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김부식의 노경시(老境詩)

        김창룡 ( Kim Chang-ryo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8 漢城語文學 Vol.38 No.-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은 하도 문장이 뛰어나 그의 시적 분야는 예의 주시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그러나 기실은 그의 시 세계가 또한 여느 시인들과 견주어 녹록할 바는 아니었다. 김부식의 시를 크게 ‘세속적 세계’와 ‘자연의 세계’의 둘로 분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차라리 소재상의 분류 방법으로는 타당할지 모르나, 주제별로 특징을 구분해서 보는 데는 충족이 어려운 문제가 따른다. 출사(出仕)와 은거 사이, 세속과 자연 사이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시까지 들고 나올 경우 이는 애매한 지경이 되고 만다. 그리고 세속을 노래했든 자연을 노래했든 그것이 모두 맞닥뜨린 정서를 서술하고자 하는 ‘나’에게서 발원한다. 곧 서정적 자아에서 우러나온 서정시라는 사실에선 변함이 없다. 이러한 개아적(個我的) ‘서정성’ 외에 이와 대척(對蹠)이 될 만한 다른 하나의 성향은 김부식의 신분인 유학자로서 유가의 가치관에 입각한 제도적 ‘계훈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자기적 감성 표현에 관한 정(情)의 시와, 진리 추구에 관한 도(道)의 시라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김부식의 시를 재조명 하고자 한다. Prose of Kim Bu-sik (金富軾, 1075~1151) was so elegant and excellent that his poetry has been somewhat overlooked. However, his poetry was also nothing short of excellent compared to that of other poets. Although poems of Kim Bu-sik have been largely classified into ‘secular world’ and ‘natural world’, this might be rather valid only as a classification method by subject matter, but it is difficult to read his poems by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by the theme. If even poems contemplating and conflicting between working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retiring, and between the mundane world and nature are considered, this becomes ambiguous. Furthermore, whether the poem is about the mundane world or about nature, it originates from ‘I’ who intends to describe all the emotion that it encounters. Thus, the fact that it is a lyric poem flowing out of the lyrical self remains unchanged. In addition to such ‘lyricism’ of the individual self, another tendency that could be its complete opposite is institutional ‘enlightenment and discipline’ based on Confucian values as a Confucian scholar, an identity of Kim Bu-sik. In other words, they are the emotional poem about the expression of selfemotion and the Taoistic poem about the pursuit of truth. Focusing on these, this paper aims to shed new light on the poems of Kim Bu-si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권벽(權擘)의 「관성후전(管城侯傳)」 고(攷)

        김창룡 ( Chang Ryong Kim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9 漢城語文學 Vol.28 No.-

