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러시아문학에서의 환상

        박미령(Mee Ryoung Park)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뻬레스뜨로이까 이후 러시아 문학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벗어나려는 여러 가지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것은 러시아 망명문학의 복귀, 해금문학, 외국문학의 번역, 외국문학의 여러 경향과 사조의 유입, 대중문학 등이 러시아 문학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출판사나 잡지의 영향과 함께 문학상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중문학이 러시아 출판시장을 좌지우지할 때, 러시아 부커상의 목적에도 나와 있듯이, “독자들이 진지한 문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러시아 문학에 전통적인 인문적 가치체계를 담보하는 책의 상업적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 러시아 문학상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였다. 이런 문학상은 독자들이 작품을 선별하는데도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이 나아가야 할 방향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대표적인 러시아 문학상인 ‘러시아 부커상’, ‘내셔널 베스트셀러’, ‘명저’ 상을 수상했던 작품 블라지미르 마까닌의 『언더그라운드 또는 우리시대의 주인공』(1998), 따찌야나 똘스따야의 『끼시』(2000), 류드밀라 울리쯔까야의 『꾸꼬쯔끼 사건』(2001), 미하일 쉬쉬낀의 『봉작고사리』(2005), 올가 슬라브니꼬바의 『2017』(2006)에서 환상성은 중요한 서사전략이 되고 있다. 환상성의 개입으로 장르 간의 결합과 소통이 이루어지고 현실과 역사라는 기억이 해체되고 재구성된다. 비평가들은 이런 사실주의 경향과 환상성의 결합이 이루어진 작품을 통틀어 “신사실주의” 또는 “포스트리얼리즘”이라 부른다. 이것이 환상문학과 다른 경우는 ‘환상성’이 사실주의에서 간과되어온 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 차원에 있으며 그 현실을 전복시키면서 재의미화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사실주의나 포스트리얼리즘이란 포괄적인 용어보다도 이런 작품들을 정의하는 용어로 ‘환상적 리얼리즘’이 적당하다고 여긴다. 왜냐하면 이것은 사실주의 요소와 비사실주의 요소의 결합을 가장 적절하게 보여주는 용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러시아 사회가 ‘뻬레스뜨로이까(재건)’에서 ‘라스스뜨로이까(해체, 혼란)’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사실주의의 서사전략인 현실의 묘사는 환상성을 통하지 않고서 설명하기가 힘들게 되었다. 심지어 러시아뿐만 아니라 현대 모든 예술 분야에서 환상을 제외하고 이야기한다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가 되었다. 21세기는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가 해체될 뿐만 아니라 그 공간의 상호교류는 더욱 극대화되고 있다.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세계에서도 가상과 현실의 경계해체가 공공연하게 인정받고 있는 지금, 환상에 대한 정의는 현대적 인간의 실존과 관련된 문제들을 푸는 열쇠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현대문학은 ‘장자의 호접몽’처럼 현실의 허구성에 대한 문제를 사유해 왔다. 그것은 현실이라고 믿는 실체에 대한 의문이며 탐색이다. 뿐만 아니라 사료를 증거로 이야기될 정도로 합리적이라 인식되는 역사 역시 그 신빙성에 도전을 받는다. 빈번하게 역사는 대체역사를 만들어내고 과거의 역사는 끊임없이 새로운 해석을 낳으며 허구의 산물에 그 모티프를 제공한다. 환상은 현실과 역사의 허구성을 드러내는 적절한 기제로 작용하며, 현실과 역사를 전복시키고 지배하면서, 인간의 합리성을 비웃는다. There have been attempts to try new trend different from social realism in the Russian literature after perestroika. The returning of the Russian literature in exile, the publication of the forbidden book, the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ture, the inflow of various trends from abroad and the popularity of the popular literature made an effect on these attempts. Also literary awards as well as publishing houses and magazines play the important role with the change and new trend of modern Russian literature. For example, Russian Booker aims for drawing attention of reader to high-quality literature and providing commercial success too. ‘Russian Booker’, ‘National Best Seller’ and ‘Big Book’ are well-known literary award in Russia.『Underground, or the Hero of Our Time 』 of Vladimir Makanin, 『Kys' 』 of Tatyana Tolstaya, 『Case of Kukotskii』 of Ljudmila Ulitskaya, 『Venerin volos』 of Mikhail Shishkin, 『2017』 of Olga Slavnikova have received one of these awards or at least have been nominated. In these novels the fantastic is the very important key as the narrative strategy. By the intervention of the fantastic the communication and union of the seperate genres becomes possible. Moreover, the memory as reality and history has been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he realism with the fantastic is called as neorealism by the critics. However, it would be appropriate to call it as ‘fantastic realism' rather than neorealism or postrealism, because it is the most appropriate word to specify the union of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the social transition from perestroika to rasstroika it is difficult for realism to explain the chaos of the reality without the help of the fantastic.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border of reality and unreality has been dissolved. Furthemore, the exchange of reality and unreality increases to the maximum. The fantastic may becomes the key for the existential problems of life.

