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harcot - Leyden Crystals 에 의한 기도 폐쇄 1 례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ye Young Yeum),이기영(Ki Young Lee),김규언(Kyu Eam Kim),이지은(Ji Eu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3

        Charcot-Leyden crystals are slender, hexagonal, bipyramidal crystals formed predominantly from eosinophil but also from basophil granules composed of a single protein of 17,400 daltons of lysophospholipase activity. It has been identified in a variety of body fluids and tissues in human tissues and secretions in association with eosinophilic inflammatory reactions, asthma, myeloid leukemias, and allergic, parasitic, and other disease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child with bronchial obstruction and subsequent atelectasis caused by Charcot-Leyden crystals containing fibronous material who was treated with flexible bronchofiberscope to remove it.

      • 메밀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저항원성 메밀의 면역학적 특성 분석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ye Young Yeum),이기영(Ki Young Lee),김규언(Kyu Eam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1

        목 적 : 음식 알레르기 환자의 60%에서는 회피요법을 시행한 후 1-2년이 경과하면, 피부시험이나, RAST상 양성이 지속되더라도 그 임상 중상은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걱 있다. 그러나, 메밀, 땅콩, 일부 해산물 알레르기는 자연 치유가 드물고 그 임상 양상이 중하고 위급하며 일상 생활에서 회피요법을 완벽하게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 치료에 있어서 저항원성 식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저항원성 메밀을 제조하고, 그 면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시판되는 메밀가루를 이용하여 조항원을 만들고, standard polyethylene glycol 방법으로 메밀 24 kD 단백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제조하였다. 메밀가루를 이용하여 0.5 M NaCl을 이용한 salting 방법으로 저항원성 메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항원으로 SDS-PAGE를 시행하였다. 순수 메밀의 주 알레르겐인 24 kD 단백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저항원성 메밀의 immunobloting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저항원성 메밀의 단백질 농도는 47.3 ㎍/μL였다. 2) SDS-PAGE의 결과 순수 메밀과 비교할 때 50, 36, 13 kD의 단백띠는 소실되었으며, 24 kD 단백띠는 약하게 관찰되었다. 3) 3개의 메밀 단클론 항체와 immunoblot 결과 1개의 단클론 항체에는 전혀 결합하지 않았으며, 2개의 단클론 항체에는 24 kD 단백에 결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저항원성 메밀은 메밀 주알레르겐인 24 kD 단백에 대한 일부 단콜론 항체와 반응하였으며, 주알레르겐인 24 kB 단백 함유를 저하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one third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lose their clinical activity if the responsible food allergen can be identified and completely eliminated from their diet. But buckwheat allergy rarely lose clinical activity. So, we have produced hypoallergenic buckwheat(HBW) according to Ikezawa`s method, and characterized the allergenicity by immunoblot method using monoclonal antibodies to raw buckwheat. Material and Methods : HBW was prepared from raw buckwheat by salting with 0.5 M NaCl. 18 monoclonal antibodies to raw buckwheat were made according to standard polyehtylene glycol method. We performed SDS-PAGE of HBW and transferrd to nitrocellulose membranes, which were immunoblotted by selected 3 monoclonal antibodies to raw buckwheat. Results :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HBW was 47.3 ㎍/μL. As the result of SDS-PAGE of HBW the protein bands of 50, 36, 13 kD of raw buckwheat disappeared. 3 monoclonal antibodies were selected due to their higher specificities in ELISA. Immunoblot study showed that 2 among 3 monoclonal antibodies bind to HBW. Conclusion : The SDS-PAGE of HBW showed less protein bands in comparison to raw buckwheat. But the allergic component of HBW still remained. So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iminate the residual allergenicity of hypoallergenic food.

      • 우유 알레르기의 유발 및 제거시험을 통한 임상적 특성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ye Young Yeum),정병주(Byeung Ju Jeoung),김규언(Kyu Earn Kim),이기영(Ki Yo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3

