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싱가포르의 이원적 코로나19 방역 전략과 그 함의

        김희숙 ( Kim Heesuk ),양영란 ( Yang Youngra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20 東亞 硏究 Vol.39 No.2

        외국인 노동자 기숙사를 중심으로 확산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집단 발병사태는 싱가포르의 말끔한 도시경관 뒤로 가려져 있던 이주노동자들의 열악한 거주환경, 그리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응에까지 적용된 싱가포르 사회의 위계적 사회질서의 부조리를 여실히 드러내었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 사태를 지역사회 감염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감염으로 규정하여, 일견 비슷해 보이지만 그 속성은 전혀 다른 두 종류의 대응 전략을 전개하였다. 하나는 지역사회 대응이라 할 수 있는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인 노동자 기숙사를 대상으로 한 ‘봉쇄(lockdown)’ 전략이다. 대상에 따라 서로 달리 적용된 이원적 방역 전략이 갖는 함의를 고찰함으로써 이 글은 팬데믹 시대를 맞아 한층 중요한 사회쟁점으로 부상한, 그리고 지역적 또는 지구적 차원에서의 협력과 조정을 긴급한 과제로 호출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는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novel coronavirus that causes COVID-19 has spread throughout Singapore’s migrant worker dormitories, clearly revealing these workers’ poor living conditions behind the country’s clean urban landscape and the absurdity of applying Singapore’s hierarchical social order whe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e Singapore government, which identifies COVID-19 as distinct from community infections, has developed two response strategies that seem similar but differ in important ways. One is the “circuit breaker” strategy,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local community, and the other is the “lockdown” strategy, which has been applied to migrant worker dormitories. By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this two-track containment strategy,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platform to discuss the safety and health of migrant workers, a topic that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in the face of the pandemic, and to urge regional and glob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n COVID-19 challenges.

      • KCI등재

        종교의식 ‘까테인’을 통해 본 미얀마 기부관행의 사회 문화적 의미

        김희숙 ( Kim Heesuk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건지인문학 Vol.0 No.23

        According to the 2017 World Giving Index report released by the Charities Aid Foundation in the UK, Myanmar has been ranked number one in donations since 2015. CAF analyzes that such a high contribution index in Myanmar is due to the donation practice of Theravada buddhism. However, such an analysis is superficial in two respects. First, the above analysis lacks an analysis of the cause of high donation index in the advanced western society including the United States. Second, it can not explain why the same results did not come out in societies such as Thailand and Laos which have the same buddhist tradition, and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people are Buddhist. In understanding the causes of social phenomena such as dona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socio-cultur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context in which such practices are performed rather than focusing on specific cultural elements such as religion. This paper explores the various meanings of ahlu, a concept of religious donation in Myanmar, and tries to analyze kahtein, which most clearly reveals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among ahlu ceremonies.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claims that ahlu, as a religious practice in the Myanmar society, functions as a mechanism to organize or reinforce social relations and therefore ahlu is a social practice whose qualitative attributes are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ncept of donation.

      • Rational Design of Hybrid Materials for Flexible/or Stretchable Thermoelectric Devices

        Heesuk Kim(김희숙)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As the practical demand for flexible power-conversion devices increases,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alternatives to brittle inorganic thermoelectric (TE) materials is essential. Flexible TE generators enable conformal contact with heat sources of arbitrary shape such as the human body, which offers an opportunity to realize self-powered wearable applications. Organic polymers, nano-carbons, and their hybrid materials have been investigated as possible alternatives for flexible TE materials due to their well-known advantages including flexibility, light-weight, and easy processability. Among them, the hybrid materials have great potential for use in flexible TE materials because of their high electrical conductivities and controllable Seebeck coefficients. Herein, we show the rationally designed flexible hybrid-materials with excellent TE performance. The strategy proposed here shows great potential for the preparation of flexible/or stretchable power-conversion devices.

      • KCI등재

        코로나19에 맞선 동남아의 대응: 초기 대처과정의 잠정적 함의

        김희숙(Heesuk Kim),김다혜(Dahye Kim),김현경(Hyun Kyoung Kim),양영란(Youngran Yang),유민지(Minji Yoo),전제성(Je seong Jeon)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2

