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관리묘역의 시설물 디자인 표준화 연구

        문은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ational cemetery facilities and to devise standard management plans in response to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National Cemeteries, and the designation of joint cemeteries such as those of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persons of national merit, etc. as national cemeteries. Currently, national cemeteries are managed by various management entit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public corporations at various levels entrusted with managing local parks, and the Korea Forest Service. Given the diversity of entities tasked with managing national cemeteries, the facilities across cemeteries have yet to be standardized, resulting in each national cemetery built and maintained in different images pursuant to different standards enforced by each managing entity. However, research for newly designated national cemeteries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s of establishing guidelines to establishing a design identity, improving the environment, strengthe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metery, and organized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emeteries to help maintain a consistent identity for national cemeteries and make the identity applicable to other environments using a newly developed standard design. The study on the designs of national cemeteries was integrated through key surveys, including field surveys and case studies, of the cemeteries, and a design capable to express the identity of a given region was derived. In particular, research was conducted to make sure the design for national cemeteries was capable of boosting dignity and being inclusive by using national symbols. This study is designed for cemeteries rather than a particular region. It aims to express a sense of consistency and provide data and examples including standardiza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o that it can be applied nationwide. Hopefully, this study may be used to study facilities linked with an inclusive identity through the standardized design of differ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facility design. 본 연구는 국가에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등 합동묘역을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하면서 국가관리묘역 시설물의 정체성 수립과 표준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현재 국가관리묘역들은 대상지역의 지방자치단체, 각급공원관리공단, 산림청 등 다양한 관리주체로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관리주체들로 인해 대상지 시설물의 표준화를 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리주체들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개별적인 이미지로 묘역을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 지정된 국가관리묘역은 신규 개발되는 표준 디자인을 통해 묘역의 디자인 정체성, 환경개선, 각 묘역별 특성 강화 그리고 체계적인 유지 및 관리를 가이드라인으로 수립하여 지속적인 정체성 유지와 다른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국가관리묘역의 디자인 연구는 묘역의 현장조사, 사례조사 등 기조 조사를 통해 통합적이며,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특히 국가 상징을 이용한 디자인을 통해 품격을 높이고 통합 디자인이 되도록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이 아닌 묘역이라는 공간을 위한 디자인으로 연구한 사례이며 통일감 있는 정체성을 표현하고 전국에 적용 가능하도록 표준화와 시공 그리고 유지 보수 까지 포함한 자료와 사례로 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나아가 시설물 디자인의 발전과 환경에 따라 다른 시설물을 표준화 디자인을 통해 통합적인 정체성과 연계된 시설물을 연구하는데 활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색채계획 참여디자인 워크숍의 내용과 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

        문은배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4 No.2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es have been introduced to many fields of design, and the design processes for spatial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increasingly participated by students and teachers who are the users. Amid such a trend, the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have even formed part of the domestic school color design project processes and are e×pected to be adopted by a growing number of schools each year.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workshop curriculums(education courses), presented through project guide, to actual workshop sites. Thus,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workshop implementation methods and curriculums which could be applicable to even more schools in light of real situations. We investigated the cases where the school color design projects which involved the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es, the workshop implementation method and applicable curriculums were proposed. We analyzed the cases of workshop conducted by the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itled 'Coloring Seoul Metropolitan City and Our School Yourselves' which was l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17 and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class hours and class time, inadequate competency of participants, inappropriateness of the tools and space which were provided, etc. The improved standard workshop implementation methods and curriculums were proposed, which were suited for current real situations and applicable to the conditions such as real school environments and participants' competency, etc.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mited cases of school color scheme implemen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buk-do, but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d the awareness towards the role of user-participated design workshop among those carrying out the projects, school officials, and color designers while the projects were being e×panded into each local governments and other local governments, and furthermore, presented the workshop implementation methods and curriculums easily applicable to the actual sites. Moreover,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useful basis for creating unique and satisfactory school color environment with the participation of users and would be also used as a standard data for development of various color design workshop contents.

