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수풍뎅이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김하곤,강경홍,Kim, Ha-Gon,Kang, Kyung-H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3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풍뎅이류 중에서 가장 큰 장수풍뎅이의 형태와 생육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성충은 야외에서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출현하며,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7월 중순이고, 1년에 1회 발생하였다. 유충은 부엽토속에서 서식하며, 10월 하순까지는 모두 3령이 되어 월동하였다. 실내에서 암컷 1마리당 평균 24개를 산란하였고, $25^{\circ}C$와 $30^{\circ}C$에서 사육한 결과 알, 유충, 번데기 기간은 모두 높은 온도에서 짧았다.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집단사육 시 보다는 개별사육시에, 생육온도는 낮은 온도에서 더 길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Allomyrina dichotoma in Korea. The imaginal stage was from late June to late August, and the advent of imagoes was the most frequent in mid-July. The larvae inhibited in humus and the period of larva was all completed in late October. At the stage of the third larva, the larvae entered into the hibernation. The average number of laid eggs was 24, and all periods of each stage - eggs, first, second, third instar larvae and pupa - were shortened in $30^{\circ}C$ than in $25^{\circ}C$. As for the longevity of imagoes, female, reared in individual and in low temperature lived longer than male, in group and in high temperature, respectively.

      • KCI등재

        흰점박이꽃무지(딱정벌레목: 풍뎅이과)와 장수풍뎅이(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의 비상활동과 유충의 활동

        김하곤,강경홍,Kim, Ha-Gon,Kang, Kyung-H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2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비상활동은 6월 중순부터 9월 상순이며, 장수풍뎅이 (Allomyrina dichotoma) 비상활동은 6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이다. 두 종의 비상활동은 모두 강수에 영향을 받아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적은 해에는 비상활동이 활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3령충은 온도에 따른 분포깊이에 영향이 없었으나, 장수풍뎅이 3령 유충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고온에서는 대부분의 개체들이 표면에 분포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3령충은 과습한 상태가 분포깊이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장수풍뎅이 유충은 과습한 상태에는 대부분이 표면 근처에 분포한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죽은 개체의 속을 파먹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돼지고기, 닭고기, 생고등어, 식빵, 사과, 배 등을 투여한 결과, 흰점박이꽃무지는 모두 잘 섭식하나 장수풍뎅이는 빵만을 섭식하였다. 두 종은 유사한 환경에서 서식하나 식이는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Imago's flight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were from mid June to early September, and those of Allomyrina dichotoma were from mid June to late August. These activities were mainly influenced by amount and duration of rain. They were more active when there was small amount and short period of rain in a year. Distribution depth of the 3$^{rd}$ larvae of P. brevitarsis were not affected to the temperature. But A. dichotoma were sensitively react to the temperature, almost larvae were near the surface when high temperature. The distribution of P. brevitarsis was not affected by humidity, but most of A. dichotoma were near the surface when high humidity. Larvae of P. brevitarsis usually ate their dead individuals. When we supplied as food the pork, chicken, fresh mackerel, bread, apple, and pear. They took all of these food but larvae of A. dichotoma took only bread. Two species were lived in similar environment but those feeding habit was very different.

      • KCI등재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산란과 발육에 미치는 환경요인

        김하곤,강경홍,황창연,Kim, Ha-Gon,Kang, Kyung-Hong,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우리나라에서 한약재로 활용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와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의 산란과 발육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을 밝히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엽토수분함량은 두 종 모두에서 과습이나 과습은 산란을 저하시켰고 산란 시 최적의 수분함량은 $65{\sim}75%$로 추정되었다. 부엽토 수분함량은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알 및 유충의 생존율과 발육기간, 그리고 유충의 섭식활동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들의 생육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and Allomyrina dichotoma, which have been used for an important traditional medicinal stuffs. The moisture contents of humus affected the oviposition of P. brevitarsis and A. dichotoma, showing a suitable condition in range of $65{\sim}75%$. Very high or very low moisture condition in humus decreased the egg laying of P. brevitarsis and A. dichotoma, Also, moisture condition of humus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on the egg and larval survival, egg developmental period, and feeding activity of P. brevitarsis and A. dichotoma.