        목 적 :우유는 신생아와 영유아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식품으로 우유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국내에서 우유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되리라 생각된다. 우유가 알레르기의 원인인데도 모르고 먹이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원인이 아닌데도 금식시키는 경우도 있어 성장기 성장, 발육에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이를 확인하는 일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에 내원하여 병력상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되거나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상 우유 항원에 양성 반응을 나타냈던 환아 41례 가운데 21례를 대상으로 우유를 3-4방울 먹이는 극소량부터 시작해서 최고 250mL에 이르기까지 우유 경구 유발시험을 실시하였고, 이들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경구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던 환아 21례 중 우유 알레르기로 진단되었던 경우는 9례(43%)였다. 2) 대상 환자들 중에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나 병력에만 양성이었던 경우는 각각 11례, 6례였는데 경구 유발시험에서는 각각 2래, 3례에서만 양성이었으며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와 과거력이 모두 양성이었던 경우에는 4례 모두에서 경구 유발시험 양성을 보였다. 3) 우유 경구 유발시험시 유발된 중상은 두드러기가 7례(77.8%)에서 나타났고, 천식 및 비염 둥 호흡기 증상이 5례(55.6%), 복통, 설사 등 소화기 중상이 1례(11.1%)에서 있었다. 4) 증상을 유발하는데 필요하였던 우유의 양은 3-4방울 마시는 등 극소량으로도 증상이 유발되었던 경우가 1례(11.1%), 1-100 mL 사이가 3례(33.3%), 100 mL 이상의 우유를 마시고 증상이 유발된 경우는 5례(55.5%) 있었다. 결 론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환아는 우유 제거 또는 유발시험으로 확진하는 일이 중요하며 유발시험시 두드러기 등 피부 중상이 주로 나타났으며, 다른 식품보다는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되는 데 많은 양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아 항원성은 높지 않음을 알았고 우유항원으로 실시한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만 양성으로 나타났던 경우보다 양성 병력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환아에서 유발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A Cow`s milk allergy(CMA) is one of common problems during first year of life. Though milk caused allergic problems, their parents didn`t know it, and gave milk to their children. But the parents don`t give milk to their children if they know it. Therefore it may cause problems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ose clinical features of milk allergy confirmed by oral provocation test. Methods : We carried out the retrospective study on 21 patients who had been performed oral milk provocation test at Yonsei university children`s allergic clinic. Results : 9 out of 2lcases(43%) showed positive milk oral provocation test.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 sign was urticaria, followed by respiratory symptoms and abdominal symptoms. The rate which past history and positive skin test corresponded to oral provocation test was very high(100%). Conclusion : The most valuable diagnosis of food allergy is oral provocation test. However, predictive value of allergy skin test and past history was very high in milk allergy.

      • 소아에서 천식과 Chlamydia pneumoniae 감염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ye Young Yeum),이기영(Ki Young Lee),김규언(Kyu Eam Kim),김철홍(Cheol Hong Kim),최정윤(Jung Yun Choi),손명현(Myung Hyun Son),이경은(Kyung Eu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3

        목 적 : Chlamydia pneuimoniae 감염은 만성 반복적인 감염을 유발하고,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그 특이 항체 양성률이 증가한다. 최근 Chlamydia pneumoniae 감염과 천식과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성인의 비아토피성 천식과 유의한 상관성이 증명된 바 있으며, 소아에서도 비액이나 혈청을 이용하여 배양법이나 PCR 등의 첨단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용한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는 본원 소아과에 내원한 천식 환아들의 혈청내 Chlamydia pneumoniae 특이 항체를 ELISA 방법으로 검출하여 천식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천식으로 진단 받은 환자군과 천식을 포함한 호흡기 및 감염성 질환에 이환 되지 않은 정상 대조군의 혈액을 수집하였다. 원심 분리한 혈청을 사용할 때까지 -20℃에 보관하였다. 소아 천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혈청내 Chlamydia pneumoniae 특이 IgG, IgA를 검출하기 위하여 ELEGANCE Chlamydia pneumoniae IgG ELISA, ELEGANCE Chlamydia pneumoniae IgA ELISA(Bioclone, Varrickville, Australia) ki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1) 환자군 100명(남:55, 여:45), 정상 대조군 57명(남:28, 여:29)의 남녀 비는 각각 1.86:1, 1:1이었고, 평균연령은 각각 6.8±2.8, 6.3±3.4세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2) IgG의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23.0%와 17.5%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IgA의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24.0%와 14.0%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IgG와 IgA 동시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21.0%와 8.8%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천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혈청내 Chlamydia pneumoniae 특이 IgG, IgA 검출을 위한 ELISA의 결과 Chlamydia pneumoniae 감염과 소아 천식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Purpose :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causes chronic recurrent infection, and is related to a broad spectrum of respiratory disease, and the specific antibody titer increases with age. As the interest in correl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and asthma has been recently increas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onatopic asthma in adults has been proved, and in children the study results by using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such as PCR and culture of patient`s serum or nasal aspirate have been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and asthma with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antibody by ELISA of asthma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Methods : We collected the sera from patient group who visited the pediatric department of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to be diagnosed as asthma and from control group who had no evidence of asthma, respiratory or infectious disease. Centrifused sera were kept in -20℃ refregerator. To detect the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IgG and IgA of patient and control groups, we used ELEGANCE Chlamydia pneumonia IgG ELISA and ELEGANCE Chlamydia pneumonia IgA ELISA(Bioclone, Varrickville, Australia) kits. Results :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IgG and IgA ELISA were performed on patient group(55 males, 45 females) and control group(28 males, 29 females). The mean ages of patient and control groups were 6.8±2.8 and 6.3±3.4 years eac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ositive rate to IgG in patient and control groups was 23.0% and 17.5% each(P=0.34). Positive rate to IgA in patient and control groups was 24.0% and 14.0% each(P=0.22). Positive rate to IgG and IgA in patient and control groups was 21.0% and 8.8% each(P=0.047). Conclusion :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and childhood asthma by the result of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IgG and IgA ELISA of patient and control groups.

