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물경작장에서의 중금속 고축적종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의 정화 연구

        박상헌,최상일,박종부,한하규,배세달,성일종,박응렬,Park, Sang-Hean,Choi, Sang-Il,Park, Jong-Bu,Han, Ha-Kyu,Bae, Sei-Dal,Sung, Il-Jong,Park, Eung-Ryeo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1 지하수토양환경 Vol.16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mediation efficiency by Helianthus annuus, Brassica juncea and Brassica campestris on the soil contaminated with nickel, zinc and lead, respectively. The growth rates fell down under 60% in the condition of over 700 mg/kg of zinc for Brassica campestris, 300 mg/kg of lead for Helianthus annuus, and 150 mg/kg of nickel for Brassica juncea on the ba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soil, because of its toxicity. Also, the hyperaccumulators showed the maximum heavy metal contents in their biomass after 90 days of cultivation. The accumulated heavy metal content per kilogram of hyperaccumulator was 0.65 mg of nickel in Brassica juncea, 0.14 mg of zinc in Brassica campestris, and 0.06 mg of lead in Helianthus annuus, respectively. Additionally, 73.2% of nickel accumulated in Brassica juncea and 95.1% of zinc accumulated in Brassica campestris were concentrated in the upper site of crop like stem and leaves. However, in the case of Helianthus annuus, 83.7% of lead was accumulated in the root.

      • KCI등재
      • KCI등재

        현장규모의 유류오염 토양세척 및 무방류 세척 유출수 처리 공정

        서용식,최상일,김종민,김보경,김성규,박상헌,주원하,Seo, Yong-Sik,Choi, Sang-Il,Kim, Jong-Min,Kim, Bo-Kyung,Kim, Sung-Gyoo,Park, Sang-Hean,Ju, Weon-Ha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1

        현장규모의 유류오염 토양세척에 따른 세척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다단계 물리화학적 무방류 수처리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오염토양세척 후 세척토양과 세척수 처리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단위공정별 잔류하는 TPH(세척토양), COD$_{Mn}$, SS, n-hexane을 분석하였다. 세척 유출수 시료채취지점은 침사지,응집 침전조 그리고 유수분리조의 유출수,공정수,저장조 유입수로 4곳의 시료채취 지점에서 총 3회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또한 약8개월간의 토양세척 및 공정수 저장조의COD$_{Mn}$, SS, 그리고 n-hexane을 분석하였다. 그결과, 오염토양의 농도조건과 상관없이 오염토양의 세척효율이 평균95.9%로 높았고, 수처리 공정 최종 방류구인 공정수 저장수의 COD$_{Mn}$, SS, 그리고 n-hexane가 수질환경보전법상 청정지역 방류수질기준 미민으로 검출되었다. 현장규모의 토양 세척수 처리시스템은 세척수를 100%세척공정수로 재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토양세척 처리공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 non-discharged system of sequentially physico-chemical water treatment was used to treat the contaminated water produced from washing system of soils according to full-scale soil washing. After washing the TPH contaminated soils, the remaining concentrations of COD$_{Mn}$, SS, and n-hexane were analyzed for each compartment to estimate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non-discharged system. Three times of sampling events were conducted for 4 different compartments (sediment tank, flocculation tank, oil/water separator, and process-water tank). In addition, soil washing efficiencies and concentrations of each parameter (COD$_{Mn}$, SS, and n-hexane) for process-water tank were analyzed for about 8 months. As results, the average efficiency of soil washing was high to have 95.9%,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TPH contamination level for soils, as well as the concentrations of COD$_{Mn}$, SS, and n-hexane in the process-water tank were below the regulation limits of the Water Environmental Conserveation Act. Accordingly, the full-scale washing treatment system in this study could make the washing water 100% recycled which lead the system to be environmentally-friendly and economical.

