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의 개선과제 - 세법상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

        노미리 ( Noh Mie-ree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 상사판례연구 Vol.33 No.4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2009,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hereinafter “SPAC”) has been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have become a problem in the capital markets. It includes Special Taxation System for Mergers, Requirements of Merger, especially calculation method of the price of a merger, Cash Restriction on Merger Consideration and so on. On June 30, 2020, the Criteria for preparation of corporate disclosure forms were revised so that the careers of SPAC officers’ M&A would be specifically stated in the registration statement. The provisions for SPAC have been revised in the desired direction. Recently, SPAC has become easier to list on the KOSDAQ market due to relaxed capital requirements. As a result, the number of SPAC that have been delisted is increasing because sponsors fail to find target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role of sponsors is important. There are many cases that Venture Capital (hereinafter “VC”) has recently joined as a sponsor of SPAC and succeeded in merg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alented VC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of SPAC. On the other hand, it is an issue in the tax law that it is possible to add up the business operation period of unlisted companies when calculating the business operation period of SPAC. Until now the main issues have been deductions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special provisions concerning taxation upon investment in kind, collections of acquisition tax reduced or exempted as penalty. Since SPAC is a company that assumes a merger, it is expected that the same problem will continue to occu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ut a provision that “SPAC can add up the business operation period of the incorporated corporation.” in each law such as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Corporate Tax Act, and so on. In local taxes, collection of acquisition tax which is reduced is a problem in relation to SPAC.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raw up a provision in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at “It is excluded from collecting tax additionally when unlisted company merge with a SPAC.” or It needs to have a provision in the definition of article 2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at “The owner of the real estate is not considered to have been changed in case of merging with a SPAC.” in the definition of article 2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 KCI등재

        Cross-border 기업구조조정에 있어서 이월결손금의 활용 -EU합병지침, CCTB/CCCTB 지침안의 내용을 중심으로-

        노미리(Noh, Mie-Ree) 한국국제조세협회 2021 조세학술논집 Vol.37 No.2

        다국적기업의 활발한 기업 활동으로 인해서 국가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국내 기업과 외국 기업 간의 합병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예로 EU를 들 수 있다. 국내 기업간 합병에서는 과세가 이연됨에도 불구하고, cross-border 조직재편이라는 이유로 즉시 과세하는 것은 조세중립성에 반한다. EU는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조세중립성을 지키면서 EU 회원국의 균형 있는 과세권을 확보하기 위해 합병지침을 제정하였다. 특히 합병을 함에 있어 이월결손금은 기업의 법인세를 절감하는데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합병지침에서 이월결손금과 관련된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는 제6조, 제10조, 제15조 등이 있다. 합병지침 제6조는 인수회사의 양도회사로부터의 이월결손금 승계가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CJEU는 합병지침의 취지를 고려하여 Marks & Spencer 판결, Commission v. UK 판결에서 최종 결손금에 해당한다면 cross-border기업구조조정에서도 인수회사가 이월결손금을 승계할 수 있다고 판결하였다. 또한 CJEU는 합병지침 제10조의 탈환규칙과 관련된 사안에서 조직재편 시점에 세금을 즉시 징수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납세의무자에게 과세이연과 즉시 징수에 대한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이처럼 EU는 EU 역내에서의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세부담을 낮추는 방향으로 세제를 개혁하고 있다. 더 나아가 EU는 디지털화, 전자상거래의 발달, 기업의 세계화 등 국제적인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개별 국가별로 다른 세제에 순응해야 하는 기업의 순응비용이 지나치게 큰 점을 개선하기 위해 CCTB/CCCTB 지침안을 일부 보완하여 다시 제안하였다. 공식배분법은 각 국가 간의 과세권 배분과 관련된 민감한 사항으로 과세권 배분 공식에 어떠한 요소를 넣을 것인지, 각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 등에 관한 합의에 이르기 어렵고, 가사 합의에 이르렀다고 하더라도 실제 공식배분법을 실행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하지만, CCTB/CCCTB는 같은 그룹 내에 속해 있다면 결손금 공제 한도를 크게 제한하지 않으며, cross-border 결손금 공제가 자유롭다. 뿐만 아니라 CCCTB의 핵심인 공식배분법에 의하면 공식에 따라서 세액이 결정되기 때문에 납세의무자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고, 지나치게 많이 지출되는 기업의 순응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U의 CCTB/CCCTB 지침안 역시 기업의 법인세 부담을 크게 완화하는 조세 개혁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국적기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보고 과세하는 EU의 CCTB/CCCTB 지침안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법인세 개혁방향에 참고가 될 만하다고 생각된다. Due to the active corporate activit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the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have been collapsing. An example of a relatively active merger between a domestic company and a foreign company can be seen in the EU. While taxation is deferred when domestic companies are merged, charging corporate tax immediately when a domestic and a foreign company are merged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tax neutrality. With these points in mind, the EU established the Merger Directive (the “MD”) to ensure a balanced authority of taxation while preserving tax neutrality. In particular, the loss carryforward has a direct effect on reducing corporate tax. Article 6, 10, and 15 of the MD stipulat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loss carryforward. Article 6 stipulates that it is possible to accept loss carryforward from the transferring company.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MD, the CJEU decided in the case of Commission v. UK (Marks & Spencer) that in the case of a final loss, the receiving company can accept the loss carried forward even in the case of a cross-border corporate reorganization. In addition, the CJEU ruled that it would not be appropriate to impose tax immediately, regarding the recapture rule in Article 10 of the MD, and an option should be given to the taxpayer to choose between tax deferral and immediate taxation. In this way, the EU is reforming its system to reduce corporate tax. Furthermore, the EU re-proposed the draft of the CCTB/CCCTB Directives to reduce compliance costs considering the trends of digitalization,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and the globalization of companies. With the formulary apportionment method, there are criticisms that it is difficult to reach an agreement on what factors should be included in the formula and how to calculate the weight of each element. Even if an agreement is reached, it is criticiz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formulary apportionment method. However, the CCTB/CCCTB Directives do not significantly limit the deduction of losses when companies are in the same group, and they allow cross-border deductions. In addition, when the tax amou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rmulary apportionment, it can increase predictability for taxpayers and reduce compliance costs for companies. The draft of the CCTB/CCCTB Directives are the source of many useful suggestions to South Korea in terms of reforming its tax system to reduce corporate tax. The CCTB/CCCTB Directives are worth factoring into the direction of corporate reform that South Korea should impl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헤지펀드의 지배구조에 관한 고찰

