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도, 수확 전 양액조성 및 양액결제시기가 잎상추의 체내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

        여경환(Kyung-Hwan Yeo),최경이(Gyeong-Lee Choi),이중섭(Jung-Sup Lee),이재한(Jae-Han Lee),박경섭(Kyoung-Sub Park),김진현(Jin-Hyu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쌈채소 수경재배 시 문제가 되는 체내 질산염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폐쇄형 생산시스템에서 1) 저광도(100μmol·m<SUP>-2</SUP>·s<SUP>-1</SUP>내외) 조건에서의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과 2) 질산염 저감을 위한 적정 광도 및 수확 전 적정 양액결제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치마상추에서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 중 양액결제(양액공급 중단) 처리와 양액내 질소 공급원으로 탄산암모늄[(NH₄)₂CO₃]을 사용한 처리는 처리기간 동안 체내 질산염 함량을 감소시켰으나, 생체중, 엽면적 등의 생육량도 감소되었다. 하지만 100μmol·m<SUP>-2</SUP>·s<SUP>-1</SUP>조건에서 수확 7일전 양액내 NO₃-N 비료를 결제하여 조성하거나 배양액 농도를 1/2배액으로 낮추어 공급함으로써 외적품질 및 생육량의 저하없이 질산염 함량은 감소되었다. 또한 수확 전 양액결제시기 및 적정 광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100, 200, 및 300μmol·m<SUP>-2</SUP>·s<SUP>-1</SUP>의 3수준의 광조건 모두 수확 7일 전 양액결제시에 체내 질산염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00μmol·m<SUP>-2</SUP>·s<SUP>-1</SUP>의 광도와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시 식물체내 질산염의 빠른 저감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생육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수확 3일 전 양액결제 처리에 의해 300μmol·m<SUP>-2</SUP>·s<SUP>-1</SUP> 광도에서 체내 질산염 함량은 2,021ppm에서 480ppm로, 200μmol·m<SUP>-2</SUP>·s<SUP>-1</SUP> 광도에서 3,018ppm에서 1,035ppm로 감소되었으며, 외적 품질의 저하 없이 생육량이 높으면서 동시에 짧은 시간 동안 식물체내 질산염의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는 체내 질산염의 저감효과가 컸던 반면 엽중, 엽면적등의 생육 감소를 가져왔는데, 200과 300μmol·m<SUP>-2</SUP>·s<SUP>-1</SUP>의 광조건에서 수확7일 전 양액결제시 수확 3일 전 양액결제보다 엽중은 20~35%, 엽면적은 16~31%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광도 및 양액결제시기에 따른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100, 200보다 300μmol·m<SUP>-2</SUP>·s<SUP>-1</SUP> 에서 수확 3일과 5일전 양액결제 처리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nitrate (NO₃-) accumulation of hydroponically grown leafy vegetables may increase in the condition of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with low light intensity due to low activity of enzymes involved in nitrogen assimilation and the use of NO₃-N as major nitrogen sour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ies,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s and the time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before harvest on nitrate contents of hydroponically-grown lettuces in a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The reduction of nitrate contents in leafy lettuces ‘Cheongchima’ was higher in the treatments of ‘TW’ (nutrient solution removal) and ‘(NH₄)₂CO₃’ (use of ammonium carbonate as nitrogen source)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 which significantly lowered fresh weight and leaf area of the plants. In the light intensity of 100 μmol·m<SUP>-2</SUP>·s<SUP>-1</SUP>, the nitrate content was effectively reduced without causing any growth retardation, by substitu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that NO₃-N was removed (‘NO₃-N removal’ treatment) or the half strength of standard nutrient solution was applied (‘1/2 S’ treatment), for 7days before harvest.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the time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before harvest on growth and nitrate contents in leafy lettuces were investigated. The nitrate contents in leaves under the light condition of 300 μmol·m<SUP>-2</SUP>·s<SUP>-1</SUP> before nutrient solution removal were lower than those of 100 or 200 μmol·m<SUP>-2</SUP>·s<SUP>-1</SUP>. The removal of nutrient solution for 7 days before harvest quickly reduced the amount of nitrates in leaves in all the light intensities with a greater degree under the 300 μmol·m<SUP>-2</SUP>·s<SUP>-1</SUP> of light condition, while the 7 days-removal with both 200 and 300 μmol·m<SUP>-2</SUP>·s<SUP>-1</SUP> of light conditions caused decrease in 16~31% of leaf area and 20~35% of fresh weight, compared to the 3 days-removal treatment. The nitrate contents were greatly reduced from 3,018 to 1,035 in 200 μmol·m<SUP>-2</SUP>·s<SUP>-1</SUP>, and 2,021 to 480 ppm in the light condition of 300 μmol·m<SUP>-2</SUP>·s<SUP>-1</SUP>, with the nutrient solution removal for 3 days before harvest, without causing any deterioration in growth and product quality. The vitamin C contents in leaves were higher in the treatment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for both 3 and 5 days before harvest with the light condition of 300 μmol·m<SUP>-2</SUP>·s<SUP>-1</SUP> than those in the light condition of 100 or 200 μmol·m<SUP>-2</SUP>·s<SUP>-1</SUP>.