      • KCI등재

        안나 아흐마또바와 한국

        박미령(Park, Mee R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2

        20세기 초 러시아 모더니즘 시기에 활약했던 안나 아흐마또바는 1946년에 전연방공산당 중앙위원회(ЦК ВКПб)에 의해 소비에트 작가연맹에서 제명된 후 작품 활동을 거의 할 수가 없었다. 이때 아흐마또바는 번역일을 시작한다. 번역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지녔지만 레닌그라드(현 뻬쩨르부르그)국립 대학의 동양학부 한국어과에서 아흐마또바에게 번역에 참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렇게 해서 아흐마또바는 한국고대시가 번역에 참가한다. 한국어를 모르는 아흐마또바는 한국어 전문가인 홀로도비치, 임수 등 고려인과 한국어 전문가인 러시아 학자들이 한국어를 문자 그대로 직역하게 되면 그들과 함께 러시아어로 다듬고 ‘시적 번역’을 하였다. 즉 한국고대시가의 운율을 버리고 러시아 운율에 맞춰 시를 다듬는 작업을 아흐마또바가 담당했던 것이다. 아흐마또바와 같은 이런 번역방법은 러시아 독자들의 가독성을 위한 동화(同化, assimilation)의 번역방법으로 한국고대시가가 지닌 운율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아흐마또바는 자신이 뛰어난 시인이었기 때문에 한국고대시가를 러시아 시의 운율과 리듬에 따라 바꾸는 데 탁월한 실력을 보인다. 아흐마또바가 번역한 한국 고대시는 대부분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진 시로 송강정철을 비롯해서 이순신, 남이장군, 이이, 이황, 김종서, 황진이 등 61명의 작가와 작자미상의 시들이다. 장르로는 고려속요를 비롯해서 3·4조의 시조 등 광범위하며 내용 또한 구국, 충정, 효, 사랑 등 다양하다. 시의 운율은 언어로 표현해 내지 못하는 한 나라의 정서를 드러내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고대시가의 운율의 느낌은 한국인들에게는 익숙하지만 러시아인들에게는 생소하다. 따라서 아흐마또바는 한국고대시가의 내용이 담은 한과 슬픔, 그리움과 사랑 등을 러시아 시의 운율로 바꿔 전달하고 있다. 또한 아흐마또바는 한국고대시가 번역의 인연으로 한국에 관한 시 두 편을 쓰게 된다. 「불길에 휩싸인 한국(Корея в огне)」과 「한국적인 것의 모방(Подражание корейскому)」이다. 「불길에 휩싸인 한국」은 1950년 6월 27일에 쓴 시로 한국전쟁이 발발하자마자 쓴 시이다. 「한국적인 것의 모방」은 1958년 6월 9일에 쓴 시다. 이 두 시를 살펴보면 아흐마또바의 한국에 대한 깊은 관심을 알 수 있다. Anna Akhamatova, who worked in Russia in the early 20th century could not hardly do the work activity after the expulsion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At this time, Akhamatova starts at the work of translation. She got the negative stance on translation, but received the request of scholars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Oriental Faculty of Leningrad(today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in Korean language. In this way Akhmatova take part in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Akhmatova who do not know the Korean language Russian experts of Korean language, such as Kholodovich and Koreans in Russia, such as Im Su make a word-for-word translation of the Korean text, and then she rhymes meter of Korean classical poetry with Russian meter. This translation methods for readability of Russian readers is called a ‘assimilation’. Akhamatova is a very good poet and It"s amazing how she can change Korean classical poetry in accordance with russian meter and rhythm. Korean classical poetry translated by Akhmatova mostly is well known to Koreans and consist of 61 authors, including Song Gang Jeong cheol, General Lee Soon Shin and Nam Yi, Lee Yi, Lee Wha, Kim Jong Seo, Hwang Jin Yi and unknown authors. Its genre is far reaching, including Goryeo Folk Song and Sijo. Its theme vary with saving the country, loyalty, filial duty. love etc. Anna Akhmatova wrote two poetry 「Korea on fire」and 「Imitation of Korean」about Korean. She wrote poem 「Korea on fire」 about the Korean War on 27 June 1950. This poem was written after two days since the Korean war broke out. We can know how much she have affection and interest about Korea.