        노미리(Noh Mie Ree) 한국부패학회 2016 한국부패학회보 Vol.21 No.1

        2015년 7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반대하면서 주주행동주의가 재조명받게 되었는데, 헤지펀드는 대상 기업의 지배구조가 아닌 자신의 구조와 운영을 개선하라는 압력에도 직면하고 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 한다)은 2015년 7월 24일 개정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금융투자업자는 인가를 받아야했으나 개정된 자본시장법에 의하면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는 인가가 아닌 등록만으로 업무가 가능해졌다. 즉, 헤지펀드 진입에 대한 규제가 크게 완화되었다. 이러한 헤지펀드의 규제 방향은 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헤지펀드의 지배구조에 있어서 수익자총회, 주주총회 관련 규정의 적용이 배제되므로 이사, 감사, 감사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케이만군도, 아일랜드는 이사, 사외이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있고, 한국(자본시장법) 역시 이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의 헤지펀드에 관한 규제는 위 국가들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헤지펀드의 경우 역외펀드가 많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법령을 비교하고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 보면 한국에서 헤지펀드에 관한 규제가 특히 심하지는 않다. 그러나 헤지펀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불필요한 규제는 없앨 필요가 있다. 헤지펀드와 관련하여 다른 나라에서 폐지하거나 새로 시행하는 법령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In July 2015, shareholder activism was in the spotlight because the U.S.-based hedge fund Elliott opposed to the merger of Samsung Corporation and Cheil Industries. However hedge funds are also facing pressure to improve their structure and operatio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hereinafter ‘FISCMA’) was amended on July 24th 2015. Previously, no one engage in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excluding investment advisory business and discretionary investment business) without authorization for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But after the enforcement of amended FISCMA,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concerning privately placed fund for qualified investors only doesn’t need to get authorization. It shall register with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 other words, restrictions on the entry of hedge funds was greatly relieved. Regulatory direction on these hedge funds seems to meet the global trend. In the governance of hedge funds, the role of directors, an auditor and the audit committee is important. So many countries such as Cayman Islands, Ireland are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s of directors, non-executive directors. FISCMA is also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 of directors. So regulation of hedge funds in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ROK’) is similar to those countries. In the case of hedge funds, there are so many offshore funds, so it is important to compare and review the statutes of other countries. Above mentioned, Comparing with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e hedge funds in ROK is not highly regulat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unnecessary regulations in order to activate the hedge funds. Legislation which is enforced or repealed concerning hedge funds in other countries is noteworthy.