      • 소아외과 환자에서 기형종의 치료 결과

        이호균,박경섭,최수진나,김신곤,정상영,Lee, Ho-Kyun,Park, Kyung-Sub,Choi, Soo-Jin-Na,Kim, Shin-Kon,Chung, Sang-Young 대한소아외과학회 2003 소아외과 Vol.9 No.2

        The teratoma is a unique complex neoplasm an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pediatric tumors originated from the extragonadal germ cells. Mature teratoma is composed of mature differentiated tissues, while immature teratoma always contains embryonic tissues of variable degrees of immaturity, especially in the neuroepithelial elements. Diagnosis of teratoma is relatively easy by conventional radiologic study, but the immaturity can be identified only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Between January 1993 to December 2002, 63 cases of teratoma were operated and analysed retrospectively at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emale to male ratio was about 3:1 and ag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even. Among 63 cases, gonadal teratoma was the most common (52.4%), followed by sacrococcygeal (25.4%), retroperitoneal (9.5%) and mediastinal teratoma (9.5%). Fifty-six cases were mature teratomas and seven were immature teratomas. Alpha-fetoprotein (AFP) was elevated in 4 of 6 immature cases, but in 2 of 51 mature ones Elevated AFP progressively returned to normal range by 1 month after operation in all. Complete excision of the mass was performed, and major complication was not noticed. In five immature cases, PEB chemotherapy (Cisplatin, Etoposide, Bleomycin) was performed. Two of 2 cases in histological grade II were well tolerated to the aggressive chemotherapy. One of three cases in grade III expired due to severe bone marrow depression, and two of them expired by tumor recurrences. In conclusion, immature teratoma in histological grade III showed high potentiality of recurrence. Therefore, postoperative chemotherapy has to be applied to the high graded immature tumors.

      • KCI등재

        단동 비닐하우스의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 개선이 참외생육 및 과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여경환(Kyung-Hwan Yeo),유인호(In-Ho Yu),최경이(Gyeong Lee Choi),이성찬(Seong-Chan Lee),이재한(Jae-Han Lee),박경섭(Kyoungs Sub Park),이중섭(Jung-Sup Lee),Khoshimkhujaev Bekhzod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의 개선에 의한 작물 재배효과를 검증하고자 농가현장에서 개선 지붕 환기방식과 관행 환기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선 지붕 환기방식은 참외재배 단동 플라스틱 온실(폭 5.6m, 길이 108m, 측고 1.1m, 동고 2.2m)에 지붕 환기팬(용량 38㎥/min)과 환기통(지름 60㎝)을 각각 15m와 6m 간격으로 설치하였고, 대조구로서 관행 지붕 환기방식은 각각 20m와 8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관행 및 개선 지붕 환기 방식에 따른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과 환기팬 처리에 비해 개선 환기통과 개선 환기팬 처리에서 경경, 엽장, 엽병장, 및 엽폭의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기 전반부에 관행 환기통 처리는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절간장이 다소 길게 발달하였는데 이는 착과수가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적었고, 착과수 감소로 인해 동화산물이 잎과 줄기의 신장부로 좀 더 이동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참외재배 단동 비닐하우스에서 과실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처리는 관행처리에 비해 과중은 약간 작았지만, 착과수 증가로 인해 전체 수량은 높게 나타났다.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설치 하우스에서는 관행 지붕 환기 하우스에 비해 상품과율이 높았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각각 8,391㎏, 7,283㎏ 으로 나타나 관행 지붕 환기에 비해 개선 환기팬 처리는 661㎏, 개선 환기통 처리는 487㎏ 더 증가하였다. 개선 환기팬 처리는 고온기에 암꽃수와 착과수가 가장 많았고, 낙과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관행의 환기통 처리에 비해 과실의 크기는 작았다. 시기별 환기방식에 따른 참외 과실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 환기에서 과중, 과경, 과폭, 및 과육두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과폭, 과육두께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odified installation methods of roof ventilation devices, derived from the previous experiment (‘investigation into the optimum capacity of roof ventilation devices and their deployment’), the conventional and modified (improved) roof ventilation systems were installed in the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for growing oriental melons. The roof vents (60ϕ) and roof fans (maximum air capacity of 38㎥/min) were installed in the spacing of 15m (FT, modified ‘side vent+roof fan’ ventilation) and 6m (TT, modified ‘side vent+roof vent’ ventilation) respectively on the roof of greenhouses for the modified roof ventilation treatments, and 20m (FC, conventional ‘side vent+roof fan’ ventilation) and 8m (TC, conventional ‘side vent+roof vent’ ventilation) for the conventional ones. The stem diameter, leaf blade lengh, petiole length, and leaf width were lower in the FT and TT treatments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reatments, FC and TC. Although the fruit weight and total yields were slightly lower in the FT and TT treatments, the marketable fruit ratio (%) were higher, as a result of increased fruiting ratio (%) in these treatments, than those of FC and TC. The marketable yields (㎏/10a) in the FT and TT treatments were 8,391 ㎏/10a and 7,283 ㎏/10a, which were respectively 661 ㎏/10a and 487 ㎏/10a higher than those in the treatments of FC and TC. The modified installation methods of roof fan resulted in production of more female flowers and lower fruit drop ratio (%) compared to conventional meathods. In the treatment of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with roof vent, the fruit weight, fruit length & width, and flesh thickness were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uit width and flesh thickness among the treatments.