      • KCI등재

        20세기 초 러시아 아동문학에 나타난 입체미래주의의 영향 -추꼽스끼, 마야꼽스끼, 하름스를 중심으로-

        박미령 ( Mee Ryoung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1 No.-

        러시아 모더니즘 시기는 ‘혁명’이란 단어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새로운시도와 실험, 이전 시대와의 절연이라는 의미에서 새로운 예술시대를 열어갔다. 이런 영향은 비단 성인문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동문학에도 ‘새로운 르네상스’ 를 여는 정초가 되었다. ‘새로운 르네상스’를 여는 데 이 당시 예술분야에 신선하고 파격적인 바람을 몰고 왔던 아방가르드 계열의 예술가들이 아동문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들은 이전 시대의 모든 문학적 또는 예술적 전통을 거부하면서 오히려 더 먼 과거, 즉 민속적이고 종교적인 러시아 문화의 근간으로 돌아가서 그것들을 현대로 불러들인다. 이 과정에서 단순하게 모방하는 단계를 넘어 변주를 해나가면서 자신들만의 새로운 방식의 예술세계를 열어간다. 고리끼의 권유로 비평가에서 아동문학가로 명성을 얻게 되는 꼬르네이 추꼽스끼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아동문학의 장을 연 작가로 인정받는다. 이런 배경에는 추꼽스끼가 그 당시 새로운 예술을 주도했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의 교류와 영향이 자리한다. 특히 문학에서는 입체미래주의가 그림과 시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실험을 해나가는데, 추꼽스끼는 이에 대한 비평을 했을 정도로 그들에 대한 지식이 해박했다. 입체미래주의를 주도했던 마야꼽스끼 역시 추꼽스끼보다는 늦게 아동문학에 뛰어들었지만 그는 자신이 성인작품에서 했던 방식을 아동문학에도 적용한다. 이와 함께 마지막 아방가르드로 지칭되는 오베리우의 일원인 다닐 하름스 역시 생계를 위해 아동문학에 입문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시학을 아동문학에서도 드러낸다. 이들이 아동작품을 쓰면서 아동문학은 교훈적이고 교육적인 측면에서 진정으로 아동이 즐길 수 있는 작품이 되어간다. 아동 시에서는 이제까지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음이 지니는 본래적 의미를 찾게 되고 음이 만들어내는 음악적인 구성과 유희는 아이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게 했다. 입체미래주의자들은 음을 단어의 기의적인 측면에서 자유롭게 함으로써 음이 지니는 마술적인 힘에 주목한다. 즐길수 있는 아동문학에 대한 새로운 장은 후대의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아동문학은 지금까지보다 한층 발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게 된다. The period of Russian modernism can be called that of the revolution. The futurism at that time was considered as the radical experiment and innovation in the literature. Indeed, Russian futurism had introduced the radical experiment of destroying the routine art practice, the rupture with the established principles and tradition and the unique methods of representation. Not only bourgeois literature but also proletarian literature was rejected by the futurists. They called themselves new people of new life. They were engaged in systemizing the meaningless words in the unique way. Such innovation by the futurist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dult literature. Moreover, it had laid the foundation for Renaissance in the Russian children`s literature. It was possible because the artists and writers of avant-gardism made a contribution to the Russian children`s literature by rejecting the traditional art and literature and bringing out the ancient folklore and foundation of the religious culture to the modern era. In 1916 Chukovsky started writing for children`s literature by the advice of Goriky. He is recognized as a writer who opened new era in the children`s literature. The avant-gardists had an influence on Chukovsky who published the several articles about futurism. Mayakovsky, one of the prominent poets of Russian avant-guard, was seriously affected by a cubo-futurism. The avant-garde poetry has much in common with the children`s consciousness in understanding the world. Mayakovsky has addressed to creativity for children, considering it as a component of the general program of building socialism and formations of socialist culture. Unlike Chukovsky, Mayakovsky wrote the work for the children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ocialist state and culture. ``Association of real art``, Leningrad literary-philosophical group known as Oberiu also were the part of avant-garde. The children`s literature of Oberiu has been loved by the children, because of the rich imagination, freedom, simple rhythm, decon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ime and space, and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magination. There was no space for the message for the educational purpose, which is a usual and necessary element in the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타자담론의 서사전략

