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문희순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of a family in exile during the Japanese rule by analyzing the Hangul letters housed and handed down by the descendants of Eo Yun-jeok(1847~1933). These Hangul letters were sent and received around 1912년 ~ 1936. They include 17 letters in Mannichogyeong and ten separate letters. They are affectionate family letters sent by elder brothers to their young sisters, by younger sisters to their elder brothers, by uncles to their nieces, by nieces to their uncles, by male cousins of the father to the wives of their second cousins, by the wives of second cousins to their male cousins of the father, by aunts to their nephews, and by sisters of the husband to their sisters-in-law.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angul lett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offer a window to peek into the living aspects of a family in exile in Seogando as they wandered around without homes and occupations; second, they depict how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in Joseon miss the family members in exile in a family language filled with broken hearts; third, they contain the sighs of people whose national sovereignty was usurped by the Japanese Empire; and finally, they include records to show a part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Seogando that is not known well to the academic circles.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the partial restoration of the life and history of the Hamjong Eo family of Cheongwon in exile that lived a life of resistance to the uneasy situation of the times when their national sovereignty was usurped by the Japanese Empire.

      • KCI등재

        北關詶唱錄에 표현된 17세기 불후의 북방 풍경

        문희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oetic works contained in the Book of BukgwanSuchangrok(1664). The Book of BukgwanSuchang rok contains 43 works by five artists, including Kim Soo-hang, a member of Uijeongbu, Min Jeong-jung, a Hamgyeongdo governor, Hong Seok-gu, Hamgyeongdosa, Eo Jin-ik, and EiSeong governor, Cho Sung-Bo. The motivation for the creation of the work was that Kim Soo-hang was dispatched as the general supervisor of the past test conducted in Giljumok, Hamgyeongdo, when local officials near Gilju toured Seongjin, Gilju, and Chilbosan Mountain for Kim Soo-hang. Through this study, a section of northern scenery and northern literature in Gilju, Hamgyeongdo, which has not been well reported to academia so far, will be reveal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호서지역 여성 한문학의 사적 전개

        문희순 한국한문학회 200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9

        이 논문은 조선시대 호서지역 여성문학 곧 ‘호서지역에 기반을 두고 생산된 여성문학’ 을 사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조선시대 여성들이 그랬듯이 호서지역 여성들의 학문적 자질은 한마디로 ‘남자로 태어났더라면’ 그래서 ‘공식적으로 교육을 받았더라면’ 그들의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할 역량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그녀들의 문학 텍스트들은 온전하게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전통시대가 보편적으로 여성의 문자행위를 꺼려했고, 그러한 시대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여성 스스로 암암리에 길들여지고 위축되었던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듯 열악한 시대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문학적 욕망과 자아발전을 위해 시대와 이념에 함몰되지 않고 문학이나 사상의 저작물을 일구어 내 오늘날까지 작품이 전해 내려오고 있는 여성시인들이 호서 지역에는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16세기: 김임벽당, 17세기: 이옥재, 18세기: 김호연재오청취당신부용당임윤지당, 19세기: 姜靜一堂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 여성시인들의 한시 작품을 통하여 호서지역 여성문학의 특징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특히 18세기로 접어들면서 여성 문인들의 활발한 활약상이 두드러지고, 둘째, 수준 높은 여성 성리학자가 출현하였고, 셋째, 가족애의 발현이 표상화 되었고, 넷째, 지역의 명승이나 지명어들이 시의 제재가 되었으며, 다섯째, 문학작품의 향유와 유통의 주체로 여성 한시의 번역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호서지역 여성 문인의 문학 활동과 관련해 텍스트 중심 곧 글쓰기의 결과물로써 나타난 문집의 유무로 그 대상을 선정하여 개괄적으로 살핀 한계가 있다. 개별 작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전 결과물로써의 작품만이 아니라, 여성의 다양한 글 읽기를 통한 ‘독해활동’과 ‘작품필사’, 귀로 듣고 입으로 외워내는 ‘문학향유’ 방식 등에 이르기 까지 여성의 문학적 공간을 총괄적으로 아우를 때, 작게는 한 지역 넓게는 한국 여성문학사가 더욱 온전해질 수 있을 것이다. Historical Development of Women's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Hoseo Region