      • KCI등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설계를 위한 KS A 8800:2012의 활용에 관한 연구

        문은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utilize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and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CPTED) and the Basic KS A 8800:2012, which are planned by the Act on Promotion of Public Design (2018).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planning to carry out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link projects, and apply common purpose plans and regional promotion plans under the Public Design Act, but the direction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and standards presented in KS A 8800:2012, are difficult to apply to the pla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me up with measures to establish and utilize connectivity in order to carry out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in a systematic. The research should proceed with the plan that recognizes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outlines the direction proposed by KS A 8800:2012 and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and suggests ways to include all applicable contents of the plan. It can be used for reference data and evaluation of underutilized use at this time. Further items to be reviewed in the course of the relevant plan are reviewed and long-term data are intended as national standard data and data on the use of new plans and links to them are used as data on how they are linked and utilized.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2018년 개정)에 의해 계획되는 공공디자인 진흥계획과 한국 산업 표준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기반표준 KS A 8800:2012를 체계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되었다. 현재 각 지자체는 공공디자인법에 의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연계 사업을 진행하며 공통적인 목적의 계획과 지역에 특화된 진흥계획을 적용을 하려 하고 있으나,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의 방향과 KS A 8800:2012에서 제시하는 기준 등 방향이 달라 계획에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국가 및 지자체는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체계적인 진행을 위해 연계성 정립과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의 진행은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목적과 목표를 인지하고 KS A 8800:2012와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이 제안하는 방향성을 정리하여 진행하며 계획의 적용 가능한 모든 내용이 포함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계획을 진행해야 한다. 본 현재 부족한 활용에 대한 기준 자료와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추가로 관련 계획의 진행시 검토해야 하는 항목을 검토하고 국가 표준 자료와 새롭게 진행되는 계획의 활용과 연계성 정립 연구 자료로 장기 활용 자료를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이 연구는 계획과 계획의 연계방안 및 활용에 대한 자료로 사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지자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개발에 관한 연구 -아산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중심으로-

        문은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4

        "Public facilities, etc." according to the public design promotion act refer to the facilities, supplies, visual images, etc. that are formed, produced, installed, operated or managed by government institutions, etc. for the general public.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is act, it has come to provide the opportunities for revision, supplementation or new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guidelines, landscape plans, urban plans, building ordinances, etc. as the similar plans that were enacted and used in the past as ordinances, etc. by individual national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basic municipalities as a result of enforcement of this act. In particular, the pla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harmonizing public nature and regional nature aimed at the focused execution of project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public design promotion were also implemented in the past. However, they have not been based on the common promotion plans according to detailed implementation items and stepwise presentation. This study was developed to meet the purpose of developing desig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by local governments and specifically designing public faciliti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process-by-process specific approach processes not presented in the master plan were derived. Through presentation of an excellent approach method as the result, it is hoped to serve as a case for the developer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resentation of the current directionality. 공공디자인 진흥법에 의한 "공공시설물 등"이란 일반 공중을 위하여 국가 기관 등이 조성·제작·설치·운영 또는 관리하는 시설물과 용품, 시각 이미지 등을 말한다. 이 법률의 시행에 따라 전국 각 광역 자치단체를 비롯하여 기초 자치단체에 이르기까지 기존에 조례 등으로 제정하여 사용 중이던 유사한 계획인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경관계획, 도시계획, 건축조례 등을 수정 보완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계기가 되었다. 특히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서 중점적으로 사업을 실시하는 공공성과 지역성을 함께 조화하여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는 계획은 기존에도 실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세부적인 실천항목과 단계별 제시에 의한 공통의 진흥계획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지자체별 공공디자인진흥종합계획에 의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공공시설물을 구체적으로 디자인하여 목적에 부합하도록 전개되었다. 기본계획에서 제시되지 않은 구체적 접근 프로세스를 과정별로 전개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 각 하나의 우수한 접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방향성 제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발자들에게 하나의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표준색이름의 활용에 관한 연구 -KS A 0011에 의한 계통색을 중심으로-

