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蒙古人 滯韓 不法 勤勞者들의 韓國文化觀

        박노자,바트자르칼 덴데브터르진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1999 동중앙아시아연구 Vol.4 No.-

        최근 數年의 韓·蒙諸般關係의 급속한 發展과 蒙古를 포함한 舊社會主義陣營의 극심한 經濟·社會的危機로 말마암아 多數의 蒙古人들은 부득이한 사정으로 來韓하여 國內에서 不法勞動行脚을 벌이게 되었다. 정확한 統計가 없어서 이들 蒙古人滯韓 不法勤勞者의 總數도 잘 알 수 없는데, 1997년도의 <出入國管理統計年譜> (法務部 發刊)에 의하면, 當年의 蒙古人短期不法滯留者의 數가 7,640名에 達하였다 (310面參 照). 이로 봐서는 短·中·長期蒙古人不法滯留者의 總數는 萬名안팎으로 추정되는데, 그들 중에서 대부분은 零細業體에서 筋肉勞動에 從事한다. 筆者(박노자)는 建國大學校附屬社會敎育院의 外國人勞動者日曜日大學에서 自 願奉仕者로서 1년반 동안 蒙古人을 爲始한 諸國勤勞者들에게 韓國史를 敎授해 왔는 데, 이 因緣으로 滯韓蒙古人勞動者와 親分의 關係를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되어 15 명의 日曜日大學學生인 蒙古人不法勤勞者에게 그들의 韓國文化觀에 대한 小規模 의 設問調査를 하게 되었고, 이 설문조사의 결과를 이하에서 간단히 발표하고자 한다. 조사 對象은 20대 (9명), 30대 (6명)이었고, 대부분은 (12명) 高卒이었으나 약간의 大卒(3명)도 있었다. 대부분은 1-2년간의 滯韓경험을 가지고 있고, 한국어 日常會 話에 능통하다. 조사 대상자 全員은 喇嘛敎信徒를 自許한 관계로 불교 관계 질문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조사 대상자 중에서 露語能通者4명이 있어서 조사를 동시에 露 語와 蒙古語로 진행할 수 있었다. 제1문제는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 (연장자 - 연소자 관계; 상사 - 부하 관계 등)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이었다. 이러한 질문을 하게 된 배경은, 연령과 사회 신분에 의한 위계질서와 그에 동반되는 언어적 현상 (연소자에 대한 “반말” 사용, 연장자에 대한 존칭 사용 강요)은 보통 歐美圈出身의 滯韓者들에게 한국 문화에 대한 제1 不滿要素 로 꼽혀 왔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몽고인들이 한국式위계질서를 이론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그리고 이 위계질서의 현실적인 운영 실상을 어떻게 보는가 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은 한결같이 “연령·직장 상·하 관계에 의한 위계질서 가 當然之事”라고 자신있게 확답하였다. 蒙古의 사회 질서도 대저 흡사한 원칙을 기반 으로 한다는 것은 응답자의 公論이었다. 한국의 敬老·孝道사상 등을 몽고 사회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어 한국 문화에 대한 친숙함을 느낀다는 대답도 압도적으로 많았다. 몽고의 師弟관계 전통도 한국의 君師父一致문화와 대거 매우 흡사하여 正初의 恩師 宅訪問등의 한국 풍습들을 몽고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는 것은 대부분의 대답이었 다. 웃어른을 만나면 절해야 한다는 한국의 관습에 대해서 “안타깝게도 요즘 많이 사 라진 우리 고유의 美風良俗”이라고 평가하는 응답자도 있었다. 한마디로, 한국의 연장 자·상사에 대한 恭敬의 원칙이 滯韓蒙古人勞動者에 의해서 전적으로 받아들여진다는 결론 을 내릴 수 있는 것 같다. 한국의 직장에서의 인간 관계와 관련해서 주요 不滿要素들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아무런 불만도 없다”고 대답한 3명을 제외한 나머지 응답자들은 “한국인 年 下者·동료로부터의 적당치 못한 待遇”라고 답하였다. “적당치 못한 대우”라는 것이 구 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하느냐라는 보충 질문에 대해서는 주로 “나이에 걸맞는 대접 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외국인 불법 체류자라서 연하자들도 보통 반말로 이야기 한다”, “연하자들이 한국인 연장자들에게 통상 형님과 같은 존칭을 쓰는데 우리에게 기껏해봐야 아저씨라고밖에 부르지 않는다” 등의 대답을 듣게 되었다. 8 명의 응답자 들은 “나이 차이도 비록 크지 않으나 상사·동료로부터 상습적으로 욕설·상소리를 들어 야 한다”는 것에 대한 불만을 표하였다. 