        입국통제와 지역봉쇄, 일련의 거리두기 조치로 요약되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책은 적용 시기와 범위, 강도 면에서 차이가 있고, 그 결과는 연일 집계되는 확진건수와 사망건수의 차이로 가시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주목하여 동남아 각국 정부가 내놓은 코로나19 대응책의 시계열적 변화와 보건의료역량에 대한 비교검토를 통해 초기대응과 방역 성패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베트남과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의 국가가 이룩한 성과는 방역의 핵심이 감염 확산 전 초기 단계에서의 치밀한 검역과 적극적인 진단, 공중보건의료역량의 신속하고 전면적인 동원임을 말해준다. 반면 조기에 감염 확산을 막지 못한 국가들의 경우 강도 높은 사회통제 조치에 의존한 결과 사회안전망의 위기와 의료체계의 과부하에 따른 사망자 속출 사태에 직면하기에 이르렀다. 코로나19 사태는 감염병대응전략이 보편적 건강보장과 사회안전망의 강화를 위한 노력에 기초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다. 코로나19의 초국적 전개는 감염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와 협력을 긴급한 과제로 호출하고 있다. 4월 14일 개최된 아세안+3(한·중·일) 특별화상정상 회의는 코로나19에 대한 공동대응과 포스트 팬데믹 회복을 위한 국제적 공조의 첫 걸음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동아시아가 코로나19 시대의 ‘희망지대’로 부상한 지금이야말로 위기공동대응체계의 실질적 가동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할 때다. Government responses to COVID-19, which are summarized by immigration control, lockdown, and a series of distance-keeping measures, differ in terms of the time, scope, and intensity of their application, and the results are visualized by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death toll every day. This paper, focusing on this point,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responses of the COVID-19 put forward by government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their achievements. Countries such as Vietnam, Singapore and Brunei have successfully contained the spread of the virus, and the achievements of these countries indicates that the meticulous quarantine and proactive diagnosis at the ‘early stage’ before the spread of infection, and the rapid and comprehensive mobilization of public health capabilities are key to curbing the spread of the infection. However, countries that fail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at the early stage, belatedly implemented high-intensity social control measures, but faced a death toll spike due to the overload of the medical system. The COVID-19 crisis reminds us that the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trategy should be based on efforts to strengthen universal health coverage system and social safety nets. The transnational development of COVID-19 call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to curb the spread of infection as an urgent task. The Special ASEAN+3(the Republic of Korea, China and Japan) Summit on COVID-19 via videoconference on 14 April, can be evaluated as the first step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joint response to COVID-19 and post-pandemic recovery. Now that East Asia has emerged as the “hope zone” of the COVID-19 era, it is time to accelerate efforts to put the joint crisis response system into action.

      • KCI등재

        국제개발프로젝트를 둘러싼 미얀마 농촌마을의 정치과정

        김희숙(Kim, Heesu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근래 국제개발원조의 대안 모델로서 부상한 마을 단위 개발프로젝트는, 이른바 “참여적 개발”이라는 슬로건 아래 추진되고 있다. 이는 1980년대 이전까지의 주된 방식이었던 하향식 개발 모델의 한계에 대한 성찰에 기초하고 있다. 그 대안적 형태로서 참여적 개발은 현지 주민이 직접 개발과정에 참여케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러나 이는 수사적 목표에 불과하여, 실제 프로젝트가 실행되는 현장에서 주민이 직접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란 거의 없다. 오히려 현장에 상주하지 않는 외부 지원주체를 보조하여 마을에서 개발 사업을 실행할 새로운 조직이 구성됨에 따라 개발 자원과 혜택의 분배와 관련한 갈등이 촉발되고 있다. 또한 주민 참여를 명분으로 부과되는 자부담은 가난한 사람들을 우선시한다는 개발의 원칙에 배치되게도 이들을 배제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역설마저 낳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발 사업과 관련한 주민사회 내부의 정치과정을 묘사함으로써 참여적 개발 사업에 따른 현지 주민사회 내부 갈등의 원인이, 외부 지원 주체가 진단하는 바의, 개발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요구되는 주민의 의식 수준 문제로 환원될 수 없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와 함께 개발이 공여국-수원국 간의 불균등한 권력관계 및 주민사회 내부의 정치구조와 맞물려 매우 첨예한 정치적 장을 생성해낸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The village-based development project,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model, is widely being carried out under the slogan of ‘participatory development’ recently. The participatory village development model, newly devi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ast top-down model, claims to encourage villag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in the long run. However, there are almost no rooms for the ordinary villagers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villagers’ participation’ is just a rhetoric at the project site, where participatory development project is actually carried out. The new organization in the village, which is built to assist the foreign aid agency, often causes a conflict about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 resources and benefits. Ironically, the partial self-payment requirements ― initially imposed to promote villagers’ participation ― exclude poor villagers from the project and increase the inequality in the village. This article describes the internal political process of the development project in rural Myanmar and concludes that the reason of the internal conflicts cannot be reduced to ‘so-called’ low civil consciousness of the villagers, to which external aid agencies frequently attribute the conflict among the villagers. The author aims to prove that development project produces a political field with acute tension in the village, under the background of unequal power relation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and the internal political structure of the vill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