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ESL Writers' Vocabulary Usage Patterns in Cultural Comparison

        Nam, Daehyeon(남대현)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0 영어교과교육 Vol.9 No.2

        Writing activity generally requires multiple levels of language performance, from the grammar or vocabulary knowledge to the organization of thoughts, ideas, and views on topics. Therefore, writing samples can be good source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investigate the L2 writers' thoughts on certain topics. Twenty-four college-level Korean ESL learners’ expository writing samples, compa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are analyzed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SL writings. A corpus-based text analysis method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writing sampl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word frequency list, key words, and concordance. The results reveal that: (1) the writers use pronouns selectively depending on how they view and position themselves in the context of their own writings; (2) the writers show limited productive vocabulary in writing when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3) the Korean ESL writers tend to use gender-biased examples when comparing the Korean and American cultur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writing instru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원자력과학공학 학술 논문에 나타난 기능적 어휘다발 분석

        남대현(Daehyeon Na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로 작성된 원자력과학공학 학술 논문에 나타나는 어휘다발을 담화기능에 따라 분류한 후, 분류된 어휘다발이 일반 학술 논문에 나타나는 어휘뭉치와 비교하여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원자력과학공학 논문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제작한 약 1백만 단어의 코퍼스에서 기능적 어휘다발을 추출한 후 이를 75만 단어 크기의 일반 학술 논문 코퍼스에 나타난 어휘다발 분포와 빈도를 카이제곱 검정과 표준화 잔차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자력과학공학 분야에서는 일반 학술 논문과 비교했을 때 저자태도와 관련한 어휘다발이 주로 사용되었고, 어휘다발 사용에 있어서는 다양성이 결여된 어휘다발 사용이 나타나 동일한 타입의 어휘다발을 재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자력과학공학 학술목적영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unctionally classify lexical bundles appearing in academic papers on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written in English and then analyze the lexical bundles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appearing in general academic papers. To this end, the texts of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were collected and produced as a corpus(c. 1 mil. tokens). Then they were statistically compared through Chi-square tests and standardized residuals with the corpus of general academic papers(c. 750,000 tokens).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pared to general academic papers, the bundles in the stance lexical bundle category were mainly used among the functional lexical bundle in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The use of the lexical bundles lacked much variety. The same type of lexical bundles was re-used and recycl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further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한국인과 일본인 영어 학습자의 논쟁적 글쓰기에 나타난 어휘뭉치 구조 연구, 외국어 교육연구

        남대현 ( Daehyeon Na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6 외국어교육연구 Vol.30 No.3

        코퍼스언어학 분석방법이 발전함에 따라 언어에서 반복적인 단어배열로 나타나는 어휘뭉치(lexical bundle)라는 개념이 학술적 산문이나 대화체의 언어사용역(register)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표지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대학생들의 논쟁적 글쓰기에 나타나는 어휘뭉치의 구조적 분포에 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두 모국어화자 집단이 작성한 영어 작문을 기반으로 각각20만개의 단어로 구성된 코퍼스를 구축한 후, 네 단어 어휘뭉치를 자동 추출하였다. 두 개의 코퍼스에서 추출된 어휘뭉치 유형(type)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어휘뭉치 항목(token) 분포에 있어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영어학습자는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어학습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광범위한 어휘뭉치 항목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어학습자는 논쟁적 글쓰기의 언어사용역에서 대화체의 특징을 반영하는 어휘뭉치를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영어교육 글쓰기 교육의 함의와 영어작문 코퍼스언어분석을 사용하는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 또한 함께 제시한다. As the development of corpus linguistic analysis advances, lexical bundles, recurrent word sequences, have been recognized as crucial indicators of academic prose and conversation register.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lexical bundle structures distributed i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200,000-word corpora contributed by Korean and Japanese essays were built and four-word lexical bundles were automatically extracted.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of the lexical bundle frequencie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lexical bundle types. However, the Korean students use the lexical bundle tokens widely in academic prose. Conversely, the Japanese students use the lexical bundles in conversa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A Corpus-Based Analysis of Lexical Salience and Association in ESL Writing

        Nam Daehyeon(남대현) 새한영어영문학회 2012 새한영어영문학 Vol.54 No.3

        The current study reviews the concordancer as a vocabulary reference tool for the ESL writing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ESL writing quality. Corpus evidence, as studies of corpus-based language learning have argued, can be used to identify typical and atypical usages of vocabulary. The evidence also suggests what words are typically used in the target language writing contexts. Few studies analyzed the actual writing sample text data through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to confirm the arguments. Within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n, the current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ESL writing sample texts through the corpus linguistic text analysis method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 KCI등재

        코퍼스기반 원자력과학공학 영어 어휘분석

        남대현 ( Nam Daehyeo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7 언어와 정보 사회 Vol.30 No.-

        Drawing upon the recent attention to EAP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nd ESP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research and education using corpora,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the lexical patterns of English for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In addition to the linguistic features of specific English register, in S. Korea, the discourse around the discipline has been a critical news topic both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For this reason,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clear science English in research articles. From the keyword analysis and semantic prosody observation, it is found that the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English words can be characterized by idiosyncratic keyword distribution and the behavior with its collocates, yielding unexpected semantic prosody `aur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 useful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English stylistics. Further, the results can be utilized useful resources for developing an ESP education programs in a given discipline.

