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회귀 모형의 전달함수를 이용한 구조물의 순간 손상 탐지

        박광연,Muhammad Tahir Bashir,이해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Non-Model based health monitoring technique uses less computation effort and has less error by modeling than Model based health monitoring. Ill-poseness of inverse problems is not exist neither. Autoregressive model is employed to detect damage of structure without structure model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is used to decide coefficients and understand algorithm. Finally decision is made by statistic technique.

      • KCI등재

        동아시아의 ‘王卽佛’ 전통과 미륵불 궁예

        박광연(Park, Kwang-youn)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0

        後高句麗(901~918)의 왕 弓裔가 彌勒佛을 표방하게 된 배경으로 선행 연구에서는 신라 하대의 일반민들 사이에 眞表에 의해 보급된 미륵하생신앙이 말법 의식과 더불어 널리 유포되어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여 왔는데, 이 글에서는 그 배경을 몇 가지 추가하였다. 첫째, 9세기 후반 신라 왕실의 미륵신앙이다. 景文王의 누이인 단의장 옹주가 선종 승려를 미륵불로 높였는데, 여기에는 왕을 轉輪聖王에 비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 같다. 둘째, 9세기 후반 선종 승려들의 미륵신앙이다. 신라의 선종에는, 唐의 선종과 달리, 迦葉이 鷄足山에서 미륵의 하생을 기다린다는 傳衣說에 근거한 미륵신앙이 있었다. 궁예의 미륵불 표방에 선종 승려들이 적극 협조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황제이면서 전륜성왕이자 미륵불을 자처하였던 武則天이 또 하나의 배경이다. 궁예는,『大雲經』, 『寶雨經』등 僞徑을 적극 활용하여 권력을 확보하였던 武則天처럼, 스스로 20여 권의 經을 지었다. 궁예가 미륵불을 표방한 것은 9세기 후반 신라 왕실 및 승려들의 미륵신앙 맥락과 동아시아 ‘王卽佛’ 전통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미륵불임을 자처하였던 시기가 10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이지만, ‘왕즉불’의 전통이 재현되었다는 것이 흥미롭다. In previous research, the belief in Maitreya’s future descent into this world was a teaching disseminated by Jinpyo(眞表) in the later Silla(新羅) era, along with the Buddhist doctrine of the “Age of Degenerate Dharma.” This was the background for King Gung-ye’s(ruled in Later Goguryeo 後高句麗from 901~918) claim to be the incarnation of Maitreya Buddha.(This was very confusing) In this paper, I have added more background. Firstly, the Maitreya faith of the later Silla’s royal family in the 9th century is another background I would like to add. In the reign of King Gyeongmun(景文王r.861~875), once a member of Silla’s Hwarang(花郞 Youthful Warriors), all Seon monks were revered as Maitreya Buddhas. The belief in the coming of Maitreya was propagated so that people would view the king as a “wheel-turning sage king(轉輪聖王Skt. cakravartin)”. Secondly, Seon monks of the later Silla period believed in the coming of Maitreya. Unlike the Seon(禪Ch. Chan) Buddhism of Tang(唐China), in Silla, Seon monks who believed in Maitreya also believed that K??yapa(迦葉) was waiting for Maitreya to descend on Mt. Kukku?ap?da(鷄足山 in Magadh? 摩揭陀).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Seon monks who anticipated the coming of Maitreya actively propagated the belief that King Gung-ye was the Maitreya Buddha. Thirdly, Zetian Wuhou(武則天624?705, a Tang 唐empress), who claimed to be a Cakravartin(wheel-turning sage king) and Maitreya Buddha, is more evidence of the East Asian belief that kings are Buddhas. Like Zetian Wuhou, who ascended to the throne citing spurious scriptures such as the Mah?megha-s?tra(大雲經) and the Ratnamegha-s?tra(寶雨經), King Gung-ye himself wrote more than 20 volumes of such scriptures Through these cases, we can better understand King Gung-ye’s claim to be Maitreya Buddha as a manifestation of the East Asian belief in the “King is Buddha”, as well as the belief in the coming of Maitreya held by monks and the royal family in 9th century Silla. Even though King Gung-ye’s claim to be Maitreya lasted less than 10 years, it is an interesting case of the existence of the “King is Buddha” tradi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新羅 義寂의 『法華經』 이해

        박광연(Park, Kwang-Yeon)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21 No.-

