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공명 횡단면영상을 이용한 경골 외과의 해부학적 형태에 대한 연구

        조성도 ( Sung Do Cho ),조용선 ( Yong Sun Cho ),김범수 ( Bum Soo Kim ),박태우 ( Tae Woo Park ),류석우 ( So Gu Lew ),정수영 ( Su Young Jung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자기공명 횡단면영상을 이용하여 경골 외과의 해부학적 형태를 분석하고 한국 성인의 경골 외과에 적합한 지지 금속판 머리부분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의 횡단면영상을 연령별 10명씩 남자 60명, 여자 50명을 추출한 후 경골 외과의 굴곡정도를 돌출된 굴곡의 끝점사이를 연결한 직선의 거리와 이 직선에서 가장 거리가 먼 굴곡지점 사이의 거리의 비(굴곡비)와 돌출된 정점의 각도(굴곡도)로 산정하고 대칭정도는 양 끝점의 각도의 차의 절대값(대칭성)을 측정하여 연령, 성별, 신장, 체중등 각 인자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지 금속판의 머리부분의 형태를 같은 방법으로 실계측 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자기공명 횡단면영상을 이용한 경골 외과의 굴곡비는 전체 평균 0.216, 남성은 평균 0.203, 여성은 평균 0.235이었으며 굴곡도는 전체 평균 49.04, 남성은 평균 49.35, 여성은 평균 50.36이었다. 대칭성는 전체 평균 5.67이었으며 남성은 평균 5.76, 여성은 평균 5.56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되는 지지 금속판의 머리부분의 원호의 굴곡비는 평균 0.177(EGIRE), 0.114(AO), 0.101(Solco)으로 나타났으며 굴곡도는 평균 43.21(EGIRE), 25(AO), 23.83(Solco)로, 대칭성은 1.643(EGIRE), 0.75(AO), 1.5(Solco)로 나타났다. 굴곡비는 모든 인자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굴곡도는 체중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의 경골 외과의 해부학적 형태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지 금속판은 서로 적합하지 않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인의 경골외과에 적합한 지지 금속판의 제작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anatomical configuration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 using the MR axial images and to present the proper configuration of the head of the buttress plate that fit the lateral tibial condyle of Korean. Materials and Methods: With 110 MR axial images of the knee joint of male and female, we calculate the ratio of the maximal height of the arc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 to the length of the line between the end point of the arc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the ratio of convexity) and the angle of the peak point of arc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the angle of convexity),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the angle of the end point of the arc(the value of symmetry) of that. then we evaluate the head of 3 the buttress plates with same methods and then compare with the result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 Results: The ratio and angle of convexity of Korean were average 0.216/49.04(total), 0.203/49.35(male), 0.235/50.36(female), and the value of symmetry were average 5.68(total), 5.76(male), 5.56(female). the ratio and angle of convexity of the head of buttress plate were average 0.177/43.21(EGIRE), 0.114/25(AO), 0.101/23.83(Solco) and the value of the symmetry were 1.643(EGIRE), 0.75(AO), 1.5(Solco). the ratio of convexity was correlated with age, height, and weight but angle of convexity was not correlated with weight. Conclusion: The anatomical configuration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 of Korean did not fit that of the head of the buttress plat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a new plate that fit the lateral tibial condyle for Korean.