        박미령(Park Mee R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러시아 현대 출판계의 특징 중의 하나는 추리소설의 강세이다. 러시아 추리소설은 오랜 세월 추리소설이 인기를 끌던 영미나 유럽의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 인기를 얻게 된 장르이다. 그러므로 러시아 추리소설에서는 이미 다른 나라에서 행해진 추리 소설의 변주, 러시아적인 탐정 영웅의 형성과 장르간의 크로스오버 현상이 두드러진다. 러시아 추리소설에서 나타나는 전통 추리소설의 모방과 변주는 러시아 추리소설의 특성화를 이끌었으며 장르간의 크로스오버 현상은 드와이트 맥도널드가 말한 ‘미드 컬트’ 현상, 즉 순수 문학과 대중문학간의 경계를 파괴하고 대중문화의 고급화를 불러일으켰다. 현대에 와서 이것이 가능한 것은 대중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불러온 결과이다. 대중은 저급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중의 의미이며, 그것은 선택된 소수의 엘리트주의와 중심의 지배문화를 해체하는 집단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는 통속성이나 저급하다는 의미와는 구별되어져야 할 보편성의 의미로, 다수의 사람들이 폭넓게 공감하는 문화로 규정되어야 한다. 대중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추리소설에 대한 인기라는 현 상황에서 여성추리작가들의 적극적인 작품 활동은 러시아만의 특징이 되고 있다. 여성작가들이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추리소설에 도전함으로써 이제까지 타자로 소외되어 왔던 추리소설과 여성작가의 만남은 타자와 타자 간의 담론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것을 탄생시키고 주변에서 중심으로 재탄생하려는 기호들로 읽혀진다. The detective novel was introduced into Russia after Perestroika and becomes the most popular genre in Russian publications. The imitation and variation of traditional detective story by Russian writer is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s the distinctive quality of Russian mystery novel. Moreover, he crossover between the different genres turns out to demolish the boundary between the pure and the public literatures, and makes the public culture to become serious. The public is not recognized as vulgar any more, but as multifarious. Also, the public culture is replacing the ruling culture by the select few elite. Therefore, the public culture should be defined as the culture in sympathy with the large number of people in the universal meaning but different from the vulgar or inferior culture. The many detective novels by the female writes are published in Russia. The reason that the female writes becomes of great significance in Russia is because of the change of social culture. The culture after mid 20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econstruction and overturn of the values, and the de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class and high-class cultures. Also,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and the ruling class gave more freedom to the society. All these results in the appearance of the many female writers. The active creativity by the Russian female writers expands into the mystery novel which was monopolized by the male writers. The encounter between the detective story and the female writers can be understood as the discourse between the others alienated by the ruling class.