        본고에서는 『韓國佛敎全書』 권2에 실려 있는 『法華經論述記』를 분석하여 義寂의 사상 경향 및 『법화경』 이해를 살표보았다. 의적은 7세기 후반 8세기 초에 활동한 唯識 승려이다. 그런데 『법화경론술기』를 보면, 의적이 『화엄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고 의상이 소개한 화엄사상에 대해서도 주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의적을 華嚴 승려라고 할 수는 없지만, 고려시대의 의적에 대한 일련의 기록이 화엄종과 관련해서 나오는 것을 단순히 고려시대 華嚴宗의 종파성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의적은 玄奘의 제자이지만 慈恩과는 다른 견해를 지녔음이 이미 밝혀졌다. 『법화경론술기』에서도 그러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趣寂聲聞의 성불 가능성을 언급한다거나 眞諦의 三法輪說을 인용하는 방법으로 慈恩의 견해를 많이 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成唯識論』이나 『瑜伽師地論』등의 유식 논서도 적극 인용하는 모습에서 유식 승려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의적의 『법화경』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의적은 『法華經論』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하여 『법화경』을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다. 의적이 『법화경론』을 강의하고, 『법화경』 설법 듣는 것을 강조한 것은 多聞薰習으로 善根을 쌓는 것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라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의적의 一乘觀도 독자적임을 밝혔다. 의적은 『법화경론』에 나오는 ‘十種無上’이 바로 일승이라고 하였다. 나아가 이 一乘 이해를 보살의 수행단계인 十地와 연결시켜 8地 이상의 획득을 강조하고 있다. 의적은 『법화경』 설법을 들음으로써 생기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법화경』의 聽聞으로 열반의 상태를 맞볼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법화경』의 청문이 수행에 다름 아니라는 의적의 인식, 그리고 때가 되기를 기다려주는 열린 자세는 전쟁 후유증에 시달리던 7세기 후반 신라 사람들에게 의미 있게 다가갔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Uijeok's(義寂) ideology. It is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Beophwagyeongronsulgi(法華經論述記) in the second volume of the Hangukbulgyojeonseo(韓國佛敎全書). Uijeok is a Fa-xiang scholar, who was activ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begining of the 8th century. It has been already known that Uijeok held a different view from that of Jaeun(慈恩), although he was a disciple of Hyeonjang(玄奘). Thid can be seen as well in the Beophwagyeongronsulgi, Uijeokmentions a possibility of entering nivrāṇa for the "Chwijeokseongmun" 趣寂聲聞) and quoting. "Sambeopryunseol"(the theory of three enlightenments and sermons for Buddhist;三法輪說) by Jinje(眞諦), which criticizes Jaeun in an indirect way. However, he mostly follows Jaeun's opinions with regard to ascetic exercises. IOn addition, his quotations from the Fa-xiang these, e.g. the Seongyusikron(成唯識論), the Yugasajiron(瑜伽師地論), Uijeok interpreted the Lotus Sutra. In particular, his rendition of ilseung(一乘) is unique. He calls "Sipjomgmusang"(ten kinds of excellence; 十種無上) ilseung, as it were. Furthermore, he relates the understanding of ilseung with sipji(dasa-bhumi;十地), the steps of Bodhisattva's self-discipline. and emphasizes the attainment of its eight steps or higher. Uijeok pays attention to the change made by listening to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He argues that one can experience Buddhahood by listening to it. His understanding that listening to the Lotus Sutra was not incommensurable with the practice of asceticism-along with his open mind and patient fortitude-were qualities which the Silla people in the late 7th century, suffering, as they were, from the aftermaths of too many wars, found approachable and accommodating.