      • 아토피 피부염 환아에서 두피의 비듬내 집먼지진드기 항원 농도와 임상증상 사이의 상관관계

        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ae Yung Yun),전숙영(Sook yeong Jeon),이기영(Ki Young Lee),정병주(Byeung Ju Jeoung),김규언(Kyu Earn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1

        목 적 :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에 환경내 집먼지진드기 항원에 대한 노출이 관여하리라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 환아의 의류 뿐만 아니라 피부 그리고 두피의 비듬 등에서도 집먼지진드기 항원이 검출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아토피 피부염 환아에서 임상증상의 중증도와 집먼지진드기의 감작상태가 두피의 비듬내 집먼지진드기 항원의 농도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된 27명의 환아와 대조군으로 천식만 있는 것으로 진단된 환아 41명을 대상으로 두피에서 비듬을 채취한 후 집먼지진드기 항원의 농도를 면역 효소법으로 측정하여 두피의 비듬내 집먼지진드기 항원 농도와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증상의 중증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결 과: 1) 총 68명의 대상환아에서 채취한 두피의 비듬중에서 Dermatophagoides farinae의 주 항원인 Der f1은 32명(47%)에서 측정되었으며, D. pteronyssnus의 주 항원인 Der p1은 33명(49%)에서 측정되어 총 68명중 46명(70%) 에서 Der f1 또는 Der p1 항원이 두피의 비듬 추출액내에서 측정되었다. 2)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환아 27명과 천식만을 가진 환아 41명간에 두피내 비듬의 양과 추출액내 집먼지진드기 항원 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3) 주당 세발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두피의 비듬 추출액내 Der f1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Spearmans rank test, r=-0.24, =0.052). 4) 아토피 피부염 환아 총 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두피의 비듬내 Der p1 농도와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r=-0.05, P>0.05), 두피의 비듬내 Der f1 농도와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관찰되었다(r=0.39, <0.05). 결 론 :본 연구는 아토피 피부염 환아의 두피 비듬내 집먼지진드기 항원 농도와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증상의 중증도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환경내 집먼지진드기 항원에의 노출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re are compelling evidences that house dust mites ar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Recently, detection of house dust mite allergens from clothing, skin, and dust from human hair has been report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house dust mite exposure in the clinical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Methods : We measured house dust mite allergens(Der f1 from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er p1 from D. pteronyssinus) in scalp dander from 27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nd 41 children with asthma only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house dust mite allergen concentrations in scalp dander and clinical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Results : Der f1 was detectable in scalp dander samples of 32 patients(47%) from overall 68 patient and Der p1 was detectable in 33 patients(49%). House dust mite allergens(Der f1 or Der p1) were detectable in scalp dander samples of 46 patients (70%) from overall 68 pati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e dust mite allergen levels between atopic dermatitis patients and patients with asthma only. There was a tendency of invers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scalp washing and concentration of Der f1 in scalp dander extract(r=-0.24, P=0.05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grade of atopic dermatitis and concentration of Der f1 in scalp dander(r=0.39, P<0.05) in 27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grade of atopic dermatitis and concentration of Der p1 in scalp dander(r=-0.05, P>0.05).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ouse dust mite allergen concentrations in scalp dander and clinical severity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o house dust mite allergen is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 KCI등재

        테이블형 다단 드롭 시스템을 이용한 저소음 보-슬래브 거푸집의 구성부재 성능 및 현장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화성,정우,김득모,송성용,신상헌,Ryu, Hwa-Sung,Jeong, Woo-Jin,Kim, Deuck-Mo,Song, Seong-Yong,Shin, Sang-Heon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7 No.4