      • KCI등재

        러시아 그림책의 탄생과 발전

        박미령(Park Mee R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1

        혁명 후인 1920년대는 신경제정책의 실행과 혼란한 국내 상황으로 인해 당의 감시와 검열이 느슨했고 비교적 자유로웠던 시기였다. 이런 시대적,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러시아에서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가 일체를 이룬 그림책이 나올 수 있었다. 이전의 그림책은 대부분 기존에 있던 이야기에 삽화를 넣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작가들이 그림책을 위해서 창작을 하고 화가들이 그에 맞게 그림을 넣는 형식이며 그림과 글의 관계는 대등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런 그림책이 탄생하게 된 데에는 그 이전에 등장한 예술그룹들과 출판사의 역할이 중요했다. 먼저 “예술 세계”에 속했던 화가들은 러시아 모더니즘을 여는데 일익을 담당했던 화가들이다. 그들은 “새로운 예술”인 아르 누보를 러시아에 안착시키고 외국의 아르 누보와 러시아적인 것들을 결합시켜 독창적인 예술을 탄생시켰다. 그들은 이를 바탕으로 민담, 외국 아동문학,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에 삽화를 넣어 예술적으로 뛰어나고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었다. 이후 베라 예르몰라예바가 만든 예술 조합 “오늘”에 와서 한층 더 실험적이고 창의적이면서 다양한 그림체가 등장한다. 글과 그림이 각자 나름의 발전을 해왔고 그 결합에서도 높은 예술성을 드러내려는 노력은 비로소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그림책다운 그림책이 등장하게 했다. 그런 성과에는 출판사 “라두가”의 등장과 역할이 있었다. 1920년대 초 볼셰비키에 의해 추진된 새로운 경제 정책인 신경제 정책이 개인 기업화의 부분적인 부활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로 인해 생긴 개인 출판사의 출현이 대중을 위한 그림책 제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혁명전의 예술 그룹들은 그림책이 태동하는 밑거름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이 모든 노력은 이 시기에 그림책이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conomy policy and the turbulent domestic situation in the post revolution era of the 1920s loosened the party"s supervision and censorship and created relatively liberal atmosphere. Under such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allowed the new style of a picture book to emerge in Russia. Previously, most of the picture books were in the form of putting illustrations in the existing story. On the other hand, in this new style of a picture book, paintings and writing had almost a parallel and equal relationship where writers produced the story and the painters painted the picture in line with the writing. Several artist groups and publishing companies contributed to the birth of such a picture book. First of all, painters belonging to the artistic group “Mir iskusstva (World of Art)”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the Russian modernism and created unique genre by combining the style of international Art Nouveau(new art) with the Russian tradition. They had drawn illustrations in folktales, foreign and Russian children"s literatures to produce more artistic and genuine works. The next artist group was called “Today” (Segodnya) which Vera Ermolaeva founded in Petrograd. They took the experiments to the next level and add diversity and creativity to the picture books. Finally, one cannot emphasize enough the important role that publishing company called “Raduga” played. The new economic policy initiated by the Bolsheviks in the early 1920s enabled the partial revival of private enterprise and the emergence of private publishing companies. Such publishing companies provided venues for popularizing the picture books by hiring several popular writers and painters, and publishing many picture books. Above mentioned actors played pivotal roles in establishing globally acknowledged artistic and creative picture books.

      • KCI등재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와 알렉산드르 페트로프의 동명 애니메이션과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박미령(Mee Ryoung Park)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2

        알렉산드르 페트로프는 현대 러시아를 대표하는 애니메이터로 미국이나 일본의 상업적 애니메이션과 달리 노르슈테인으로 대표되는 러시아 예술 애니메이션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페트로프는 컴퓨터를 즐겨 사용하는 현재의 애니메이션 트렌드와는 달리 글라스 위에 손가락으로 유화를 그리는 “페인트 온 글라스” 방식을 사용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그는 헤밍웨이의 유명한 소설 『노인과 바다』를 영상화하여 2000년 아카데미 단편애니메이션 상을 받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러시아 애니메이터로서는 최초의 수상이었다. 이 애니메이션은 페트로프가 오랫동안 준비했던 작품으로 캐나다의 지원을 받아 헤밍웨이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작품으로 1999년에 만들어졌다. 페트로프는 <노인과 바다>를 통해 헤밍웨이와 대화를 시도했다고 인터뷰에서 이야기했다. 이런 대화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기본적인 목적에 정확히 부합한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원작이 있는 작품을 영상으로 ‘다시 쓰기’하는 방식이지만 단지 글인 원작을 그대로 옮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원작의 작가와 영상의 작가 간의 대화를 통해 재구성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페트로프는 헤밍웨이의 의도와 메시지를 파악하고 영상 언어로 애니메이션 <노인과 바다>를 재구성했다. 페트로프는 생동감 있는 노인 산티아고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어부의 모습을 참조하고 결국에는 자기 장인의 형상을 바탕으로 노인을 그렸다. 영상에서 노인 산티아고와 청새치 및 상어와의 사투, 청새치와 상어의 생동감 있는 움직임, 광활한 바다는 역동적이면서 사실적으로 관객에게 전해진다. 사실적이면서 예술적인 미장센과 더불어 헤밍웨이의 원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편집 방법은 ‘메타모포시스’이다. 메타모포시스는 디졸브를 바탕으로 한 장면전환의 기법으로 A에서 A´로 전환되는 몰핑과 A에서 B로 형상이 전환되는 워핑이 있다. 페트로프는 대부분이 산티아고의 생각과 독백으로 채워진 이야기를 메타모포시스 기법을 통해 헤밍웨이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페트로프는 헤밍웨이가 유작으로 남긴 이 작품의 유명한 말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라는 인간 불굴의 정신과 용기, 자연에 대한 사랑과 순응을 잘 표현했다. Aleksandr Petrov is an animator who represent modern Russia. He continues on the traditions of Russian artistic animation as best represented by Yuri Norstein, deviating from the commercial animation of the United States or Japan. Unlike the trends in animations of using computers, Petrov uses his fingers to paint pastel oil paintings on glass, using the “Paint-on-glass” film technique to create animation. He made a film of Hemingway"s famous novel The Old Man and the Sea, which won The Academy Award for Best Animated Short Film in 2000 and gave him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first Russian animator to win this prestigious award, Petrov prepared for this film at length, and was given support from Canada to commemorate what would have been Hemingway’s hundredth birthday. Petrov, during his interviews, mentioned through The Old Man and the Sea, he tried to converse with Hemingway. These conversations fit exactly with the purpose of cross-media storytelling. Although cross-media storytelling is a form of “re-writing” an original piece of work into a video, it is not just the transfer of medium. It is also a process of reconstruction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the author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director of the film. Petrov, fully understanding Hemingway"s original intent and message, reconstructed The Old Man and the Sea in visual language. Petrov wanted to capture the Old Man Santiago in a lively manner, and referred to many fishermen to do so, but ended up drawing the Old Man based on the image of his father-in-law. In the film, the battle between an aging but experienced fisherman Santiago and Marlin and the sharks, the lively movements of Marlin and the sharks, and the expansiveness of the sea are conveyed to the audience in a dynamic and realistic way. In addition to the realistic, but artistic mise-en-scène, editing method of “Metamorphosis” was used to effectively convey Hemingway’s original intentions. “Metamorphosis”, technique of scene changes based on dissolve, uses morphing to go from A to A’ and uses warping to go from A to B. During scenes mostly filled with Santiago’s thoughts and monologue, Petrov was able to effectively convey Hemingway’s intentions using “Metamorphosis”. Petrov well expressed the human’s indomitable spirit and courage, as well as love and adaptation to nature that is the famous quote of Hemingway’s last major work, “A man can be destroyed but not defeated”.

