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TE/WLAN 이종망 환경에서 범용링크계층과 통합무선자 원관리 기법이 적용된 VHO 방안 연구

        김태섭 ( Tae-sub Kim ),오룡 ( Ryong Oh ),이상준 ( Sang-joon Lee ),윤석호 ( Suk-ho Yoon ),류승완 ( Seung-wan Ryu ),조충호 ( Choong-ho Ch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1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3세대 진화망인 LTE(long-Term Evolution), WiMAX/WiBro, 차세대 WLAN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All-IP 기반의 핵심망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 중첩된 다양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의 접속을 제공하거나 단말의 이동에 따라 중첩된 여러 접속망들 중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 접속하는 수직적 핸드오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각각의 네트워크가 독자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독립적인 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왔으므로, 이종망 환경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끊김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네트워크의 무선자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최근 이러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적 이동성을 위한 범용링크계층(GLL)과 통합무선자원관리(CRRM) 방식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와WLAN 사이에서의 수직적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핵심 기술 및 통합망의 구조, 그리고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수직적 핸드오버 제공을 위한 통합망의 구조와 통합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정의하고,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범용링크계층을 기반으로 정책기반과 다기준 의사결정법(MCDM)을 혼합한 수직적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은 수신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하는 방법과 다기준 의사결정법 방법에 비해 데이터 처리량, 핸드오버 성공확률, 서비스 사용비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F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verse wireless network techniques such as beyond 3G LTE, WiMAX/WiBro, and next generation WLAN etc. are proceeding to the form integrated into the All-IP core network. According to this development, Beyond 3G integrated into heterogeneous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must support the vertical handover and network to be used of several radio networks. However, unified management of each network is demanded since it is individually servic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s introducing the theory of Common Radio Resource Management (CRRM) based on Generic Link Layer (GLL). This study designs the structure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vertical handover and propose the vertical handover algorithm of which policy-based and MCDM are composed between LTE and WLAN systems using GLL and CRRM. Finally,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over the data throughput, handover success rate and the system service cost.

      • KCI등재

        The Canaanite Woman’s Story (Mt 15:21-28) and Its Implication for the Gentile Mission

        Kim Tae Sub(김태섭)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2

        마태복음에서 열방 선교명령(28:19-20)으로 대표되는 보편주의(universalism)와 배타적인 이스라엘 선교명령(10:5-6)로 대표되는 유대특수주의(particularism)의 관계는 많은 성서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편집비평적 관점은 마태복음이 마태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반영한다고 전제한다(the community-based approach).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마태의 유대공동체 안에는 이방선교에 대해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는 유대기독교인들이 있었을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반대하는 유대기독교인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긴장 가운데 있는 마태공동체에게, 가나안 여인의 이야기(마 15:21-28)는 그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 본문에 등장하는 예수는 처음에는 배타적인 입장의 목소리를 대변한다(15:24, 26 cf. 10). 그러나 그는 결국 가나안 여인의 믿음에 감동하여 종전의 배타적인 입장을 변경하고 이방 여인의 요청을 들어준다(15:28). 이러한 예수의 태도변화는 이방선교와 관련하여 긴장 가운데 있는 마태공동체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 마태는 특히 ‘선교담화’(10:5-42)에서 ‘제자들이란 그의 스승인 예수를 닮는다는, Imitatio Christi’의 주제를 부각시킨다. 그렇다면 가나안 여인의 이야기는 이방선교에 대해 배타적인 유대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예수를 닮아 배타적인 입장을 철회하고 이방선교에 대해 마음을 열 것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In Matthew 15:21-28 Jesus is portrayed to have initially dismissed a request of a Canaanite woman (vv. 24 and 26) and ultimately obliged her with healing her daughter (v. 28). This episode could influence upon or reflect the divergence and shift in attitude toward the Gentile mission in the Jewish Christian community of the Gospel of Matthew. This shift also marks the revision of missiology in Matthew’s community. Despite his later accommodation to her petition, Jesus’ initial refusal to the woman is so harsh and prominent that many exegetes have been led to believe in the restricted boundary of the earthly Jesus’ ministry (15:24, 26 cf. 10:5-6). I find it difficult to dismiss the conclusion of the story, however. It is more probable than not that Jesus’ harsh words of 15:25 would have resonated with the conservative Jewish members in the community who adhered to the exclusive scope of mission as attested in 10:5-6.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the role model for Christians to emulate particularly in the mission discourse (10:5-42) should affect the way in which the Matthean community interpreted Matthew 15:21-28. With respect to the missional orientation of the Matthew’s community, Matthew 15:21-28 is a rhetorical tour de force to persuade its conservative Jewish audience to embrace and join in the Gentile mission.