전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한국식 연령 위주 의 위계질서의 원칙을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蒙古人들은 자신들의 불리한 신분 과 관련되는 이 질서의 違反(연하자로부터의 “반말” 등)의 경우에는 상당히 강력한 拒否反應을 나타낸다. 끝으로 “한국인에게 바라는 사항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서 2-3명을 제외한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우리가 한국인과 똑같은 존재들이라고 假定 하여 우리 나이에 알맞게 우리를 한국식으로 대해달라”고 대답하였다. 한국인 동료의 행동 양식에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7 명의 응답자들은 “상사에 대한 지나친 阿附·阿諂·迎合”이라고 답하였다. 阿附·阿諂의 구체적인 事例를 提示해달라는 부탁에는, “상사에게 자신이 해낸 일에 대해서 誇張되게 이야기하는 것 이 다반사다”, “상사가 없는 사이에 일을 잘 안하다가 상사가 나타나자 열심히 일하는 것을 假裝한다”, “자신의 ‘몸값’을 높이기 위해서 상사 앞에서 일부러 우리와 같은 외 국인을 가르치는 척한다”, “미움받는 상사에 대해서도 인위적으로 인사치례를 너무 번 잡하게 챙긴다” 등의 답들을 듣게 되었다. 이러한 행위의 원인을 무엇으로 생각하느냐 는 질문에는 “解職에 대한 恐怖”, “상사에 대한 종속 관계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관 습”, “자본주의적인 인간 관계의 物化” 등의 대답이 나왔다. 여기에서 흥미로운 것은, 응답자들이 阿附와 같은 現象을 한국의 전통이 아닌 현대 사회의 보편적인 사회·경제 적 질서와 연결시키려는 태도를 단적으로 보였다. 한국 사회에 대한 지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繁文縟禮가 過度하다”, “禮儀凡節이 번거롭다” (2 명), “行動樣式에 있아사는 識者層과 庶民層이 天壤之差다” (1 명) 등의 흥미로운 대답들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봐서는, 응답자들은 연령·교육·신분에 의한 한 국의 전통적인 위계질서에 대해서 극히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면서, 자신들의 불리 한 신분으로 인해서 이 질서 속에서 적절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한 데 대한 강한 불만 을 표하였다. 그리고 자신 주위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인 현상들 (强者에 대한 弱 者의 自己卑下的態度, 禮節의 形式化등)을 한국의 전통이 아니라 현대 사회·경제적 환경에 의한 전통의 파괴와 연결시켜서 이해해 보려는 자세도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이러한 이해의 자세는 일상 생활의 부정적인 측면의 궁극적인 根源을 “儒敎”와 “민족 주의”, “배타주의”에서 찾으려는 영미권 출신의 滯韓외국인의 일반적인 태도와는 대 조적이라 볼 수 있다. 來韓以前의 期待水準에 比해서 實際韓國生活에 대한 滿足度가 어느 程度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異口同聲으로 “기대에 훨씬 못미친다”는 대답 을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을 最新技術로 가득찬 最高先進國家로 想像하였는 데, 실제적으로 아직 막노동의 비중이 너무 크다”, “우리와 달리 한국에서 詐欺犯罪 나 不當勞動行爲가 없는 줄로 생각하였는데, 실제로 不法賃金滯拂現象에 부딪치 게 되어서 너무 실망스러웠다”, “先進國으로 생각되었던 韓國에서도 우리 나라처럼 人 間冒瀆, 毆打, 酒癖등이 있다는 걸 꿈에서도 想像못하였다” 등의 대답들이 대표적 이었다. 응답자의 대다수 (13 명)는 賃金不當滯拂, 賃金詐欺, 賃金不當削除, 使用 者側의 常習的毆打·醜行등의 人權侵害行脚에 직접 부딪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 응답자들은 “우리 나라 基層社會에서도 그러한 事件들이 非一非再하다”, “우리 나라에서 불법 외국 노동자의 생활 與件이 더욱 劣惡했을 것이다”, “不當勞動 行爲가 初期資本主義의 普遍的現象이니 韓國만을 罵倒할 이유가 없다”, “한국이 외 국으로부터 자본주의가 식민지 시기에 移植된 불행한 나라인데 어찌 短期間內에 유럽 先進國들을 따라잡을 수 있겠느냐” 등의 대답을 통해서 한국의 人權문제를 긍정적으 로 이해해보려는 태도를 내비쳤다. 일부의 응답자 (3 명)는 “우리 한국 동료도 임금 체불과 주인의 비인간적인 待遇에 시달리는데, 우리만 고생한다고 어찌 볼 수 있겠느 냐”라고하여 자신이 직면하는 문제의 보편성을 강조하였다. 