      • KCI등재

        러시아 아동문학 속의 성인과 아동의 이중적 텍스트구조

        박미령(Park Mee R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1

        하름스는 1927년 마르샥의 권유로 아동문학에 참여하게 된다. 그는 『요쥐(Ежемесячный журнал)와 『치쥐(Чрезвычайно интересный журнал)』라는 잡지에서 일하게 되는데 이 두 잡지의 성격은 그 당시 다른 잡지들과 달리 자유롭고 교육보다는 아동이 즐길 수 있는 작품을 선호했다. 이런 잡지의 성격 때문에 이 두 잡지에는 그 당시 진취적이고 진보적이며 창의적인 젊은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그 중에 하름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이후 하름스는 성인작품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 받기 전까지 아동작가로서 알려지게 된다. 그의 아동작품은 미래의 소비에트 국민인 아이들에게 환영을 받았다. 아이들은 오베리우 시인들이 비난받았던 특징들, 감정의 순수함, 리듬의 참신함, 기이한 조어적 경향, 전형적이지 않은 사고, 자움어, 형식에 대한 과도한 관심, 상상의 자유로움, 시공간의 해체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즐겼으며 이런 특징들은 당시 아동문학을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했다. 비록 생계를 위해 선택하게 된 길이었지만 하름스의 아동작품은 여러 편에 이르며 그 시기 또한 하름스의 창작 활동시기와 맞물린다. 하름스의 아동작품은 그의 성인작품과의 연관성을 보이며 그 자체 내부에 성인과 아동이라는 두 의미층위를 포함한다. 성인인 하름스와 그의 현실, 그리고 독자인 아동은 그 안에서 조응하면서 텍스트를 만들어낸다. 하름스는 자기반영성을 통해 작품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독자들을 작품창작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며 유희적인 작품을 창조한다. 또한 아동성이란 가면 아래에 그 당시의 현실과 자신의 처지를 표현해내기도 한다. 자기반영성은 포스트모더니즘에 와서 등장한 개념이지만 아방가르드 계열의 작가인 하름스에게서 나타나는 전통과 보편성, 일반성, 계획성, 정형성에 반역을 꾀하는 그의 철학과 맞닿아 있다. 최근에 하름스가 재평가 되면서 그의 작품들이 관심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으나 아동작품은 소외되고 있다. 비록 연구서에 언급이 되고 있지만 아동작품이라는 이유 때문에 간과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동작품 역시 하름스의 작품이며 생계유지를 위해 쓸 수밖에 없던 글쓰기였지만 성인작품과는 다른 그의 형상과 문학적 기법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충분하다. The life of Daniil Kharms was short and miserable. His literature had been prohibited during the Soviet era. After Perestroika, his work for adults has been published and admired by the readers and scholars. During the Soviet period he was known as the children's writer. Now nobody considers him as a writer of children's literature. His work of adult literature has become popular and studied by many scholars since Perestroika. However, the research on the children's literature of his is not active.. The children's literature of Kharms has been loved by the children because there is the imagination, freedom, simple rhythm, decon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ime and space,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magination. There is no space for the message for the educational purpose which is a usual and necessary element in the children's literature. It is easy to notic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adult text of Kharms. But the children's literature of his has several attributes distinct from his adult work because the reader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dult literature. His adult work was the field for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experiments. Even though he wrote the children's texts for living, he exposed the harsh reality of life in Soviet through the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신화 다시 쓰기: 부정과 메타모르포시스를 통한 자기동일성의 서사전략