      • KCI등재

        전기발열체 난방기 및 유류온풍 난방기의 단동온실 난방 특성 비교

        권진경(Jin Kyung Kwon),김승희(Seung Hee Kim),신영안(Young An Shin),이재한(Jae Han Lee),박경섭(Kyeong Sub Park),강연구(Youn Koo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열전달 특성을 가진 탄소섬유 전기발열체와 경유온풍난방기가 온실 내부의 온습도, 에너지소비, 작물생육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오이 재배 단동온실에 대한 난방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전기발열체 온실에서 난방용량이 온실 환경과 난방기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온실에 6, 9, 16kW의 전력을 각각 공급한 결과 전기발열체 ON-OFF 주기는 각각 9, 11, 15회로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온실내부 평균온도는 각각 15.2, 15.3, 15.6℃, 평균상대습도는 84, 81, 76%로 나타나 난방 용량이 클수록 온실내부 온도는 높고, 상대습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6, 9kW가동 시 하부온도가 상부보다 0.1℃ 높았으며 16kW 가동 시는 상부 평균온도가 하부보다 0.2℃ 높았다. 전기발열체와 경유온풍난방기의 비교 시험에서는 난방 시 온실상부와 하부의 온도차가 전기발열체 온실이 0.1~0.2℃로 경유온풍난방기 온실의 0.5~0.6℃보다 작았으며, 온실 상류와 하류의 온도차는 전기발열체 온실이 0~0.1℃로 경유온풍난방기 온실의 1.3~1.4℃보다 작아 정밀한 온도관리가 가능하였다. 난방기간 동안 사용한 에너지사용량은 경유온풍난방기 온실이 경유 867L를, 전기발열체 온실이 전력량 8,959kWh를 사용하였으며, 난방비용은 각각 607천원과 403천원이 소요되어 전기발열체 온실에서 약34%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었다. 전기발열체 온실의 경우 상대적으로 군락 상하부의 환경관리가 균일하여 초장을 비롯한 전반적 생육상황이 경유온풍난방기 온실보다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수확량 역시 전기발열체 온실의 작물군락 하부 온도가 경유온풍 난방기 온실보다 1.3℃ 더 높게 관리되어 4.3% 증수효과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원예시설의 최적 난방 관리를 위해서는 각 난방기의 열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난방기 용량, 배치, 열분배 방법에 대한 설계가 요구되며, 전열선 형태의 난방기 역시 작물형상 및 재배방법을 고려하여 전열선의 개수, 위치, 방열온도 등에 대한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compara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single span greenhouses where cucumbers were cultiv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heating between a carbon fiber electric heating element heater and an oil hot air heater in terms of the inside climate, energy consumption and plant growth.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heating capacity, 6, 9, and 16 kW of electric powers were supplied to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for same setting temperature of 15?. As a result, as the heating capacity increased, the number of ON-OFF cycles of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increased proportionally. In the comparison of two heaters, it was shown that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s of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installed greenhouse was much uniform than those of the oil hot air heater installed greenhous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s during the heating period of 79 days were 867L for the oil hot air heater and 8,959 kWh for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heater, and the heating costs were 607 and 403 thousand won respectively. In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installed greenhouse, the cucumber growth was slightly better and the yield was 4.3% higher than those of the oil hot air heater installed greenhouse, but there were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ucumber growth and yield between greenhouses.

