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신뢰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문유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s of Social Trust on Happiness in Adolescents-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Youjeong M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adolescent happines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etween social trust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To this e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using the data of ‘Survey of Community Indicators For happy adolescents in 2018.’ As a result, first, social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eco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trust and happines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social effort to create social trust was discuss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Key Words: Adolescents, Social Trust,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Happiness 사회적 신뢰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매개효과-문 유 정* 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신뢰와 행복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행복 증진을 위한 함의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18.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적 신뢰는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신뢰와 행복 사이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는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행복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회적 신뢰 조성을 위한 사회적 노력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청소년, 사회적 신뢰, 긍정정서, 부정정서, 행복 □ 접수일: 2022년 3월 20일, 수정일: 2022년 4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고구려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Professor, Koguryeo College, Email: novia88@kgrc.ac.kr)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 및 보건학전공 대학생의 자아분화수준과 대인관계능력: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문유정,이명신,안수영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data collected from 164 college students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major in Kyungnam and Jeonnam was used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 four step approach which Baron and Kenny(1986) proposed was adopt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differentiation and empathic ability,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ability were increased by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increased by self-differentiation and empathic ability. Third, empathic ability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 findings, the personal and educational efforts to enhance self-differentiation and empathic ability was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분화수준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자아분화수준이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경남과 전남지역에서 사회복지학 및 보건학 전공 대학생 164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4단계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수준, 공감, 대인관계능력의 상관분석 결과 세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자아분화수준은 대인관계능력과 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아분화수준과 공감은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분화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학 및 보건학전공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아분화수준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개인적․교육적 노력이 실천적 함의로 제시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비선형 인과 속 인격 동일성의 윤리적 함의 -파핏(Derek Parfit)의 심리적 환원주의에 대한 보완가능성을 중심으로-

        문유정 불교학연구회 2023 불교학연구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붓다의 교설로부터 공리주의에 가해지는 비판에 대한 보완점을 찾아보고 불교의 존재론이 결과주의를 지향하는 도덕적 담지자를 함의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구명해 보는 것이다. 공리주의 가치의 몰 개인성 비판에 대응한 파핏(Derek Parfit)논변의 요지는 인격 동일성의 기준을 일종의 연속성으로 간주하여 자기이익(self-interest)을 무화시키고 심리적 환원주의를 택하는 것이었다. 환원주의는 다수를 향한 가치 실현의 주체로서 이타주의적 관심사를 결과론적으로 정당화 시킬 수 있는 논리적 강점을 지니지만 행위 책임의 귀속 지점에 대한 불분명함의 문제 그리고 미래경험과 책임의 잠재력을 제거함으로서 공리주의 기반을 약화시킨다는 비판 역시 산재한다. 이에 반하여 12연기를 비선형으로 인식하는 입장에서 정의 하는 인격의 함의는 동일성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맥락을 확인 할 수 있으나 상호의존연기에 내재된 차연성과 동시성은 행위와 결과 책임에 대한 명백한 귀속지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환원주의와 비선형 연기에서 인식하는 인격의 연속성을 담보하는 매개의 근거를 고찰해보는 과정을 통하여 양자의 입장에서 드러나는 윤리적 정합성의 차이를 파악 해볼 것이다. 이는 환원주의가 해결하지 못했던 난제들의 해소방안을 연기의 교설을 통하여 논의해 봄으로서 무아의 존재론이 현대의 결과주의 윤리이론 안에서도 유효함을 드러내 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문유정 한국심리유형학회 2020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and to test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254 elderly people over 65 who live in Jeollanam-do. Then,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c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mindfulness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s the level of mindfulness increases, the negativ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increases. Based on the finding, a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 was proposed to increase mindfulness so as to improve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reducing depression.

      • KCI등재

        광주·전남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문유정,주미연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happines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309 adults living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the effects of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18.0 and Amos 18.0 program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happiness increased as social capital increased, and subjective happiness increased as social support increased. third,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measure was proposed to increase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to enhanc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residen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 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30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dow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과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이 높아지고,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광주·전남지역 주민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초・중・고 비교-

        문유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Effects of Existence, Relatedness andGrowth Needs on the Happiness of Adolescents-Comparison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Youjeong M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youth happines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happiness according to youth groups and the effects of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eds on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To this end,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program using the ‘Survey of Community Indicators For happy adolescents in 2018.’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In other words,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was lower as they went up to a higher school. Second,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ed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the different application of educational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youth groups. Key Words: Adolescents, Existence Needs, Relatedness Needs, Growth Needs, Happiness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초・중・고 비교-문 유 정* 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 집단에 따른 행복의 차이와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행복 증진을 위한 함의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18.0 프로그램으로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의 행복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행복은 상위학교로 올라갈수록 낮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교육 및 사회복지적 개입을 청소년 집단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청소년,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행복 □ 접수일: 2022년 5월 24일, 수정일: 2022년 6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고구려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Professor, Koguryeo College, Email: novia88@kgrc.ac.kr)

      • KCI등재

        농촌지역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대인관계능력의 매개 효과

        문유정,김보령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Alexithymia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lexithymia. After collecting data from 133 college students who live in rural areas in Jeollanam-do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lexithymia, a step-by-step approach which Baron and Kenny(1986) suggested was used. subsequentl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lexithymia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 same was also the case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lexithymia.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lexithymia. Based on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농촌지역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자아분화가 감정표현불증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라남도에 위치한 농촌 지역에 거주하면서 그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3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단계별 접근법을 이용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와 감정표현불능증, 대인관계능력과 감정표현불능증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분화와 감정표현불능증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

        문유정,김선구,송준석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우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소진과 우울의 단일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남도 사회복지사 20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0 및 SPSS Process Macro v3.4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을 높여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울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우울과 소진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직무스트레스는 우울과 소진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우울과 소진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job stress, burnout,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for social workers. In addition, it is to verify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social workers in Jeollanam-do and the significanc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with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v3.4.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and burnout had a nega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job stress and burnout increased. However,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job stress was found to increase burnout and reduce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exhaus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job stress was found to reduce life satisfaction by sequentially increasing depression and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applying in programs that reduce job stress, depression and burnou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their lives.

      • KCI등재

        우울 수준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지역을 중심으로 -

        문유정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by level of depression, and what are the risk factors or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t each level of depression, in A area resi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wanted to find individual measures to reduce the overall suicidal ideation. To this en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the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by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in the normal group, there were no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Third, in the mild depression group, risk factors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self-efficacy) were found to influence suicidal ideation. Fourth, in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the protective factor (mindful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icidal ideation. Fifth, in the severe depression group, only risk factors (stress, depress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finally discussed the need for different interventions for each level of depression group in order to prevent and reduce overall suicidal events. 본 연구의 목적은 A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우울 수준별로 자살생각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우울 수준별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자를 우울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SPSS 18.0을 활용하여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수준에 따라 자살생각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상 집단에서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경증 우울집단에서는 위험요인(스트레스), 보호요인(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도 우울 집단에서는 보호요인(마음챙김)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증 우울 집단에서는 위험요인(스트레스, 우울)만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우울 수준에 따라 자살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 방안을 다르게 적용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