        박미령(Park Mee R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5 노어노문학 Vol.17 No.1

        Russian female writers had not draw attention until Perestroika. In post-Perestroika era,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subsequent social changes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m to bring spotlight to their existence. Female writers claim their existence into the world, from 1989 to 1995, with continuous publication of nine collections. The introductions of『A woman with no evil memory』and『New Amazones』 contain declaration which provide the definition of women' prose and proclaim the originality of female writers. Those introductions also clearly show the driving force of these cooperative works of female writers. They take action not because they would like to build arena for fighting between male and female as the logic of western feminism tells. They take action because they would like to get over with the long history of forbidden publications of female writers and to make their own voices heard. As a result, their works now receives great recognition from critics and readers. The emergence of Russian female writers have little thing to do with the debates of western feminism. It rather relates to their passion to examine self-identifica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 confusion of self-identification which followed the collapse of main ideology in the post Perestroika era. In fact, the late timing of their search for self-identification through publishing collections actually verifies the strongly deep-rooted patriarchal system of Russia. This paper would like to examine the "Narrative Strategy" that female writers employ in order to explore self-identification understrong patriarchal Russian society. First of all, among all those nine collections I will focus on『A woman with no evil memory』and 『New Amazones』, which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collections in earlier times. The title of the latter deserves our attention in that Russian female writers refer themselves as new Amazones. Also, their works consist of sub-themes and reveal their own definitions of female that are to lead the new era. These works are the results of modem reinterpretation and rewriting myth through negation and metamorphosis, which has been distorted by males. Russian female writers examine the physical time and space which has suppressed them so long, by textualizing the world of myth and fairy tale, or, the illusionary space and pre-historic times. Furthermore, they put one more step to create their own myth, while denying all existing ideologies. In other words, they attempt to recreate and redefine themselves through simulation, denying the image of Holy Mother, perfect woman, and even that of maternity which has been created by male writers and imposed on them. They attempt to bring symbolic and peripheral women into the main stage with redefining them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and voices. Through those practices of redefining themselves, they establish themselves as Russians who share the pain of their times and the loss of self-identification with males, rather than as a "woman" or a "mother" whose definition is imposed and decided through the eyes of a male.

      • KCI등재

        글과 그림의 상호매체적 관계

        박미령(Park Mee R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6 노어노문학 Vol.28 No.3

        푸쉬킨은 러시아 예술문화에 영감을 준 작가들 중에서도 으뜸일 것이다. 그의 작품은 시대를 넘어 현대에도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서사 때문에 연극, 오페라, 애니메이션, 그림책 등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어 새롭게 탄생되었다. 여기에 “예술세계”의 일원으로 주로 민담에 삽화를 그렸던 이반 빌리빈도 동참했다. 그는 푸쉬킨의 작품들에 삽화를 그렸다. 그 중에서 빌리빈은 푸쉬킨의 “황금 수탉 이야기”에 삽화를 넣어 표지부터 뒤표지까지 책 전체를 자신이 직접 구상해서 그림책을 만들었다. 물론 이 그림책은 그림과 글이 대등하거나 그림이 글보다 우세한 현대적 개념의 그림책은 아니다. 러시아에서 현대적 의미의 그림책은 1920년대에 나오게 되며 그 이전에는 이런 식의 그림책이 대부분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빌리빈이 만든 그림책은 삽화이지만 글의 부수적인 기능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은 표지부터 많은 기호를 담고 있으며 서사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푸쉬킨의 글과 빌리빈의 그림은 서로 다른 매체를 통해 독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다. 푸쉬킨의 글이 빌리빈의 그림으로 매체전환이 되면서 상호매체적 관계를 맺는다. 상호매체성(intermediation)은 독일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1990년대 이후에 문예학에서 활발하게 대두되었다. 이 개념은 바흐찐의 “대화주의”,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유사한 이론적 기반을 가진다. 결국 다른 두 매체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결국 빌리빈의 그림책은 푸쉬킨과 빌리빈의 대화적 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각각의 매체가 독립적이면서 서로를 보완하고 또 다른 서사를 만들어나가는 관계를 갖는다. A. S. Pushkin would be the most inspiring writer in the Russian artistic culture. His works have made a strong impact on the diverse arts including theater, opera and animation. Ivan Bilibin, illustrator for Russian folk and fairy tales as a member of group “Mir Iskusstva”, had a great interest in Pushkin’s tales. Bilibin had designed himself an entire format of a illustrated book, “The Tale of the Golden Cockerel” from the cover to the back cover based on Pushkin’s “The Tale of the Golden Cockerel.” Even though this illustrated book is much different from the modern picture book of a visual picture parallel to words in a format, the illustrations in this book is not a secondary to the words. This illustrated book contains many symbols and signs in the paratext. Intermediality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two media such as writing and images, or the transgression of boundaries between them. Since Intertextuality means a literary device that creates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exts" and generates related understanding in separate works, this term is similar to intertextuality in some sense. Bilibin’s pictures deliver the messages to readers with the intermedial relationship to Pushkin"s words independently and reciprocally.

