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

        김청송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sonality strength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416 male and female adolescents(male: 181, female: 235, average age 16.2 years) living in Gyeonggi-do were subjected to the self-esteem scale, personality strength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level of adolescent personality strength increased,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also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strength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were, the better they adjusted to school, and these results showed the same tendency for both men and wome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adolescents' personality strengths explained school adjustment well, whereas self-esteem did not explain school adjustment. In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on effect through the cross term of personality strength and self-esteem, only female adolescents showed moderation effect. In the case of not distinguishing between male adolescents or gender,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고등학교 남녀 청소년 416명(남: 181, 여: 235, 평균 연령 16.2세)에게 자기존중감척도, 성격강점척도, 학교적응척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성격강점의 수준이 올라가면 학교적응이나 자기존중감의 수준 역시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남녀 모두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청소년의 성격강점은 학교적응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 반면 자기존중감은 학교적응을 설명하지 못하였고, 성격강점과 자기존중감의 교차항을 통한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남자 청소년이나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연구의 방향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청송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del of predicting Determinants of Happiness on Adolescents with data mining. The participants were 230 students from 1th, 2th, and 3th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Kyonggido whose ages ranged from 13 to 18. The related divisions entered in this research was traits, family, friend and school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Neuroticism as an trait and self efficacy was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feeling of happiness among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mother's over protection attitude as well as mother's affection attitude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adolescents, suggest roles of combination of both mothers' attitudes and its combin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for happiness. This findings suggest that friend relationship might be side or byproduct variable in this period.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anticipated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listic career determination.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discrepancy of parental attitude and reverse casuality problem of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on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의 다차원적 속성을 고려하여 청소년 개개인에게 적용될 수 있는 맞춤형 행복조건들(tailored happiness conditions)을 구체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30명의 남 여학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을 결정하는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요인, 사회요인 등을 영역별로 구분한 후 관련변인들을 메타분석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들은 아이젱크 성격검사, 통제소망척도, 자기효능감척도,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척도, 부모양육태도척도, 학교적응척도, 사회적지지 평가척도, 그리고 주관적 행복척도였다. 행복을 예측하는 이들 관련변인들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데이타 마이닝의 일종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을 결정하는 개인적 특성은 정서적인 안정-불안정 차원과 자기효능감이며, 가족변인으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였다.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에게 어머니의 과잉간섭과 애정은 잘 변별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무관심이나 방치의 반대개념으로 수용되고 있었다. 어머니의 적극적 개입은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뚜렷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령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예상과는 달리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미치는 친구의 역할은 강력하지 않았다. 청소년초기에는 교우관계가 행복감을 보완하였다. 이에 비해 청소년후기에 나타나는 친구에 대한 과장된 만족감과 의미부여는 지지받지 못해서 발생하는 불행감의 또 다른 지표임이 시사되었다. 행복감을 결정하는 학업성적의 포괄적인 영향력은 독특한 한국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령대별 변화양상과 연구의 한계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이 스트레스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청송 한국건강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fect intensity and neuroticism on stress experiences. Affect Intensity Measure(AIM), Emotional Intensity Scale(EIS),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Thermal Pressure Stress,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administrated 7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main effects of affect intensity and neuroticism influenced on stress threshold and stress tolerance, but not interaction. With regard to stress displeasure report, only neuroticism showed the main effect but meaningful effect of affect intensity and their interaction were not found. Clinical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were also considere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이 스트레스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에 따른 스트레스역치수준, 스트레스감내력,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주관적 불쾌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아울러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의 상대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72명의 학생들이 실험에 참석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스트레스역치와 감내력에서는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이 각각 유의미한 주효과를 보였으나, 상호작용의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스트레스불쾌감에서는 신경증적 경향성만이 유의미한 주효과가 있었고, 정동강도의 주효과 및 두 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스트레스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변인이 시사되었고, 본 연구의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DSM의 변천사와 시대적 의미의 고찰

