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영 ( Nam Boyoung ),김담이 ( Kim Dam I ),이은형 ( Lee Eunhyung ),김지민 ( Kim Ji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배제 실태를 탐색하고, 이들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모형에는 155명의 북한이탈주민 여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사회 정착 이전 요인과 남한사회 정착 이후 요인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사회적 배제 및 사회적 배제의 4가지 하위차원(사회적교류, 정치적관여, 생산활동, 소비활동)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사회 정착 이후 요인 중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여부, 자기은폐성이 전체 사회적 배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북한학력, 남한정규교육 유무, 자기은폐성이 사회적 배제의 하위 차원인 사회적 교류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취업 유무,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여부가 생산 활동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 경험이 소비 활동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관여의 배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업훈련 프로그램 활성화 및 고용지원금과 취업장려금 확대를 통한 경제적 자립 지원 등을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evels of social exclu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 women and to analyze risk factors of various types of social exclu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dult North Korean refugee women (19 or older) resid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s using a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final model included 155 North Korean refugee women. Social exclusion was regressed on pre-resettlement (e.g., duration in the intermediate countries, trauma exposure, educational attainment in North Korea) and post-resettlement risk factors (e.g.,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social stigma, self-concealment, public assistance, duration in South Korea). We first analyzed the overall social exclusion (sum of scores) then separately analyzed each of the four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exclusion from social exchange (1), production activities (2), consumption activities (3), and political involvement (4).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alment and public assist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verall social exclusion. When separately analyzed by dimensions, educational attainment, and self-conceal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exclusion of social exchange. Employment status and public assistance were associated with the exclusion from production activities. In addition, trauma expos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xclusion from consump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the exclusion from political involve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should focus on enhancing economic self-reliance to prevent social exclu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 women.

      • KCI등재

        외국이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 간접 접촉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영(Nam, Boyoung),홍이준(Hong, I J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국내 체류 외국인이 양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에 대한 포용적 인식과 태도의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기성 성인들의 경우, 외국이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 및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이 이들의 다문화 수용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외국이주민과의 직·간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에 의해 조절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직·간접 접촉의 유형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영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직접 접촉은 친밀한 접촉과 피상적인 접촉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은 긍정적인 모습, 피해를 당하는 모습, 위협적인 모습, 공익광고 및 홍보영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가지 형태의 직접 접촉 경험(친밀한 접촉, 피상적 접촉) 모두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친밀한 접촉이 피상적인 접촉보다 다문화 수용성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의 경우, 대중매체 속 긍정적인 외국이주민, 피해를 당하는 외국이주민은 다문화 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대중매체 속 위협적인 외국이주민은 다문화 수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공익광고 및 홍보영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외국이 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피상적 직접 접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친밀한 직접 접촉의 경우에는 간접 접촉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중매체가 외국이주민의 삶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대중에게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있어서 피상적 직접 접촉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 종합하여 본 연구는 일반 국민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국이주민과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직접 접촉의 기회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외국이주민의 삶의 경험을 다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전달함으로써 피상적 직접 접촉의 한계를 보완하고 기성 성인들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가 가능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contact (via media) with immigrants on adult citizen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explored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direct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moderated by indirect contac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data (N =3,961)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 which investigated adult citizens’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ism. Direct contact with immigrants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superficial contact and intimate contact. Indirect contact was defined as exposure to immigrants through the media, and media exposure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favorable images of immigrants, victimized images of immigrants, threatening images of immigrants, and sketchy images of immigrants through advertisements. The main effect of each type of contact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rect conta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rect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explor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intimate-direct contact and superficial-direct contac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such that the more the direct contact,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but intimate-direct contact had a greater impact than superficial contact. However, the main effect of indirect contact varied by the type of indirect contact (i.e., exposure to images of immigrants via media). Exposure to favorable or victimized images of immigr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le exposure to threatening images of immigrants had a negative effect. More interestingly, the effect of superficial-direct contact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a few types of indirect contact. However, the effect of intimate-direct contact was not moderated by any types of indirect conta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direct and indirect contact in promot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ore importantly, show that indirect contact through the media can substitute for adult individuals’ limited direct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help them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immigrants.

      • KCI등재

        광학적 방법으로 측정된 양자우물 안의 InAs 양자점의 에너지 준위

        형도,곽호상,송진동,최원준,조운조,이정일,조용훈,최정우,양해석,Nam H.D.,Kwack H.S.,Doynnette L.,Song J.D.,Choi W.J.,Cho W.J.,Lee J.I.,Cho Y.H.,Julien F.H.,Choe J.W.,Yang H.S. 한국진공학회 200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5 No.2

        PL (photoluminescence), PLE (PL excitation) 그리고 근 적외선 투과 분광법을 활용하여 InAsGa/GaAs 우물 내 InAs 양자점 구조의 광학적 특성과 전자 버금 띠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투과 스펙트럼과 PLE 스펙트럼으로부터 InAs 양자점 내 세 개의 구속 상태와 InGaAs/GaAs 우물 내에 두 개의 구속 상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광전류 스펙트럼에서 관측된 버금 띠 사이 전이들과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optical property and the electronic subband structure of InAs quantum dots in an InAsGa/GaAs well structure utilizing photoluminescence (PL), PL excitation (PLE) and near infrared transmission spectroscopy. From transmission and PLE spectra, we found three bound states in the InAs quantum dot and two bound states in InGaAs/GaAs quantum well, and correlated to the results of intersubband transitions observed in photocurrent spectrum.

      • 피로균열진전하의 하중감소에 의한 균열지연

        기우(K. W. Nam),김현수(H. S. Kim),안석환(S. H. Ahn),박인덕(I. D. Park),도재윤(J. Y. Do) 대한기계학회 200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2 No.10

        Fatigue life and crack retardation behavior were examined experimentally using CT specimens of aluminum alloy 5083. Crack retardation life and fatigue life were a wide difference. between 0.8 and 0.6 in proportion to ratio of load reduction. The wheeler model retardation parameter was used successfully to predict crack growth behavior. By using a crack propagation rule, prediction of fatigue life can be evaluated quantitatively.

      • 터보 압축기 임펠러-디퓨저 유동장에 대한 정상상태 해석

        삼식(S. S. Nam),박일영(I. Y. Park),이성룡(S. R. Lee),주병수(B. S. Ju),황영수(Y. S. Hwang),인배석(B. S. In) 한국유체기계학회 2005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Vol.- No.-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several centrifugal compressors. In order to impose an appropriate physics at the interface between impeller and vaned diffuser numerically, two different techniques, frozen rotor and stage models, were applied an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prototype test data. An equivalent sand-grain roughness height was utilized in the present computational study to consider a relative surface roughness effect on the stage performance simulated. From a series of investigations, it was found that the stage model is more suitable than the frozen rotor scheme for the steady interactions between impeller and diffuser in turbocompressor applications. It is supposed that the solution by frozen rotor scheme is inclined to overrate the non-uniformity of the flow fields. The predicted aerodynamic performance accounting for surface roughness effect shows favorable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Simulations based on the aerodynamically smooth surface assumption tend to overestimate the stag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