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전에 외부방사선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에서 기관지내 근접치료의 고식적 효과

        박영제(Young Je Park),김철용(Chul Yong Kim),김광택(Kwang Taik Kim),양대식(Dae Sik Yang),이석(Suk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3

        목 적: 과거에 고선량의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재발한 폐암환자에서 기관지내 근접치료의 고식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과거 외부방사선치료를받은 후 증상을 동반한 재발에 대해 근접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29명이었고, 이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남자, 여자가 각각 28, 1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62세, 전신수행상태는 ECOG 1, 2, 3 이 각각 13, 15, 1명이었다. 과거 외부방사선치료의 선량은 중앙값 54 Gy였고, 외부방사선치료 후 근접치료까지의 경과기간은 중앙값 7개월(1∼102개월)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원위기관 또는 주기관지가 20명, 엽기관지가 9명이었다. 근접치료선량은 1회 5∼6 Gy를 주 1회씩 총 3회 치료하여 총선량 15∼18 Gy를 목표로 하였다.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호전 또는 악화 여부에 따라 반응을 평가하였고, 증상 호전이 있은 환자들-호전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비호전 환자군-로 나누어 두 군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결 과: 기침, 호흡곤란, 객혈, 폐쇄성 폐렴이 각각 41% (9/22), 50% (8/16), 82% (9/11), 33% (1/3) 환자에서 호전을 보였고, 증상 호전의 지속기간은 중앙값 5개월(3∼31개월)이었다. 객혈은 다른 증상에 비해 더 높은 증상 호전을 보였다(p<0.05). 호전 환자군(17명, 59%)과 비호전 환자군(12명, 41%)의 특성을 비교했을 때, 나이, 이전에 받 았던 외부방사선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신수행상태가 좋은 환자와 외부방사선치료 후 경과기간이 길었던 환자들이 호전 환자군에 많았다(p<0.05). 병변의 위치가 엽기관지보다는 원위기관이나 주기관지의 환자가 호전 환자군에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8). 근접치료 후 발생한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객혈, 기관-흉막누공이 각각 1명(7%)에게 있었다(RTOG grade 5). 결 론: 이전에 고선량의 외부방사선치료 후 기관지내에 재발한 폐암 환자에서 근접치료를 이용한 증상호전이 약60% 환자에게 있었고, 지속기간은 중앙값 5개월이었다. 비록 이전에 방사선치료를 받았더라도 전신상태가 좋고 이전 외부방사선치료 후 경과가 길었던 환자, 특히 원위 기관이나 주기관지내 종양에 의해 객혈이 있는 환자에게는 유용한 고식적 치료가 될 수 있겠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lliative effect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EBB)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that previously received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2 to May 2003, 29 patients with a recurrent or persistent lung cancer were treated with palliative EBB at our institute. EBB consisted of three fractions (once a week) of a dose of 5 Gy using the high dose-rate remote afterloader. Symptomatic improvement was assessed subjectively, an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symptoms were improved or not. Factors such as age, performance status, duration from EBRT to EBB and the location of the tumor were compared between the improved and unimproved groups of patients. Results: Overall symptomatic improvement was found in 27 out of 52 symptoms (52%). Improvement as to the type of symptoms was seen in 41%, 50%, 82% and 33% of patients with cough, dyspnea, hemoptysis, and obstructive pneumonia respectively. The rate of improvement of hemoptysis was more than that of cough (p <0.05). The median time to symptom relapse was 5 months. The improved patient group (n=17, 59%) had a better performance status and longer duration from EBRT to EBB than the unimproved patient group (p <0.05). Lesions located in the distal trachea and/or main bronchu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improved group of patients than in the unimproved group of patient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6). Fatal complications developed in two patients (7%), which were a hemoptysis and bronchopleural fistula respectively. Conclusion: Symptom improvement was found in 60% of patients after EBB and improvement was maintained for 5 months. Palliative EBB, even when EBRT was given previously, can be effective for a patient that has an endobronchial symptom, such as hemoptysis, and for a patient with good performance and a long duration from previous EBRT to EBB.