      • KCI등재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경흥(憬興)의 위상

        박광연 ( Gwang Yeon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이 글은 경흥(憬興)의 『삼미륵경소(三彌勒經疏)』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다각도로 고찰한 것이다. 1장에서는 경흥의 미륵 관련 저술 및 현전하는 사본(寫本)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경흥의 미륵 관련 저술은 ‘소(疏)’와 ‘술찬(述贊)’ 두 계통이다. 『미륵경술찬』을 먼저 쓰고, 이후에 이를 정리하여 『미륵경소』를 편찬하였다. 『미륵경술찬』은 미륵경에 대한 경흥의 이해를 일차적으로 서술한 글이고, 『미륵경소』는 다른 사람에게 미륵경을 강의하기 위한 목적에서 정리한 글인 듯하다. 2장에서는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삼미륵경소』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6세기 이후 미륵경에 대한 교리적 연구가 시작되어, 영유(靈裕), 지의(智의), 길장(吉藏), 혜균(慧均), 혜정(慧淨), 원효(元曉), 규기(窺基), 경흥 등이 미륵경 관련 저술을 남겼다. 이 가운데 혜균의 『미륵경유의(彌勒經遊意)』, 원효의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규기의 『관미륵상생도솔천경찬(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경흥의 『미륵경술찬(일부)』과 『삼미륵경소』가 남아 있다. 상생경, 하생경, 성불경 세 경 모두를 각각 주석한 것은 경흥이 처음이고, 현존하는 미륵 관련 주석서 가운데 경흥의 것이 저술 시기가 가장 늦다. 『삼미륵경소』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논제(論題)들은 이미 혜균, 원효, 규기의 저술에서 제기된 것들로, 경흥은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의 흐름을 통찰하고서 본인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삼미륵경소』의 독자성을 논해보았다. 『삼미륵경소』는 상생경, 하생경, 성불경 세 경을 총괄하는 서설이 먼저 나오고, 각 경별로 제목과 본문을 한 구절씩 풀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규기의 저술과 유사하다. 또한 규기가 사용한 표현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하지만 원효의 견해와 통하는 맥락도 많고, 때로는 원효와 규기의 견해를 종합하여 새롭게 정리하기도 하고, 때로는 어느 한 편의 입장을 지지하지 않고 경전 및 논서들을 연구하여 스스로 판단을 내리기도 하였다. 경흥이 ‘중생(衆生)’ ‘중생의 마음’을 강조한 것도 주목되는데, 경흥은 미륵경 및 관련 주석서에서 제시한 여러 왕생 방법의 실천을 통해 현재의 중생, 즉 신라인이 도솔천에 상생하여 지금의 과보를 새롭게 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하였던 것이 아닐까 한다. 이 글은 『삼미륵경소』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앞으로 규기의 『관미륵상생도솔천경찬』과의 세밀한 비교를 통해 『삼미륵경소』의 유식학적(唯識學的), 정토교학적(淨土敎學的) 맥락을 밝히도록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Commentary on the Three Maitreya Sutra) from various historical perspectives. In Chapter 1 of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e of Gyeongheung``s Maitreya writings and copies of other writings. Gyeongheung wrote the Mireuk gyeong Sulchan (彌勒經述贊) first and later compiled the Mireuk gyeong So (彌勒經疏). The Mireuk gyeong Sulchan explained in outline form Gyeongheung``s understanding of the Maitreya Sutra. On the other hand, the Mireuk gyeong So (彌勒經疏) was compiled as a source for Gyeongheung``s lectures. In Chapter 2 of this paper, I reviewed the status of Ven. Gyeongheung (憬興) in the East Asian history of Maitreya Sutra studies. Doctrinal studies of the Maitreya Sutra began in the 6th century. Maitreya-related writings have been written by Lingyu (靈裕), Zhiyi (智의), Jizang (吉藏), Hyegyun (慧均), Huijing (慧淨), Kuiji (窺基), Wonhyo (元曉), and Gyeongheung (憬興). Among these, Hyegyun‘s Mireukgyung yui (彌勒經遊意), Wonhyo``s Mireuk sangsaeng gyeong jong-yo (彌勒上生經宗要), Kuiji``s Guan mile shangsheng Tutsutien jingtsa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Gyeongheung``s Mireuk gyeong sulchan (彌勒經述贊 part) and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are still extant. Gyeongheung was the first to write commentaries on the Mile shangsheng jing (彌勒上生經), Mile xiasheng jing (彌勒下生經), and the Mile da chengfo jing (彌勒大成佛經). Gyeongheung‘s writings are the most recent among all the Maitreya-related commentaries still existing. Most of my thesis deals with subjects presented in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subjects already discussed in the writings of Hyegyun, Wonhyo, and Kuiji. Gyeongheung presented his own views after reviewing the trend of East-Asian studies of the Maitreya Sutra.In Chapter 3 of my paper, I examined the unique character of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The Sam Mireuk gyeong So starts with an introduction of three sutras: the Mile shangsheng jing (彌勒上生經), the Mile xiasheng jing (彌勒下生經), and the Mile da chengfo jing (彌勒大成佛經). This is followed by explanations of the title and each phrase of the main content of each sutra. This format is quit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Kuiji``s writings. Gyeongheung also quoted many expressions from Kuiji. However, much of Gyeongheung``s viewpoint is similar to Wonhyo``s, and he sometimes combines both Wonhyo``s and Kuiji``s views together. At other times he does not agree with either Wonhyo or Kuiji but expresses his own ideas based on his studies of other textbooks. It is noteworthy that Gyeongheung emphasized the concept of ``sentient beings (衆生) and ``the mind of sentient-beings``. This reveals that he sought a simple and practical purpose for the edification of the Silla people through the Maitreya Sutra. So it is thought that Gyeongheung believed one could change or mitigate one``s retribution through a rebirth in Tushita Heaven by following the teachings presented in the Maitreya Sutra and it``s commentaries. This paper is significant for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In the near futu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scious-only and pure land context of the Sam Mireuk gyeong So by performing a detailed comparison of the Sam Mireuk gyeong So and Kuiji``s Guan mile shangsheng Tutsutien jingtsa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 KCI등재

