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얀 후스의 『교회』 (De Ecclesia)에 나타난 교회개혁 사상

        박경수(PARK Gyeung-Su)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본 논문은 콘스탄츠공의회에서 이단으로 판정받고 화형당한 체코의 교회개혁자 얀 후스의 대표작인 『교회』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후스의 어떤 사상이 로마가톨릭교회의 체제에 위협이 되었는지 그리고 종교개혁으로의 길을 여는 계기가 되었는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후스의 사상 가운데 한국교회의 갱신을 위해서 유용한 통찰력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후스는 오랫동안 우리에게 잊힌 개혁자였지만, 그가 콘스탄츠에서 순교한 지 600년이 되는 올해 그의 면모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후스를 바로 이해하는 첫걸음은 그의 사상이 담긴 글을 꼼꼼하게 읽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대표작인 『교회』를 읽고 분석함으로써 후스의 개혁사상의 면모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이 후스의 대표작 『교회』에 대한 차분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기여하는 부분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이를 계기로 후스의 작품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필자는 먼저 후스의 간략한 생애와 그의 『교회』가 나오게 된 배경과 책의 구조와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교회』의 내용을 따라 가면서 후스의 개혁사상을 주제별로 정리하여 제시할 것이다. 후스의 교회에 대한 이해가 어떠했는지, 그가 교황권에 어떻게 도전했는지, 그의 개혁사상의 근거가 무엇인지, 그가 어떤 점들을 강조했는지, 그는 왜 로마가톨릭교회와 교황권에 저항했는지를 추적할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후스가 종교개혁의 선구자라 평가되는 이유가 자연스레 밝혀질 것이다. 그리고 후스의 사상이 오늘 한국교회에 여전히 필요하다는 사실도 드러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 Ecclesia, a work by Jan Hus (a Czech reformer who was condemned as a heretic at the Council of Constance and burned at the stake), in order to analyze why his ideas were such a threat to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how these ideas paved the road to the Reformation. Through this study, we may be able to find useful insights for the renewal of the Korean Church.Hus has been a long-forgotten reformer, but with the 600th anniversary of his martyrdom, he is being brought back into the spotlight. The initial step to comprehending him well is to read his writings with careful scrutiny. This is why I have chosen De Ecclesia as the platform on which to explicate Hus and his reformed ideas.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have a contribution to make in understanding Hus and I also hope that it will convince others to continue the work of studying him. First, I will briefly survey his life and consider the background for the creation of De Ecclesia and its contents. Then, I will present his reformed ideas in a thematically organized manner according to the content matter of De Ecclesia. This will allow me to trace 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the ways in which he challenged the papacy, what the foundation for his reformed ideas were, what he emphasized about them, and why he resisted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papal authority. Through the course of this study, it will become clear why Hus is considered as a pioneer of the Reformation, and also why his ideas are especially useful for the Korean Church today.

      • KCI등재
      • KCI등재

        에라스무스의 평화주의

        박경수(Gyeung Su Par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very core of Erasmus’ pacifism by analyzing his A Complaint of Peace(Querela pacis) and On the War against the Turks(De bello turcico). The sixteenth century Europe was threatened with the wars of Ottoman Empire externally, and suffered from intensified conflicts between Roman Catholics and Protestants internally. In the midst of social upheaval, Erasmus as a Christian humanist asserted his stand against war and expressed his eager desire for peace. Querela pacis shows his stance as a radical pacifist, while De bello turcico discloses his aspect as a realistic pacifist. In Querela pacis Erasmus assume a critical attitude towards every form of war. Erasmus made sharp criticisms on the concepts of ‘just war’ and ‘holy war,’ much less greedy wars. Therefore Erasmus could not help taking unjust peace rather than just war. However, in De bello turcico, Erasmus admitted the option of war as a last resort in the historic context of the Turks assault. Of course he continued to assume a prudent attitude towards war, but his tone was slightly changed. No matter what people evaluate Erasmus’ pacifism, his earnest desire for peace still give deep impressions and useful insights to us in the 21<SUP>st</SUP> century Korea. “The greatest element in peace is a heartfelt desire for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very core of Erasmus’ pacifism by analyzing his A Complaint of Peace(Querela pacis) and On the War against the Turks(De bello turcico). The sixteenth century Europe was threatened with the wars of Ottoman Empire externally, and suffered from intensified conflicts between Roman Catholics and Protestants internally. In the midst of social upheaval, Erasmus as a Christian humanist asserted his stand against war and expressed his eager desire for peace. Querela pacis shows his stance as a radical pacifist, while De bello turcico discloses his aspect as a realistic pacifist. In Querela pacis Erasmus assume a critical attitude towards every form of war. Erasmus made sharp criticisms on the concepts of ‘just war’ and ‘holy war,’ much less greedy wars. Therefore Erasmus could not help taking unjust peace rather than just war. However, in De bello turcico, Erasmus admitted the option of war as a last resort in the historic context of the Turks assault. Of course he continued to assume a prudent attitude towards war, but his tone was slightly changed. No matter what people evaluate Erasmus’ pacifism, his earnest desire for peace still give deep impressions and useful insights to us in the 21<SUP>st</SUP> century Korea. “The greatest element in peace is a heartfelt desire for it.”

