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과학자-엄마 되기 —SF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모성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김젬마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3 No.-

        This paper investigates female scientists who are ‘mothers’ who experience a conflict of values between professional ethics and motherhood that appear in South Korean children’s science fiction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s how becoming a scientist-mother in the posthuman age comes up against maternal ideology. Therefore, this paper adopts a critical perspective of posthumanism as a paradigm that goes beyond a humanism that strives for a human-centered approach and instead provides a flexible way of thin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Subsequently, I discuss how this understanding of humanism changes or strengthens the concept of maternity. Scientist-mothers, who have dual identities as “female scientists” and “postmodern mom machines” produce and design creations with various methods as beings that can reproduce outside of sexuality. They are commonly depicted as scientists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bioengineering, genetic engineering, and robotic engineering, as well as a creators of creations. Additionally, they use advanced technologies and their capacities to reproduce using other methods in the lab. In Korean children’s science fiction literature, discussions of the technologies of reproduc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women and children,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from complex and diverse angles. Therefore, this paper interrogates how the life, subjecthood, and actions of the female, mother, and scientist are embedded within the ideology of motherhood, which functions to exclude autonomy and possibility. This paper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expanded reasoning that searches for various perspectives by combining various points in a positive manner. 이 글은 SF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자신의 직업적 윤리의식과 모성 사이에서가치충돌하는 ‘엄마’라는 이름의 여성 과학자들을 살펴봄으로써 포스트휴먼 시대의 과학자–엄마 되기가 모성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마주하고 있는지 분석하는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이 인간중심적 사유를 지향하는 휴머니즘을 넘어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조망하는 보다 유연한 사고의 담론이라는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모성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고 혹은 강화되는지 탐색하고자한다. ‘여성 과학자’ 또는 ‘포스트모던 엄마 기계’라는 이중의 정체성을 지닌 과학자–엄마들은 섹슈얼리티 외부에서 재생산이 가능한 존재로서 다양한 방식으로자신의 피조물을 생산 및 설계한다. 이들은 대개 생명공학, 유전공학, 로봇공학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성취를 이루는 과학자이자 피조물을 창조하는 창조주로묘사되며 첨단기술과 자신의 능력을 이용해 실험실에서 또 다른 방식으로 재생산을 수행한다. SF 아동청소년문학에서 재생산기술에 대한 논의는 여성뿐만 아니라 아동의관점에서도 접근되어야 하는 부분인 만큼, 복합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여성, 엄마, 과학자로서의 삶과 주체성, 행위 등이 모성이라는 이데올로기에 갇혀 자율성과 가능성이 배제되는 양상을 재현하는 한계와 더불어, 이들이 긍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지점들을 통해 다양한전망을 모색하는 보다 확장된 사유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 KCI등재

        재북(在北) 작가 송창일 연구-해방 후 북한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젬마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2

        송창일은 1929년부터 1959년까지 동요, 동화, 소년소설, 평론 등 약 130편이넘는 작품을 발표하며 30년간 아동문학가로 활동한 작가다. 그의 작품은 일제시대부터 현재까지 각종 아동문학 선・전집에 수록되는 등 한국 아동문학사를 관통하며 일정한 문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그는 일제 말 친일문학에서 해방 후북한체제에 호응하는 혁명문학에 이르기까지 모순된 방식으로 비연속성을 드러내기도 했다. 여러 면에서 송창일은 한국 아동문학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드러낸 작가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해방 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전문분과인 아동문학위원으로 활동하며 문단의 외연을 넓혀갔다. 또한 1954~1956년까지 조선작가동맹 기관지 『아동문학』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문단을 주도하기도 했다. 해방 후 그의 작품 활동은 크게 ‘평화적 건설 시기’(1945-1950)와 ‘전후 사회주의 건설 시기’(1953- 1967)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평화적 건설시기에는 토지개혁과 각종 법령의정비에 따른 인민들의 생활 개변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주를 이뤘고, 전후 사회주의 건설시기에는 조국과 수령 예찬, 새 제도와 민주개혁에 대한 인식을 개조하려는 작품들이 주를 이뤘다. Song Chang-il was a children’s literature author who was active for 30 years from 1929 through 1959, publishing about 130 works including children’s songs, stories for children, teen-age stories, and critical essays. His works demonstrated some literary achievements across the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having been included in various selections or collections of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o this day. Meanwhile, he also betrayed discontinuity in a contradictory fashion with his pro-Japanese literature towards the last day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his revolutionary literature that favors the North Korean regime. In many respects, Song Chang-il is an author who reveals both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Song expanded the scope of the literary circle by serving as a member of the Children’s Literature Committee, a division of the (North) Korean Federation of Literature and Arts. Between 1954 and 1956, he also led the literary community by serving as a member of the editing committee for Children’s Literature, the magazine for the Korean Writers’ Union. His post-liberation creative work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period of peaceful construction’ (1945-1950) and ‘the period of postwar socialist construction’ (1953-1967). In the period of peaceful construction, his major works treated the change of people’s lives in the wake of the land reform and the revamping of the legal system, whereas in the period of postwar socialist construction, his principal works praised the fatherland and the leader or tried to transform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new system and the democratic reform