      • KCI등재

        한국교회의 천국(하나님 나라)에 대한 오해와 이해

        김태섭 ( Tae Sub Kim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종교와 문화 Vol.0 No.30

        In the Korean Church, the kingdom of heaven(God) has long been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postmortem Utopia. This idea is attributed especially to the early American missionaries, many of whom were influenced by John Nelson Darby, the founder of the dispensationalism in the late 19th century. Such an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has lingered well into the present day. For example, many Christian testimonies of NDE(near death experience) generally describe the kingdom of heaven(God) as the world after death, and always top the best-seller’s lists of our time. It should not, however, be missed that Jesus declared the kingdom of God as the present reality immanent in his followers(Lk 17:20-21; Mt 5:3, 10; 12:28; 13:44-46; cf. Mt 4:17), not only as the future world to enter after death. As seen in the first triad of the Lord’s prayer(Mt 6:9-10), the coming of God’s kingdom means the realization of God’s will on earth. Accordingly, the gist of the kingdom idea in the Bible is not spatiality but God’s sovereignty. Since Gustaf Dalman explained the kingdom of heaven(God) as God’s dominion, major theological works on this topic have been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Korea in the late 20th century. Recently, many momentous volumes are published by Korean theologians, pastors and lay Christians, which demand a modification i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kingdom of heaven(God). This change requires us not just to believe the kingdom of God, but to build it on earth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A POLITICAL IMPLICATION OF ‘FROM THE BABYLONIAN EXILE TO THE CHRIST’(MT 1:17) TO THE POSTWAR JEWISH READERS

        KIM Tae-Sub(김태섭)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4

        1세기 유대인들은 ‘여전히 포로 시대를 살고 있다’는 자의식을 지녔는가? 최근 신약 학자들 사이에서 이에 대한 논쟁이 다시 일어나고 있다. 제2성전기 유대교의 다양성을 염두에 둔다면, 이 주제에 대한 단편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본 소고(小考)는 당대의 유대 친화적인 복음서로 꼽히는 마태복음에 논의의 초점을 제한하고, ‘저자적 독자’(authorial reader)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태복음은 이스라엘의 영적 상태를 ‘죄(罪, 1:21)’와 ‘잃어버린 양(羊, 10:6)’으로 표현하고 있다. 비록 조상들이 바벨론으로부터 돌아왔지만, 이스라엘은 여전히 죄 가운데, 참 목자를 잃고, 사망의 땅과 그늘에 앉아 있다(4:16). 분명 이러한 묘사는 구약의 선지자들이 예언했던 회복된 이스라엘의 모습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사 60-66; 렘 31; 33; 겔 39-48; 미 4:1-8; 슥 8; 9:9-17; 12:10-13:1 등). 특히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의 멸망을 목도한 세대에게, 현재 이스라엘의 비참한 상황은 바벨론 포로시대의 그것과 다를 바 없어 보였다. 이러한 시대에 등장한 마태복음은 예수께서 ‘구원자’(1:21)요, ‘목자’(2:6)로 이스라엘에 보냄을 받으셨다고 선언한다. 그리하여 마태복음의 족보는 예수께서 오랜 ‘바벨론’ 포로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회복의 새 시대를 이룩할 인물이란 기대감을 나타낸다(1:12-17). 역사적 바벨론의 시대는 지나갔지만, 여전히 상징적 바벨론(로마)의 시대를 살고 있는 유대인 독자들에게 마태복음의 예수는 새로운 희망을 선사하는 것이다. It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debate among N.T. scholars whether Jews of the first century A.D. believed that they still remained in the exile, though their ancestors had already returned from Babylon centuries ago.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address this issue in the study of Matthew, arguing from authorial reader’s viewpoint that the exile was not deemed over to the Jewish readers of post 70’s who readily thought of Babylon as an epithet for Rome. According to the Gospel of Matthew, Israel is the people (lao,j) in need of salvation from ‘sins’ (Mt 1:21) and the ‘lost sheep without a shepherd’ (10:6 cf. 15:24). Despite the return from Babylon centuries ago, Israel’s current predicament is no better than the time of the exile. Yet, Matthew’s genealogy articulates that the Babylonian exile has its terminus in Jesus. This good news resonates, not least with the Jewish readers who have recently undergone the fall of Jerusalem. To them, Babylon reads like an epithet for Rome. Although Israel is now under the yoke of the symbolic Babylon, they can still hope that it will be reversed by Jesus, the Christ.