      • KCI등재

        조애중曺愛重의 병자일기丙子日記 배접지에 기록된 제문과 간찰

        문희순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Byung-Ja-Il-Gi(Byung-Ja Diary) is a Korean journal written by Cho Ae-jung, considered to be the first Korean female author of her kind. The Journal, along with its clear date of cre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people during the Manchu War in 1636 has strong values and meaning in literature history. After 370 years since the death of the author, the journal’s exterior was in extremely poor conditions. There were issues with partial tears, distortion, water damage and partial grafting on the edge of the pages’ corners. The 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carried out preservation processes on the journal, during which 5 bibliographical documents were newly discovered used for the backing papers. The documents included one funeral address written by Nam Pil-bok, the 6th son of Cho Ae-jung, a Chinese letter written by Cho Sa-eun, a friend of Nam PIl-bok, a Chinese letter by Lee In-un, the son-in-law of Nam Pil-bok, a letter in Korean by Queen Nyu-Wol, and a Chinese letter by an unknown author. This study deducted the following facts through the 5 newly discovered documents. Byung-Ja-Il-Gi was bound by Nam Pil-bok, the 6th generation son of Cho Ae-jung, by collecting excerpts focused around the Manchu War in 1636 from a Korean journal of his 6th generation grandmother 140 years after her death. 병자일기丙子日記는 조애중曺愛重이 쓴 한글 일기이다. 작자와 창작연대가 확실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실기문학實記文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병자호란에 관한 민간의 체험을 소상하게 표현해내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병자일기는 저자 사후 370여 년의 세월이 경과되면서 책의 훼손 상태가 매우 심하였다. 책 표지의 부분적 찢어짐과 뒤틀림, 각 장의 물에 의한 얼룩과 변색, 각 페이지 모서리 끝부분의 임시 배접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행복청은 병자일기를 보존처리 하였는데, 책의 해체와 보수과정에서 책표지의 배접지로 사용된 다섯 건의 문헌자료가 새롭게 발굴되었다. 다섯 건의 문헌은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南必復 저술의 제문祭文 1편, 남필복의 지인 조사은趙思殷 발신의 한문 간찰 1편, 남필복의 사위 이인운李寅運 발신의 한문간찰 1편, 비婢 뉴월의 고목 1편, 발신자 미상의 한문간찰 1편이다. 이 논문은 새롭게 발견된 다섯 건의 문헌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새롭게 알아내게 되었다. 현전 병자일기는 저자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이 조애중 사후 140여 년 뒤에, 6대 조비의 한글 일기 중 병자호란 중심으로 기록된 일기를 발췌하여 장책粧冊했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조선의 마지막 여성문인 南貞一軒의 삶과 문학

        문희순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4 No.-

        Nam-Jeong Il Heon(1840-1922) was born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lived in a Korean citizen of Japanese colonial era. Jeong Il heon's literary works are handed down 65 Chinese poems and one memorial sentence. Jeong Il Heon was the last generation of women's Chinese literature who was fluent in Chinese and proficient in Chinese. In addition, by creating lyric works, a genre of Korean literature, she is a female writer who has written a bilingual literary work that is rare in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literature. He was respected as "a great expert" among his relatives, and men from both male family members inside and outside recited Jeong Il-Heon's poems. In this study, 65 Chinese poems of Jeong Il heon in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yearning for a parents. Second, adoption of a son and mother's love. Third, the four seasons and scenery of Ganyang-ri. Fourth, Taegeuk's philosophy of confucian. Fifth, the life of bondage and suffering. Sixth, Eescape the world and the yearning of the SinSunSeGe. Jeong Il-heon's Chinese poem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 loneliness of empty Gyubang, which is seen in Choseon women's Chinese poems, and the story of waiting for Jeong In under a lonely lantern. It is a world of works that shows dignity of women and and the status of Classical Women's Poetry. The significance of Jeong Il heon's Chinese poem was that it inherited the tradition of women's history of chinese poetry. Second, it was the continuation of Hoseo's philosophy of women. Thus, it can be meaningful that the genre of women's Chinese literature has become the last successor to Choseon's women's Chinese literature at the poin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it disappeared into history. 남정일헌(1840-1922)은 조선말에 태어나 일제강점기의 한국인으로 근대격동기를 살다간 여성문인이다. 정일헌의 문학작품은 문집 정일헌시집에 한시 65수와 제문 1편이 전해진다. 정일헌은 한문에 능통하여 능란하게 한시를 구가한 여성한문학의 마지막 세대이다. 거기에 한글문학 장르인 가사작품 까지 창작함으로써 우리나라 여성문학사에서는 보기 드문 이중 언어의 문학 작품을 저술한 여성 문인이다. 친인척 사이에서 ‘대가’로 존중받았고, 내외 집안 남성들이 정일헌의 시를 암송하기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일헌시집 소재 정일헌의 65수의 한시작품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도운각의 경물. 둘째, 양자 입후와 모정. 셋째, 사친과 가족애. 넷째, 태극의 유가 철학. 다섯째, 질곡의 인생살이이다. 정일헌의 한시는 일반적으로 조선 여성의 한시에서 보이는 빈 규방의 고독감, 쓸쓸한 등잔불 밑에서 정인을 기다리는 내용의 한시와는 차원이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사대부가 여성의 위엄과 격조, 호방한 여성한문학자의 위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세계이다. 정일헌 한시작품의 고전 여성문학사상의 의의는, 첫째,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성문인사의 마지막 계보를 잇고 있다는 점. 둘째, 시의 경지는 호방광달하여 불우한 시대에 긍정과 희망의 메시지를 담아냈다는 점. 셋째, 조선후기 여성성리학에서 진일보한 이론을 피력하였다는 점이다. 정일헌시집의 존재는 근대격동기 사대부가 여성한문학 장르가 역사 속 구학문으로 명멸되어간 지점에서, 마지막 작품집으로 자리매김 되는 의미가 있다.