      • SCOPUSKCI등재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u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 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 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1 to January 1997, forty- 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 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6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 up was 48 months (range : 21∼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 SCOPUSKCI등재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u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1 to January 1997, forty- 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 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6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 up was 48 months (range : 21∼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목 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 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에서 수술중 방사선치료의 적용

        이남권(Nam Kwon Lee),김철용(Chul Yong Kim),박영제(Young Je Park),이석(Suk Lee) 한국간담췌외과학회 2010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Vol.14 No.4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intraoperative radiation therapy (IORT) in combination with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for treating unresectable 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Methods: From August 1993 to July 2007, 28 patients with unresectable 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received IORT (median: 20 Gy) combined with or without EBRT (median: 50.4 Gy).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IORT followed by EBRT, and 10 patients were treated by IORT alone. Eighteen patients underwent explolaparotomy and 10 patients underwent bypass surgery. Results: The 1-year overall survival rate (OS)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of all 28 patients were 21.4% and 7.5 months, respectively. The 1-year OS and median survival time for the clinical stage III patients were 33.3% and 10.2 months, respectively, and they were 7.7% and 5.1 months for the clinical stage IV patients, respectively (p=0.007). Un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age, chemotherapy and tumor volume were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S. The patients treated with IORT combined with EBRT had a more favorable 1-year local control rate than that of those patients treated with IORT alone (88.9% vs. 50.0, respectively, p=0.009). Bu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local control did not translate into a survival benefit. The addition of EBRT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improving the local control rat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0%. Conclusion: IORT combined with EBR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achieving local control and palliation for patients with unresectable 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Further, IORT seems to be safe and it does not increase the mortality or the incidence of surgical wound infection.

      • KCI등재후보

        안과용 젤이 방사선치료용 눈차폐기에 의한 안구 자극 및 방사선투과도에 미치는 효과

        이선민(Sun Min Lee),황영훈(Young Hoon Hwang),이 석(Suk Lee),박영제(Young Je Park),김철용(Chul Yong Kim) 대한검안학회 2012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1 No.1

        목적: 안과용 젤이 방사선치료용 눈차폐기에 의한 안구 자극 및 방사선투과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적인 이상이 없는 10명의 10안을 대상으로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안과용 젤(Hycel, SamilAllergan, Seoul, Korea)을 점안한 상태(실험군)와 점안하지 않은 상태(대조군)에서 방사선치료용 눈차폐기(Prototype Medium Size Tungsten Eye Shield, Jiyeon Medical, Seoul, Korea)를 넣은 후 각막과 결막의 자극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안과용 젤을 바르기 전과 후 각각 5회의 6 MeV(Clinac iX, Varian, Palo Alto, CA, USA) 방사선 투과도를 평행평판형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안과용 젤을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눈차폐기에 의한 각막과 결막의 자극정도가 더 적었으며(p=0.025 for cornea, 0.014 for conjunctiva), 안과용 젤 도포 전후로 방사선 투과도에는 차이가 없었다(p=0.686). 결론: 안과용 젤의 사용이 방사선 투과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눈차폐기에 의한 각막과 결막자극을 줄일 수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hthalmic gel application on ocular irritation induced by eye shield for radiotherapy and radiation transmission. Methods: Ten eyes of 10 subjects without ocular disorder were enrolled. The degrees of corneal and conjunctival irritation were compared after eye shield insertion (Prototype Medium Size Tungsten Eye Shield, Jiyeon Medical, Seoul, Korea) without and with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ophthalmic gel (Hycel, SamilAllergan, Seoul, Korea) application. The amount of radiation transmission without and with ophthalmic gel application was also compared by using the parallel plate chamber after 6MeV (Clinac iX, Varian, Palo Alto, CA, USA) radiation emission. Results: The degrees of corneal and conjunctival irritation were lower in eyes with ophthalmic gel applicat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ophthalmic gel application (p=0.025 for cornea, 0.014 for conjunctiva). Ophthalmic gel did not affect the radiation transmission (p=0.686). Conclusions: Application of ophthalmic gel was effective for reducing ocular irritation after eye shield insertion without interfering radiation transmission.