      • KCI등재

        MATTHEW’S COMPOSITIONAL PATTERN AND ITS MISSIONAL IMPLICATION

        KIM Tae-Sub(김태섭)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3

        그동안의 역사비평적 연구들은 복음서 본문들을 파편적·개별적으로 다루었던 반면, 각 본문들의 연결방식과 그것이 드러내는 신학적 의미를 다루는 데 소홀한 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연구는 ‘유대지도자들의 예수 배척 모티프’와 ‘이방선교 주제’를 나란히 배열하는 마태복음의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선교적 함의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편집비평적이며 서사비평적인 관점에서 관련 본문들을 분석한다. 마태복음에서 예수 배척 모티프는 수난본문에서만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마태복음 2장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음서의 모두(冒頭)에서부터 등장하여, 서사(敍事)의 흐름을 따라 그 윤곽이 서서히 뚜렷해진다. 그리하여 유대의 지도자들은 결국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고 그의 부활마저도 거짓 소문으로 은폐하고자 한다. 이처럼 유대지도자들의 ‘배척 모티프’는 마태복음의 진행을 따라 점점 더 강화되는데, 특별히 예수의 공생애를 서술하는 본문들 가운데 ‘배척 모티프’가 이전보다 더 강화되는 지점들이 있다(마 12:1-16; 15:1-20; 21:1-46; 28:11-15).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 네 개의 본문들 이후에 이어지는 내용들이 ‘이방선교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마 12:17-21; 15:21-28; 22:1-14; 28:16-20). 이러한 문학적 패턴은 결코 우연이라고 볼 수 없다. 이러한 패턴이 반복적으로 발견된다는 것은 ‘유대지도자들의 예수 배척’과 ‘이방선교’라는 두 주제가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라 신학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적 패턴을 통해 두 주제를 연결해 본다면, ‘유대지도자들의 예수 배척이 결국 이방으로 선교가 확대되는 중요한 이유’ 가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Matthew’s compositional pattern which often juxtaposes the motif of Jewish leaders’ rejection and the Gentile mission theme in close proximity, and attempts to unearth a theological implication embedded in their relationship. To this end, redaction-critical and narrative-critical approaches are employed to analyze the relevant passages. As widely recognized by the narrative critics, the rejection motif is found not only in the passion narrative but also throughout the Gospel. There are at least four substantial passages which constitute the ax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jection motif in Matthew’s narrative of Jesus’ public life (12:1-16; 15:1-20; 21:1-46; 28:11-15). The same is also true to the Gentile mission theme. While it is made explicit at the end of the Gospel, there are already numerous proleptic passages which signal the forthcoming inclusion of the Gentiles. Thus, when these two pervasive motifs are examined, a pattern is found: where the level of Jewish leaders’ rejection reaches higher (12:1-16; 15:1-20; 21:1-46; 28:11-15), a Gentile mission theme is also found in the ensuing context (12:17-21; 15:21-28; 22:1-14; 28:16-20). Give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two motifs in close proximity is found repeatedly, such a compositional pattern should be deemed more than accidental. The recurrent juxtaposition of these two themes reveals in fact a theological message: Jewish leaders’ rejection of Jesus results in expansion of the gospel to all nations.