대답의 이러한 경향으로 봐서는, 來韓以前에 韓國의 社會·經濟的發展水準을 상당히 過大評價하였던 응답자 들은 외국 노동자 인권 박탈 상황을 悲觀하면서도 感情的인 對應을 最大限自制하며 이 事情의 不可避함을 客觀的으로 認定한다. “우리가 不法滯留嫌疑로 逮捕되어 本國 送還되지 않는다는 것도 感之德之할 일이니 不滿이 잇어도 不平할 마음은 없다”는 것 은 응답자 全部의 共通的인 意見이었다. 異質的環境에 처해 있는 극소수의 異邦人인 몽고인 불법 체류자들이 최선을 다하여 感情의 爆發을 抑制해 가면서 불리한 상황을 適應力과 理解力으로 극복해 보려는 자세는 단적으로 표현되었다. 이외에는 응답자들의 한국 종교 문화에 대한 親熟度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儒 敎·佛敎에 대해서 아는 것이 있느냐”는 질문을 하였다. 놀랍게도 儒敎에 대해서 대부 분이 “명칭만 들었을 뿐이지 내용 아무것도 모른다”고 일제히 답하였다. 구체적인 대 답은 “元나라 시기의 중국 철학”, “중국 개념” (2 명)의 정도이었다. 응답자들은 경험 적으로 익히 알고 있는 한국式위계질서가 儒敎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생각을 전혀 갖지 못하였고, 이 “중국 개념”이 한국 사회 문화의 기간을 이루었다는 사실을 몰랐 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非漢字文化圈出身의 外國人滯韓者들은 韓國儒 敎의 基礎라도 익히는 데 커다란 支障이 있어, 이들에게 한국 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기대하기는 무척 어렵다. 한국 불교에 대해서는, “한국에 佛者가 많다” (1 명), “한국 사찰에 우연히 간 적이 있다” (2 명), “한국 佛者들이 佛心은 너무 강해 祈禱를 우리에 비해서 참 자주 한다”( 1 명) 등의 대답이 있어, 역시 佛者들인 蒙古人들에게 는 한국 불교가 儒敎에 비해서 덜 이질적이었다. 그러나 한국 僧侶를 한 번이라도 접 촉하거나 기도할 목적으로 한국 사찰을 방문한 적이 있는 자가 응답자 중에서 한 명 도 없었다는 사실로 봐서는, 불교도 아직 滯韓몽고인들과 한국 문화 사이의 架橋역 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었다. 그런데도 “한국 佛像앞에서도 자연스럽게 祈禱할 수 있느냐”라는 질문에 “부처님은 똑같은 거니까 당연히 하겠다”는 대답으로 봐서는 몽고인의 한국 사회 적응 과정에서 불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아직까지 불교에 비해서 몽고인들에게 국내에서 더 적극적으로 접근하 는 것은 개신교이었다. 일부 교회에서 失職蒙古勞動者들에게 宿食을 提供해 준 것 에 대해서는 모든 응답자들은 진지한 고마움을 나타냈다. 전통적인 몽고인 價値觀에 서 “謝恩”, “報恩”의 개념이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실을 고려하면, 한국 교회들의 이러한 慈善事業은 차후에 蒙古內宣敎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 사회에 대해서 가장 놀랐던 점이 무엇이었느냐는 질문에 “‘우리 나라‘, ’우리 민족’이라는 말을 주술처럼 맨날 들먹거리면서도 중국 동포들을 우리에 비해서도 더 욱 더 학대하는 것은 二律背反이 아니냐“, ”사람의 얼굴을 봐서 ‘재수 있다’, ‘재수 없 다’라고 판단하여 이에 따라서 그 사람을 대하는 것이 우리 나라와 비슷하면서도 조 금 특이하다”, “태극기의 음양 결합 상징이 우리의 арга-билэг 상징과 아주 비슷하 다”, “공사장에서 공장에 비해서 아부쟁이들이 덜 있다. 日當雜夫라서 什長과의 관계 가 永續的이지 않기 때문인가?” “한국 시골에서 생활 여건이 그렇게 안좋은 것을 상 상할 수 없었다. 버스도 잘 안다니고, 집 대신에 콘테이너에서 살아야 되니 너무 驚愕 스러웠다” 등의 흥미롭고 異色的인 반응들이 보였다. 특히 血緣·種族論理에 입각하는 蒙古 人들이 자본주의적 경제 優劣질서에 의한 중국 동포에 대한 輕蔑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은 주목할 만 한 것 같다. 간단한 결론을 내리자면, 전통 사회의 한국인과 아주 흡사한 연령·신분·혈통에 의한 서열을 위주로 하는 思考方式을 갖고 있고, 또는 한국사회 속에서 한국인과 동등한 신분으로 어울려 살기를 적극적으로 熱望하는 滯韓몽고인들은 서구인에 비해서도 한 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다만, 현재로서 不法滯留者라는 불리한 신분 에 의한 不適當한 社會的待遇로 말미암아 이 適應過程에서 蹉跌이 빚어질 뿐이다. 만약 그들의 신분이 陽性化되어 합법적인 勞·使關係가 이루어졌다면, 한국인들과 많 은 공통점을 갖고 있는 그들은 模範的인 駐韓外國人이 될 수 있었음은 분명하다. 현 재와 같은 비극적인 不法滯留의 狀況에서는 각종의 宗敎·社會團體들은 가능한 한 몽고인들을 支援·配慮해 주면 이러한 恩惠들은 미래의 바람직한 韓·蒙관계 성립에 크 게 기여하리라 본다.