      • SCOPUSKCI등재

        고악성도 신경아교종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과 예후인자 분석

        이선민(Sun Min Lee),박영제(Young Je Park),윤원섭(Won Sup Yoon),이석(Suk Lee),양대식(Dae Sik Yang),정용구(Yong Gu Jeong),김철용(Chul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Purpose: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WHO grade 3 and 4 glioma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9 patients with malignant gliomas who underw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1988 and 200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otal resections, subtotal resections (≥50%), partial resections (<50%), and biopsies were performed in 16, 38, 22, and 23 patients, respectively. In total there were 32, 63 and 4 WHO grade 3, 4, and unspecified high grade gliomas, respectively. The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was in the range of 18.6 to 83.3 Gy10 (median dose, 72.2 Gy10).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prognostic factors, and adverse effect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1 months and there were 54 patients (54.5%) with local failure. The one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56.6% and 29.3%,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13 months. The one and 2-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s (PFS) were 31.3% and 18.2%, respectively, and the median PFS was 7 months. Th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re age (p=0.0001), surgical extents (subtotal resection, p=0.023; partial resection, p=0.009; biopsy only, p=0.002), and enhancement of tumor in postoperative imaging study (p=0.049). The factors affecting PFS were age (p=0.036), tumor enhancement of the postoperative imaging study (p=0.006). There were 3 patients with grade 3 and 4 side effects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In addition to age and surgical extents, tumor enhancement of the postoperative imaging study was included in the prognostic factors. The most common relapse patterns were local failures and hence,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local control rates. 목 적: WHO 등급 3/4의 신경아교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수술 후 고악성도 신경아교종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18∼77세(중앙값, 51세), 남, 여가 각각 55, 44명이었다. 수술은 완전절제, 아전절제(50% 이상 절제), 부분절제(50% 미만 절제), 조직검사만 시행한 예가 각각 16, 38, 22, 23명이었고, WHO 등급 3, 4, 기타(unspecified high grade glioma)가 각각 32, 63, 4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8 또는 2 Gy 통상 분할치료 혹은 1.2 또는 1.5 Gy 하루 2회 치료 방법으로 하였고 중앙 생물학적 등가선량은 72.2 Gy10 (18.6∼83.3 Gy10)였다.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나 연속화학방사선요법을 적용한 환자가 49명이었다. 환자들의 생존율 및 실패양상, 예후인자, 부작용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11개월이었다. 국소치료 실패한 환자가 54명(54.5%)이었고, 이중 12명(22.2%)은 방사선치료부위 밖의 병변 진행을 동반하였다. 전체 생존율은 1년 56.6%, 2년 29.3%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3개월이었다. 무진행생존율은 1년, 2년이 각각 31.3%, 18.2%였으며, 중앙생존기간은 7개월이었다.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나이(p=0.0001), 수술 절제 정도(완전절제를 기준으로, 아전절제 p=0.023, 부분절제 p=0.009, 조직생검 p=0.002),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p=0.049)였다. 무진행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나이(p=0.036)와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p=0.006)였다. 방사선치료중과 후에 3등급 이상의 부작용이 각각 3명과 1명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나이, 수술절제 정도,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가 생존율에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국소 치료실패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국소 제어율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이차원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코인두암 환자의 장기 추적 결과 및 예후인자 분석