      • KCI등재

        『萬里初程(만니초졍)』 소재 한글편지를 통해 본 어윤적 가의 삶

        문희순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Mannichojyeong is a single book published in the handwriting of woman Ryu of Goheung(April 15, 1904 - February 3, 1933). She was born in Nam-myeon, Chuncheon, Gangwon Province and buried in Seokjanggu, Seogando. In 1913, her family moved to Seogando for asylum when she was ten years old. She married Eo Yeong-deok, a grandson of Geukjae Eo Yun-jeok, in Chulryudu, Seogando, on February 25, 1917 during a leap month at the age of 14. She died young at the age of 30. Mannichojyeong is comprised of Hyunhakjapgui, Nyeosonhunsa, Sonnyeohunsa, and 17 letters written in Hangul. In Hyunhakjapgui, she arranged the basic common sense she had to have for the daily life of the Confucian family of her husband. Nyeosonhunsa and Sonnyeohunsa contain her handwritten copies of works by Jokjo Ryu Jung-gyo and her grandfather Ryu Jung-hong. They are Gasa works of the Gyenyeo nature for the female descendents, especially those of Ryu family of Goheung. Of the 17 letters written in Hangul in Mannichojyeong, this paper investigated five letters that Eo Yun-jeok, her husband's grandfather, exchanged with his female relatives back in Joseon during his asylum in Seogando five letters that her father Ryu Ju-seok sent to her, and her couple found in the letters sent by Eo Yun-jeok and Ryu Ju-seok. The study would shed light on the aspects of the asylum life of Eo Yun-jeok from the Hanjong Eo clan in Seogando during the turbulent modern times based on the system, content, and Hangul letters of Mannichojyeong, a new material published by woman Ryu of Goheung. 『萬里初程(만니초졍)』은 고흥류씨(1904.4.15.-1933.2.3.)의 친필로 편찬된 단권의 책이다. 고흥류씨는 강원도 춘천 남면에서 출생하여, 서간도 石墻溝에 묻혔다. 고흥류씨는 10세 때인 1913년 고흥류씨 일가족의 망명길을 따라 서간도로 갔다. 고흥류씨는 1917년 윤2월 25일 14세 때에 망명지 서간도 出類頭에서 克齋 魚允績의 손자 魚永德과 결혼하였고, 30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萬里初程(만니초졍)』의 구성은 <訓學雜記휸학잡긔>, <녀손훈ᄉᆞ>, <손녀훈ᄉᆞ>, 한글편지 17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訓學雜記휸학잡긔>는 고흥류씨가 유가 집안의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상식을 정리한 것이다. <녀손훈ᄉᆞ>와 <손녀훈ᄉᆞ>는 족조 류중교와, 친할아버지 류중홍의 작품을 베껴 놓은 것이다. <녀손훈ᄉᆞ>는 고흥류씨 집안의 후손 여성, <손녀훈ᄉᆞ>는 고흥류씨를 위한 계녀 성격의 가사작품이다. 이 논문은 『萬里初程(만니초졍)』 수록 한글편지 17건 중, 고흥류씨의 시할아버지 어윤적이 서간도 망명시기에 고국에 남아있는 친족들 가운데 여성들과 발・수신한 편지 5건, 고흥류씨 친정아버지 류주석이 딸 고흥류씨에게 발신한 편지 5건, 그리고 어윤적과 류주석이 발신한 편지 속에 드러나 있는 고흥류씨와 어영덕 부부에 관련한 내용을 연구한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고흥류씨에 의해 편찬된 새로운 자료 『萬里初程(만니초졍)』의 체계와 내용, 수록 한글편지에 투영된 근대격동기 함종어씨 어윤적 가문의 서간도 망명생활의 한 모습이 밝혀지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