      • KCI등재

        2018년 상법총칙·상행위법 주요 판례의 검토

        노미리 ( Noh Mie-ree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9 상사판례연구 Vol.32 No.1

        이 글은 2018년 한 해 동안 공간된 대법원 판례 중 상법총칙·상행위법이 주요 쟁점이 된 판례 5건을 살펴본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어진 대법원 판례의 주요 쟁점은 ① 상사법정이율의 적용범위(대법원 2018. 2. 12. 선고 2013다 26425 판결), ② 다수채무자의 연대책임(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6다39897 판결), ③ 상인자격의 취득시기와 상사소멸시효의 적용범위(대법원 2018. 4. 24. 선고 2017다205127 판결), ④ 부당이득반환채권의 소멸시효(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7다248803 · 2017다248810(병합) 판결), ⑤ 국제사법상 준거법의 판단(대법원 2018. 8. 1. 선고 2017다246739 판결)이다. 위 대법원 판례들은 대부분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판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위 판결들의 주요 판시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정금전신탁에서 투자자 보호의 일환으로 설명의무를 인정하고 있고, 설명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채무불이행이 아닌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의 경우에는 상사법정이율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이다. ① 판결은 종래 대법원 판결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② 영농조합법인의 채권자에 대하여 영농조합법인과 그 구성원인 조합원들이 연대책임을 진다고 판시한 최초의 판결로서 의미가 있다. ③ 피고가 회사의 대표이사라고 하더라도 회사가 상인에 해당하는 것이지 피고가 상인자격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대표이사가 개인 자격에서 금전을 차용한 경우 민사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본 판례의 입장은 피고에게 금전을 빌려준 사람을 보호하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타당하다. ④ 상사소멸시효의 적용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행위로 인한 채권인지, 아니면 상행위로 인한 채권과 동일성을 가지는 변형물에 해당하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그런데 부당이득반환채권의 경우에는 이와 달리 거래의 신속성이 요구되는지를 기준으로 상사소멸시효의 적용대상인지를 판단한다. 대상 판결은 거래의 신속성이 요구되므로 5년의 상사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보았는데, 그 결론은 타당하다. 하지만 향후 대법원은 어떠한 경우에 거래의 신속성이 요구되는지에 대해서 그 판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⑤ 준거법의 판단기준으로 속인법적 사항이 문제되는 경우 국제사법 제16조에 기해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한 판결로서 의미가 있다. ⑤ 판결에서는 대한민국 법이 준거법이 된다고 판단하였고, 영농조합법인의 채무에 대하여 구성원인 조합원들은 상법 제57조 제1항에 따라서 연대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대한민국 법이 준거법이 되는 이상 위 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Among those rulings render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18, this paper focuses on commercial transaction cases based upon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is paper covers five cases. The main issues of the above five rulings are as follows. ① In 2013Da26425 (Feb. 12, 2018) the court ruled that when a trust company signs a special money intrust with an investor, the trust company must fulfill a duty of explanation as means of investor protection. If the trust company does not fulfill this duty of explanation, it will be liable for damages based on tort, not on default. In the case of liability for damages based on tort law, rather than on the basis of default. In the case of liability for damages based on tort law, the statutory interest rate in commercial activities is not applicable. This judgement reaffirmed the Supreme Court’s previous ruling. ② In 2016Da39897 (Apr. 12, 2018) the court ruled that an agricultural partnership and the members thereof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to the agricultural partnership’s bondholders. It is a meaningful ruling which declared the legal relations between agricultural partnership and the members thereof. ③ Furthermore, even if a defendant i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of a company, the defendant is not a merchant. The position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of the company and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 are separate. In 2017Da205127 (Apr. 24, 2018) the court ruled that when a representative director borrows money as an individual person, civil extinctive prescription is applied. This supports the protection of those who lent money to the defendant director. ④ Article 64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provides that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 code,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a claim arising out of a commercial activity shall expire if it is not exercised within five years. Article 64 also applies to forms of commercial bonds. However, when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sought, unlike in the instant case, the court must make a determination based on whether the transaction is necessarily urgent. In the case of 2017Da248803·2017Da248810 (Jun. 15, 2018), urgency of the transaction was held to be required, so the conclusion which determined that the 5 years expiration applies, was appropriate. However, in the future, the Supreme Court needs to present its criteria upon which the decision, as to whether promptness of the transaction is required, can be made. ⑤ In 2017Da246739 (Aug. 1, 2018) the court ruled that when a dispute regarding Personal Law arises, the governing law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Article 16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the ruling, the Korean Civil Code was judged to be the governing law. As a result, the members of an agricultural partnership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the agricultural partnership’s debt according to article 57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 KCI등재

