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행제왕절개 임부의 유도분만

        김윤하(Yoon Ha Kim),송태복(Tae Bok Song),김형춘(Hyoung Choon Kim),김기민(Ki Min Kim),이경철(Kung Chol Lee),김석모(Seok Mo Kim),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선행제왕절개 임부에서 유도분만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86년 4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만 13년 2개월동안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선행제왕절개술 임부중 유도분만을 하였던 시도분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1. 선행제왕절개 임부는 2252명이었으며, 이중 시험분만을 하였던 경우는 1256예(55.8%)이었으며, 996명(44.2%)에서 분만진통전에 반복제왕절개를 하였다. 2. 시험분만 하였던 1256명중에서 유도분만은 283예(22.5%)이었고. 자연진통이 왔던 경우는 973예(77.5%)이었다. 3. 유도분만군에서 79.2%(224/283)에서 질식 분만하였고 20.8%(59/283)에서 제절분만 하였으며, 자연진통군에서는 82.9%(807/973)에서 질식분만을 하였고 17.1%(142/973)에서는 제절분만을 하였다. 이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유도분만의 방법을 보면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이 36.0%(102/283), 양막외방법이 24.0% (68/283), 옥시토신 20.8%(59/283), 미소프로스톨 6.4%(18/283), 기타 12.8%(36/283)이었다. 5. 자연진통군에서 자궁열개 1예(0.10%), 자궁파열 3예(0.31%)이 발생하였으며, 산모사망은 없었고 신생아 사망은 자궁파열되었던 경우 2예(0.21%)에서 있었다. 유도분만군에서 자궁열개 2예(0.72%), 자궁파열 3예(1.08%)가 있었고 산모와 신생아 사망은 없었다.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가 7점미만 경우는 자연진통분만군에서 43예(4.4%), 37예(3.8%)와 유도분만군에서 18예(6.4%), 15예(5.3%)가 있었다. 이러한 산모와 신생아의 결과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선행제왕절개임부의 유도분만이 엄격한 대상선정, 적합한 유도약제의 선택, 면밀한 관찰하에 조심스럽게 시도된다면 안전하고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abor induction in patients previously delivered by a low transverse cesarean section. Method : A retrospective review was don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wangju, Korea. All patients with a previous cesarean section who required labor induction from April, 1986 to June, 1999 were identified. Outcome of labor induction, including mode of delivery, maternal and perinatal morbidity, and birth trauma were evaluated. Results : Trial of labor was undertaken by 1256 women(55.8%) who had previously been delivered by a low transverse cesarean section. 973 patients(77.5%) with a previous cesarean birth had a spontaneous onset of labor. Labor was induced in 283 patients(22.5%) with a previous cesarean birth. Successful vaginal delivery rate were 82.9%(807/973) in spontaneous labor and 79.2%(224/283) in induced labor group (p= N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uterine dehiscence and rupture rate, perinatal and maternal mortality rate, and the rate of infants with low 1 or 5-minute Apgar scores between patients attempting a trial of labor after cesarean, spontaneous and induce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labor induction in patients with a previous low transverse cesarean section is a safe procedure requiring close peripartum maternal and fetal surveillance.

      • KCI등재후보

        Control Mechanisms of Ovulation by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이여일,김형춘,김미영,전상영,Lee, Yu-Il,Kim, Hyoung-Choon,Kim, Mi-Young,Chun, Sang-Young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2