      • KCI등재

        The Formation of East Asian Bureaucratic Statehood and its Characteristics: From Han to Song: Bureaucratic Statehood in China, Bureaucratic Meritocracy and the Marxist Understanding of Pre-Capitalist Socio-Economic Formations

        박노자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2

        The current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n states – with a focus on China – from the late Han age (ca the second century) to the end of Song (the thirteenth century). It examines mediaeval East Asian history focusing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bureaucratic statehood gradually develope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se the factual material on the development of bureaucratic statehood in East Asia in order to reconsider the Marxist understanding of pre-capitalist formations as a whole. As is well-known, this understanding, in the USSR and beyond , since the early 1930s was defined by a dogmatic ‘five formations’ scheme in which pre-capitalist societies were to be placed into the Procrustean bed of either ‘slave-owning’ or ‘feudalism.’ This scheme was both extremely Eurocentric and hardly conformed to Marx’ own understanding of pre-capitalist societies: Marx used such terms as ‘slave-owning’ or ‘feudalism’ while referring to specifically European rather than global history. This scheme hardly fits into the empirically reconstructed picture of East Asia’s ancient or mediaeval history where, excluding certain epochs and certain relatively peripheral regions (Japan), neither slave-owning nor (quasi-)feudal structures ever played any significant part. Dissident or unorthodox Marxists, in the USSR and elsewhere, often attempted to complement this Eurocentric ‘five formations’ scheme by posing a special ‘Asian mode of production’ for Asian (or generally non-European) societies. However, this kind of conceptualization would concomitantly strengthen the Eurocentric bias by defining the European experience of slave-owning city-states or feudal hierarchies as ‘universal’ as opposed to the regional particularity of the ‘Asian mode of production.’ The present author, in his take on East Asia’s mediaeval history, proposes to jettison the concept of ‘feudalism’ altogether and focus instead on how East Asian societies – and specifically China – developed their productive bases with increasingly bureaucratized statehood as the scaffoldings of their superstructural framework. In the societies reaching a relatively high level of productive forces advancement – such as Song China – the process of state bureaucratization and development of meritocratic routines was accompanied by the first instance of de-aristocratization of a society in mediaeval world history. Having compared the meritocratic appointment, promotion and demotion routines in second to twelfth-century China with the bureaucratic procedures in other contemporary Eurasian states, this article concludes by agreeing with Samir Amin’s (1931-2018) definition of pre-modern China as a ‘perfected’ version of the tributary mode of production. At the same time, it has to be remembered that in the East Asian societies with a lesser degree of productive force development (Koryŏ etc.), de-aristocratization of the kind observed in Song never took place.