        우리나라에서 동물, 식물, 사물, 심성 등을 사마천의 열전과 똑같은 형식으로 지어내는 이른바 가전(假傳)의 처음 시작이야 저 고려 후반기에 서하(西河) 임춘(林椿, 1150경~?)이 `술`과 `돈`을 의인화한 <국순전(麴醇傳)> 및 <공방전(孔方傳)> 등에 그 영예가 주어지겠지만, 그 대상을 반드시 문방(文房)의 사물과 관련짓자면, 지금까지 알려진 한에 이 <관성후전>이 첫 번째 실마리를 당긴 셈이 된다. 따라서 본편이 현하(現下) 우리나라 최초의 문방열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중국에서 한유(韓愈, 768~824)가 최초의 붓의 가전인 <모영전>을 쓴 이래 약 750년 뒤의 일이 된다. 작자 권벽이 <관성후전>을 창작한 배경에는 우선 사물에의 관심이 남달랐다는 사실이 있고, 그 중에서도 붓에 대한 애정이 각별한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그 바탕 위에 다른 선유(先儒)로부터의 훈도와 영향이 강하게 작용한다고 보여 진다. 곧, 자신의 시의 스승인 기재 신광한의 소설 쓰기와 특히 그 가운데도 문방사우를 전기화한 작품에의 감화 가능성이 대두되고, 아울러 자기 바로 앞 시대의 유명 인사인 탁영 김일손이 붓의 일생을 그린 <관처사묘지명> 같은 산문 작품에 대한 독서사승(讀書師承)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권벽이 22세 때 <관성후전>을 지었을 당시에야 하필 자신을 둘러싼 현실 세계에 대한 무슨 풍자거나 비판을 목적으로 숨겨둔 것같이 보이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확인해 보고, 자기 표현적 묘미를 얻고자 한 운필로 인식되어진다. 그러나 이후 벼슬살이의 환로(宦路)를 겪으면서부터는 차츰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사리 판단의 성향을 보이게 된다. 단순한 주관적 감성의 영물이 아닌, 객관적 이성에 입각한 영물을 구사하고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바로 이 지점이 <관성후전>을 지은 아버지 권벽과 <곽삭전>을 지은 아들 권필 사이의 문학적 교차점이라 할 만하다. 요컨대, 누구나 다루지는 않는 의인 열전을 공교롭게도 부자간 나란히 창작했다는 사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의인법 구사의 내포적 의미까지 서로 간에 닮아있다는 사실 안에서 부전자승(父傳子承)한 내면의 모습을 보게 된다. Although Samacheon`s biographies are commonly considered the inspiration for anthropomorphic biographies about animals, plants, objects, and virtues, known as Gajeon in Korean, the credit should rightly go to Gooksoonjeon (about alcohol) and Gongbangjeon (about a coin), which were penned by Seoha Im Choon in the late Goryeo era. However, if we were to consider the subject of stationery in particular, Gweon Byeok`s Gwanseonghoojeon would be the originary work of this kind. Thus, it has the significance of being the first Korean Moonbangyeoljeon extant, composed 750 years after Han Yoo composed the first Gajeon about a brush in China. The influences that led to the creation of Gwanseonghoojeonare as follows. We should first note that Gweon Byeok, in writing Gwanseonghoojeon, paid a lot of attention to everyday objects, with a special affection for brushes. Next, it seems that the training and influence of his elder Confucian scholars served as an additional motivation. Finally, the novel writing training by his master of poetry Geejae Shingwanghan, the influence of his work that anthropomorphized Moonbangsawoo (the four precious objects of the study), and also the reading of prose such as Takyeong Gim Ilson`s Gwancheosamyojeemyeong, which described a life of a brush, ea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in the completion of Gwanseonghoojeon. However, when he composed Gwanseonghoojeon at the age of twenty-two, it does not seem he meant it as satire or criticism. It would rather be appropriate to recognize it as a work in which he tried to test out his own literary ability and appreciate the act of self-expression. Although his later works, such as those written after he had become an official, tend to be more firmly grounded in realistic concerns, this simply illustrates the change as his style matures from youthful subjectivity to a firmer grounding in objectivity. This characteristic can be considered common to both Gweon Byeok, the writer of Gwanseonghoojeon, and his son Gweon Peel, the writer of Gwaksakjeon. That is to say, it is not only that they were engaged in the same genre of anthropomorphism, which, incidentally, is certainly not common to every writer. We can see what is handed down from father to son in the correspondence of the implied meaning in the mastery of this mode, which they used in a similar way.

      • KCI등재후보

        고전문학 : 혜전(蕙田) 나헌용(羅獻容)의 < 저선생전 >,< 진현전 > 전석(箋釋)