      • KCI등재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제2치리서를 통해 본 한국장로교회 정치체제 개혁을 위한 제언

        박경수(Gyeung Su Park)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본 논문은 장로교주의의 핵심을 담고 있는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을 분석하고, 그 정신에 입각해서 한국장로교회의 정치체제 개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한 글이다. 필자가 장로교의 직제와 정치체제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장로교가 개신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교회에서 최초의 장로교 헌법이라 할 수 있는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며, 또한 한국장로교회 안에서 교회의 직제와 정치체제에 대한 이해의 대립과 갈등으로 인해 교회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먼저 『제2치리서』가 나오게 된 정치적, 종교적 상황을 살펴본 후에 『제1치리서』가 나온 1560년부터 『제2치리서』가 등장한 1578년까지의 과정을 추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제2치리서』가 어떤 필연성 가운데서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규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교회정치와 세속정치의 관계, 교회의 직제와 그 직무, 교회회의체와 그 역할, 교회개혁의 과제와 목적이라는 제목 아래 『제2치리서』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고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장로교회가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로부터 이어받고 지켜야 할 유산은 무엇인지 성찰하면서, 한국장로교회의 직제와 정체의 개혁에 관한 실천적인 제언을 제시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of Scotland, which contains the core of Presbyterianism, and then puts forward suggestions for the reform of the polic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based on its spirit. The reason why I have a special interest in the Presbyterian office and policy is that research on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namely the first presbyterian constitution, was not conducted properly in the Korean Church, where Presbyterian Church accounts for more than 70 percent of the Protestant Church, and the Church is facing a serious crisis due to disorders and conflicts over the church’s office and policy. I will first look at the political and religious situations in which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came out, and then trace the process from 1560 when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comes out to 1578 when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comes out. Through this research, we will identify which inevitability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was created from. It will then introduce and analyze the core contents of Second Book of Discipline under the subj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policy and civil policy, the church offices and their functions, church assemblies and their role, and the task and purpose of the church reform. And finally, reflecting on what legac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should inherit and protect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in Scotland, it will present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reform of office and polic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 KCI등재