      • KCI등재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육특성

        김하곤,강경홍,Kim Ha-Gon,Kang Kyung-H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in Korea. The imaginal stage was from in early July and the advent of imagoes was the most frequent in early August. Also few imagoes was entered into the hibernation. The larvae inhibited in humus and the period of larva was all completed in late November. At the stage of the third larva, the larvae entered into the hibernation. The average number of laid eggs was 152, and all periods of each stage - eggs, first, second, third instar larvae and pupa - were shortened in $30^{\circ}C$ than in $25^{\circ}C$. As for the longevity of imagoes, female, reared in individual and in low temperature lived longer than male, in group and in high temperature, respectively. 우리나라에서 약용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의 형태와 생육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성충은 야외에서 7월 상순 하순부터 출현하였으며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8월 상순이었다. 또한 소수의 개체는 성충으로 월동하였다. 유충은 부엽토속에서 서식하며 11월까지는 모두 3령이 되어 월동하였다. 실내에서 암컷 1마리당 평균 152개를 산란하였고, $25^{\circ}C$와 $30^{\circ}C$에서 사육한 결과 알, 유충, 번데기 기간은 모두 높은 온도에서 발육기간이 짧았다. 성충수명은 암컷이 수컷보다 길었고, 집단사육 시보다는 개별사육 시 길었고, 높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길었다.

      • 실내 사육실에서 늦반딧불이 암컷의 생물적 특성

        김하곤,정재훈,김강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무주군에서 2014년 6~7월 사이에 채집한 늦반딧불이 유충을 사육하여 생물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육실의 조건은 온도를 23℃, 습도는 75%, 광주기는 14L:10D로 하였다. 유충은 곳체다슬기(Semisulcospira gottschei)를 먹이로 하여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의 유충 기간을 사육하였다. 늦반딧불이의 전용기간, 번데기기간, 성충 기간과 산란수를 조사한 결과 전용기간은 4.3일, 번데기 기간은 9.7일, 암컷 성충기간은 10.7일이 걸렸다. 또한 산란 전기간은 5.3일, 산란기간은 4.5일 이였고, 암컷의 산란수는 65개 이였다. 일별 산란은 우화 후 4일까지 산란수가 전체 산란수의 약 95%를 차지하였다.

      • KCI등재

        애반딧불이(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의 생육 특성

        김하곤(Ha Gon Kim),권용정(Yong Jung Kwon),서상재(Sang Jae Suh)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애반딧불이의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23℃, R.H. 80%에서 사육에서 성충 수명은 암컷이 17.5±0.7일, 수컷이 20.6±1.0일으로 수컷이 다소 높았으나, 사육밀도별 유의차는 없었다. 성충 출현 후 최초 산란일은 1쌍 2.8±1.5일, 2쌍 2.5±1.5일, 3쌍 1.7±0.7일, 4쌍 1.3±0.5일로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란전기가 짧아졌다. 산란수는 평균 248.9±80.7개를 산란하며, 사육밀도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일별 산란은 산란 시작 1일째가 20.8%, 2일째 17.3%, 3일째 14.3%, 4일째 12.7%, 5일째 7.0%의 순으로 산란 시작 1일째가 가장 높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낮아졌다. 난기간은 21.8±0.7일이고, 부화율은 95.5±4.8%이었다. 유충 령기 구분은 탈피각과 유충반문으로 조사한 바 9령으로 확인되었고 1령 1.0±0.1일, 2령 3.3±0.2일, 3령 10.2±1.0일, 4령 6.8±0.5일, 5령 6.9±2.0일, 6령 15.4±4.1일, 7령 18.3±5.9일, 8령 25.8±8.7일, 9령 31.2±13.2일이었다. 성숙한 9령 유충은 2.8±0.8일 동안 용실을 만들고, 전용기간과 용기간은 4.6±0.9일과 5.6±0.7일이었으며, 성충이 된 후 약 3.8±0.4일 동안 뒷날개를 굳힌 후 용실을 뚫고 탈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Luciola lateralis in Korea. Imago's longevity of female was 17.5±0.7 and male was 20.6±1.0 days at 23℃, R.H. 80%,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ccurred in breeding density. Pre-oviposition period was a pair 2.8±1.5, two pairs 2.5±1.5, three pairs 1.7±0.7, four pairs 1.3±0.5 days and pre-oviposition period was shorten in higher breeding density. The mean of laying eggs was 248.9±80.7, was not related breeding density. Daily oviposition rate was 1st day 20.8%, 2nd 17.3%, 3rd 14.3%, 4th 12.7%, 5th 7.0%, the rate was highest in 1st day and gradually reduced. Egg period was 21.8±0.7 days and hatchability was 95.5±4.8%. Larval instar was identified the 9th instar, the evidence was able to its skin and marking pattern. Larval period of each instar was 1st 1.0±0.1, 2nd 3.3±0.2, 3rd 10.2±1.0, 4th 6.8±0.5, 5th 6.9±2.0, 6th 15.4±4.1, 7th 18.3±5.9, 8th 25.8±8.7, 9th 31.2±13.2 days. Matured 9th larva was made of cocoon during 2.8±0.8 days and pre-pupal, pupal period was 4.6±0.9, 5.6±0.7 days. Imago was made hard hind wing during 3.8±0.4 days in cocoon and come out.