        이남권(Nam Kwon Lee),박영제(Young Je Park),양대식(Dae Sik Yang),윤원섭(Won Sup Yoon),이석(Suk Lee),김철용(Chul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방사선치료 단독요법 또는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를 시행한 코인두암 환자들의 장기 추적결과를 바탕으로 생존율, 재발양상, 부작용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1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코인두암으로 진단받고 고려대학교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은 8세부터 78세(중앙값 49세)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1명, 여자가 49명이었다. 조직학적 분류는 각질화암이 10명, 비각질화암이 166명, 기저양평편상피암이 1명이었다.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병기 I이 7명(3.6%), IIA 8명(4.2%), IIB 33명(17.4%), III 82명 (43.2%), IVA 31명(16.3%), IVB 29명(15.3%)이었으며,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는 103명이었고, CCRT를 시행한 환자는 87명이었다. 원발병소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일일 선량 1.8∼2.0 Gy, 총선량 66.6∼87 Gy, 중앙값 72 Gy였다. 생존율, 예후인자 및 부작용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급, 만성 부작용 평가는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190명 중 184명(96.8%)이 계획된 치료를 마쳤으며 방사선치료 기간은 19∼88일(중앙값 63일)이었다. 전체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2∼278개월로 평균 73개월, 중앙값 52개월 이었다. 93명(48.9%)의 환자에서 재발이 발생 하였는데 국소재발이 44명(23.2%), 림프절재발 13명(6.8%), 원격전이가 49명(25.8%)이었고 원격전이 부위는 뼈, 폐, 간 전이가 각각 23, 18, 12명이었다. 5년 및 10년 전체 생존율(overall survival rate, OS)은 각각 55.6%, 44.5%이었고, 중앙값 52개월이었다. 무병생존율(disease-free survival rate, DFS)은 5년, 10년이 각각 54.8%, 51.3%이었고, 질병특이생존율(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DSS)은 5년, 10년이 각각 65.3%, 57.4%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 CCRT를 받은 환자, 젊은 연령, 여성이 OS, DFS 및 DSS가 유의하게 높았고, CCRT를 시행한 환자와 방사선치료 기간이 짧았던 환자에서 유의하게 원격전이가 적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CCRT를 받은 환자, 여성에서 OS, DFS 및 DS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국소재발에는 성별, 원격전이에는 CCRT시행여부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치료 도중 발생한 부작용으로 3등급 이상의 점막염, 혈액학적 부작용은 각각 42명(22.1%), 18명(9.5%)이었고, 치료기간이 연장된 환자가 59명이었다.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한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부작용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치료기간의 연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3등급 이상의 청력장애, 턱관절장애가 각각 9, 6예가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CCRT를 시행한 환자, 여성, T-병기, N-병기 및 연령이 낮은 환자에서 생존율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CRT를 했을 때 생존율 향상과 원격전이율 감소를 보여 항암화학치료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항암화학치료의 동시병용이 반드시 국소 및 영역제어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CCRT의 부작용을 감안할 때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같은 치료에서 각 치료 방법의 역할과 기여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향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analyze the treatment outcomes, complications, prognostic factors after a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RT) alone or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December 1981 and December 2006, 190 eligible patients with non-metastatic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at our department with a curative intent. Of these patients, 103 were treated with RT alone and 87 patients received CCRT. The median age was 49 years (range, 8∼78 years). The distributions of clinical stage according to the AJCC 6th edition included I: 7 (3.6%), IIA: 8 (4.2%), IIB: 33 (17.4%), III: 82 (43.2%), IVA: 31 (16.3%), IVB: 29 (15.3%). The accumulated radiation doses to the primary tumor ranged from 66.6∼87.0 Gy (median, 72 Gy).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cute and late toxic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RTOG criteria. Results: A total of 96.8% (184/190) of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With a mean follow-up of 73 months (range, 2∼278 months; median, 52 months), 93 (48.9%) patients had relapses that were local 44 (23.2%), nodal 13 (6.8%), or distant 49 (25.8%). The 5- and 10-year overall survival (OS),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rates were 55.6% and 44.5%, 54.8% and 51.3%, in addition to 65.3% and 57.4%,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CCRT, age, gender, and st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S. The CCRT and gender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both DFS and DSS. There was no grade 4 or 5 acute toxicity, but grade 3 mucositis and hematologic toxicity were present in 42 patients (22.1%) and 18 patients (9.5%), respectively. During follow-up, grade 3 hearing loss in 9 patients and trismus in 6 patients were repor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in accordance with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nd we confirmed that CCRT, low stage, female gender, and young age were related to improvement in O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locoregional control that can be achieved by CCRT with 2D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This observation has led to further studies on clarifying the efficacy of concurrent chemotherapy b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