      • 신채호의『을지문덕』과『수군제일위인이순신』: 외경(外競)을 통한 “우리 민족” 만들기

        박노자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5

        As Korea became a part of the Japanese imperial influence sphere following Japan’s victories over China and Russia, Korea’s intellectuals largely came to believe that only inculcation of the militaristic spirit could save the nation from the further utter downfall. Together with sport events and military callisthenics lessons in the schools, one more way to inculcate the militaristic spirit into the Koreans minds were the biographies of great military men of the past. Two influential biographies of such sort, Ŭlchi Mundŏk and The Greatest Admiral, Yi Sunsin , were created by Sin Ch’aeho (pen name Tanjae, 1880-1936). He was attempting to maximise the competitive capabilities of contemporaneous Korean nationals by rediscovering (recreating) the militaristic spirit of antiquity and Middle Ages. Both biographies were initially classified as novels , but they differed essentially from the novels in the modern sense. Modern novels concentrate on describing the inner world of their personages, while the chief personages of both biographies were not representing simply historical individuals. Ŭlchi Mundŏk, as described by Sin Ch’aeho, was the representative of all the Tan’gun descendants , militaristic Korean race rather than simply an individual historical figure. Free of any conflicts or contradictions, he does not demonstrate any specific individual qualities. Admiral Yi Sunsin, as described by Sin Ch’aeho, was more individualized, but his individuality was that of a Confucian morality paragon. He was pictured as a perfect moral man , striving after common good only, without a trace of personal/selfish desires. As such, he was also seen as the saviour of the whole Korean people , and was described in the ways reminiscent of the descriptions of Jesus Christ by Christian literature, which represented model modernity to many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00s. Sin Ch’aeho believed Yi Sunsin to be the angel the Lord-on-the-High sent to the Korean people . This portrayal does not have much in common with real-life Yi Sunsin, a politically shrewd military official of mid-Chosŏn period, who was also known for having commanded a large personal network of influential friends. But from the viewpoint of Sin Ch’aeho, private desires or “selfishness represented national death , and only absolute sacrifice in the name of common good could save the nation . Thus, an unselfish sage had to represent the nation and play the role of the model man in the process of modern nation-building. In this way, the portrayal of the new national heroes was deeply rooted in the Confucian images of sages and worthies . Sin Ch’aeho was an ardent supporter of Social Darwinism, proud