        콘크리트 건축물 공사에 있어, 거푸집공사는 전체공사비의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최근의 건축물은 대형화, 고층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공사의 고효율과 안전성을 위하여 거푸집공정의 시스템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인명사고와 해체공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대부분 해외기술에 의존하여 국내 건설현장 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관계로 외면되어 기존 거푸집 공법을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정개선, 안전성 향상 및 해체소음 저감이 가능한 슬래브, 보 전용 테이블형 다단 드롭 시스템 거푸집을 개발하고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주요 부재인 장선 멍에와 동바리의 물성을 평가하고, 이 시스템의 현장 적용을 위한 해체공정에서의 소음을 기존 공법과 비교 평가하는 연구로서 실험결과, 멍에 빔과 동바리 모두 슬래브 및 보 타설용 가설재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내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소음도가 기존 공법에 비해 10dB(A) 이상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타설 시의 처짐량을 측정한 결과, 기존 공법 대비 처짐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concrete construction work, formwork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accounts for 10%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Recent buildings are becoming bigger and higher.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this formwork, the system of formworking has been systematized. However, the human accidents and the noise complaints arise from dismantling processes frequently occu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ost of them are dependent on foreign technology, but they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ditions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able type multi-drop system form for a slab and beam which can improve the process, safety and reduction of disassembly noise, and evalu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in members which are used in th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sufficient strength to be used as a slab and a laying material for both a yoke beam and a supporting post. The noise level is improved compared to existing method.

      • 고양이 접촉 유발시험에 관한 연구

        이창우(Chang Woo Lee),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ae Yung Yun),이기영(Ki Young Lee),정병주(Byeung Ju Jeoung),김규언(Kyu Earn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1

        목 적 : 고양이는 흔히 접촉하는 애완동물이며, 소아에서 실시한 알레르기 피부 시험에서도 고양이 항원은 비교적 높은 양성률을 나타내고, 병력상 고양이에 대한 알레르기를 호소하는 환자들도 않다. 고양이에 대한 알레르기가 확진되면 반드시 고양이와 접촉을 금해야 한다. 이에 연자들은 위와 같은 환아에서 고양이에 의한 알레르기의 빈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 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연세의대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에 내원했던 환아들 중 알레르기 피부 시험에서 고양이 항원에 양성반응이 나왔거나 고양이와 접촉시 중상이 나타났던 과거력이 있는 환아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일주일간 고양이와 접촉을 금한 뒤 30분간 고양이와 자연스럽게 접촉을 한 후 증상이 유발되는지 관찰하였다. 결 과: 1) 대상환아들 중 고양이와 접촉 후 증상이 유발되었던 경우는 18례(40%)였다. 2)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에서만 양성으로 나왔던 환아에서는 24.2%에서 중상이 유발되었으나 알레르기 피부시험 검사 외에도 과거력이 동반되었던 환아에서는 90.0%에서 증상이 유발되었다. 3) 알레르기 피부 반웅 정도에 따른 유발률은 피부 시험 양성은 14.3%이었으나 강양성은 45.9%로 위족을 형성하는 강양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4) 고양이 접촉 후 유발되는 증상은 알fp르기성 비염이 88.2%로 가장 많았으며, 기관지 천식 35.3%, 두드러기 29.4% 및 알레르기성 결막염 23.5% 순이었다. 5) 증상이 유발되는 시각과 지속되는 기간은 각각 10분 이내와 30분에서 1시간 사이가 가장 많았다. 6) 혈중 총 IgE치와 호산구 수는 중상이 유발되었던 군과 유발되지 않았던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고양이 알레르기의 진단은 피부 시험상 고양이 털에 강양성 반응을 보이고 고양이와 접촉시 임상증상이 유발된 병력이 있으면 거의 확실한 것으로 여겨지며 뚜렷한 병력 없이 RAST(radioallergosorbent test)가 양성인 경우는 유발 시험으로 확진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Cat is the pet which many of us quite frequently contact without any specific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allergy skin tests conducted in children, cat antigen shows a comparatively high positive reaction, and past history also shows that there are many patients who suffer allergies from cat contacts. Therefore, once it is diagnosed as an allergy caused by cat, it is important that patients be isolated in order to restrict their contact with cat.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how serious and how frequent the allergies by cat contacts are. Methods : Forty five children patients who visited to the Allergy Clinic for Children, Severance Hospital annexed to the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ome of patients had shown a positive reaction against cat antigen in the allergy skin test, and others had a past history of developing symtoms when contacted by cat. The patients were isolated from cat for seven days, and then contacted with cats for 30 minutes and observed the provocated symptoms. Results : 1) Among the tested patients, the number of cases who were provocated by the symptoms after cat contact were 18(40%). 2) Among those patients who were shown to be positive only in allergy skin test, only 24.2% proved to be provocated by the symptoms, while 90.0% of those who had a past history in addition to allergy skin test proved to be provocated by the symptoms. 3) Symptoms provocated after cat contact showed allergic rhinitis patients 88.2% which was the highest ratio, bronchical asthma, 35.3%, urticaria, 29.4%, and allergic conjunctivitis, 23.5%, respectively. 4) The onset and duration of symptoms provcated were under 10 minutes and from 30 to 60 minutes, which included most cases in the test. 5) Total IgE and eosinophil count of patients did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hich was provocated and that which was not provocated.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40%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cat allergy had a positive reaction to the cat contact provocation test. Ninety percents of patients who showed both positive allergy skin test and past history were provocated after cat cont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