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 사업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 자연재해 홍수 취약성 평가

        김환석,박기정,김상단,최민하,박무종,윤재영,Kim. Hwan Suk,Park. Gi Jung,Kim. Sang Dan,Choi. Min Ha,Park. Moo Jong,Yoon. Jae You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응전략의 일환으로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취약성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전세계를 대상으로 실시된 국가단위 취약성 평가방법을 국내에 적용하는 것은 공간스케일의 차이로 인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평가의 국내적용의 일환으로서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사업 영향에 의한 취약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 및 가용 자료 검토를 통하여 취약성지표 대리변수를 선정하였고, 시군구별 자료를 수집하여 엔트로피 방법에 의해 대리변수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선정된 대리변수와 엔트로피 방법을 사용해 결정된 가중치를 활용해 취약성을 계산하고 이를 지도로 작성하여 검토한 결과 홍수취약성 높은 지역이 과거 침수피해지역과 상당부분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어 방법론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상태와 비교할 때 대규모 하천정비에 의해 취약성이 완화되는 지역이 있었으며, 미래 기후변화에 의해 취약성이 증가하는 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래상황에서의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의 효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증가로 인해 취약성 완화에 있어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취약도 우선순위 지역 판별을 통해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및 방재 계획 수립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As part of adaptation strategies, concept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introduced abroad to identify flood hotspots and to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there has been very few research on vulnerability domestically. In addition, vulnerability studies conducted at a country level was also reported to be unsuitable for sub-country level. In this study, we conduct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entropy method for the Nakdong River Basin as part of domestic application. Vulnerability for present condition are first determined, and then changes in vulner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and large-scale river restoration project to identify their impacts. To achieve this, proxy variables that make up the vulnerability index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data availability. Using data collected for this area, weights for proxy variables were then determined by entropy method. Finally, vulnerability was calculated and mapped for the basin. Reviewing the vulnerability maps showed that vulnerability hotspots were consistent with historical flooded areas for present condition. This suggests that the methodology employed is reasonable. The results for future scenario also showed that there were areas where vulnerability is mitigated by the large-scale river restoration project but also increased by climate change. However, the effect of the project in the future is found to be minimal because the decrease in water level by the project is offset by the increase in runoff due to climate change.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ought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the disaster prevention plan and climate-change adaptation policy by identifying hotspo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기술 시대의 연구윤리

        김환석(Kim Hwan-Suk) 한국생명윤리학회 2001 생명윤리 Vol.2 No.2

        Over the last one hundred years, science and technology have had profound effects on human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e eff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may b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But the recent rapid industrialization of science, as can beseen in biotechnology, has heightened the actual and potential risks and has thus led to social controversies. Although the final decision to develop(or not) particular technologies may be in the hands of government or industries, it is scientists who do research such technologies and offer them. So the research ethics of scientists is very important.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risk society' which requires, as some writers named, 'reflexive scientization' or 'post-normal science'. Both of these concepts indicate that scientists should cast off their authority as experts and instead co-operate with the public to meet the risks and uncertainty of the consequences of science. This means the democratization of science, which is, in my view, also the research ethics required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김환석(Hwan-suk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14 과학기술학연구 Vol.14 No.1

        지난 40여 년 동안 의료에 대한 사회과학의 지배적 관점은 ‘의료화’ 이론이었는데, 이는 비의학적 현상으로 취급되던 문제(예: 동성애, 알코올중독, 비만 등)를 질병으로 재정의하여 의학적 개입의 영역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전문가의 권력이 확대되는 사회적 과정을 가리켰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이후 의료 분야에서 생물과학과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른 급속한 기술과학적 변화와 이와 연관된 생명경제 등 새로운 사회적 배치의 출현은 최근 ‘생의료화’ 이론이라는 새로운 사회과학적 관점을 대두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 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및 과학기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기본 작업의 하나로서 의료화 이론과 생의료화 이론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또한 이 중에서 어떤 이론이 더 적실성이 있는가를 정신장애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적어도 정신장애의 경우에 의료화는 19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온 것이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는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섯 가지의 핵심적 과정들도 대체로 관찰되며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정신장애에 대한 위험?감시의 기술을 제외하곤) 보인다. 이것은 의료화가 지속적으로 관철은 되어 왔지만, 단지 의료적 영역의 양적 확대가 아니라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질적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화의 개념이 비록 오늘날에도 타당하고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적절하고 충분하게 포착되지 않는 새로운 현상들을 생의료화의 개념이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고 인정할 수 있다. Over the last forty years, the dominant perspective of social science on medicine has been the medicalization theory. It indicates the social process of expanding power of medical professionals by (re)defining the problems which were treated as non-medical phenomena(e.g. homosexuality, alcoholism, obesity, etc.) into "diseases" and thus the spheres of medical intervention. Meanwhile, rapid technoscientific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owing to the diffusion of biological sc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since the mid-1980s and the accompanying emergence of new social arrangements such as bioeconomy and biological citizenship have led to the rise of a new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called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two theories and assess their merits and demerits as a basic work to deepen the understandings of sociology and STS on contemporary medicine. And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ir relative relevance through the case of mental disorder. The analysis on the case of mental disorder clearly shows that the medicalization in that area seems to have continuously proceeded since the early 19th centiry to the present. Furthermore, it also seems true that the five central processes of biomedicalization(except for risk surveillance technologies of mental disorder) have been observed and realized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medicalization has consistently proceeded, it has not been limited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dical field but been extended to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sserted by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erefore, while the concept of medicalization is valid and significant even today,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biomedicalization allow us to capture the new phenomena which cannot be properly and sufficiently captured by that of medicaliz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회과학과 신유물론 패러다임 : 사회학 분야를 중심으로

        김환석 ( Kim Hwan-suk ) 영미문학연구회 2020 안과 밖 Vol.0 No.48

        The Western social science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strong anthropocentric dualism based on the legacy of humanism. However, in the early 2000s, a new paradigm called ‘new materialism’ has emerged, attempting a post-anthropocentric turn by emphasizing the symmetric and entangled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the worl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at this new materialism is and how ‘new’ and ‘different’ it is from the existing paradigms of the Western social sciences such as positivism, social constructivism, and critical realism. Then this study will highlight some key aspects of new materialist paradigm and its four major theoretical approaches among many. This study will also explore what this new paradigm can offer to both sociology and research methodology. In the latter, we will examine new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provided by the concept of ‘research-assemblage’ emerging from new materialism, and what this means for empirical social inquiry and policy development. This study will conclude that new materialism can contribute to not only the development of post-anthropocentric social research, but also the movement of ‘ecologization’ to overcome our ecological crisis of the Anthropocene in both the global and Korean contexts.

      • KCI등재후보

        코스모폴리틱스(Cosmopolitics)와 기술사회의 민주주의

        김환석 ( Hwan-suk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오늘날의 과학적 생산은 실험실이 전지구로 확장되고 비전문가도 참여하며 현실과 동일한 규모이자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집합적 실험`의 시대가 되었다. 스탕게르스와 라투르를 비롯하여 최근 많은 학자들은 집합적 실험 시대의 새로운 정치를 `코스모폴리틱스`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은 코스모폴리틱스가 무엇인지를 소개하고 이것이 사전주의원칙과 기술사회의 민주주의에 갖는 함의를 간략히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scientific production today is characterized by the `collective experiments`, in which laboratories are extended globally, non-experts as well as experts can participate, and experiments are done at the same scale as realities and in real time. Recently, many scholars including Stengers and Latour have suggested `cosmopolitics` as a model of new politics in the era of such collective experiments.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what cosmopolitics is, and to briefly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nd the democracy in a technologic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