      • KCI등재

        소비에트 제국 이데올로기의 토착화를 위한 아동문학의 역할

        박미령(Park, Mee-ryoung)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7 No.-

        혁명 이후 소비에트는 새로운 국가를 정비하고 체계화시켜야 했으며 그에 맞는 새로운 국가 이데올로기를 확립해야 했다. 새로운 국가 이데올로기를 주입하고 교육시킬 필요성에 직면한 소비에트 정부는 아동에게 공을 들였다. 그러므로 아동문학은 소비에트 정부가 관심을 기울이고 통제해야 할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아동은 미래의 소비에트 국가를 이끌어갈 미래이기 때문에 그들의 교육은 중요했다. 소비에트 정부는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아동, 문맹인 민중들, 그리고 주변 국가, 특히 러시아어를 알지 못하는 점령민족에게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그림책과 삽화를 이용한다. 그림책과 삽화는 글이 전달하지 못하는 이데올로기를 쉽게 전달한다. 그림, 또는 포토몽타주는 글과는 다른 서사체계를 지니면서 각자 서로의 여백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며 독립적으로 서사를 책임진다. 20세기 20~30년대는 러시아 예술의 황금기였다. 이 시기에는 미술에서 여러 가지 실험과 다양한 장르들이 혼재하고 있었다. 아동문학 역시 볼셰비키 진영과 순수한 아동문학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진영의 싸움이 존재했지만 결국 당의 통제 하에 아동문학이 놓이면서 이 투쟁은 막을 내리고 모든 예술가들의 당이 정해준 지침에 따라야 했다. 그러므로 그림책과 아동문학의 포토몽타주 삽화는 당의 이데올로기 강화의 도구로 이용되었고 레닌의 우상화와 이데올로기 강화에 작가들은 러시아 민중화인 루복과 성상화의 기법을 도입했다. 이는 좀 더 문맹인 민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목적과 레닌의 우상화에 성자의 형상을 이용하려는 목적이 뚜렷했다. The Soviet government had tried to build a new system for a new nation according to a new national ideology since the revolution. In the face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for a new national ideology, children"s literature became one of the main subjects to which Soviet government paid much attention and controlled. The education of children was important, because they were a new generation that would lead the Soviet in future. Picture books and illustrations had been used as a tool for spreading the ideology to the illiterate people and children. Also, Soviet government had applied the same means to inculcate the people and students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with its ideology. The ideology that the letter could not transfer was transmitted by illustrations and picture books easily. The pictures or photomontage have a very different narrative system from letter and play the very important role to fill the margins that cannot be filled by letter. Moreover, it makes them responsible for narration independently. During the 1920s~1930s, a variety of genres had been mixed and experimented in art. This period was called the golden age of Russian art. In children"s literature, there had been conflict between two camps. One was for the pure joy of children. The other was for the ideology controlled by the party. However, it did not last long and artists had to follow the guidelines established by the party. Therefore, picture books and photomontage illustrations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used as a tool to strengthen the ideology of the party. For this purpose the writers introduced the technique of a Russian popular print ‘Lubok’ and Icon ar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ology of the party and the idolization of Lenin. The main reason using an image of the saints in idolization of Lenin gave familiarity and inspiration to the illiterat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