      • KCI등재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의 "이념적 리더십"-성공과 실패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김젬마 ( Jemma Kim ) 현대일본학회 2012 日本硏究論叢 Vol.36 No.-

        2009년 8월 중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절대다수의석을 확보하여 역사적인 정권교체가 이루어졌고 일본 국민들의 커다란 흥분 속에서 민주당, 사회민주당 및 국민신당의 3당 연합으로 구성된 하토야마 정권이 출범했다. 이 정권교체가 일본 정당정치에서 지 니는 역사적 의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0년 전부터 기능장애에 빠져 있었던, 족의원(族議員)과 이익 주도, 파벌과 후원회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민당 정치의 종언을 고한 것이다. 하토야마는 자민당정권 시대의 ``오래된 정치(Ancien R?gime)``에 대항하는 ``새로운 정치``를 제창했다. ``관료의 관료에 의한 관료를 위한 정치``를 종식시키고 ``관료주도로부터 정치주도로의 전환``을 도모했던 것이다. 본 논문은 하토야마의 리더십 형성과정을 하토야마 리더십의 원형, 민주당 창당 후 정권 획득까지의 과도기, 수상 재임시 리더십 실패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 다. 하토야마는 우애(友愛:fraternity)-``우익과 좌익의 전체주의``를 배제하고 ``자유와 평등``, ``자립과 공생``의 균형을 실현하는 이념-를 내세운 ``새로운 정치``를 제창하여 경 쟁 원리와 효율을 우선시하는 자민당 정치와의 차이를 명확히 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하토야마의 우애는 ``제 3의 길``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하토야마의 리더십을 세계화 속에서 제3의 길을 모색하는 ``이념적 리더십``으로 정의하 고, 그 성공과 실패의 요인을 살펴 볼 것이다. In August 2009,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DPJ) gained a majority in the more-powerf ul lower house, resulting in the first prime minister from the DPJ in postwar history. With much fanfare in Japan, the Hatoyama administration launched a coalition governmentwith the Social Democratic Party and the People`s New Party. Needless to say, this was a regime change of historical significance in Japan`s party politics. The DPJ ended the dysfunctional politics of the LDP, characterized by special interest legislators (zoku-giin) and profit-led factionalism. Hatoyama advocated for a "new politics" against LDP governments still mired in the era of "old politics (Ancien R?gime)". Hatoyama tried to lead the transition from a bureaucracy-led government to political leadership to end what he described as "politics by the bureaucracy, of the bureaucracy and for the bureaucracy". This paper explor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atoyama`sleadership style, in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1) the fundamental roots of Hatoyama leadership, 2)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founding of the Democratic Party to his rise to power in government, and 3) the failure of his leadership as prime minister. Hatoyama proposed fraternity (yu-ai), define d as the exclusion of "the left and right of totalitarianism," and the realization of an ideology of "freedom and equality" and "the balance of independence and coexistence". He advocated a "new politics," one that was distinct from traditional LDP politics with its emphasis on the principles of competition and efficiency. In this sense, Hatoyama`s concept of fraternity was akin to the "third way" in European political discourse. This paper explores the factors behind success and failure in Hatoyama`s leadership,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n "ideological leadership" of seek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and amidst globalization".