        문은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When we talk about colors of light or objects or deliver color information, we use color names. When such color names are used in industry, standardized color names are necessary for accurate communication. Because of this issue,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standardized the color names according to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the KS A 0011 first established in 1964, has been used as the standard. However, the color names based on the standard have not been used with accuracy in many industrial and education sites.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history of color names from 1964 when the KS A 0011 was established to 2015 when it was last revised. As a result, with a focus on the names of basic and systematic colors, modification and revision of the Korean color names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names were mostly found. Nevertheless, the color names in the outdated version before 2015 were much used in actual use, showing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names used in the industrial and education sites and those defined i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To correct the misuse of the names and encourage accurate marking, this study presented right application plans of the color names. First,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created reflect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standard. Second, how to use the accurate color names should be educated and promoted. Third, correct color names complying with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should be marked in the industrial color chart authorized as the standard and the educational textbooks. I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accurate, structural and standardized use of color names. 우리는 빛이나 물체의 색을 이야기할 때, 색의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때 색이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색이름을 산업에서 사용할 때에는 정확한 전달을 위해 표준색이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등이 각 나라에 맞게 색이름을 표준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64년 최초 제정된 한국산업표준 KS A 0011 물체의 색이름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교육 현장과 산업현장에서 본래의 규정을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색이름을 규정하는 KS A 0011이 처음 제정되었던 1964년부터 마지막으로 개정된 2015년까지 변화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색이름은 기본색이름과 계통색이름을 중심으로 우리말 색이름의 대응 영어에 대한 수정과 개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2015년 이전 개정판의 색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육 및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색이름이 한국산업표준에서 제시하는 색이름과 대부분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잘못된 색이름 사용을 바로잡고 정확한 색이름 표기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색이름의 바른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장 최신 개정판의 표준을 반영한 색이름 활용 자료가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색이름 사용 방법을 함께 교육하고 홍보해야 한다. 셋째, 한국산업 표준으로 표기된 산업 색표와 교육교재에 정확한 한국산업표준에서 제시하는 올바른 색명을 표기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가 정확하고 구조적이며 표준적인 색이름 활용을 기대한다.

      • KCI등재

        색각이상자의 생활 불편 해소를 위한 색채 팔레트 연구

        문은배,한지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This study is a practical research that aims to eliminate color vision perception inconvenience experienced by colorblind persons who have abnormal color vision symptom. Colorblind persons perceive colors differently from those with normal color vision, although symptoms of color blindness are not externally revealed. Particularly, colorblind persons have uneven color recognition range for each color, which led to this study differentiated with clear focus on respective colors. Regarding methodology, we used Munsell ISO certification 40 hue circle standard color chart to select 20 colors of 5 and 10 units and had overall tones as subjects of cognitive experiment by color in order to ensure meticulous observation. For the method of cognitive experiment, we scanned 20 hue circles and overall Munsell colors using the Color Doctor of Fujitsu and performed color correction based on white bal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commended palette area fell under the area ranging between 10 YR and 10Y and the area ranging between 5B and 10PB in the case of P and D types. Colors of this area could be distinguished without difficulty even by color-blind persons. Those with T type color blindness showed good differentiation of colors in the range between 5RP and 10R and between 5B and 5PB. In the prohibited area, severe color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ange between 5P and 10R and between 5GY and 5B in the case of P and D types. Particularly, this area was found to involve inadequate distinction of chroma. For T type color blindness, color and chroma differentiation was difficult in the range between 5YR and 5G. In all colors, color differentiation was found to be adequate in achromatic color stage among both normal people and color-blind per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on color blindness, contributing to elimination of inconveniences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색각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색각 이상자들이 생활에서 느끼는 색각 인지 불편 해소를 위한 실용 가능한 연구이다. 색각 이상자는 외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시각적으로 정상인과는 색채를 다르게 인식한다. 특히 색각이상자들의 색채 인식 범위가 색상별로 고르지 않아서 각 색상별로 차별성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세심한 관찰을 위하여 먼셀 ISO 인증 40색상환 표준 색표를 이용하여 5, 10 단위의 20색상을 선정하고 각 색상별로 전체 톤을 인지실험 대상으로 삼았다. 인지실험의 방법은 우선 Fujitsu의 Color Doctor를 이용하여 20색상환과 전체 먼셀 색을 스캔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이용하여 색채 보정을 하고, 전체 20색상 톤을 각각 P, D, T 형 시뮬레이션을 하고 이를 스캔받은 원본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권장 팔레트 영역은 P, D 형 색각이상의 의 경우 10 YR ~ 10Y 의 영역과 5B ~ 10PB 영역으로 이 영역의 색채는 색각이상자들도 어려움 없이 색을 구별할 수 있다. T 형 색각이상의 경우 5RP ~ 10R의 영역과 5B~5PB 영역의 색이 구별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지영역으로는 P, D 형의 경우 5P ~ 10R, 5GY~ 5B, 영역으로 심한 색상차를 보이고 있다. 이 영역은 특히 채도의 구별도 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 형 색각이상의 경우 5YR~ 5G 까지 영역에서 구별이 힘든 색이며 역시 채도를 구별하기 어려웠다. 전체 모든 색채에서 무채색 단계는 정상인과 색각이상자 모두 구별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가 색각이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생활의 불편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