근에 그의 문화사회학 기획을 보다 선명하게 공식화한 강한 프로그램과 공연에 초점을 둔 문화화용론 역시 그 기저에는 다차원성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다. Before advancing into the realm of cultural sociology, Alexander had harbored an ambition to theoretically integrate the two opposing axes of sociological theory ― action vs. structure and materialism vs. idealism. From this attempt at integration emerged neofunctionalism that emphasizes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oretical logic. Could the meta-theoretical imperative of multidimensionality be reflected in a specific theory in the specific field of cultural sociology? In face of such doubts that have often entailed criticism of Alexander's cultural sociology, this paper intends to argue for both the viability of the multidimensional logic and its role as the foremost contributor to the sociologization of cultural studies. With a view to securing relative autonomy of culture, Alexander set out on a voyage of cultural sociology from the Durkheim's sociology of religion. With his multidimensional logic enabling him to incorporate various, often contradicting, cultural theories, he could shed light on interpenetration between action, culture and social system. His conceptualization of "civil repair," in particular, has made it possible to explore how the discourse organized by the cultural structure of civil society democratizes different spheres of a social system. At the foundation of Alexander's latest cultural sociological project, formulated as "strong program," and performance-focused cultural pragmatics, this multidimensional logic is still hard at work.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화 교과서에서의 ‘빈곤’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석현(Seok Hyeon Choi),박선웅(Sunwoo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화 교과서의 빈곤 내용이 빈곤 담론과 빈곤 이론과의 정합성을 가지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빈곤 현상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빈곤 내용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빈곤 담론과 정의에 관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을 검토하여 분석 항목과 초점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5종의 사회⋅문화 교과서 내의 빈곤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빈곤 내용 기술의 교과서별 특성과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종의 교과서는 빈곤의 정의, 원인, 해결 방안에 장단점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술을 하고 있으나 이론적으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빈곤의 정의는 일차원적 기본적 욕구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어 빈곤의 다차원성을 다루는 데 한계가 있으며, 빈곤의 유형 중 하나라 주관적 빈곤 유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부재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분석결과는 현 교과서가 빈곤의 원인과 해결 방안 기술 간에 논리적 일관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어 학생들이 빈곤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시각을 형성하는데 부족한 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부 교과서는 빈곤층에 관한 부정적 시각이 고정화될 수 있는 기술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빈곤 문제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빈곤의 다차원성에 대한 내용과 주관적 빈곤 개념에 대한 내용 보완이 필요함과 동시에 사회적 불평등과 복지 제도와의 유기적 연관성을 고려한 빈곤 내용의 재구성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if the poverty cont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is consistent with poverty discourse and theory. Methods To that purpose, existing theories and studies on poverty discourse and justice were evaluated to develop an analysis strategy, and the five social and cultural textbooks concerned with the definition, cause, and solution of pover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fiv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articularly define the definition, cause, and reduction of poverty, but theoretically indicated various issu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Overall, since it adopts a single-dimensional basic need approach, the definition of poverty has constraints in dealing with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content elements of textbooks on the causes and solutions of poverty focus on individual abnormal behavior and wrong choic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present educational content be review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poverty problem in Korea.

      • KCI등재

        갈등의 치유, 대립의 통합 과정에서 헌법의 기능

        정필운 ( Pilwoon Jung ),박선웅 ( Sunwoong Park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5 연세법학 Vol.26 No.-

