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경관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 옥외공간 조경설계 - 창원 경상대학교 병원을 사례로 -

        민병욱,Min, Byoung-Woo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1

        본 설계안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동 555번지 일대에 건립예정인 부지의 면적 약 $79,743.1m^2$의 경상대학교병원 주변 옥외공간 설계의 기본계획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환자의 회복과 일반 대중의 웰빙(well-being)을 돕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주변 환경을 존중하는 생태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설계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경관의 치유기능을 높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생태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경관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경관의 미적인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먼저 치유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주변의 양호한 수림대와 연계를 하고, 치유의 기능이 있는 식물재료를 선별하여 식재하고, 다양한 감각 치유원, 명상의 공간, 약초원 등 치유프로그램을 공간에 도입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병원의 공간조성에 있어서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대로 환자의 유형과 일반인들을 고려하여 공간과 동선을 구분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생태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소나무 숲과 지형을 보존하고, 부지내로 연장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자연 수체계를 복원하고, 그 물을 재활용하여 조경 등의 용수로 사용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미적인 체험을 위해서는 주변 상록수림에 대비하는 활엽수와 각종 초화류를 식재하여 계절감을 강화시키고, 열매가 열리는 수종을 배치하여 산새가 날아들고 동물이 찾아오는 "자연속의 치유공간"이라는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더불어 모든 공간과 시설물은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따라 계획 및 설계되어 환자들에게 장애물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려 하였으며, 생태적이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관리계획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Kyeongsangnam-do. The site is located at 555 Samjeongja-dong, Seongsan-gu, Changwon, Kyeongsangnam-do, and its area is approximately $79,743.1m^2$. The goal of the design was to create a landscape that helps the patients' recovery and public well-being as well as resp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ree design subjects were considered: maximizing the healing functions of the landscape, promoting ecologically regenerative landscape, and increas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based on the local context. For the healing aspect, first, therapeutic plants were carefully selected and various healing programs were introduced to the open space area such as the sensory garden, meditative space, the medicinal herb garden, outdoor acupressure treatment facilities, remedial playground etc.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patient's privacy is emphasized in research, the space and circulation pattern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For ecological consideration, the design proposed to preserve and extend the existing ridgeline with pine forest, and recover the natural water system and recycle the water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people, in contrast to the surrounding evergreen forest, diverse deciduous and flowering plants were introduced to arouse a sense of the season, and fruit bearing trees for wildlife to create a specific mood of being in nature so that people can listen to the songs of the birds and watch squirrels play etc. In addition, all the spaces and facilities were designed and placed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principles so that there would be no barrier for the patients to use them. Also, a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 was suggested to maintain the landscape in ecological and economical ways.

      • KCI등재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민병욱 ( Min Byoung-wook ),김미연 ( Kim Mi-ye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 ‘궁집’과 그 일대에 대한 복합문화시설화 계획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특히, 차후 공공에 개방될 궁집과 한옥 부속사들로 구성된 역사·문화단지의 외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 궁집은 건축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된 상태지만, 궁집과 건물군으로 구성된 단지로서 대상지는 체계적인 공간 체험에 대한 계획의 부재, 구체적인 공간프로그램의 미비, 관리되지 않은 녹지로 인한 공간의 음지화 등의 문제로 공공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안은 크게 공공공간으로서 역사경관에 대한 의미 존중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균형을 추구하였다. 기초조사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전략은 크게 궁집의 장소성 강화,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 존중 및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조화, 동시대에 적합한 공간프로그램의 제시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전체 공간에 대한 틀을 개념적으로 외원(外園), 간정(間庭), 주정(主庭), 후원(後園) 나누고 체계적인 경관 활용과 체험을 제안하였다. 본 계획안은 건축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보존하되, 궁집의 장소성에 기반한 전체 공간의 합리적 토지이용과 의미 있는 경관체험을 엮어내려는 조경적 접근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design proposal to create a history and culture complex for the "Gungjip," an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and its surroundings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the purpose is to introduce a new design approach to a historical and cultural complex consisting of the Gungjip House and Hanok annexes to be opened to the public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lthough the architectural condition of Gungjip House is well preserved, several problems have been found in the use of the site as a public space due to the lack of a plan for systematic space experience, lack of specific spatial programs, and the too much shade due to uncontrolled green areas, etc. Therefore, the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largely sought to respect the meaning of historical landscape as a public space and to balance with the contemporary needs. The design strategies derived through basic research are to strengthen the sense of place as a cultural heritage; to respec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suggest spatial programs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needs. Based on these strategies, the framework for the entire space is conceptually composed of four spaces; Oewon, Ganjeong, Jujeong, and Huwon, and proposes systematical land use and landscape experience. The main feature of this plan is the landscape approach, which aims to preserve the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in their original form, but to create a reasonable land use and meaningful landscape experience based on the sense of place.