of Koguryŏ’s supposed ability to conquer Sushenor Mohe tribes or periodically invade Chinese kingdoms, but at the same time,in his imagination the high Confucian standards of morality and statecraft demonstrated by our nation’s leaders, such as Ŭlchi Mundŏk, were giving our history also a high moral ground . In this way, Sin Ch’aeho never fully left the world of tradition. His principally positive attitude towards military invasions and conquests (as demonstrations of competitive capabilities in the Social Darwinist world), or his tendency to dehumanise and demonise the Japanese inimical Others is hardly something we can or should approve of in the world of today. However, when giving the general appraisal of Sin Ch’aeho’s thought, we should also remember that he was a dynamic, flexible and ever-changing thinker. In the 1920s, he discovered people’s masses as the new driving force of world history, and, armed with this universalist concept, was at last able to part the ways with the nationalist Social Darwinism of the early 1900s. 러일전쟁의 직후 시기인 1905-1910년간은, 대한제국에서 일본, 중국과 마찬가지로 상무 (尙武) 정신 이 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기간이었다. 청일, 러일 전쟁의 결과로 한반도가 일제의 영향권으로 편입되자, 대한제국의 지식인들이 상무 정신만이 구국의 관건이 될 수 있다 는 점에 대해서 폭넓은 공감대를 구축했다. 학교 운동회나 병식 체조 보급 등과 함께 상무 정신 보급의 또 한가지 중요한 방식은 위인전을 통해서이었다. 단재 신채호 (1880-1936)가 1908년에 신문에서 연재한 뒤에 단행본으로 낸『을지문덕』과『수군제일위인이순신』라는 두 개의 영향력 높은 위인 전의 목적은 바로 고대, 중세의 상무 정신 의 재발견 (내지 재창조)을 통해 근대적 국민 의 외경력 (外競力) 을 극대화시키는 것이었다. 이 두 작품은 소설 로 분류 됐지만, 근대적 소설 과는 본격적으로 다른 점들이 많다. 근대적 소설 은 주인공의 내면의 묘사에 주안점을 두지만, 이 두 작품의 주인공들은 일개 개인 으로 묘사 되어 있지 않다. 신채호의 을지문덕은 단순히 역사 속의 개인 이라기보다는 상무적 조선민족 , 단군 후손 의 대표 격이다. 그에게는 모순이나 갈등, 민족 영웅 의 표준적 모습과 무관한 그 어떤 개별적 특성도 발견되지 않는다. 신채호의 이순신은 그것보다 조금 더 개체화돼 있는데, 개인으로서의 그는 모범적 도덕군자 에 가깝 다. 그는 오로지 공 (公)만을 추구하고 하등의 사욕 (私慾)도 없는 완벽한 인간 으로 나타난다. 완벽한 도덕적 인간 으로서는 그는 조선민족을 혼자 힘으로 구제한 구세주 로 묘사되는데, 그 묘사 방법은 1900년대에 근대의 표준적 종교 로 자리 매김 됐던 기독교의 예수에 대한 묘사법과 사뭇 비슷하다. 신채호에게는 이순신이 상제(上帝)가 보낸 천사 (天使) 이었다. 이와 같은 묘사는, 대표적인 조선 중기 무관 (武官)으로서 상당한 개인적 관계망을 유지하면서 나름대로의 정치적 수완을 발휘해온 현실적 정치인 이순신의 실제적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하지만, 사 (私)를 사 (死)와 동질의 것으로 생각하고 지공 (至公)과 완전한 자기희생 만이 민족 을 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던 신채호로서는 사욕이 없는 성인 (聖人) 만이 민족 을 대표하고 국민 만들기 과정에서 표준 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모습의 민족 영웅 은 분명히 유교적 현인 (賢人), 성인 과 맥이 닿아 있었다. 사회진화론을 따랐던 신채호는 예컨대 고구려가 숙신 (肅愼), 말갈 (靺鞨), 중국의 여러 나라들을 자랑스럽게 여길 정도로 침략 능력을 외경력의 척도 로 좋게 생각했지만, 우리 민족의 도덕적 명분 으로서 민족 지도자 들의 유교적 도덕성을 내세운 차원에서 전통의 세계를 완전히 떠나지 않았다. 무력과 침략을 긍정시하고, 적대적 타자인 왜인 들을 거의 탈(脫)인간화, 악마화시키는 1900년대 신채호의 세계관을, 오늘날 우리로서는 무조건 긍정적으로 보기가 어렵다. 하지만, 1920년대에 접어들어 신채 호가 민족 의 특수성을 넘어 세계 보편적 민중 을 발견하는 등 놀라온 사상적 역동성을 보인 점 등도 고려에 넣어야 신채호라는 근대 초기의 위대한 사상가에 대한 균형 잡힌 총체적 평가가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자산 안확에게 있어서의 민족 · 무도(武道) · 역사