      • 애반딧불이 알과 성충의 계절적 특성

        김지수,김하곤,정재훈,이상계,김정준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애반딧불이(Luciolalateralis)의 계절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육실 온도를 20±0.5℃, 습도는 75±5%, 광주기는 16L:8D로 하여 조사한 결과 겨울 산란수 162.0±8.67개, 봄 226.9±15.84개, 여름 166.6±9.3개, 산란기간 겨울 6.9±0.59일, 봄 16.1±1.10일, 여름 8.2±0.61일, 산란 간격 겨울 2.5±0.22일, 봄 3.9±0.25일, 여름 2.3±0.14, 산란 횟수 겨울 3.1±0.17회, 봄 4.1±0.29회, 여름 3.9±0.23회, 일회 산란수 겨울 52.2±4.56개, 봄 55.9±4.38개, 여름 42.2±3.76, 난기간 겨울 25.3±0.13, 봄 29.6±0.18, 여름 26.8±0.09이었으며 부화하는데 걸리는 기간 겨울 3.0±0.28일, 봄 6.4±0.50일, 여름 4.6±0.32 부화율 겨울 99.9%, 봄 98.9%, 여름 100%였다. 계절별 성충 수명 겨울 암컷 15.8±0.15일, 수컷 20.8±0.21일 이었으며, 봄 암컷 18.0±0.31, 수컷 21.4±0.37일 이었고, 여름 암컷 16.7±0.43일, 수컷 16.3±0.74일 계절별 성충 수명을 보면 겨울 17.9±0.14일, 봄 19.7±0.25일, 여름 16.5±0.43 이었다.

      • KCI등재

        애반딧불이 실내사육과정에서 알과 성충의 계절적 특성

        김강혁,김하곤,정재훈,Kim, Kang-Hyeok,Kim, Ha-Gon,Jeong, Jae-H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3

        Seasonal changes in the firefly (Luciola lateralis) were studied in the laboratory to underst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Fecundity varies with seasons; these were measures at $162.0{\pm}8.67$ in the winter, $226.9{\pm}15.84$ in the spring and $166.6{\pm}9.3$ in the summer. Seasonal change also influenced oviposition period ($6.9{\pm}0.59$ days in the winter, $16.1{\pm}1.10$ days in the spring and $8.2{\pm}0.61$ days in the summer). The firefly oviposited every $2.5{\pm}0.22$ days in the winter, $3.9{\pm}0.25$ days in the spring, and $2.3{\pm}0.14$ days in the summer. Oviposition occurred 3 times in the winter, and 4 times in the spring and summer. The number of eggs per cycle was $52.2{\pm}4.56$ and $55.9{\pm}4.38$ in winter and spring, respectively, and was lower in the summer ($42.2{\pm}3.76$). Egg period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seasons. The life span of the firefly was $17.9{\pm}0.14$ days in the winter, $19.7{\pm}0.25$ days in the spring and $16.5{\pm}0.43$ days in the summer. 실험실 내에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의 계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산란 수는 겨울 $162.0{\pm}8.67$개, 봄 $226.9{\pm}15.84$개, 여름 $166.6{\pm}9.3$개였다. 산란 기간은 겨울 $6.9{\pm}0.59$일, 봄 $16.1{\pm}1.10$일, 여름 $8.2{\pm}0.61$일 이였다. 산란 간격은 겨울 $2.5{\pm}0.22$일, 봄 $3.9{\pm}0.25$일, 여름 $2.3{\pm}0.14$일 이였고, 산란 횟수는 겨울 $3.1{\pm}0.17$회, 봄 $4.1{\pm}0.29$회, 여름 $3.9{\pm}0.23$회 이였으며, 일회 산란 수 겨울 $52.2{\pm}4.56$개, 봄 $55.9{\pm}4.38$개, 여름 $42.2{\pm}3.76$개였다. 난기간은 겨울 $25.3{\pm}0.13$일, 봄 $29.6{\pm}0.18$일, 여름 $26.8{\pm}0.09$일 이였으며 부화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겨울 $3.0{\pm}0.28$일, 봄 $6.4{\pm}0.50$일, 여름 $4.6{\pm}0.32$일 이였다. 알의 부화율은 겨울 99.9%, 봄 99%, 여름 100%이였다. 계절별 성충수명은 겨울 암컷 $15.8{\pm}0.15$일, 수컷 $20.8{\pm}0.21$일 이였으며, 봄 암컷 $18.0{\pm}0.31$, 수컷 $21.4{\pm}0.37$일 이였고, 여름 암컷 $16.7{\pm}0.43$일, 수컷 $16.3{\pm}0.74$일 이였다. 또한 성충의 평균 수명을 보면 겨울 $17.9{\pm}0.14$일, 봄 $19.7{\pm}0.25$일, 여름 $16.5{\pm}0.43$일 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