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융합 과정으로서의 독서,작문교육과 테크놀로지

        노명완 ( Myeong Wan Noh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20세기 전반부 심리학자들은 인간심리를 과학적, 객관적으로 연구한다면서 인간심리를 세분화, 유목화하였다. 그런데 그 결과는 오히려 비과학화와 비인간화를 가져왔을 뿐이다. 창의성은 심리학자들의 최대의 연구 관심사였지만, 이들의 방법론인 유목화로는 창의성을 포착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당시 학자들은 창의성을 신비한 무의식적 작용으로 치부해 버렸다. 20세기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심리학자들은 인간심리의 작용을 실제 측면에서 관찰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인간의 심리 작용은 모두 무엇인가(의미,지식, 정보, 감정, 느낌 등 인지적 정의적 모든 것)를 처리하는 과정이고, 그 핵심이 바로 의미.지식의 처리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이들은 인간심리의 작용을 ‘의미구성’이라 불렀다. 이것이 바로 20세기 후반부에 출현한 구성주의이다. 의미의 구성은 그것 자체가 바로 지식의 생산 즉 창의이다. 이런 창의적사고 활동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고가 바로 인간의 언어사용이고, 그 중심에 독서와 작문이 있다. 그런데 학교 교과 중 국어과는 인간의 언어사용을 핵심 지도 내용으로 삼고 있다. 그런 점에서 국어 교과는 가장 창의적인 교과라 할 수 있다.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등과 같은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문식환경이 크게 변하였다. 한편으로는 가용 지식 자원이 무한대로 넓어졌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지식 자원에 대한 신뢰가 크게 의심되고 있다. 그래서 테크놀로지의 사용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지금까지 깜깜한 블랙박스라고 생각했던 인간 두뇌 속에서의 의미구성, 지식처리의 과정을 조금은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그 덕에 독서와 작문 교육에서는 개별화 지도도 쉬워졌고, 특히 과정 지도가 조금은 수월하게 되었다. Psychologists in the first-half of 20th century criticized their former psychologists of 19th century in that they investigated human mind very subjectively and on their own insights. Instead, the 20th century psychologists tried to analyze the whole mind into small constructing factors, and made a structural taxonomy. They declared their research methods as objective and scientific. But the so-called their scientific research methods only brought in unscientific, unobjective results. Despite of the endeavoring efforts to look into human mind through small windows of taxonomy, they only got lost the human mind itself, resulting huge segments of mind, so-calle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activities. The creativity of human mind also got lost in their research. Psychologists in the second-half of 20th century got back in their research attitude. They just tried to observe what the students really did when they read or wrote.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as quite simple: Students wanted to produce/understand the message (content, idea, knowledge, information, etc.) through language. This finding was the starting point of cognitive, social, and social-cultural research approaches of human mind, the so-called constructionism. Meaning construction is in itself a process of knowledge production. Reading process is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through meaning construction, and writing process is also the same. The problem-solving processes of three school subjects (science, mathematics, and Korean language) tests clearly manifested some evidences in two aspects: The first is that subjective answering test is much better than the multiple choice test in terms of higher order thinking and creativity. The second is that the subjective answering test in reading/writing requires the most creative higher order level of thinking skills, just like the analysis, synthesis, evaluation. But the multiple choice test of reading/writing requires only the worst creative thinking, just as recognition skill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recent years―like computer, internet, smartphone―changed the whole literacy environment. The resourc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expanded unlimitedly, b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nowledge/information in the internet world also got downed unlimitedly. It is quitely required that students need good teaching about what the internet world they are in is, about how to evaluat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e internet, and also about how to use the reading/writing related technologies. One decisive advantag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hat it can follow and investigate the tracks of reading/writing processes in the brain. Now it is quite possible to guide students to look into their own mental processes when they read or write.