        김창룡 ( Chang Ryong Kim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 말기 문인 나헌용(羅獻容, 1851~1925)의 『혜전집(蕙田集)』 권5에 실려 있는 종이 의인인 < 저선생전(楮先生傳) >과 먹의 의인화인 < 진현전(陳玄傳) > 두 작품을 전석(箋釋) 하고자 한다. 나헌용의 자(字)는 희도(羲圖)이고 호(號)는 혜전(蕙田)이다. 평생을 한미한 선비로서 살았으며 1898년 장릉(莊陵) 참봉을 제수를 받지 않고 글쓰는 일에 전력하였으며 모든 작품들은 1937년 간행된 『혜전집』에 수록되어 있다. 권1에서 권4까지 수록되어 있는 한시를 살펴보면 을미사변(乙未事變)과 아관파천(俄館播遷)을 바라보는 참담한 심경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 청국정변(淸國政變) >, < 독립회(獨立會) >, < 일로전(日露戰) > 등을 통해서 나헌용이 비분강개의 우국충정을 문필로 펼쳐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봄날의 감상적인 마음을 그린 < 상춘(傷春) >, 그의 아내가 회갑을 맞이한 날 쓴 것으로 보이는 < 노처회갑(老妻回甲) >으로 말미암아 온유돈후한 정서를 지닌것 또한 엿 볼 수 있다. 권5에 실려 있는 산문에서 역시 역사의식을 담은 글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나헌용은 자신의 뜻을 밝히는 과정에 우의의 방식을 활용함과, 또 골계의 문장에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 실제로 그가 의인 형태의 가전(假傳)과 묘지명(墓誌銘), 묘갈명(墓碣名) 등 다양한 형태로 창작을 구사했던 사실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처럼 다양한 장르 형식을 세워서 사우담(四友譚)을 펼친 경우는 현재까지 유일한 사례로 기록될 만하다. 나헌용의 또 다른 특징은 한국 가전사에서 원칙처럼 준수되어 오던 작자평결부(評結部)가 없는 대신 작품 말미에 작자 평결다운 내용을 가미한 이색적인 방식을 구성한 것이다. This thesis is to annotate two works of < Jeoensangjeon(楮先生傳) > personifying paper and < Jinhyeonjeon(陳玄傳) > personifying ink stick in volume 5, 『Hyejeonjip(蕙田集)』 by Na Hun-yong(羅獻容, 1851~1925), a literary person of the late Chosun Dynasty. Na Hun-yong’s surname is Heedo(羲圖) and his pen name is Hyeeon(蕙 田). He lived as a hermit scholar, refused to take the office of Jangneung(莊 陵) Chambong in 1898 and focused on writing books, all of which are recorded in 『Hyejeonjip(蕙田集)』 published in 1937. Looking into poems written in Chinese in volume 1~4, one can see how deplorable the author felt about Eumisabyeon(乙未事變) and Agwanpacheon (俄館播遷). One can also see Na’ valiant patriotism unfolded with a pen through < Cheongkukjeongbyeon(淸國政變) >, < Dokrphoe(獨立會) >, < Illojeon(日 露戰) > and so forth. One can also see, however, that the author was of mild and generous personality through < Sangchoon(傷春) > depicting spring emotion and < Nocheohoegap(老妻回甲) > written on the occasion of his wife’s 60th birthday. Proses in volume 5 also show his views on the history. Na was also interested in using the allegorical method in the process of revealing his will and comical sentences, which seems to be also related to his creating stories in various personified patterns such as legendary stories, epitaphs, memorial inscriptions and so forth. His case of unfolding Saudam(or Stories of Four Friends(四友譚)) in such various genres can be counted as the unique one up to now. Na’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he formed a exotic way of adding annotations to the end of his works, omitting the concluding part observed as a principle until then in the Korean legendary stor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선덕여왕(善德女王)과 모란고사(牡丹故事) 고(攷)

        김창룡 ( Kim Chang-ry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4

        善德女王 知幾三事의 대표격인 牡丹故事가 史實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전제가 필요하다. 과연 모란의 향기가 없는지의 여부, 同時代의 통치자인 唐太宗이 선덕여왕에 대해 놀릴 만한 분위기가 갖춰져 있었는지의 여부, 그 시대의 회화 문화적 인식 안에서 모란과 벌·나비의 관계가 과연 配偶者의 유무를 암시하는지의 여부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讀畵法에 따라 이 牡丹故事를 해석하는 방식은 역사속의 모든 인물을 그림문화에 대해 무지했던 상황으로 몰아버리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기에 난감한 국면이 있다. 또한 『三國史記』·『三國遺事』를 비롯해서 이 이야기를 싣고 있는 여러 문헌들 간에 굴절과 출입을 보이는 바, 역시 牡丹故事를 歷史로서보다는 한 篇의 설화적 형상화로 이해함이 타당해 보인다. 아울러 이 같은 설화생성은 激變의 시대를 산 여왕에 대한 신라 설화 대중의 憐憫과 友好의 메시지로 인식된다. There are some questionable aspects for us to be convinced that the Queen Sundeok’s ‘"Morangosa” is a true story out of the history. First, it is assumed that peony is scentless in ‘"Morangosa”, this assumption is quite ambiguous. Second, they say “Dangtaejong” (the King Taejong of the Dang Dynasty) made fun of her being unmarried, illustrating male and female principle of butterfly and flower. However, there are few clues he was friendly enough to present her flower seeds and paintings with such jokes. Rather it might have been annoying for him. It is better to say he made fun of her of having no successor*, not of her being unmarried. Third, they say “Dangtaejong” sent the painting to Queen Sundeok wishing her prosperity, but it is hard to understand considering his somewhat indifferent attitude toward her, plus it is not certain if the picture reading method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Shilla, because it is never mentioned in literatures of that time. That implies people of the Chosun Dynasty era pundit class as well as those of the Koryoe Dynasty era like “Kim,Busik”,“Ilyeon” was never accquainted with the method. Fourth, "Morangosa” gets less likely to be assumed as a historical record. The fact this story is listed in “Suijeon”,the typical literature of odd stories starring ghost, is an influential proof that this story is a fiction. There even exists a Chinese story of the same contents with "Morangosa”,from which we might suppose the "Morangosa” has originated. As a result,whether you would examine it acc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 or the picture reading method, we should explain this story within the range of fictional sense. Additionally it is regarded that these kinds of stories whose main character is Queen Sundeok has come out of the strong affection and compassion of the folk of the Shilla toward their que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