      • KCI등재

        L2 글쓰기 어휘 다발 연구: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화자의 비교

        박광현 ( Kwanghyun Park ),남대현 ( Daehyeon Na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2

        동아시아에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한국, 중국, 일본은 각각의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의 수사적 관점이 지나치게 단순화되어 연구되어왔다. 이러한 이유로 각 언어권 및 문화권이 독창적으로 유지해 온 독창성은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묶어져 동일한 수사적 패턴을 공유한다고 오랫동안 믿어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어학습자의 영작문에서도 그러한 수사학적 패턴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3국인 한국, 중국, 일본에서 각각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영어 학습자들이 작성한 논지적 에세이에 사용된 다중어휘표현 즉, 어휘 다발에 대한 사용 유형을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언어를 사용하는 영어학습자가 어떻게 다른 또는 유사한 패턴을 어휘 다발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은 각 언어를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의 논지적 에세이에서 구조적 어휘 다발 (즉, NP-, VP- 및 PP 기반 구조)과 기능적 어휘 다발 (즉, 저자 관점, 담화조직, 지시적)을 분류하여 각 언어 사용자의 논지적 에세이에 나타난 어휘 다발의 차이와 유사점을 카이 검정과 표준화 잔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들이 작성한 텍스트의 어휘 다발 사용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조적 및 기능적 패턴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전 대조수사학 연구에서 동아시아 국가라는 하나의 지역적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수사학적 패턴으로 단순화한 L2 글쓰기 양상과는 구별되는 유형으로 나타난다는 함의점을 제시한다. It has long been believed that East Asian countries share the same rhetorical patterns because of the over-simplifying perspectives of the rhetorical uniqueness of each country’s speakers. The current study examines lexical bundles in the argumentative essays produced by English learners in three Asian countries: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he analysis consists of two dimensions of lexical bundles (i.e., structure and function) to examine three structural components (i.e., NP-, VP-, and PP-based structures) and three functional components (i.e., stance, discourse organizer, and referential fun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idiosyncratic structural and functional patterns in the texts produced by the learners in these countries. That is, Chinese L2 learners prefer NP- and PP-based lexical bundles, while Japanese L2 learners prefer VP-based lexical bundles. Regarding the functional lexical bundle uses, Korean L2 learners prefer discourse organizers, while Chinese L2 learners more frequently use referential lexical bundles and Japanese L2 learners tend to use stance lexical bundles.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previous studies on L2 lexical bundle uses should be examined further by considering L1 background as an essential variable. What has been perceived as a characteristic of learners’ language production may be strongly influenced by masking their L1 effect.

      • KCI등재

        러시아어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 따른 어휘다발 연구

        이성민(Lee, Sungmin),남대현(Nam Daehye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1

        최근 코퍼스언어학의 한 주제로 다중단어배열체(multi-word sequence) 또는 어휘다발(lexical bundle)에 대한 연구가 조명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어휘다발이 구어체 또는 문어체와 같은 사용역(register)의 특징을 설명하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어의 구어체와 문어체에 나타나는 어휘다발을 추출하여 각각 문법구조와 담화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해당 사용역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Russian National Corpus에서 얻어진 1백만 단어 크기의 코퍼스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어체 러시아어에서는 동사구기반(VP-based) 어휘다발이 전체 어휘 어휘다발의 46.06%를 차지했지만, 문어체 러시아어에서는 단지 14.21%의 동사구기반 어휘다발이 발견되었다. 반면 문어체 러시아어에서는 64.09%에 달하는 어휘다발이 전치사구기반(PP-based) 어휘다발로 나타났다. 어휘다발의 기능적 분포의 경우 구어체 러시아어에서는 저자태도(stance)와 관련한 어휘다발이 문어체 러시아어와 비교하여 5배 정도 더 많은 분포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어체에서 지시표현(referential) 관련 어휘다발은 구어체의 지시표현 어휘다발보다 약 2배 정도 큰 분포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러시아어 어휘다발의 학문적, 실용적, 교육적 활용에 관한 제언 또한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of multi-word sequences or lexical bundles have been a focus of corpus-linguistic analysis because they can serve as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different registers of a language, such as spoken and written registers. In this respect,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how lexical bundles are distributed in spoken and written Russian in terms of their grammatical structure and discourse function. To this end, a one-million-word disambiguated Russian National Corpus is analyzed to extract lexical bundles and categorized. Then their distributions are calculated to investigate how the lexical bundles play different roles in the spoken and written Russian. The analysis found that there VP-based lexical bundles cover 46.06% of spoken Russian, while the bundles only cover 14.21% in written Russian. In written Russian, on the other hand, PP-based lexical bundles cover the largest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with 64.09%. For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it is found that stance bundles in spoken Russian cover 5 times larger than they cover in written Russian. Also, referential lexical bundles in written Russian cover twice as much as they cover in spoken Russia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use of Russian lexical bundle are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