        보살계 사상의 전개와 원효 『菩薩戒本持犯要記』의 성격

        박광연(Park, kwang youn)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6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보살계 사상의 전개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元曉(617~686)의 『菩薩戒本持犯要記』(이하 『지범요기』)의 성격을 이해하였다. 세밀한 내용분석을 통해 『지범요기』의 찬술 목적을 파악하고, 나아가 신라 불교계에서 『지범요기』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지범요기』에는 달마계본과 다라계본, 즉 유가계와 범망계가 동시에 등장한다. 이에 대해 원효가 보다 중시한 것이 유가계다, 범망계다, 또는 유가계·범망계를 조화·화해시켜려 하였다 등의 다양한 해석이 있었다. 5세기 『菩薩地持經』, 『優婆塞戒經』의 역출, 『梵網經』, 『菩薩瓔珞本業經』 등의 僞撰으로 보살계경이 유행하면서 많은 보살계본이 만들어졌는데, 6세기에 이미 지지계와 범망계가 결합된 형태의 보살계본이 등장한다. 지지계(유가계)의 핵심인 三聚(淨)戒는 『보살영락본업경』에도 수용되고, 『범망경』 주석시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7세기 동아시아에서 지지계(유가계)와 범망계를 동시에 거론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지범요기』에는 원효가 달마계본과 다라계본을 조화·화해시키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지범요기』에서 원효가 중점을 두어 설명한 것은 무엇이 보살계의 ‘중죄’인가였다. 自讚毁他戒를 예로 들었는데, 원효가 가장 경계한 것은 正戒(성문계)를 잘 지키는 자기자신을 훌륭하다고 여기고 다른 사람은 업신여기는 마음이었다. 원효에게 당시 신라 교단에 대한 비판의식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직접 교단을 비판하기 위해 『지범요기』를 쓴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보다는 스스로 보살계 정신을 잊지 말자고 다짐하고, 學徒들에게 계가 無自性임을 깨닫고 보살계를 항상 마음에 새기라는 조언을 남기기 위해서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 『지범요기』에는 교단에 속한 신라 출가자에게 보살계의 올바른 受持를 촉구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이는 출가자의 보살계 수지가 일반적이지 않던 신라 교단 내에 보살계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Wŏnhyo’s Posalgyepon jibŏm yogi ( hereafter, Jibŏm yogi) through historical consideration of bodhisattva precepts’ philosophical progress in East Asia.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purpose of writing Jibŏm yogi by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ts role in Silla Buddhism. In Jibŏm yogi, both Brahma’s Net Precepts (梵網戒) and Yogācāra Precepts (瑜伽戒) are found so that there has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regarding this. Some say that Wŏnhyo put more emphasis on the former while others suggest the latter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addition, it is said that Wŏnhyo sought the harmony or reconciliation of the two in his work. In the 5<SUP>th</SUP> Century, many text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were written because sutras on Bodhisattva precepts became widesprea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Posal chijigyŏng (菩薩地持經, Sutra on Bodhisattva Stages) and Upasae gyegyŏng (優波塞戒經, Sutra on Upasaka Precepts) were translated as well as apocryphal scriptures like Pŏmmanggyŏng (梵網經, Sutra of Brahma’s Net) and Bosal yŏngnak bonŏpkyŏng (菩薩瓔珞本業經, Sutra of the Garland of a Bodhisattva’s Primary Karmas) appeared. From the 6<SUP>th</SUP> Century, text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which included both Brahma’s Net Precepts and Yogācāra Precepts appeared. For example, Samch’ wichŏngye, (三聚淨戒, three categories of pure precepts), the core idea in Yogācāra Precepts, was borrowed by Bosal yŏngnak bonŏpkyŏng and used to comment Pŏmmanggyŏng. In this historical context, it was common for Brahma’s Net Precepts as well as Yogācāra Precepts to appear together in one Buddhist text or book in East Asia in the 7<SUP>th</SUP> Century. Wŏnhyo’s effort to harmonize or reconcile the two precepts is hardly found in Jibŏm yogi . What Wŏnhyo placed emphasis on in his work was how to define the grievous sin in bodhisattva precepts. He used the precept, ‘Prohibition of Praising Oneself and Disparaging Others’ as a pillar in his work. Even in his life, he refrained from praising himself who ordained bodhisattva precepts and disparaging others. At that time, it was obvious that Wŏnhyo was critical of Silla’s Buddhist Order; however, he did not write Jibŏm yogi as a means of criticizing the Order directly. Rather, he wrote the book to show his resolve in obeying bodhisattva precepts, and to convince students and monks that the precept is selflessness, urging them to obey the precept in their hearts. Wŏnhyo encouraged monks affiliated with Silla’s Buddhist Order to receive and observe the bodhisattva precepts through Jibŏm yog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book contributed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bodhisattva precepts which was not common to receive in Silla’s Buddhist Order.