        헤지펀드 행동주의가 증가한 원인과 대응방안

        노미리(Noh, Mie-Ree)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9

        최근 헤지펀드 행동주의자가 급증함에 따라 회사지배구조가 이사회 중심체제에서 주주 중심 체제로 변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미국의 사례를 통해 최근 헤지펀드 행동주의가 급증한 원인을 살펴보면, 그 증가원인으로 시차임기제의 감소, 의결권 행사 자문사의 역량 강화, 미국증권거래위원회의 위임장 규정 개정, 중개기관이 투표할 수 있는 사안의 축소, 이리떼 전략, “그룹” 개념의 축소, 이사후보추천권 부여 요건을 들 수 있다. 헤지펀드 행동주의자가 목표 대상으로 삼는 회사는 대체적으로 ROA(return-on-assets)가 높고, 배당률이 낮은 특징이 있다. 한편, 헤지펀드 행동주의의 영향을 회사지배구조 측면에서 검토하면, 헤지펀드의 개입으로 회사지배구조가 이사회 중심주의에서 주주 중심주의로 변하는 경향이 있으나, 양자 간 권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업 성과 측면에서는, 헤지펀드 행동주의와 기업성과 간에 단기적,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나, 목표 대상 회사가 얻은 수익의 분배과정, 주가 상승의 원인 등이 불분명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헤지펀드 행동주의의 대응방안으로, 시차임기제, 소수주주권의 행사요건, 주식대량보유자의 보고의무를 미국과 우리나라의 입법례를 비교, 분석했다. Due to a recent and sudden rise of a hedge fund activism, corporate governance tends to be changed from board of directors-enteredstructure to shareholders-centered structure. In investigating such increase by looking at the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the causes of such increase can be found and explained from the following – decline of staggered boards, growth of proxy advisory firms, amendment of the SEC rules and regulations in respect of proxy, reduction of certain agendas where a brokerage firm can cast a vote, “wolf pack” tactic, conceptual decrease of the notion of “Group”, requirements to grant a proxy access. Further, the companies that hedge fund activist is generally targeting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a high ROA(return-on-assets) and a low dividend rate. If we examined the impact of the hedge fund activism in corporate governance aspect, notwithstanding that corporate governance tends to be changed from board of directors-centered-structure to shareholder-centered-structur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and maintain the proper balance between two authorities. Moreover, with respect to a business performance, some studies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for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between a business performance and hedge fund activist, but because it is uncertain how to distribute the capital returns in a target company or why the stock price of such target company rise,further study in respect of such correlation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hedge fund activism. Lastly, as a countermeasure against hedge fund activism, this Article will compare, discuss and analyze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law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respect of the staggered boards, the condition or requirement for minority shareholders to exercise their voting right and a mandatory reporting requirement by majority shareholders.

      • KCI등재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미리 ( Mie Ree Noh ) 한국법정책학회 2016 법과 정책연구 Vol.16 No.3