      • KCI등재

        원위 상완골의 활차 단독골절 - 1 예 보고 -

        김유진,박수성,류석우,신승준,윤준오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2

        The trochlear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known as a Laugier fracture is extremely rare in occurrence because this articulating unit has no capsule, muscle, or ligamentous attachment and is cradled by the olecranon. Isolated, displaced fracture of the trochlea presented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역행성 AO 비확공성 상완골 금속정을 이용한 상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박태우,조성도,조용선,김범수,류석우,김문찬,김기용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역행성 AO 비확공성 상완골 금속정을 이용하여 상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고 그 결과에 대해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4월부터 2001년 8월까지 본원에서 상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역행성 AO 비확공성 상완골 금속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환자 18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구의 특성상 골절부위에 압박을 줄 수 없는 비교적 분쇄가 심한 경우는 본례에서 제외하였다. 평균 연령은 34세(17~53), 추시 기간은 평균 19개울(7~32)이었으며 수상 원인은 모두 외상으로 교통사고가 11례로 가장 많았다. 골절의 위치는 전례에서 중위 1/3과 중위 1/3 및 및 원위 1/3의 이행부였으며, 골절의 양상은 AO분류상 12A3가 11례, 12B2가 2례, 12A2가 4례였다. 전례에서 금속정은 주두와 상부에서 삽입하였고, 금속정의 원위부는 상완골 골두쪽으로 위치시킨후 가능한 경우 압박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부위의 압박 효과를 얻도록 시도하였다. 결 과 : 골유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12.2주(9~16)였고, 2례에서 금속정 삽입시 삽입부 근위피질에 의인성 골절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1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술 후 13개월째 금속정을 제거하고 관혈적 금속판 내고정술과 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술 후 12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술 후 일시적인 견관절 동통이 4례에서 발생하였고 관절 운동 범위는 견관절 및 관절에서 정상 범위를 보였다. 결 론 : 상완골 간부 골절 치료시 역행성 AO 비학공성 상완골 금속정을 이용한 경우 수술 수기의 잘못으로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인다면 금속정의 압박 효과에 의한 불유합 및 지연유합을 줄일 수 잇어 상완골 간부 골절, 특히 단순 횡형 골절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s using retrograde AO Unreamed Humeral Nail(UHN). Materials and Method:From Apr. 1998 and Aug. 2001, 18 humeral shaft fractures were treated with retrograde AO UHN. All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bony union time, range of motion and complication. Results:There were eleven cases of A3, two B2, one B3, four A2 humeral middle shaft fractures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The mean bony union time was 12.2 weeks(range;9-16 weeks). All patients regained full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and the elbow joint but 2 patients with intraopenatively ruptured capsule had transient elbow motion limitation. Complications were iatrogenic fractures at the entry portal in 2 patients(15%), transient shoulder pain in 4 patients(30.7%), nonunion in 1 patient(7.6%), required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after removal of the nail at 13 months postoperatively. Conclusion :The treat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 with retrograde AO unreamed humeral nail is one of the good options to reduce the rate of non-union or delayed union by compression effect if the intraoperative errors is prevented.

      • KCI등재

        Hybrid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김범수,박태우,조성도,류석우,황수연,조용선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2

        Purpose : To evaluate the results and usefulness of hybrid external fixator in the treatment of proximal tibia fracture. Material and method: From Jan. 1997 to Jan. 2000, 19 proximal tibia fracture were treated with hybrid external fixator with or without limited internal fixation to stabilize the articular surface. All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OM(range of motion), bony union time, fracture reduction with MPTA(medial proximal tibial angle) and joint congruency. Result: There were 1 A2, 7 A3, 1 Cl, 8 C2, 2 C3 proximal tibial fractures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Open fractures were 10 patients. The mean bony union time was 13 wks(range 8-36wks) and the mean length of time in the external fixator was 14wks(range 8-36wks). At last follow up, the MPTA of the proximal tibia was 87.9 degree. 2 patients developed varus(82 degree) and valgus(92 degree) deformity respectively. Complications were intermittent pin drainage in 6 patients(31.6%), deep infection in 1 patient(5.3%) and nonunion in 4 patients(21%) required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at 6 months postoperatively. Four nonunions were 3 C2 and 1 C3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and three were open fracture(1 type I, 1 type IIIb, 1 type IIIc: Gustilo type) Conclusion: Hybrid external fixation is a good treatment option for proximal tibial fractures. However, nonunion and angular deformity would occur in severe metaphyseal comminution and soft tissue injury. Accurate fracture reduction and careful soft tissue management is prerequisite and if necessory early bone graft should be considered in such cases.

      • KCI등재

        확공성과 비확공성 대퇴골 금속정 사용에 따른 치료결과의 비교

        조수현,조형진,김범수,박태우,조성도,류석우,조용선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2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between reamed and unreamed nailing in the treatment of femoral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of femoral shaft fracture who were treated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 reviewed 49 patients whose follow-up was possible for more than 1 year.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reamed and the unreamed group. We reviewed union time, nonunion rate, complication and operation time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Results: The average union time was 30.6 weeks in unreamed group and 27.8 weeks in reamed group, which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There were 5 cases of nonunion in 22 unreamed cases and 3 cases in 27 reamed cases, which meant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41 minutes in reamed group and 110 minutes in unreamed group, which meant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on time, nonunion rate and comlication between reamed and unremed group. The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unreamed group, so unreamed nailing can be preferred in the treatment of multiply injured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