      • KCI등재
      • KCI등재

        개별 논문 : 대학 논술 시험의 개념과 그 유형 분석

        노명완 ( Myeong Wan Noh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3

        ``논술``이라는 이름의 독립된 대학입학시험이 채택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이다. 이 시험이 대학입학시험의 하나로 채택된 배경 이유는 대학 학생 선발에 대한 정부와 주요 대학 사이의 주도권 싸움 때문이다. 당시, 논술이라는 생소한 이름의 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개념도 그리고 전형적인 글 유형도 확립되지 않은 상태였다. 따라서 당연한 결과로 초기의 논술 시험에서는 상당한 혼란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초기의 논술 시험은 주로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 중요하게 다루었던 당시의 시사성 있는 주제가 논술의 논제로 채택되었다. 시험이 시사성 주제에 의존하게 되니, 논술 준비 수험생들은 자연스레 시사적 이슈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고 신문이나 잡지 읽기에 치중하였다. 대입 논술 시험은 이에서 진화하여, 고전작품의 이해와 요약, 감상을 묻는 유형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수험생들은 신문이나 잡지 읽기에서 고전읽기로 방향을 바꾸었다. 대입 논술 시험은 다시 내용이 다른 여러 글을 읽고, 각각을 요약하고, 공통적 주제를 찾고, 이 공통적 주제로 자신의 글을 쓰는 하이퍼텍스트적 읽기ㆍ쓰기로 변하였고, 다음에는 넓은 의미의 학문또는 교과영역 중심적 논술로 바뀌었다. 이 변화는 서울대학교에서 제안한 것인데, 당시 대학입시계에 상당한 파문을 일으켰다. 그리고 대입 논술은 최근에 이르러 여러 교과에 걸친 여러 편의 글을 읽고 그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전개하는 유형의 논술로 발전하였다. 이 마지막 유형이 최신의 논술유형이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대학 입학 논술 시험은 여러 유형으로 발전적인 변화를 거쳐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입 논술은 그 개념도 그리고 유형도 정립되지 않은, 현재 진화중인 글쓰기 유형이다. 아직 문제점이 많이 보이기는 하나, 꾸준한 노력으로 논술의 유형은 더욱 진화할 것이다. 그 진화 방향의 핵심은 학생들의 깊은 사고력 평가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적 발전 도모가 될 것이다. It was in the middle of nineteen-ninetieth that the so-called ‘Nonsul’ (special type of essay for college 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as adopted as one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The background reason of the this adoption was caused from the powerful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major universities concerning the governance of college student selection. Neither the name, the concept, nor the written discourse type of ‘Nonsul’ had not yet academically established at that time. As a natural consequence, there were quite big confusions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their teachers and parent, who were deeply related with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Korea. At the early period of Nonsul examinati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professors, who were involved in the Nonsul examination, mainly selected the essay theme from the current issues of media. Student and teachers were quite naturally began to read the articles about the current major issues. Meantime by relizing that the current issues were not regarded as a good Nonsul theme, professors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classical texts, and selected Nonsul themes from the theme of the texts. It was asked for students to read one or two classical articles, summarize the main theme(s) of articles, find the common themes/topics among the texts, and write his/her own thoughts about the common topics. The concept, and the thematic content of Nonsul again changed from classical texts to various contemporary texts that were not beyond the limit of high school curriculum. It was a usual trend at that time that, in the Nonsul examination, students were asked to read, understand, summarize, find common theme, and write 4-6 middle-length articles of which contents were about either liberal arts, literature(poem or novel), social studies, or science. This new concept of Nonsul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normalize the high school education in Korea. Nonsul examination changed more and more, and the most current Nonsul examination, students are asked to read several curriculum-related different articles, and answer 2-3 questions. These questions are generally very difficult and complex because of the inter-curricula contents. As we see from the above, Nonsul have changed a lot from the early appearance to till now. But the concept of, the ways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 and the written discourse types are still under way. Nonsul is still expected to evolve more and more, toward the two directions, one is to normalize the high school education, and the other is to upgrade its evaluation too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별 논문 : 웹 게시판을 이용한 독서 토론에서의 학습자 반응양상 분석

        노명완 ( Myeong Wan Noh ),김라연 ( Ra Yeon Kim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20