        많은 국가들은 0-14세까지의 인구를 유소년인구로, 15-64세까지의 인구를 생산가능인구로, 65세 이상의 인구를 고령인구로 분류한다.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2000년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현재 추세대로라면 2017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65세 이상의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므로 고령친화산업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는 산업이다. 우리나라는 2006년 12월에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을 제정하였고, 위 법에 고령친화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고령친화 우수제품 및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를 두고 있다. 고령친화 우수제품으로 지정된 품목은 매년 증가하는 반면, 고령친화 우수사업자의 경우에는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기준에 관한 보건복지부 고시가 제정되지 않았다. 본문에서는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와 유사한 국내 서비스 평가인증제도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외에도 고령친화산업의 핵심인 ‘노인’의 의미, 노인에 대한 인식 전환 등을 중심으로 하여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의 개선방안을 검토했다. 본문에서 검토한 개선방안 등이 반영된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기준의 제정,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지원 강화 및 기술력 확보로 우리나라 고령친화사업자들이 국제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ny countries broadly classify the population into three (3) groups depending on age. These groups are the youth population from 0 to 14 years old,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from 15 to 64 years old, and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years old. If the proportion of over 65 years old population is more than 7%, it is an aging society. If it is more than 14%, it is an aged society and if it is more than 20%, it is a super-aged society. South Korea was an aging society in 2000, and if current trend continues, it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in 2017. South Korea is aging rapidly at record levels in the world. Senior-friendly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there was a need to nurture and support at national level. South Korea thus enacted Senior-friendly Industry Promotion Act in December 2006. For the sake of development and support for senior-friendly industry, a designation system was placed on any senior-friendly products of good quality as exemplary senior-friendly produ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od product”). In addition, a designation system for any senior-friendly business entity which provides a service of good quality as an exemplary senior-friendly business ent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od business entity”) was also put in place. Items that have been specified and defined as good product, have increased every yea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ood business entit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fication about specified criteria for a good business entity has not been enacted as yet. In this paper, domestic Service Quality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similar to a designation system of good business entity are analyzed in order to derive the specified criteria of a good business entity. That aside, changing the definition of senior citizens and the way of recognizing senior citizens can be consider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designation system of good business entity. Even though the definition of senior citizens is an essential part of senior-friendly industry, a definition clause about senior citizen isn`t put in the Senior-friendly Industry Promotion Act. It is hoped that senior-friendly business entities will be able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as a result of the enactmen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fication which supports the senior-friendly industry and possession of technology etc.

      • KCI등재

        종합부동산세법 개정안과 향후 과제

        노미리 ( Mie-ree Noh )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3

        2005년 종합부동산세법이 도입된 이후 종합부동산세제의 입법과제에 대해서 그 동안 여러 가지 논의가 이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이러한 논의를 반영하여 2018년 7월 30일 종합부동산세제 개편방안을 발표하였고, 개정안은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개정안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의 인상, 세율의 인상, 종합부동산세 분납대상자 및 분납기간 확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는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을 구하는데 필요한 공정시장가액비율이 80%인데, 공정시장가액비율이 2019년에는 85%, 2020년에는 90%로 매년 5%씩 단계별로 인상된다. 종합부동산세는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와 토지분 종합부동산세로 구분되는데, 세율의 인상 폭은 다르나 주택, 토지 모두 종합부동산세 세율이 인상될 예정이다. 현재는 종합부동산세 납부세액이 500만원을 초과하는 자가 종합부동산세 분납대상자이나, 개정안에서는 그 금액을 250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분납기간도 현재는 납부기한을 경과한 날부터 2개월인데 분납기간을 6개월로 연장하였다. 종합부동산세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분납대상자 및 분납 기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개정은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종합부동산세법 구조 및 법적 성격, 종합부동산세제의 변천과 2019년 종합부동산세법 개정안의 내용, 종합부동산세제를 둘러싼 논의와 향후 과제를 다루었다. 향후 과제로는 거래세 인하,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 공제금액을 상향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다루었다. 향후 세법개정안에 위 논의가 반영되어 종합부동산세제가 입법취지에 맞는 정책세제가 되길 바라는 바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ct in 2005,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the legislative tasks of the comprehensives real estate holding tax system.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nounced to amen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ct`on July 30, 2018, and the revised bill will be implemented on January 1, 2019. The amendment includes an increase in the fair market value ratio, an increase in the tax rate,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rsons subject to the payment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es in installments and extension of scheduling period. Currently, the fair market value ratio which is required to obtain tax bases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is 80%, but it will be raised to 85% in 2019 and 90% in 2020. It will be raised gradually by 5% per year. Tax rate will be also raised.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is divided into taxation on housing and taxation on land. Even though their increase width of tax rates are different, tax rates of housing and tax rates of land will be raised. Currently, a person whos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payment amount exceeds 5 million won can pay taxes in installments, but in the revision bill the amount will be downwardly adjusted to 2.5 million won. The installment period has also been extended to 6 months. It is desirable to relax installment requirements because it is a tendency to increas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In this paper, it is dealt with the structure and legal nature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the transition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system, the content of the 2019 amendment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ct, the discussion about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system and future tasks. As a future task,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transaction tax and to raise the standard deduction amount for the single house owner. It is expected that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is able to do better rol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