      • KCI등재후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특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민병욱(Byoung Wook Min),김진오(Jin Oh Kim)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0 No.1

        지난 세기동안 우리는 수많은 전통적인 영역의 해체와새로운 업역이 생성되는 것을 목도하였다. 조경의 분야도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스스로를 진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은 그러한 시도 중 가장 눈에 띄는것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어떻게 시작되었고 발전되었는지, 그리고 전통적인 조경의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 논문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어떠한 요구에 의해나타났는지 다시 고찰하며, 문헌연구 및 사례를 통해 나타난 이 개념의 특징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현재 조경분야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We have witnessed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disciplines and emergence of new ones. In landscape architecture, there have been numerous attempts to innovate itself responding to the societal changes. Landscape urbanism is among the most noticeable attempts in the last few decades. Therefore, it is academically meaningful to understand how landscape urbanism has emerged and how it has influenced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ocietal demands to bring about the concept of landscape urbanism and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he idea.

      • KCI등재후보

        경관계획시 생태적 원칙의 적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맥하그와 포먼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김진오(Jin Oh Kim),민병욱(Byoung Wook Min)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0 No.1

        환경계획에서 경관의 자연적 측면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이루어졌으나 경관과 사회문화적인 지식의 결합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경관 및지역적 스케일에서 생태적 원칙의 기반이 될 수 있는“일차적 원칙들(first principles)을 바탕으로 Forman과 경관생태학 분야에서 제시된 생태학적 원칙들을 검토하여 환경보전과 계획에 적용 가능한 총 4개의 중요한 원칙들을도출하였다. 주요 생태학적 원칙들은 patch-corridor-matrix, hierarchical structure system, environmental fitness, ecotones 로 이들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와 생태학적 특징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들은 경관관리 및 도시의 토지이용계획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환경계획 분야에서 이들 생태학적 원칙의 적용을 주도했던McHarg와 Forman의 두가지 접근방식을 비판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생태학적 원칙의 적용에 있어 어떠한 장점과 한계를 드러내는지, 그리고 향후 개선해야 할 문제들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Despite considerable progress in theory and method for the study of natural process of landscape, integration of the socio-cultural knowledge with natural process information has been a great challenge to environmental planning. Based on the “first principles”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for ecological principles at the landscape and regional scales, we reviewed Forman’s classifications of ecological principles and other sources in landscape ecology literature to adopt four principles that are particularly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pristine and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These include principles of patch-corridor-matrix, hierarchical structure system, environmental fitness, and ecotones.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cological benefits of these salient principles, we would better integrate those principles into natural resource management or urban land use planning. Finally, we critically compared two approaches to environmental planning proposed by McHarg and Forman to understand how they build such a foundation using ecological principles and then apply to landscape or environmental planning.

      • KCI등재

        농어업유산의 경관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항목 분석

        최우영 ( Woo Young Choi ),민병욱 ( Byoung Wook Mi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4 농촌계획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define what measurement items in terms of subjective consideration and preference can be used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and second, to understand the perceptive patterns particularly how landscape experts weigh up the importance of the each measurement item. In order to extract the measurement item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cluding research document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reports.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was conducted to ask their opin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items. For the analysis, SPSS 20.0 for Windows was used to carry ou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arithmetic mean and frequency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a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ndscape values in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was 4.1494; the ratio value that th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was 87.2%; and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value of the analyzed items was 3.71. All the items have more than 3.00. Ten factor groups were summarized and defined whos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67.86%. The factor groups were named as lyricism, authenticity, environmentally-friendliness, durability, recognizability, regionality, visibility, value of sightseeing, social image, and universalit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values are, in order of importance, recognizability, authenticity, visibility, universality, durability, and nativ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however, environmentally-friendliness, regionality, value of sightseeing, and social image were not as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