        스멘트(Rudolf Smend) 이래로 국가를 정치적 공동체로 상정하고, 헌법은 이러한 정치적 공동체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의 법질서라고 이해하는 것은 이제 우리에게도 친숙한 이해 방법이다. 그러나 그의 헌법이론을 분석하거나 비판하는 차원의 논의가 아니라 갈등과 대립, 그리고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우리 헌법의 구조를 세밀하게 묘사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 글은 우리 헌법이 갈등과 대립, 치유와 통합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헌법은 어떠한 제도를 통하여 갈등과 대립을 치유하고 통합으로 나아가도록 예정하고 있는지 보여주기 위하여 세밀하게 묘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사회계약설의 입장에서 근대국가의 성립과 여기서 헌법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무슨 이유로 이러한 근대국가가 변용되어 현대 입헌민주국가로 발전하기 되었는지 살펴보면서, 헌법이 갈등과 대립, 통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갈등과 대립의 통합 과정에서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지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Ⅱ). 이어서 헌법의 기본원리와 갈등과 통합이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Ⅲ), 기본권론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Ⅳ), 국가기관의 구성 및 운영론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Ⅴ).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였다(Ⅵ). 중세를 극복하고 성립된 근대국가는 사회계약을 통하여 성립되었고, 헌법은 이와 같은 사회계약을 성문화한 문서이다. 근대국가가 그러하였던 것을 반영하여 헌법도 사회의 갈등과 대립을 인정하고, 이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이 아닌 갈등·대립과 통합의 공존을 전략으로 취하고, 스스로를 이러한 갈등과 대립의 통합 과정에서 틀을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근대가 성숙함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사회문제를 겪으면서 근대국가는 변화를겪게 되고, 그 결과 국가는 민주주의원리와 법치주의원리라는 근대부터 인정된 기본원리에 복지국가원리를 추가하고, 사회의 구성 및 운영원리인 사적 자치의 원리를 수정하는 전술을 취한다. 이로써 현대 입헌민주국가의 헌법 구조가 견고하게 구축되었다. 우리 헌법도 이러한 기본 전략과 전술을 채택하여 이를 구조화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그 구체적인 모습을 묘사하였다. “헌법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대립을 녹여 사회 통합을 만들어가는 거대한 용광로이다.” 여기서 통합은 이 용광로가 만들고자 하는 생산물이며 갈등과 대립은 이러한 목적물을 만들기 위한 소재이다. 소재가 없이 생산물이 나올 수 없다. 헌법은 이를 잘 알고 있다. 따라서 갈등과 대립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이를 부단히 녹여 화학적 변용을 하여 통합이라는 생산물을 생산하고자 노력한다. 헌법은 이러한 생산과정에 국회,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행정부, 법원, 헌법재판소와 같은 국가기관과 국민의 참여를 예정하고 있고, 이 행위자들이 행위하는데 일정한 기준을 기본권과 기본원리라는 이름으로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좀 더세심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은, 헌법은 이미 스스로 갈등과 대립을 녹여 통합이라는 생산물을 만드는 것이 결코 일회적이고 쉬운 과정이 아니라, 고단하게 계속되어야 할 지난한 과정이라는 점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헌법은 갈등과 대립을 녹여 화학적 변용을 하여 통합이라는 생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틀은 제시하였지만, 이 틀에 의하여 부여받은 권한을 행사하여 타협을 이루고 실제 갈등을 해소하고 통합을 하여 행복한 사회를 가꾸는 것은 헌법의 몫이 아니라, 국민과 국가기관의 몫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illuminating in detail the position our constitution has taken with regard to resolution and integration as well as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nd institutional processes by which the latter can lead to the former. For this purpose, we inquire comprehensively in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states and the meaning of constitution in terms of a theory of social contract, investigating the reason why such modern states were developed into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s, the way in which the constitution perceived conflicts, confrontations and integration and what role it took in such matters (II). And then, we examine how the basic principle of constitution is related to conflicts and integration (III), basic rights (IV) and the component and operation of state agencies (V). The above discussions are brought into the final chapter as a summary (VI). The modern state,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middle ages, came into existence by means of social contract, with the constitution as a charted document. Just like the modern state, the constitution recognized social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took strategic approaches to compromising rather than completely resolving them. As a result, the constitution could be placed by itself into a position to play a role of suggesting the framework of integration in the course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ur constitution comes to be structured by adopting such basic strategies and tactics. This paper deals concretely with such aspects. "The constitution is a giant blast furnace where social conflicts and oppositions are melted into social integration." Although the constitution provides the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from beyond conflicts and oppositions, it is not the constitution but the people and state agencies that exert authority given by such framework, resolving conflicts into integration toward a happy society.

      • KCI등재

        청년층의 기회 공정성 인식 분절화: 지역과 젠더 관점을 중심으로

        이희정(Lee, Hee-Jeong),박선웅(Park, Sunwoong)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3

        본 연구는 청년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청년 집단 내 분화되는 양상과 원인을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분석과 다항로짓분석으로 20∼30대 청년 3,058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청년층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음이 포착된다. 군집분석 결과를 개괄적으로 정리해보면, 3명중 1명은 두 기회가 모두 대체로 공정하다고 인식하지만, 다른 1명은 두 기회중 하나만 대체로 공정하다고 평가하고, 나머지 한명은 두 기회 모두 대체로 불공정하거나 매우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적지 않은 청년들이 기회 불공정에 따른 누적적 영향을 체감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기회 공정성 인식에서 지역 효과가 발견된다. 비수도권 청년이 수도권 청년보다 상대적으로 교육기회와 취업기회를 더 불공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비수도권 청년이 현실을 불공정한 불평등으로 생각하고 있을 개연성을 보여준다. 셋째, 기회 공정성 인식의 지역 효과가 젠더별로 차별화되고 있다. 거주지역과 젠더를 교차하여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청년남성은 두 기회가 모두 전혀 공정하지 않다고 볼 가능성이 큰 반면에, 비수도권 청년여성은 두 기회 모두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파악된다. 수도권 청년여성이 교육기회는 약간 공정하나 취업기회는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할 확률이 높은 반면에, 수도권 청년남성은 교육기회는 별로 공정하지 않으나 취업기회는 약간 공정하다고 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기회 공정성 인식이 계층지위 의존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할수록 기회가 공정하게 주어지고 있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 청년층 계층인식이 하향화 추세라면 기회 불공정 인식과 불평 등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d why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fairnes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may be differentiated and fragmented from the social structure perspective. Using data from the ‘2019 Social Integration Survey’, we examine them with cluster analysis and multi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about 3,058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young people’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s diverse. One in three perceives that both opportunities are broadly fair, another third considers one of them fair and the others think both opportunities unfair. Second, geographical effects are found to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opportunity. Results show young people in metropolitan areas perce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more fair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s less unfair than those in non-metropolitan areas. Third, the geographical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opportunity is differentiated by gender. Young men from non-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view both opportunities as not fair at all, whereas young women from non-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both opportunities as not very fair. Young women from 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slightly fair but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not very fair, whereas young men in 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view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not very fair but job opportunities as slightly fair. Finally,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opportunity is found to be dependent on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one’s socioeconomic status is perceived,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one will view that opportunities are being given fairly. If the downward trend in the perception of class among young people continues, it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inequity of opportunity will be strengthened and doubts over the legitimacy of inequality may b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