      • KCI등재

        『신약젼셔』(1900) 사도행전 8:37에 관한 역사적 고찰

        김태섭(Tae Sub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3

        본 소고(小考)는 사도행전 8:37이 오늘날 『개역개정』(4판, 2005)에는 생략되었으나 『신약젼셔』(1900)에는 존치되었던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1893년에 조직된 ‘성경번역자회’(聖經飜譯者會)는 신약을 복음서부터 낱권씩 번역·간행하다가, 1900년에 이르러 『신약젼셔』를 완간했다. 당시 성경번역자회의 선교사들은 영어 『개역본』(ERV), 팔머(Palmer)의 헬라어 신약성경, 그리고 비평 주석서들(3종)을 참고하면서 당대의 본문비평 결과를 『신약젼셔』에 반영했다. 그런데 그들이 참고한 문헌들은 모두 사도행전 8:37을 원문(原文)이 아닌 후대의 첨가로 판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번역자회는 이 구절을 생략하지 않고 독특하게 ‘꺽쇠’(「」)로 묶어 존치했다. 이와 관련된 난하주(欄下註) 또는 난외주(欄外註)가 『신약젼셔』에 기록되지 않아서 아쉽지만,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그 이유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1900년 무렵은 한국교회의 초창기로서, 선교사들은 ‘모식신자’(謨食信者, Rice Christian)―신앙은 없고 경제적 혜택만 바라고 교회에 오는 성도―의 형식적인 수세례를 방지하고자 했다. 세례 교육 및 문답에 엄정성을 기울였기 때문에, 당시의 세례는 누구나 청원만 하면 쉽게 받을 수 있는 성례가 아니었다. 사도행전 8:37은 세례 전(前) 빌립과 에티오피아 내시의 대화인데, 성경번역자회의 주석들이 언급하듯, 이는 마치 교회의 ‘세례문답’을 떠올리게 한다. 그래서 이 구절을 생략하면, 신앙의 확인 없이도 세례를 쉽게 받을 수 있는 것처럼 오해될 우려가 있었다. 더구나 1895년에 출간되어 무려 11쇄를 찍은 마펫(Samuel A. Moffett)의 세례 청원자 교육서―『위원입교인규됴』(爲願入敎人規條)―는 사도행전 8:37을 세례의 중요한 성경적 근거로 제시한다. 따라서 1900년 전후, 세례 교육 및 절차의 엄정한 분위기를 고려할 때, 당시 성경번역자회는 사도행전 8:37을 『신약젼셔』(1900)에서 제외하는 것보다 꺾쇠로 묶어 존치하는 것이 성도들에게 더 유익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out a plausible reason behind the retention of Acts 8:37 in the KNT(The Korean New Testament, 1900), which is omitted in the current NKRV(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4th edition, 2004). Since the Board of Official Translators began to translate the New Testament into Korean in 1893, they could eventually publish the KNT in 1900. In the course of this translation, they tried to reflect the outcomes of textual criticism. It is, then, interesting to note that they retained Acts 8:37 in brackets, though the English Revised Version, the Palmer’s Greek Testament and the three commentaries they used commonly argue against its authenticity. This gives rise to a question why the Board of Official Translators decided to keep this verse at that time. Acts 8:37, as it appears in the Textus Receptus, shows the discourse between Philip and the Ethiopian eunuch: “and Philip said, ‘If you believe out of all the heart, it is possible,’ and answering he said, ‘I believe Jesus Christ is the Son of God.’” At its first glance, this verse evokes baptismal examination. Thus, the commentaries which the translators used consider that its insertion to the original text was done by later copyists in order to suit the baptismal liturgies of the church. This may illuminate the underlying reason for the retention of Acts 8:37 in the KNT. The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around 1900 tried to maintain rigorous standards for baptism.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e Saemoonan church, the ratio of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early 1900’s was very low. Baptism around 1900 was not allowed, unless the faith of a catechumen was thoroughly examined and confirmed. In this circumstance, if Acts 8:37 was omitted, it could give new believers a misleading idea about baptism, that it was possible even without confession of faith. Thus, it should be noted that 『위원입교인규됴』(爲願入敎人規條), the best-selling manual for catechumens written in 1895, appoints Act 8:37 as one of biblical bases for baptism. Therefore, it is more probable than not that the Board of Official Translators decided to retain Acts 8:37 in the KNT for the sake of Korean catechumens, while putting it in brackets to imply their awareness of textual criticism about it.