        깔뱅의 종교개혁과 선교

        박경수(Gyeung Su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1 No.-

        오랫동안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자들에게는 선교 사상도 없었고 선교활동도 없었다는 것이 중론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 견해가 과연 옳은가? 본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인데, 첫째는 “종교개혁자들에게 선교가 있었는가?”라는 오래 된 질문을 다시 검토하는 것이고, 둘째는 종교개혁자들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나 교회의 선교 사명에 대해서 충분히 알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특별히 필자는 제네바의 종교개혁자 깔뱅의 선교 사상과 활동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초기 프로테스탄트에게 선교가 있었는가 하는 문제를 정당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프로테스탄트들이 살았던 그 시대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야만 한다. 16세기 프로테스탄트들의 일차적 관심은 생존 문제였고, 로마 가톨릭 국가인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해상권을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프로테스탄트가 유럽 밖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었다. 뿐만 아니라 로마 가톨릭교회와 비교해 볼 때,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선교를 수행할 기구와 수단도 갖추지 못하였다. 이런 16세기의 상황을 감안한다면 왜 초기 프로테스탄트들이 선교에 열정적으로 나서지 못했는가 하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적 장애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자들에게 선교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것은 결코 아니다. 깔뱅은 기독교 세계 안에서 개혁 신앙을 전파하는 것에 일차적 목표를 두었으며, 이것이 곧 선교라고 믿었다. 깔뱅에게 가장 중요하고 일차적인 선교의 장은 제네바였다. 그는 제네바에 하나님의 정치, 곧 신정 정치를 확립하고자 했으며, 컨시스토리(Consistory)와 종합 구빈원 제도를 통해 이 도시를 ‘가장 완벽한 그리스도의 학교’로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깔뱅은 제네바를 넘어서서 조국 프랑스의 선교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온 유럽에 개혁 신앙을 전하기 위해 모든 방면에서 최선을 다했다. 1559년 세워진 제네바 아카데미는 유럽 전역에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를 양성하는 요람이 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깔뱅은 ‘유럽의 복음 전도자’가 되었고, 제네바는 유럽의 ‘선교 중심 기지’가 되었다. 깔뱅은 제네바 개혁교회의 선교 노력을 격려하고 지도한 프로테스탄트 개혁자였다.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Protestant Reformers in the sixteenth century were not conscious of the missionary ideas and displayed no missionary activity. But is this view corr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old question, ‘Were the Reformers interested in missions?’ The second aim in this paper is to disclose that the Reformers recognized the missionary obligation of the church both in theory and practice. Especially I will focus on Calvin’s mission theology and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Geneva Reformation. A fair assessment of the early Protestants in this matter requires recognition of the unique circumstances in which they lived. Because Protestants’ priority matter was struggle for survival and at the same time Spain and Portugal, both Roman Catholic countries, controlled the sea lanes, they had little or no opportunity for mission activity among non-Christian peoples outside Europe. Furthermore, Protestant churches had no recognized authority, or means to carry out mission work. If we recall the life situation of the Protestants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slowness of development of Protestant mission and missiology is very understandable. In spite of these obstacles, the Reformers were not lacking in concern for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to people outside the evangelical faith and church. Calvin’s chief concern was the spread of the reformed faith in Christendom, conceived as the mission of the Word of God.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mission field of Calvin was the city of Geneva. Calvin tried to establish theocracy in the city and to change this city into “the most perfect school of Christ” through both ‘Consistory’ and ‘General Hospital.’ Although, quite naturally, the mission to the France, Calvin’s homeland, was of predominant interest to Calvin, it was by no means the only area to which he looked. With the establishment of Geneva Academy in 1559, Calvin was to become “an evangelist of Europe” and Geneva “a missionary center.” Calvin was the person who was the stimulus and the director of the missionary endeavors of the church of Geneva.

      • KCI등재
      • KCI등재

        ‘멜란히톤의 수수께끼’

        박경수(PARK Gyeung-Su)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본 논문은 멜란히톤(Philip Melanchthon)이 1548년 12월 제시한 「라이프치히 잠정협정」과 그 이후 루터교회 내부에서 벌어진 ‘아디아포라 논쟁’을 다룬다. 「라이프치히 잠정협정」으로 인해 루터의 계승자, 독일의 교사로 존경을 받던 멜란히톤이 루터를 저버리고 복음을 왜곡시킨 배신자로 비난을 받게 되었다. 멜란히톤이라는 이름은 적어도 루터교회 내에서는 가장 위대한 이름인 동시에 가장 악명 높은 이름이기도 하다. 역사학자들과 신학자들은 어떻게 해서 멜란히톤이 루터의 계승자인 동시에 배신자가 되었는지, 왜 멜란히톤의 초기와 후기 사상이 달라졌는지를 두고 ‘멜란히톤의 수수께끼’라고 부르기까지 한다.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필자는 먼저 「라이프치히 잠정협정」이 어떤 역사적 상황 가운데서 나온 것인지를 살피고, 그런 다음 그 문서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고찰할 것이다. 그 후 이 문서로 인해 멜란히톤과 플라키우스(Matthias Flacius Illyricus) 사이에서 일어난 아디아포라 논쟁을 소개할 것이다. 루터교회뿐만 아니라 종교개혁 진영의 역사와 신학에서 상당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소홀히 다루어져 온 「라이프치히 잠정협정」과 아디아포라 논쟁을 본격적으로 조명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공헌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the “Leipzig Interim” proposed by Philip Melanchthon in December 1548 and the “Adiaphoristic Controversy” which has taken place within the Lutheran Churches. Owing to the “Leipzig Interim” Melanchthon, who was regarded as ‘the successor of Luther’ and ‘the teacher of Germany’ (Praeceptor Germaniae), was condemned as a traitor who betrayed Luther and distorted the Gospel. Melanchthon’s name is the greatest and most notorious name in the Lutheran church. Historians and theologians have even called it ‘Melanchthon’s enigma’ as to how the Melanchthon was both a successor to Luther and a renegade, and why the early and later thoughts of Melanchthon have changed. To solve this mystery, I will first look at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Leipzig Interim” comes out, and then look at what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I will then introduce the adiaphora controversy that took place between Philip Melanchthon and Matthias Flacius, which was caused by this document. Although the “Leipzig Interim” and the Adiaphoristic controversy are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Reformation as well as in the Lutheran church, they have been neglected so far.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deals with this problem in detail.