      • KCI등재

        가지산 석남사(石南寺)의 도의(道義) 창건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광연(Park, Kwang-Yo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1

        이 글에서는 17세기 경상남도 울산(언양)에 있는 가지산 석남사에 대한 기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가지산 석남사는 범일국사의 제자인 태고 낭적이 입적한 장소이다. 그런데 『석남사사적(石南寺事蹟)』 등 조선시대 기록에서는 가지산 석남사를 가지산문의 개조(開祖)인 도의(道義)가 세운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왜 사찰 역사가 바뀐 것일까? 전란의 시대가 끝나고 17세기 조선의 전역에서는 사찰 재건이 진행되었다. 석남사도 1666년(현종 7) 언양현감 강응의 시주와 소속 승려들 원력으로 중창이 이루어졌다. 지역 승려들이 중심이 되어 불사를 행한 뒤 유명한 승려와의 연결을 꾀하였고, 이후 설송 연초(雪松演初)가 참여하였다. 설송 연초는 청허계(淸虛系) 편양파(鞭羊派)의 적전(嫡傳)인 환성 지안(喚醒志安)의 직제자로, 가지산 석남사와 편양파와의 상관성을 집작할 수 있다. 편양 언기(鞭羊彦機)는 태고보우(太古普愚)를 조사로 내세우는 새로운 계보인 태고법통설을 주장하였다. 불교계에서는 병자호란을 계기로 태고법통설이 주류 견해로 정립되게 되었다. 편양파는 물론 청허계의 다른 문파들도 태고법통설을 수용하였다. 17세기 전반의 태고법통설에서는 중국 ‘정통’ 법맥만이 거론되었다. 그런데 『석남사사적』에서는 태고 보우의 국내 법맥인 도의가 강조되고 있다. 이는 임진~병자년의 전란 이후 등장한 자기정체성의 표출로서의 정통론적 역사 인식이 시간이 흐르면서 자국 역사를 고대사부터 주체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했던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17세기 후반 석남사 일대의 승려들은 태고법통설을 계승하면서 여기에 가지산문의 유구성 ․ 정통성을 내세우고자 석남산을 가지산으로, 낭공 행적의 부도를 도의의 부도로 바꾸었던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that the memory on Seoknamsa Temple (石南寺), located in Gajisan Mountain of Ulsan (Eonyang), South Gyeongsang Province, was created in the 17th century. This is where Nanggong Haengjeok (郎空 行寂, 832-916), a disciple of national preceptor (guksa) Beomil (梵日, 810-889), entered nirvana. However, records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History of Seoknamsa Temple (Seoknamsa Sajeok 石南寺事蹟), mention that Seoknamsa Temple was established by Doui (道義), the founder of Gaji Mountain 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If so why was the history of the temple changed? After the war, Buddhist temples were reconstructed nationwide in the 17th century of Joseo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Chinese “legitimate dharma lineage” finds a mention in the discourse. However, in History of Seoknamsa Temple, Doui’s domestic connection with Taego Bo-u (太古 普愚, 1301-1382)’s dharma lineage was emphasized. This change occurred in the context of autonomously reconstructing national history from the ancient perio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Manchu War in 1636. Subsequently, the recognition of a legitimate history became an expression of self-identity, and with time, the tendency was articulated in rebuilding national history. In this aspect, monks near Seoknamsa Temple rewrote the record to underline the rich history and legitimacy of Gaji Mountain Seon School, which succeeded the discourse on Taego dharma lineag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monks changed Seoknamsan Mountain into Gajisan Mountain and the memorial stupa of Nanggong Haengjeok into that of Doui, in the late 17<SUP>th</SUP>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