        배 경: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은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된 신경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난소에도 존재하여 배양된 과립막 세포에서 스테로이드합성과 cyclic AMP 형성을 촉진함이 보고되었다. 목 적: 흰쥐 난소를 실험 모델로 사용하여 배란시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 유도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과 신호 전달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미성숙 흰쥐의 배란전 난포를 체외 배양하면서 LH로 처리하고 PACAP 및 PACAP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을 보기 위해서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ISH)을, 그리고 단백질 수준의 PACAP 검색을 위해서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LH 처리 후 Northern blot상의 PACAP 유전자 발현은 6~9시간에 일시적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ISH로 보아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ELISA 분석 상 PACAP 단백질도 LH처리 후 6~12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PACAP 수용체 mRNA 역시 3~9시간에 최고치로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Adenylate cyclase (AC) 억제제인 MDL12330A 처리시 LH로 발현된 PACAP mRNA가 감소되며, AC의 활성제인 forskolin 처리에는 LH시와 유사한 PACAP mRNA의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제인 chelerythrine과 2-0-tetradecanolphorbol-13-acetate (TPA) 처리로는 PACAP 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lipoxygenase의 억제제인 MK886이나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로 처리한 결과 LH로 유도된 PACAP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나,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indomethacin은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MEK와 p38의 억제제인 PD98059와 SB203580도 LH로 촉진 된 PACAP의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결 론 : 배란전 난포에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은 모두 LH의 폭발적 분비에 의해 유도되어 일시적으로 과립막 세포에서 나타나 배란을 위한 국소적인 조절 작용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LH로 촉진된 PACAP 유전자 발현을 위한 신호전달은 cAMP-PKA, lipoxygenase 및 MAP kinase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근층내 자궁근종에 대한 복강경하 근종적출술의 안정성과 유용성에 관한 고찰

        오성택,김형춘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4

        목적: 복강경하 근층내 자궁근종적출술을 시행한 가임여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신율과 임신경과를 알아보고 임신시 초음파를 이용한 자궁벽의 두께측정과 합병증을 조사한후 복식 근종적출술을 한 환자와 비교하여 복강경하 근종적출술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1991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근층내 자궁근종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 95명에서 복강경하 근종적출술을 한 환자 42명(A군)과 복식 근종적출술을 시행한 환자 53명(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만력, 자궁근종의 크기, 자궁근종의 갯수, 근종절제술의 적응증, 유산, 분만방법, 분만시 합병증등을 조사하였다. 임신한 환자들은 임신 제2분기와 3분기에 초음파 Aloka SSD-2000를 이용하여 자궁벽의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제왕절개술 시에는 수술시야에서 자궁벽의 두께를 확인하였고 자연분만시에는 분만후 초음파로 확인하였다. 결과: 1.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A군에는 32.84.6세 , B군에서는 32.45.1세였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시간, 입원기간, 수술합병증에 있어서는 A군과 B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시 출혈량에 있어서는 A군에서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2. 자궁근종적출술후 임신율은 A군에서는 47.6%(20/42)였고 B군에서는 49.1%(26/53)이었으며, 분만에 성공한 환자의 비율은 A군에서 80%(16/20) B군에서 76.9%(20/26)이었다. 유산은 20%(4/20)와 19.2%(5/26)를 나타냈고, 자궁외 임신은 B군에서 1례로서 임신율과 임신경과에 따른 결과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임신중에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조기양막파수가 B군 1예, 조산은 B군 1예, 임신중독증은 A군 1예 B군 1예 각각 있었으며 합병증의 발생율은 A군과 B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분만망법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제왕절개술 분만을 시행하였으나 질식분만의 경우도 A군에서 1예, B군에서 4예 있었다. 5. 분만시 평균 임신주수는 A군에서 38.02.2주, B군에서 38.21.9주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수술시에 선행 근종적출술 부위의 상태는 자궁과 주위조직의 유착이 A군 5예, B군 7예, 자궁열개는 B군에서 1예 있었다. 7. 임신시 측정한 자궁벽의 평균두께는 A 군과 B 군에서 각각 임신 제 2/3분기에서 4.22.5mm와 4.02.8mm였으며, 임신 제 3/3분기에서 4.02.7mm와 3.82.5mm였고, 분만시에는 4.02.5mm와 3.92.7mm 로서 각각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복강경하 자궁근종 적출술은 복식 자궁적출술에 비해 위험성이나 임신 실패율 및 합병증의 증가없이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laparoscopic myomectomy compare to abdominal myomectomy in pregnancy outcome through estimating the uterine wall thickness in second, third trimester pregnancy and delivery. Materials and Methods: Total number of patients underwent operations for intramural myomectomy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Chonnam University Hospital was 95. Patients underwent laparoscopic myomectomy(Group A) patients are 42 and abdominal myomectomy (Group B) are 53 patients. Age, parity, size of fibroid, number of fibroid, indications of myomectomy, pregnancy loss, delivery methods and complications during delivery were evaluated. Uterine wall thickness in second and third trimester pregnancy was measured by Aloka SSD-2000 sonography. Results: Mean age of patients was 32.84.6 years in Group A and 32.45.1 years in Group B. Operation time, admission peri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t sinificantly different but operative blood loss was significantly small amount in Group A(p=0.001). Pregnancy rates was 47.6%(20/42) in Group A and 49.1%(26/53) in Group B after surgery(p=0.182). Successful delivery was 80%(16/20) in Group A and 76.9%(20/26) in Group B(p=0.182). Early pregnancy loss was 20%(4/20) in Group A and 19.2%(5/26) in Group B. Therefore pregnancy rates and successful delive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Group A and B. Complications of pregnancy wer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eterm labor,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B. In delivery methods, elective cesarean section was done 15 in Group A and 16 in Group B. Vaginal delivery was done 1 in Group A and 4 in Group B. Early pregnancy loss was 4 in Group A and 6 in Group B. Mean gestational weeks was 38.02.2 in Group A and 38.21.9 in Group B. In operative findings, adhesion was 5 in Group A and 7 in Group B at previous myomectomy site. Only one case was uterine wall thinning in Group B but maternal and fetal conditions were good. Mean uterine wall thickness was 4.2 2.5mm in Group A and 4.0 2.8mm in Group B at 2nd trimester, 4.0 2.7mm in Group A and 3.8 2.5mm in Group B at 3rd trimester, 4.0 2.5mm in Group A and 3.9 2.7mm in Group B at delivery. Conclusion: We conclude that pregnancy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is safe, useful method comparable to abdominal myomectomy without increased risk of pregnancy loss and complications.