      • KCI등재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수경재배한 Common Ice Plant의 재식밀도-생육-수확 도표 개발

        차미경(Mi-Kyung Cha),박경섭(Kyoung Sub Park),조영열(Young-Yeol Ch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2

        식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수확시기, 상품률과 상품수량과 같은 생육과 수확 요인들을 쉽게 읽을 수 있는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기 위함이다. 광도 140μmol•m<SUP>-2</SUP>•s<SUP>-1</SUP>과 일장 12시간 주기로, 3파장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박막수경 재배하였다. 4가지 재식밀도(15×10cm, 15×15cm, 15×20cm와 15×25cm) 하에서 생육과 수량을 분석하였다.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어느 한계까지는 식물체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단위면적당 생체중인 수량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과 lost time은 2차 등식 형태를 보였으며,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등식을 이용하여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었다. 예를 들면, 15×20cm 재식밀도와 식물체당 생체중 100g에서 수확할 경우, 재식주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 식물체당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은 각각 33plants/m<SUP>2</SUP>, 20g•m<SUP>-2</SUP>•d<SUP>-1</SUP>, 0.27g•g<SUP>-1</SUP>•d<SUP>-1</SUP>, 22days, 2.5g/plant, 정식 후 26일과 3.2kg•m<SUP>-2</SUP>이었다. 이 도표를 가지고 적어도 2가지 요인 예를 들면, 재식밀도와 수확요인 중 하나만 알면,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과 같은 생육 요인과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과 같은 수확 요인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도표는 다양한 작물의 생육과 수량 요인을 예측할 수 있어 완전제어형 식물생산 시스템 설계를 위해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a planting density-growth-harvest (PGH) chart was developed to easily read the growth and harvest factors such as crop growth rate, relative growth rate, shoot fresh weight, shoot dry weight, harvesting time, marketable rate, and marketable yield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The plants were grown in a nutrient film technique (NFT) system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using fluorescent lamps with three-band radiation under a light intensity of 140 μmol•m<SUP>-2</SUP>•s<SUP>-1</SUP> and a photoperiod of 12 h. Growth and yield were analyzed under four planting densities (15×10 cm, 15×15 cm, 15×20 cm, and 15×25 cm). Shoot fresh and dry weights per plant increased at a higher planting density until reached an upper limit and yield per area was also same tendency. Crop growth rate, relative growth rate and lost time were described using quadratic equation.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shoot dry weight and fresh weights was observed. PGH char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growth data and making equations. For instance, with within row spacing (= 20 cm) and fresh weight per plant at harvest (= 100 g), we can estimate all the growth and harvest factors of common ice plant. The planting density, crop growth rate, relative growth rate, lost time, shoot dry weight per plant, harvesting time, and yield were 33 plants/m<SUP>2</SUP>, 20 g•m<SUP>-2</SUP>•d<SUP>-1</SUP>, 0.27 g•g<SUP>-1</SUP>•d<SUP>-1</SUP>, 22 days, 2.5 g/plant, 26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3.2 kg•m<SUP>-2</SUP>, respectively. With this chart, we could easily obtain the growth factors such as planting density, crop growth rate, relative growth rate, lost time and the harvest factors such as shoot fresh and dry weights, harvesting time, marketable rate, and marketable yield with at least two parameters, for instance, planting distance and one of harvest factors of plant. PGH charts will be useful tools to estimate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and to practical design of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KCI등재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배양액, 광도 및 재식거리에 따른 Common Ice Plant의 생육 특성

        차미경(Mi-Kyung Cha),박경섭(Kyoung Sub Park),조영열(Young-Yeol Ch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 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μmol·m<SUP>-2</SUP>·s<SUP>-1</SUP>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L<SUP>-1</SUP>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μmol·m<SUP>-2</SUP>·s<SUP>-1</SUP>에서 높았다. 재식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μmol·m<SUP>-2</SUP>·s<SUP>-1</SUP>와 재식밀도 15×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nutrient solution, pH, irrigation interval,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ensity to growth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Three-band radiation type fluorescent lamps with a 12-h photoperiod were used. Nutrient film technique systems with three layers were used for the plant growth system.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2 concentration were controlled by an ON/OFF operation. Treatments were comparison of the nutrient solution of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Japan (NHES) and the nutrient solution of Jeju National University (NJNU), pH 6.0 and 7.0, irrigation interval 5 min and 10 min, light intensity 90 and 180 μmol·m<SUP>-2</SUP>·s<SUP>-1</SUP>, and within-row spacing 10 cm, 15 cm, 20 cm and 25 cm with between-row spacing 15 cm. Optimum macronutrients were composed N 7.65, P 0.65, K 4.0, Ca 1.6 and Mg 1.0 mM·L<SUP>-1</SUP>.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pH 6.0 and 7.0 about shoot fresh weight and shoot dry weight of common ice plant. Irrigation interval 5 min and 10 min was also the same result. Shoot fresh weight and shoot dry weight were highest at 180 μmol·m<SUP>-2</SUP>·s<SUP>-1</SUP>. Shoot fresh weight and shoot dry weight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he planting dens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optimum nutrient solution, optimum levels of pH, irrigation interval,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ensity were 6.0-7.0 and 10 min, 180 μmol·m<SUP>-2</SUP>·s<SUP>-1</SUP> and 15×15 cm, respectively for growth of common ice plant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화아분화 촉진을 위한 제자리 육묘 딸기 국소냉방 시스템 분석

