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친구 및 교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지영(Nam, Jiyoung),정혜원(Chung, Hye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친구 및 교사관계,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의 1차년도, 중1 코호트 (중학생 2,590 명) 패널자료를 사용하였고,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생이 인식한 교사관 계와 자아존중감은 학업열의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친구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인식한 친구관계는 학업열 의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간접 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인식한 교사관계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증진하기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rucut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he wave 1 of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s and Youth Panel Survey 2018 (N = 2,590)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student perception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engagement, student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Second, while student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it show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or. Third, the effect of student perception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academic engagement is further reinforced by self-esteem as a media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he implications to improve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남지영(Jiyoung Nam),정혜원(Hyewon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교사가 측정할 수 있는 만 3~5세 유아의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척도 문항 초안을 마련하였다. 둘째, 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예비조사를 걸쳐 유아 사회정서역량 예비척도 문항을 추출하였다. 셋째, 척도 타당화를 위해 만 3~5세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144명의 설문지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나머지 178명의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 7개의 하위요인과 총 133문항을 초기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델파이 조사 결과, 4개의 하위요인과 총 59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하위요인과 총 33문항이 도출되었다. 넷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는 자기인식(6문항), 자기관리(5문항), 사회적인식(7문항), 관계관리(8문항)의 4개 하위요인,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하위요인들의 신뢰도 범위는 .878~.923으로 적정 수준이었다. 결론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유아 사회정서역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years that can be measur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To this end, first, a review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an open survey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concept definition and scale of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competency, and a draft of scale questions was prepared based on this. Seco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s twice. Third, to validate the scal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22 infants aged 3 to 5, and 144 of the collected data were survey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maining 178 were verifi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an open survey, seven sub-factors and a total of 133 questions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four sub-factors and a total of 59 questions were selected. Thir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sub-factors and a total of 33 questions were derived. Fourth,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consisted of 26 questions, including 4 sub-factors of self-awareness (6 questions), self-management (5 questions), social consciousness (7 question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8 questions). Fifth, the reliability range of the sub-factors was .878 to .923, which was an appropriate level. Conclus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scale that can measur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Third, it is expected that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can be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studies by accurately measuring th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정보기술 성과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최경현(Gyunhyun Choi),남지영(JiYoung Nam)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5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28 No.3

        Nowadays,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become one of the most critical managerial decision areas, because its role in the business practice tends to be more important and hence the amount of the investment in growing. Since there is no dominant and promising measure to evaluate the IT performance, the managements have difficulties on the decision process for IT invest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T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starts with finding the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areas and the corresponding KPIs, and then concentrates on the IT performance evaluation areas corresponding to the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areas. To extract the specific and reliable KPIs for the IT performance measure, we map the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areas into the corresponding IT performance evaluation areas and then combine and adjust these KPIs with the KPIs obtained from the experiential field interview. Finally, We present the complete model which has 11 business performance indices and 48 IT performance indices are completed.

      • KCI등재

        마음챙김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2011∼2020년 학술지 발표를 중심으로

        배선희(Bae Seonhui),남지영(Nam Jiyoung),손은령(Son Eunyeong),이상옥(Lee Sang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음챙김 프로그램은 2011년부터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연구대상은 성인이 33편(55%), 대학생 13 편(21.7%)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57.5편(95.8%)이 대부분으로 그에 따라 t 검증분석이 35번(65%)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음챙김 프로그램 전,후 정서, 스트레스, 불안, 우울, 인지 등을 측정하는도구가 사용되었고 이는 연구자가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를 기대한 정서, 심리, 신체적 요인을 알 수 있었다. 이로서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언과 향후 마음챙김 프로그램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indfulness program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using the Mindfulness Program over the past 10 years are as follows. The Mindfulness program was continuously studied from 2011 to 2020, and it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tren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 adults (55%) and 13 college students (21.7%), which were many studies on adults. As for the research method, 57.5(95.8%) quantitative studies were mostly used, and accordingly, t verification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s 35 (65%). Tools were used to measure emotions,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cognition before and after the mindfulness program, which revealed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that the researcher expected to change through the mindfulness program. As a result, based on the main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future mindfulness program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