        독서 토론은 독자가 읽은 내용에 대하여 서로 의견을 나누는 상호 작용이다. 이는 독해가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교실 상황에서는 한 명의 교사가 모둠별 토론 수행의 전 과정을 관찰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웹을 이용한 독서 토론 활동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웹 게시판을 이용한 독서 토론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담화 유형은 크게 무조건적 칭찬과 비난으로 이루어진 담화, 작문 평가의 관점에서 글을 분석하는 담화, 주제를 중심으로 의견을 교환하는 담화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각 담화의 특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보여준 반응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담화의 상황에 따라 그들의 반응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Reading discussion is an interaction among readers in which they exchange views about what they read. This session provides a teacher with plenty of information in the light that it enables the teacher to examine closely all the processes of reading among students. However, since a teacher alone cannot observe the entire processes of all group discussions under the given condition of classroom, this study suggests web-based reading discussion approach. The author analyzed interactions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reading discussion by means of webboard. The types of their conversations during the discussion were divided largely into: unconditional favorable or critic ones; analytical ones concerning texts from the viewpoint of writing assessment; and two-way ones focused on the given subj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ypes of conversations, the reactions of students were characterized and closely examined. Especially, focused on those who participated actively in this activity, the phases of their reactions were analyzed depending on the given situation of conversation and over time.

      • KCI등재

        대학 쓰기교육의 이해와 발전 전략

        노명완(Noh Myeong-W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대학작문 교육은 여러 갈등적 요인들을 안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학작문교육이 안고 있는 어려움을 가능한 한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동시에 그런 이론적 갈등 속에서도 대학작문 교육이 취하여야 할 기본적인 방향을 찾아보고 있다. 대학작문 그리고 작문이 갖고 있는 큰 어려움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문이 필자와 독자 사이의 소통의 수단인데, 필자와 독자가 같지 않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문이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작문의 과정이 내용을 다루는 과정과 이 내용의 언어적 표현을 다루는 매우 상이한 두 과정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문은 본래부터 어려운 일이다. ‘대학작문 교육’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개념들이 들어 있다. 작문교육의 대상이 ‘대학생’이라는 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내용이 ‘작문’이라는 점, 그리고 대학생에게 작문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 세 내용들은 이론적, 실제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때로는 상호 갈등적인 측면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작문교육의 대상이 대학에 새로 입학한 1학년 학생이다. 대학 1학년은 고등학교 교육의 뒤에 이어지며 대학 교육의 처음이라는 위치에 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 대학에서의 교육은 추구하는 이상이나 구체적인 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점이 대학작문 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한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대학은 4학년까지 있고, 대학 공부에서 작문이 더 필요한 것은 고학년에서인데, 대학에서 실제 작문을 가르치는 대상은 신입생인 1학년 학생들이다. 그래서 현재의 대학작문 교육이 대학이라는 전체 기간 속에서 제 위치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학교육은 대학 졸업 후 사회에서의 생활과 직장에서의 직무수행과도 긴밀히 이어져야 한다. 그런데 오직 1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작문 교육은 대학교육 후에 이어지는 이런 사회나 직장의 요구에 맞출 수 없는 실정이다. 둘째, 작문 이론이 수사학에 기초한 종래의 선조적(linear) 모형에서 인지심리학에 기초한 최근의 회귀적(recursive) 모형으로 바뀌었다. 선조적 모형은 글을 중심으로 하는 모형이며, 회귀적 모형은 글을 쓰는 사람의 정신 과정을 모형화한 것이다. 회귀적 모형의 대표적 학자인 Flower는 작문 과정에서 필자가 하는 작문의 계획, 내용의 생성, 글 및 내용의 구조와 조직, 그리고 고쳐쓰기 및 편집, 이 네 가지가 포착할 수 없을 정도로 회귀적으로 일어난다는 보고 있다. 이는 작문 과정이 근본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정신적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귀적 모형이 얘기할 수 있는 내용은 작문 과정이 구체성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불확정적’이라는 말 한 마디뿐이다. 그런 점에서 회귀적 모형은 모형화할 수 없는 것을 모형화한 모형이다. 바로 이점이 작문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근본 원인이 되는 것이다. 셋째, 작문의 정신 과정을 포착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그래서 교육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문은 교육되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의 과정이나 절차는 작문의 정신 과정과는 판이하게 시간과 공간 속에서 진행된다. 