        권진경 ( Jin Kyung Kwon ),김승희 ( Seung Hee Kim ),신영안 ( Young An Shin ),이재한 ( Jae Han Lee ),박경섭 ( Kyeong Sub Park ),강연구 ( Yeon Koo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딸기는 대표적 저온성 작물로 국내 시설딸기 육묘시기의 시설온도는 35°C 이상으로 화아분화 불량으로 인한 수확 감소와 기형과의 발생이 빈번하다. 또한 촉성재배 딸기의 정식이 끝난 9월에도 온실내부의 온도는 상당히 높아 1, 2차 액화방의 화아분화가 지연되어 정과방 수확 후 수확의 중간휴지기가 발생한다. 촉성 딸기의 가격은 수확 개시부터 종료까지 계속 낮아지므로 상기의 초기 액화방의 수확지연은 농가의 소득에 영향을 미친다. 환기, 차광, 증발냉각 등의 온실 온도저감 대책은 그 효과가 제한적이며, 딸기의 화아분화 촉진 방법으로 제시되는 저온 단일 처리, 단근, 질소흡수 억제, 호르몬 처리 등은 과도한 에너지비용 또는 정확한 처리방법의 구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1, 2차 액화방의 화아분화촉진을 위하여 정식 시 단근처리와 작물체 국소냉방을 조합한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잔열기 작물체 온도 민감부 국소냉방과 동절기 에너지 절감을 위한 국소난방을 수행하기 위한 딸기 관부 및 근권부 국소냉난방 시스템을 제작하여 냉방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국소냉난방 시스템은 공기-물 히트펌프(3RT), 축열조(2 ton), 물펌프(3대), PE 유연배관을 이용하였으며 국소 냉난방은 촉성 설향 딸기의 관부에 PE배관을 접촉하거나 고설베드 바닥에 PE배관을 설치하여 근권부를 냉방하였다. 축열조 설정온도 15°±0.5°C를 기준으로 히트펌프를 ON/OFF 제어하였으며, 축열조와 PE 배관사이의 펌프는 고설베드에 설치된 2열의 입수, 출수 PE 배관의 평균온도 20±0.3°C를 기준으로 ON/OFF 제어하였다. PE 배관은 관부 및 근권부국소냉방 시험구 모두 리버스리턴 방식이며 PE 배관에 연결된 온실 내외부 물배관은 모두 단열 처리하였다. 공시품종은 ‘설향’으로 2중피복 단동온실의 고설베드에 2017년 8월 31일 정식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 온실, 근권부 냉난방 온실, 관부 냉난방 온실의 3동으로 고설베드가 각각 4열씩 설치되어 있으며 축열조는 냉난방 대상 온실 2동에 각각의 물펌프로 연결되어 있다. 정식묘는 단근처리묘(6월 30일 러너꽂기, 8월 31일 단근), 비단근묘, 육묘장 구입묘 3종을 각 베드에 1/3씩 정식하였으며 2017년 9월 1일부터 히트펌프를 가동하여 국소냉방을 수행하였다. 국소냉방 시스템의 1개월간 성능분석 결과 관부 평균온도는 무처리 온실이 26.3°C로 온실기온보다 2.7°C 높고, 근권부 냉방은 23.6°C로 온실기온과 같았으나, 관부냉방은 19.1°C로 온실 온도보다 4.3°C 낮았다. 근권부 온도는 무처리 26.3°C, 근권부 냉방 22.1°C, 관부 냉방25.2°C로 나타났다. 냉방 및 정식묘 종류별로 화방출뢰 및 개화 속도, 냉방 에너지사용량 등을 분석 중이며, 10월 중 국소난방으로 전환하여 전 작기에 대한 수확 조진화, 에너지절감 효과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