      • KCI등재

        마태복음 22장 9절에서 `αἱ διέζοδοι τῶν ὁδῶν`의 해석

        김태섭(Kim, Tae Sub)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4

        마태복음의 ‘혼인잔치의 비유’(22:1-14)에서 처음 ‘초대받은 자들’(ο? κ?κ-λημ?νοι)은 그들의 반역으로 말미암아 왕의 심판을 받게 되고, 이후에는 종들이 ‘α? δι?ξοδοι τ?ν ?δ?ν’으로 나가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을 - 선하든 악하든(πονηρο? τε κα? ?γαθο?)), 잔치로 초대한다. 지금까지 여러 성서역본들과 성서학자들은 마 22:9의 ‘α? δι?ξοδοι τ?ν ?δ?ν’에 대해 몇 가지 해석을 제안하였다. 영어성경 ‘YLT’(Young’s Literal Translation)는 전통적인 해석을 따라 마22:9의 ‘α? δι?ξοδοι τ?ν ?δ?ν’을 ‘the cross-ways’라고 번역하였다. 다른 주요 영어 역본들(NRSV, ESV, NAS 등)은 ‘큰 길들’이라는 단순한 표현으로 처리하였고, NIV는 ‘길모퉁이들’이라는 다소 애매한 번역을 내놓았다. 마태복음 학자들 가운데 데이비스(W. D. Davies), 앨리슨(Dale C. Allison), 해그너(Donald Hagner), 놀랜드(John Nolland), 터너(David L. Turner) 등은 ‘길들이 도시 밖으로 뻗어 나가는 지점’, 곧 ‘성문’(the city gates) 혹은 도시의 ‘출구’(the outlets)로 해석하였다. 반면에 루즈(Ulich Luz) 같은 독일 학자는 ‘성문’이나 도시의 ‘출구’로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왕국의 국경’(the borders) 까지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해당구절을 이해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였으나 아쉽게도 이 용어의 칠십인역 용례를 다루는 연구는 그간 부재(不在)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δι?ξοδο?’의 칠십인역 용례를 통해 ‘α? δι?ξοδοι τ?ν ?δ?ν’이 마 22:9에서 어떤 의미인지를 살피고자 한다. 칠십인역에서 ‘δι?ξοδο?’가 복수속격 명사에 의해 수식을 받는 경우는 ‘샘’(泉)과 ‘경계’(境界)란 의미로 사용될 때뿐이다. 여기서 ‘샘’(α? δι?ξοδοι τ?ν ?δ?των))이란 표현은 ‘물들이 지표 밖으로 뻗어 나오는 지점’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법적으로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α? δι?ξοδοι τ?ν ?δ?ν’은 ‘길들이 밖으로 뻗어 나가는 지점들’을 1차적으로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그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을 말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δι?ξοδο?’가 복수 속격 명사에 의해 수식을 받는 또 다른 경우인 ‘경계’(境界)라는 의미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칠십인역에서 ‘δι?ξοδο?’가 사용된 27번의 사례들 가운데, 무려 ⅔에 해당하는 18번이 이스라엘 나라와 지파의 ‘경계’ 혹은 ‘국경’을 설명하는 본문들에서 사용되었고, 마태는 ‘이스라엘 땅’(γ? ?σρα?λ))과 ‘12지파의 영역’에 관심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태는 칠십인역 민수기와 여호수아에서 ‘경계’(境界)를 묘사할 때에 빈번히 사용된 ‘δι?ξοδο?’란 단어에 익숙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α? δι?ξοδοι τ?ν ?δ?ν’을 ‘길들이 나라 밖으로 뻗어 나오는 지점들,’ 곧 ‘이스라엘 땅의 경계’ 혹은 ‘국경’이란 의미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이 혼인잔치의 비유에 반영된 마태의 선교관(觀)과 조화를 이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왕의 종들은 새로운 손님을 찾기 위해 ‘국경지대’, 곧 ‘왕국의 경계 밖으로 뻗어나가는 길들’로 나아갔던 것이다.

      • KCI등재

        The Gospel of Matthew as an Exhortation for the Gentile Mission

        김태섭 ( Tae Sub Kim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종교와 문화 Vol.0 No.28

        This research aims to resolve the vexing question about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exclusive Jewish mission command in Matt 10:5b-6 and the Great Commission in Matt 28:19-20. In 10:5b-6, the Matthean Jesus prohibits his disciples from approaching the Gentiles, whereas in 29:19-20 the risen Christ supersedes this earlier restriction by commanding them to carry out the Gentile mission. This inconsistency appears contradictory to many modern readers. The present article approaches this question suggesting that the two conflicting mission commands in fact reflect a division of Jewish Christian members in the first-century Matthean community on the issue of the Gentile mission. While conservative Jewish members in the community opposed to the Gentile mission(10:5-6), others took the initiative to evangelize the Gentiles(28:19-20). Even though Matthew`s theological conviction was the universal mission aiming to both Jews and the Gentiles, he did not recklessly discard the traditional exclusivism. While acknowledging both the old and the new stances, Matthew gradually puts more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the Gentile mission as the Gospel proceeds to the end. First, Matthew 12:18-21 shows the conservatives who respect divine authority of the Old Testament that the Gentile mission is the fulfillment of the Isaiah`s prophecy(Isa 42:1-4). Second, Jesus, being depicted as the one persuaded by the faith of the Canaanite woman, is set as a model who changes the exclusive attitude about the Gentile mission(15:21-28). Third, the completion of the world-wide mission is presented as having the eschatological significance that brings about the eschaton(24:14), which is the most urgent and pressing duty to Matthew`s community under persecution. These evidences suggest that the Gospel of Matthew, with respect to the mission perspective, is an edifying rhetoric to persuade its conservative Jewish members to overcome their ethnic prejudice and to join the Gentile miss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