강좌라는 이름으로 구체적인 학기 내에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교재로, 매주 수업 시간에 강사의 지도하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매우 실제적인 것이 바로 교육이다. 이 같은 구체적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육 이론은 비시간적이고 비공간적인 정신 이론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 점이 또한 대학작문 교육을 어렵게 만들어 주고 있다. 대학작문 교육이 갖고 있는 ‘대학’과 ‘작문’과 ‘교육’은 서로 각기 이질적이다. 이 세 가지 중에서 대학작문 교육이 취하여야 할 구체적인 방안은 ‘교육’측면이라 생각한다.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대학작문 교육의 발전적 지향점이라 생각한다. Teaching writing at college undertakes many complex and theoretically disagreeable components in itsel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ttempt to find some theoretical factors that make the teaching writing at college level so difficult in actuality. Teaching writing is in itself a very difficult task. Two main reasons are at hand. One is the gaps of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The second i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writing processes, that is, the process of generating/organizing content,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ontent in words. Teaching writing at college includes at least three heterogeneous conceptual components. These are, as we can see in the words of the ‘college teaching writing’, ‘college’, ‘teaching’, and ‘writing’. The very reason of the difficulty of teaching writing at college is because of the conceptual unmatchness among these three conceptual components. Firstly,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of college writing are college students, mainly freshmen who entered college or university in that year. College freshmen are those who have graduated highschool just before, and are beginning to learn academic contents at college level. But learning at highschool and learning at college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for say, the purpose of learning, the teaching method,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attitudes of students. These differences ar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make the teaching college writing difficult. Moreover the fact that, while writing is necessary more and more as students go up higher grades at four-year college, the students receive only one-year writing class when they are freshman, is another factor. Nextly, college students should be taught and prepared for the job-related writing when they are at college. But they receive writing class almost only when they are at the first year of college, which is far away in time from the job-related works in the society. To say in short,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at present is unable to meet the practical needs and conditions of writing at college level. Secondly, the writing theory has been changed from the rhetoric-based linear model to cognition-based recursive model. The linear model of writing is text-based, while the recursive model is human(writer)-based. Text-based linear model of writing takes the four procedures of writing as planing, generating, designing, and editing in their order. But writer-based recursive model of writing takes the mental processes in which the four procedures are very recursive in the mental processes of writing. It could be said that the recursive model models the mental processes of writing which can not be modeled. The only thing the recursive model could say is that, the writing processes are so complex and recursive in their nature, they can not be captured in any models.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makes the teaching writing at college level so difficult in reality. Thirdly, even though the processes of writing in cognition is too complex to model it, writing should be taught in the class. This educational conditio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curriculum and programs. Activities in mental ocesses are recursive beyond the time and space boundary. But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teaching writing should be under the conditions of time and space. Teaching college writing should be realized in the lecture, under the guidance of the lecturer, using any textbook/materials, by the students in real classroom. These educational conditions are another factor that makes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difficult.

