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상현(Sanghyun Moo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1
이 글의 목적은 미디어 지구화의 최근 논의들에서 K-Pop의 지구화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틀을 모색하는 데 있다. K-Pop으로 대표되는 한류의 최근 변화는 기존 한류 연구의 일면적인-아시아 중심적, 매스미디어 중심적, 국가 중심적, 장소 중심적, 생산 또는 수용 지향적-한계를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한류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로벌과 로컬, 문화생산과 수용 과정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문화경제지리학, 대중문화연구, 참여문화 등의 이론적 시각에서 글로벌 음악 산업의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의 문맥에 K-Pop의 지구화 과정을 위치지울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그리고 이론적 논의와 음악 산업의 변화에 대한 검토에 근거해 K-Pop의 지구화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 분석틀을 제시한다. This paper tries to build an integrative analy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edia globalization with a case of K?Pop. It draws on the emerging theoretical discussions in cultural economic geography, new mobilities paradigm, the scene perspective and participatory culture. This framework can be employed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erspectives in analyzing the Korean Wave since it better accommodates the technolog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such as increasing use of global social media in the marketing and consumption of K?Pop and unexpected expansion of K?Pop fandom beyond Asia. We propose an exploratory model for understanding why and how K?Pop has been globalized. Most importantly, our framework integrates the processes of media production and consumption.
문상현(Sanghyun M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3 No.-
본 논문의 주요한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관련 이슈인 전자상거래 거버넌스의 형성 과정에 대한 기존 문헌들을 검토하여 이들 연구의 이론적 한계들을 지적하고, 국제 정치학과 정책학에서 최근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의존하여 글로벌 거버넌스의 형성과정에 대한 보다 설명력 높은 대안적 접근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 연구들의 합리주의에 기반한 행위자 중심의 접근과 국가중심주의가 노정하는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구성주의적 접근은 국가 행위자들이 글로벌 거버넌스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문제시 되는 이슈들의 거버넌스가 어떠해야 하고 이러한 거버넌스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국가적 및 비국가적 행위자들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행위자들이 갖고 있는 관념에 주목한다. 또한 이들 행위자들이 이러한 관념에 근거해서 거버넌스 형성과정에서 벌이는 담론적 실천과 이를 통해 그 이슈에 대해 사회적 행위자들이 갖는 관념의 수정과 변화에 중점을 둔다. 다시 말하면, 사회적 행위자들이 자신들의 관념을 간주관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지배적인 관념으로 만들기 위해 규칙형성과정에서 벌이는 담론적 경쟁과 이로 인한 관념의 변화에 주목함으로써 거버넌스 형성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기한 구성주의적 접근은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행위자들의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다극화되고 탈중심화된 국제체제의 역동성을 글로벌 거버넌스 형성과정에 투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e-commerce has led to profound changes in the way economic transactions are made and has spurred the rapid integration of global markets, governance of e-commerc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agenda around the globe. Given the broader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e-commerce, it is of no surprise that the rule-making process for global e-commerce has increasingly captured the attention of scholars. Despite th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is pro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some weaknesses in the study of emerging forms of governance in global e-commerce. This paper addresses these weaknesse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that underscores the role of ideas and discourse in the global rule-making process.
유건식(Konshik Yu),문상현(Sanghyun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문화산업전문회사제도가 지상파방송의 드라마제작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상파방송사가 드라마제작에 문전사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지상파방송사의 문전사 설립 및 운영 과정에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문전사제도가 지상파방송의 드라마제작시스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KBS가 문전사를 활용해 제작한 <학교2013>를 분석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상파방송사는 막대한 제작비를 조달하고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새로운 문전사 제도를 적극 도입하였다. 둘째, 지상파방송사 문전사(KGCS문전사)의 특징은 모태펀드와 프로젝트 펀드로 나누어진 이중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셋째, 문전사가 지상파방송의 드라마제작에 미친 영향으로는 ①외부 투자 유치 활성화, ②제작비 운영의 투명성, ③자체 기획 활성화, ④콘텐츠의 안정적 확보, 그리고 ⑤수익 다각화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unjeonsa(SPC) has influenced the way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s produce drama. The study has thre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why the networks use SPC for drama production.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features in the process of the setup and operation of SPC. Third, the study identifies the impacts of SPC on networks’ drama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s <School 2013> which was produced by KBS 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tworks introduce SPC to procure an enormous production costs and to manage the production system transparently and efficiently. Second, the feature of networks’ SPC(KGCS SPC) is that it has a unique dual structure with main and project SPC. Third, SPC influences drama production system in various ways; revitalization of external investment, accounting transparency, growing of network’s planning dramas,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ies and revenue diversification.
박영수 ( Young Soo Park ),문상현 ( Sanghyun Moon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7 질서경제저널 Vol.20 No.1
The more economic approach was implemented in the EU competition policy. Yet, the debate whether the normative foundations of competition law are vital has received new fuel. On the one hand, these normative foundations were derived from welfare economics which emphasize economic efficiency as the ultimate goal of competition law. On the other hand, the order-economic approaches, based on the Freiburg School, focus economic freedom. The paper examines pros and cons of each concept and discusses the perspectives of an approach favoring the order-economic concept. Market dominance serves as an example to show that the more economic approach does not at all grant better results in competition policy. Neither consumer welfare nor static-allocative standards are sufficient criteria for competition law. Hoppmann develop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model of freedom of competition contrary to the Kantzenbach’s model of optimal intensity of competition and American models of workable competition. He emphasized that competition policy should be suited to secure construction of the form of market process which provides environment of freedom of competition both for consumers and producers in the market. Especially he maintained that competition policy needs to be oriented toward eliminating effectively all behaviors which limit freedom of competition. He pointed that discretion and interference of the competition authorities should be maintained possibly at low level. In this respect he argued that the main duty and continuing issue of a nation should be to protect competition from all behaviors which constrain market competition. ‘More economic approach’considers competition as means to the goal of enhancement of comsumer welfare and assurance of productive and redistributive efficiency. According to this approach, behaviors which restrict competition could be permitted when their negative welfare effects could be compensated more by their positive efficiency effects. This reflects that recently competition policy is in a transition from per se illegality rule toward rule of reason. However the order economic approach is still often mentioned as a critical viewpoint to the recent trend of rationality principle in the competition policy. This shows that the order economic approach , in spite of some theoretical flaws and practical problems when applied real world competition policies, is being reevaluated as the model which could be a basis for future rational competition polici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