      • KCI등재

        대규모 유류오염부지에 적용된 토양경작법의 정화효율 평가

        주원하,최상일,김종민,김보경,김성규,박상헌,Ju, Weon-Ha,Choi, Sang-Il,Kim, Jong-Min,Kim, Bo-Kyung,Kim, Sung-Gyoo,Park, Sang-Hea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4

        대규모 유류오염 정화부지에 대해 수분 및 영양분 공급장치, 송풍장치, 바닥 차수 및 집수 장치등의 공학적 토양경작 시설을 적용하여 복원효율을 평가하였다. 복원초기 미생물의 생분해활성도 증가를 위해 영양제인 질소(N), 인(P) 등 주요영향인자들을 부지 환경에 맞도록 보정하여 주기적인 틸링 작업을 수행한 결과, 오염토양의 농도가 가장 높은 1,893 mg/kg일 때의 정화효율이 82%로 토양오염우려 "가" 지역 기준 500 mg/kg 이하인 348 mg/kg으로 감소하였다. 가장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는 $28.9{\sim}35.6^{\circ}C$로 측정되었다. 또한 초기 농도가 서로 다른 오염토양의 TPH 농도가 법적기준 농도인 500 mg/kg 이하를 만족하는 38일 경과 후의 미생물 균수, 수분함량, 오염토양의 농도가 큰 변화 없이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The remediation efficiency for a large scale petroleum-contaminated site was evaluated by using the Engineered Land-farming system which was consists of the following parameters; moisture & nutrient injector data, blower system, HDPE sheet and sump system. To enhance the degradation ability in the early stage, main nutrients such as nitrogen (N) and phosphorus (P) were adjusted for the sit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periodic tilling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ted soil was decreased to 348 mg/kg, which was lower than 500 mg/kg (regal standards) while satisfying remediation Efficiency of 82%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1,893 mg/k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for an active operation was investigated between $28.9{\sim}35.6^{\circ}C$. For the contaminated soils having different initial concentration, the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concentration was decreased evenly along with the CFU (Colony Forming Unit), moisture content and contaminant concentration after 38days of gratifying the legal standards of under 500 mg/kg.

      • 미생물을 이용한 페놀 폐수지처리에 관한 연구

        박상헌,심학보,이수구,서성조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1992 大學院論文集 Vol.1 No.1

        본 연구는 혼합 미생물을 이용한 페놀 함유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관한 연구로서, 높은 페놀 농도에서의 이를 분해시킬 수 있는 균주를 개발하고 페널 함유폐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실험연구이다. 각종 공장폐수, 슬러지, 토양 등 40여종의 시료로부터 페놀 분해균을 선별하였으며, 페놀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 미생물을 적응시킨 결과, 페놀농도 1,000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잘 증식하며 페놀을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었다. 혼합 미생물을 분리 동정한 결과, 우점종은Pseudomonas PI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분식 실험에서 초기 페놀농도, 균체량 및 glucose 농도 등을 변수로 실험하였느데, 페놀 분해속도는 시간에 따라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페놀이 완전 제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초기 페놀 농도에 비례하였으며, 균체 주입량에 다른 초기 MLSS농도의 대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연속식 활성 슬러지법에 의한 실험에 있어서, 본 실험조건에서 페놀이 완전 제거되는데 필요한 반응기내의 체류시간은 유입 페놀농도 500ppm인 경우 20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biodegradation of phenol in wastewater using mixed microorganisms. The mixed clutures of phenol degrading microorganisms were select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industrial wastewaters, sludges and soils. The mixed cultures could be adapted to high concentration of phenol by increasing the phenol concentration step by step. The phenol was degraded easily even up to 1,000ppm of phenol using these microorganisms. The predominant bacteria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as Pseudomonas PI. In a batch system, the removal rate of phenol increased with time due to the lag time of microorganism adapation. The duration time during which phenol could be completely removed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initial phenol concentration. And the duration time(td) could be expressed as a funtion of logarithmic initial MLSS concentration(x) as follows. td=?? [8.68-In(x)] In a continuous system, the required residence time to remove phenol completely was found to be 20 hours and 35 hours 500 ppm and 800 ppm of influent phenol concentration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