      • KCI등재

        대학작문

        노명완(Noh Myeong-w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약 100여 년 전에 심리학자 후에이는 독서과정의 완전한 분석은 심리학자들의 꿈의 성취와 같다고 말하였다. 독서가 얼마나 정교하고 복잡한 심리 과정인가를 강조한 말이다. 그런데 작문은 독서보다 훨씬 더 높은 지적작용이다. 독서가 2차적 지식 생산 과정이라고 한다면, 작문은 1차적 지식생산 과정이기 때문이다. 여러 수준의 작문 중에서, 대학작문은 가장 복잡하고 다양하고 수준이 높은 작문이다. 대학작문은 여러 측면의 특성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 대학작문은 고등학교 작문의 후속적 연계이면서 수준은 더 높아야 하고, 교양적이어야 하고, 대학 내의 여러 전공으로 나아가는 학문성도 띄어야하고, 사회의 다양한 직업적 요구도 맞추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대학작문은 이런 여러 특성을 갖추지도 못하였고, 필요나 요구에 부응하지도 못하고 있다. 어쩌면 고등학교 작문보다 그 수준이 더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연유한다고 본다. 하나는 대학에 대학작문 과정이 개설되어 있기는 하나, 그에 적합한 전공자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는 첫 번째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대학작문을 담당하는 강사나 교재 편찬 위원들이 대부분 작문 전공자가 아닌 어학이나 문학 전공자들이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대부분 대학의 대학작문 교재가 언어학적 규칙을 가르치거나, 문학적 또는 수사학적 글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학작문의 개선이 시급히 요청된다. 우선 대학작문을 담당하는 교수나 강사들을 모두 작문 또는 대학작문 전공자들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최신의 대학작문 이론들을 도입하여 그 교재의 내용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About one hundred years ago, famous psychologist Huey said that the complete analysis of reading process would almost be the acme of a psychologist’s dream. His words were to emphasize how much complex the reading process would be. But it has for a long time been agreed among the psychologists that writing would be higher than reading in the complexity of cognitive processes. It would not be unreasonable to say that writing is the primary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while reading is the secondary. Among all kinds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writing would be the most complex and intricate workings of cognition in human mind. College composition has many characteristics in its position, nature, and needs. In its educational position, college composition comes after the high school composition. That is, college composition would be theoretically and educationally more difficult than the compositions at other levels. In the college, college composition is positioned at the gate of entering into various technical fields, that is, into the liberal arts field, social science field, and natural science field. College composition is also expected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job-related writings in the society. College composition has many-sided aspects in its nature. But unfortunately, the current actual conditions of college composition in this country is far away from all these aspects; position, nature, and needs. An analysis betrayed that college composition textbooks fell far behind the high school composition textbooks in both writing theories and the teaching contents. Two very critical main reasons are assumed. The first i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college composition. Many scholars who are engaged in teaching or textbook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ollege composition still understand that the college composition is academically an applied area of linguistics and literature, and so they emphasize the teaching of grammar and textual rhetoric(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xt types) in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rather than the writer’s cognitive strategies in the writing processes. The second is because of the unqualified professors/lecturers of the college composition courses. Most professors and/or lecturers of the college composition courses are those who acquired their doctoral degrees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or literature. Many paradigmatic changes in the field of composition/writing have occurred in the last few decades : From linguistics and literature to cognitive psychology in the theories and academic fields; From text itself to writer’s cognitive strategies in the teaching and researching focus. Innovative change are needed in college composition.

      • KCI등재

        직업 문식성 연구

        노명완 ( Hyeong Rae Lee ),이형래 ( Myeong Wan Noh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3

        이 연구에서는 공무원의 직무수행 과정을 분석하여 직업 문식성의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공무원의 직업 문식성 연구는 다양한 직무 수행자의 직업 문식성 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직업 문식성 교육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직업 문식성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식성 교육에 비해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지속적 평생학습을 통해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는 직무를 수행하는 개인에게 지속적인 능력의 계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직업 문식성에 대한 연구는 성인 문식성의 향상을 꾀하는 데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 직업 문식성은 시대적 변화의 요구에 적응하기 위한 인간의 삶의 전략으로 사회 발전과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인적자원이다. 직업 문식성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기능, 문제해결 전략과 비판적 사고 전략 등은 공무원 직무 수행 과정에 요구된다. 공무원의 직업 문식성 중에는 정보문식성이나 공문서 문식성이 있다. 정보문식성과 공문서문식성은 읽기와 쓰기 기능이나 전략이 바탕이 되므로 성인들을 위한 읽기 및 쓰기 기능과 전략의 계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직업 문식성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직업 문식성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성인들의 문식성 수준 파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직업 문식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성인들의 직업 문식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직무와 연관 지어 문식성 학습 전략에 대해 연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문식성 교육이 직업 문식성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연구해야 한다.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investigating job literacy through analyzing the processes of public servants` duty implementation. This study of public servants` workplace literacy will be a springboard for research of workers` job-related literacy in a variety of job area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provide u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workplace literacy education. As compared with literacy education that is being emphasized at school, there has so far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job literacy. A knowledge-based society calling for continuous self-development through lifelong education forces all employees on the job to susta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research of job-related literacy may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developing adults` literacy skills. Job literacy as a life strategy for adapting to dramatic social change is human resource that is prime motive force for societal progress. A higher level of basic skills in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that form the root and trunk of job literacy are indispensable to the processes of public servants` duty implementation. Servants` job literacy also includes information literacy or public document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or public document literacy is based 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so that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adults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job literacy curriculum should be urgent. Furthermore a national-level study to examine adults` literacy levels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research of job literacy, we need to research into literacy-learning strategies related to their duty implementation in order to improve adults` job literacy, Also, we should delve into how literacy education at school can be associated with job literac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