      • KCI등재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에 나타난 장로교회 정치체제의 근간

        박경수(Gyeung Su Par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7 No.-

        This paper reveals what are the important principles of the Presbyterian polity that appeared in the Scottish First Book of Discipline submitted by John Knox and other reformers in 1560. To this end, I looked at the central subjects of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in Scotland: the offices of minister, elder, deacon, and superintendent, the exercise meetings for biblical study, the practice of church discipline, the use of church finance, and education in detail. I am interested in this topic because of the hope that I could discover insights that can overcome the political turmoil and divisions that Korean churches face today in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the first ecclesiastical ordinanc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Descriptions of the sincerity of those in charge of the pastoral duti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exercise meetings and church discipline, priority consideration for the poor, arguments for equal opportunity in education, and principles for rational and transparent use of church finance hav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rotestant religious reform movement and still provide useful insight for church reform today. There are, of course, differences between the times of the 16th and 21st centuries, but nevertheless, one must know clearly what constitutes the found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so that one can continue the spirit in a format that suits this era.

      • KCI등재

        아르굴라 폰 그룸바흐의 저항과 항변 : ‘아르사키우스 제호퍼 사건’을 통해 본 여성 평신도 프로테스탄트의 자기정체성

        박경수(Gyeung Su Park)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한 1520년대 초반 독일의 바이에른 지역에 살았던 아르굴라 폰 그룸바흐라는 한 여성 평신도 프로테스탄트 개혁자의 사상을 그녀가 쓴 팸플릿을 통해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이 연구는 16세기 여성 개혁자의 활동과 사상을 부각함으로써 지나치게 남성에게 편중되어 반쪽으로 남아있는 종교개혁 역사서술에 균형을 잡고 그 이야기를 한층 풍성하게 만들려는 목적을 가진다. 아르굴라는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여성 개혁자 또는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여성 저술가라는 칭호를 받을만한 인물이다. 그녀는 1523-24년 사이에 7개의 공개서신과 1편의 시 작품을 통해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을 옹호하고 로마가톨릭교회와 신학자들의 부당한 처신에 대해 공개적으로 항의함으로써 큰 파장을 일으켰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그녀가 쓴 최초의 작품인 “잉골슈타트 대학에 보내는 공개서신”을 일차 사료로 사용하여, 그 안에 나타난 아르굴라의 사상과 주장을 여성 평신도라는 관점과 프로테스탄트 개혁자라는 관점에서 조명할 것이다. 필자는 먼저 아르굴라가 잉골슈타트 대학의 신학자들에게 항변의 공개서신을 쓰도록 만든 아르사키우스 제호퍼 사건이 어떤 것인지를 간략하게 알아 볼 것이다. 그런 다음 필자는 아르굴라의 편지에 나타난 그녀의 ‘평신도 여성’으로서의 정체성과 ‘프로테스탄트 개혁자’로서의 정체성을 규명할 것이다. 또한 아르굴라의 작가로서의 재능과 성서 주석가로서의 능력을 살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아르굴라가 ‘오직 성서’와 ‘만인제사장설’에 근거하여 성직자와 평신도, 남성과 여성 사이에 존재했던 견고한 담을 허물고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여성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했음을 알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out the ideas of a laywoman Protestant reformer named Argula von Grumbach, who lived in Bavaria, Germany, in the early 1520s when the 16th century religious reform movement began. This study aims to enrich the story of religious reform by highlighting the activities and ideas of female reformer in the 16th century, and balance the history of the Reformation that is too biased toward men due to excessively male oriented. Argula was a person who deserves the title of the first Protestant female reformer or the first Protestant female writer. Between 1523-24, with seven public letters and one poem, she made a huge impact by advocating Protestant Reformation and publicly protesting against the unfair behavior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ologians in the Arsacius Seehofer case. I will use her first open letter, “To the University of Ingolstadt,” as a primary source, to shed light on Argula’s idea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 female layperson and a Protestant reformer. I will first briefly examine what was the Arsacius Seehofer case, which led Argula to write an open letter of protest to the theologians at Ingolstadt University. I will then clarify Argula’s identity as a ‘lay woman’ and as a ‘Protestant reformer.’ I will also examine Argula’s talent as a writer and his ability as a biblical commentator. Through this, we will find that Argula, based solely on the ‘sola scriptura’ and the ‘theory of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broke down the solid walls between clergy and lay, men and women, and emphasized women’s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 disciples of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