        박노자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7 No.-

        자산 안확(自山 安廓, 1886-1946)이 조선인들이 하나의 “민족”으로 규정되어 서구인, 일본인 제국주의자들에 의해서 “열등 민족”으로 하위 배치됐던 비극적인 시대를 살았던 학자이었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그가 서구인, 일본인들의 멸시적인 시선을 전복하여 조선 민족이 여태 민족들과 동등하거나 오히려 더 우월하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강렬한 욕망을 지녔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제국주의자들의 멸시적인 시선을 전복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제국주의자들의 사고방식의 기본틀을 그대로 내면화하는 일이었다. 안확이 그 당시의 지배적인 담론이라 할 사회진화론을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초기에 철저히 익혔으며, 조선인들의 “우월성”을 사회진화론적인 논거를 이용하여 입증하기에 이르렀다. 즉, 그가 조선인들이 단군 시대 이래로 신앙에 입각한 “단합력” 등 “도덕적 힘”과 함께 뛰어난 “무사(武士) 정신”을 지녔다고 강조했으며 이 “무사 정신”이 가장 완벽하게 발휘된 것으로 여겨졌던 고구려사를 조선사 전제 전개 과정 중에서 가장 부각시켰다. 조선에 대한 중국 문화의 영향에 관한 가치 평가의 문제 등 여러 차원에서 안확이 그의 저명한 선배 신채호(1880-1936)와 견해를 달리 했지만, 고대 한민족을 “정복자”로 자랑스럽게 보고 한민족이 타(他)종족들을 정복, 동화했다는 것을 그 “위대한 역량”의 결정적 ‘증거’로 여기는 데에 있어서 매우 비슷한 견해를 지녔다. 결국 안확, 신채호 등이 성립시킨 “고구려, 발해 위주의 사관”은 해방 이후의 남북한 역사학과 대중적인 자국사관(自國史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이다. An Hwak(courtesy name: Chasan, 1886-1946) lived in a tragic epoch when Koreans were for the first time conceptualized as a modern “nation” and simultaneously defined as a “inferior nation” by the majority of Western contemporaries and Japanese imperialist ideologues. In such circumstances, An Hwak, naturally enough, wished to subvert the contemptuous gaze from the outside and establish his nation as either equal or even superior to its peers elsewhere. But a precondition for such an intellectual subversion was acceptance of the dominant Social Darwinist discourse of the imperialist epoch. An Hwak became a convinced Social Darwinist in his formative age in the 1900s-1910s, and then from the very beginning of his literary and scholarly activity began trying to “prove”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people by using typically Social Darwinist argumentation. He emphasized that “from the times of Korean’s progenitor Tan’gun”, the Korean nation possessed unparalleled “moral strength” based upon shared tribal religious beliefs, but also unmatched “warlike spirit” best shown by the warriors of Koguryǒ(ca. 1st century B.C.–668 A.D.). Although his value judgment of the Chinese influence upon Korean culture differed greatly from much more xenophobic ideas of his famed elder contemporary Sin Ch’aeho(1880-1936), he shared Sin’s belief in Koreans as “great conquering nation” of the antiquity able to “assimilate” the conquered heterogeneous tribes. The “Koguryǒ/Parhae-centred” view of Korean history established by Sin and An in 1900s-1930s, exerted crucial influence of the official historical narratives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after 1945, as well as the popular perceptions of Korea’s past in both parts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박노자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0 한국어 교육 Vol.11 No.2