      • KCI등재

        FIGO 병기 Ib 기와 IIa 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시행한 근치적 복식 경부절제술 (Radical abdominal trachelectomy) 2예의 예비적 보고

        신광식,변지수,최호선,김석모,김형춘,남종희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5

        전통적으로 조기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근치적 자궁절제술 또는 방사선치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젊은 여성에서 자궁경부암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 생식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보존적 치료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1986년 Dargent 등에 의해 자궁은 보존하면서 경부와, 자궁방 결합조직, 그리고 질 상부를 제거하는 보존적 수술방법인 근치적 경부절제술을 처음으로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치료에 시술한 이후 근치적 자궁적출술과 비슷한 재발율과 수술후 성공적인 임신과 분만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여러 학자들의 결과를 보면, 근치적 경부절제술은 젊고 임신을 원하는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시술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로 보이나, 전통적 수술인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대체할 수 있는 수술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치료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더 많은 연구와 시간이 요구된다고 사료되며 본 교실이 시행한 2건의 근치적 복식 경부절제술 및 골반내 임파절 절제술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raditionally, radical hysterectomy is the main surgical method for the treatment of early cervical carcinoma and always results in the loss of fertility. But, large numbers of young women are recently being diagnosed with cervical carcinoma and fertility preservation has become a concern. So, there has been a move towards more conservative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carcinoma in recent years. Radical trachelectomy, which allows preservation of uterus but removes the cervix, parametrium and upper one third of the vagina, is a conservative but locally radical procedure. We performed radical abdominal trachelectomy with pelvic lymphadenectomy for two cases of invasive cervical carcinomas, which may be the first report in korea. One patient was 37 years old single women who had stage Ib cervical cancer and was disease free for 17 months after treatment. The other patient was 19 years old student who was also single and had stage IIa cervical cancer and was disease free for 14 months after treatment. We report the first two cases and review the literature on radical trachelec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