        김청송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3

        The present study, we reviewed the transition history and periodic meanings of DSM.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is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with the purpose of more efficiently applying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ental patients with various mental disorders, and facilitating research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treatment, lapse process and prognosis. DSM-Ⅰ was initially published in 1952 and the currently available DSM-5 in 2013. Such DSM to reflect the periodic conditions of humans' mental disorder, as well as develop a 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Changes in the periodic conditions have led to identification of new abnormal behaviors such as attenuated psychosis syndrome, persistent complex bereavement disorder, suicidal behavior disorder, non-suicidal self-injury, neurobehavioral disorder associated with prenatal alcohol exposure, caffeine use disorder, and internet gaming disorder. As a result of further study, DSM-5 has included these disorders as official mental disorders to its revised edition. DSM-5 includes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hoarding disorder, excoriation or skin-picking disorder, avoidant/restrictive food intake disorder, and restless legs syndrome as official diagnoses previously absent in DSM-IV, it also attemp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classification range of mental disorder. Although DSM, the US classification of abnormal behaviors, faces various criticisms, it is still used as the authoritative guide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psychiatric field and various other area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main contents, implications of further study, the change aspect of DSM, the relationship between DSM and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Health Problem),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ritical contents of DSM. DSM은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에서 발간한 『정신장애의 진단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책자이다. 이 책자의 목적은 다양한 정신장애를 지닌 정신질환자들의 진단과 분류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연구자간의 합의된 의사소통은 물론 치료와 경과 및 예후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DSM은 1952년 DSM-Ⅰ이 처음 출간된 이후, 2013년에는 DSM-5가 출간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지난 64년간의 DSM 출간 변화는 인간의 정신장애에 대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보다 과학적인 분류체계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시대적 상황이 변화되면서 인간의 정신적 문제도 복잡해지고 새로운 이상행동들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DSM-5는 다양한 증상들(예: 약화된 정신증 증후군, 지속성 복합 사별장애, 자살 행동장애,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 인터넷 게임 장애)을 다음 개정판 때 공식적인 정신장애로 추가할 움직임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DSM-Ⅳ에서는 없었던 파괴적 기분조절 곤란 장애, 저장 장애, 피부 벗기기 장애, 회피적/제한적음식섭취 장애, 초조성 다리 증후군 등을 공식 진단명으로 추가 수록했고, 정신장애의 분류 범주에도 큰 변화를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SM의 여러 비판점들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정신의학계는 물론 사회 각 분야의 정신건강전문가들 사이에서 가장 권위 있는 지침서로 활용되고있고,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일종의 바이블처럼 사용되고 있는 DSM의 변천 과정과 주요 내용에따른 시대적 의미의 변화 양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ICD와의 관련성은 무엇이며, DSM-5의 비판적 내용들의 특징 및 이와 관련된 추후연구의 함의를 정신건강과 건강심리학적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대처, 강인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김청송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tress coping and hardiness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delinquency through mediate and moderate modeling. To identify the effects, sample of 35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41 middle and 210 high) completed Delinquency Scale, CES-D-K, Coping Scale(Lazarus & Folkman) and Health Related Hardiness Scale(HRH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comorbidity between depression and delinquency. Second, it was assumed that depression would be mediated with delinquency by coping and moderate with delinquency by hardiness. Third, multi group analysis showed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on hardiness functioning.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system of graduated treatment might be effective for delinquent adolescents. Finally,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gender, skewed self report and environment variables of delinqu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행동을 하는 광의의 비행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관계에서 대처의 영향과 강인성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51명의 중고등학생(중학생이 141명, 고등학생이 210명)이었고, 사용된 검사척도는 비행척도, 우울척도, 대처척도, 그리고 강인성 척도였다. 연구결과 우울과 비행의 병발성을 확인하였고, 문제중심적 대처의 긍정적인 효과와 정서중심적 대처의 역기능적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탄력성의 기능을 수행하는 강인성이 조절작용을 하고 있으나, 연령대별로 달리 작용되고 있음도 시사되었다. 이것은 초기 청소년들은 문제행동들이 누적될 기회나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강인성의 보호적 기능이 잘 발휘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활교육과 등급화된 처우(graduated treatment) 제도에 시사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비행의 위험지수(risk index)를 구성하는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에 자주 발견되는 성차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과 부정적 특성을 자기보고 할 때 왜곡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가족과 교우관계 등 우울 및 비행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환경적 변인들을 제외한 문제를 한계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