        The paper deals with the main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of teaching on Korean culture 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principally, from non-East Asian cultural background). First of all, the autho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ressing the universal common features of all human cultures in Korean case, such as universal binary oppositions in any cultural text, ranking hierarchical structures, and so on. This helps to interweave the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codes with more general anthropological and culturologic topics. Then, other important thing is to explain properly the ancient connections between Korean culture and other traditional cultures of Eurasia, especially those outside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in order to combat the time-honored stereotypes of Korea as just a small part of the Sinitic cultural universe without any wider links. Speaking about Korean culture itself,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stress the diversity of sub-cultures inside it (to combat the stereotype of the "monolithic Korean culture"), and its variability and the tendency to incessant and sometimes very rapid development (to combat the stereotype of "everlasting unchanged tradition"). In order to further "customize" the teaching on Korean culture, the teacher is to fully take into account the possible diverse motivations of the students (for example, unconscious wish to escape the monotony and alienation of modem market-driven life can be one of the hidden motives). Second part of the paper is a case study of the mode of teaching Korean culture in St-Petersburg State University (Oriental Faculty) the author himself graduated from. The study shows that traditional "Orientalist" stereotyping and "exotizing" of Korean culture still remains there as the major ideological underpinning behind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As a rule, Korean culture is introduced there as "basically totally different" from "normal European variant" and at the same time "innerly monolithic" entity with the "one uniform tradition logic underlying all its expressions". This way of teaching harks back to the racist colonialist stereotypes of the late 19th - early 20th C. of "unchanging and monolithic Orient". Hopefully,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wider international exchanges this outdated tradition of St-Petersburg Oriental Studies will be overcome.

      • One Religion, Different Readings: (Mis)interpretations of Korean Buddhism in Colonial Korea, Late 1920s-Early 1930s.

        박노자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10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1 No.1

        In colonial Korea (1910–1945), Buddhism’s sheer resilience and popularity drew atten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scholars, who initiated in the 1910s–1920s what they viewed as “scientific” study of Korean Buddhism. The attempts at “scientification” of Korean Buddhism research—exemplified by Keijō Imperial University professor Takahashi Tōru (1878–1967), also known for his research on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nfucian philosophy—undoubtedly broadened the scope of academic inquiry and contributed to systemization of materials on Korean Buddhist history. However, the “scientism” of the colonial scholars was from the very beginning tarnished by their Orientalist attitudes. They viewed Korean Buddhism as “slavishly dependent” upon Chinese tradition and Korean state authorities. These colonialist attitudes provoked a heated nationalist response. Prominent “cultural nationalists”, such as Ch’oe Namsŏn (1890–1957), reacted by painting a picture of East Asia’s ancient Buddhist tradition with Korea in its centre. This picture, its visible shortcomings notwithstanding, eventually laid the fundament for the nationalist view of Korean Buddhist history in post-1945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