      • KCI등재

        한국 근대아동소설의 ‘소영웅(小英雄)’ 변주와 『쿠오레』 번역

        김젬마 ( Kim Jemm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5

        이 논문은 한국 아동문학 형성기인 1920년대 번역된 『쿠오레』의 현황과 『쿠오레』의 각 편들이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변형 혹은 개작된 경향들을 살펴봄으로써, 『쿠오레』의 토착화가 당시 아동문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쿠오레』 번역은 근대 국민 국가의 탄생과 예비 국민들을 지도하기 위한 수신독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당시 『쿠오레』의 번역 주체들은 이태리를 국가와 민족의 존립에 걸맞는 조선의 이상국으로 표방하며, 조선과 이태리를 등가관계로 설정함으로써 조국을 위해 희생하는 것을 덕목으로 삼는 ‘용소년’의 이미지를 조선의 아동에게 대입시켜 그들의 긍지를 본받아야 함을 강조했다. 이에 요구되는 자질은 정의, 의협심, 용기, 희생, 헌신, 동정심 등 근대적 국민성을 투영하는 덕목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영웅’은 국민 국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질을 소년에게 투사하며 근대 국민국가로의 지향을 반영하는 매개물로서 기능한다. 『쿠오레』의 ‘소영웅’ 캐릭터는 피 끓는 용감한 ‘용소년’에서 점차 대의를 위해 희생하는 ‘인고와 헌신의 주인공’상으로 귀착되는 양상을 보이며 한국 아동문학의 고전적인 캐릭터로 자리 잡는다. 이처럼 ‘소영웅’은 역사소설 속에 등장할 법한 구국의 영웅에서 점차 일상의 영웅으로 그 모습이 변화되어 가는데, 이는 ‘소영웅’이 예비국민인 아동이 ‘국민’으로 재탄생되는 과정 속에서 설정되고 변주되는 과정 속에 놓여 있었음을 반증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naturalization of ‘Cuore’ on children’s literature at that time, by looking at the status of the ‘Cuore’ translated in the 1920s, and the trends that each editions of ‘Cuore’ selectively accepted, modified or adapted. In Colonial Joseon, the “Cuore” translation affected the 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erving as a Moral textbook to guide the birth of a modern national country and its prospective citizens. At that time, the translators of “Cuore” advocated Italy as an ideal country for the Joseon Dynasty that was worthy of the existence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and emphasized that they should emulate the image of a “Brave Boy” as a virtue of making sacrifices for their country by placing Joseon and Italy in an equal relationship. The required qualities include virtues that project modern national character, such as justice, loyalty, courage, sacrifice, devotion, and compassion. Thus, “Little Hero” projects qualities as a member of the national community to the boys and serves as a medium reflecting their orientations as a modern nation. The “Little Hero” character of “Cuore” is established as a classic character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howing a pattern of coming down from the blood-boiling brave “Yong-boy” to the “main character of endurance and devotion” that gradually sacrifices for the cause. As such, “Little Hero” gradually changes from the hero from history novels that saves the nation to the hero of everyday life, rebutting that the prospective national, the child was in the process of being configure and changed in the process of rebirth as a ‘national’.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송창일의 아동문학

        김젬마 ( Kim Jem-m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송창일(宋昌一)은 일제시대에 창작동화집을 간행한 몇 안 되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 송창일은 1930년대에 동요, 동화, 소년소설, 평론 등에 걸쳐 1929년부터 1959년까지 약 30년간 아동문학가로 활동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작품은 일제시대부터 현재까지 각종 아동문학 선·전집에 수록되는 등 한국 아동문학사를 관통하며 일정한 문학적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송창일은 1930년대 등장한 전문작가로 이전의 소년문단과 구분되는 1930년대 신진작가 군(群)에 속한다. 한국아동문학사에서 1930년대는 이념성이 가라앉고 개인의 일상으로 중심이 옮겨가면서 문단의 지형도가 변화된 시기이다. 송창일은 193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전문작가로서 계급주의가 만연하던 시기에 활동을 시작했으나, 계급주의 문학에 전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유년 지향적의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송창일은 한국아동문학의 성장 발전기인 1930년대 아동문단에 일정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가임에도 그에 대한 개별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송창일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1930년대 아동문단의 특수성에 비추어 살펴봄으로써 한국아동문학사에서 그의 위치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Song Chang-il is one of the writers who published creative collections of fairy tales. Song Chang-il led an active life as a writer of fairy tales for about thirty years from 1929 to 1959. His works achieved literary performances through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being printed in all sorts of fairy tales` selections or collections from the colonial period of Japan to now. Song Chang-il appeared as a professional writer in 1930s and belonged to a group of rising writers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previous literary circles on children books. In 1930s, the topographical map of literary circles was changing showing a decline of ideology and focusing on individuality and daily affairs. Song Chang-il began his career in the 1930s as a writer who emerged as a professional writer. However, he did not fully participate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classics, but mainly presented his childhood oriented works. Although Singh Chang is a writer who occupies a certain part of children `s literature in the 1930s`, involved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s literature, there are no individual studies on it. I will try to assess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by looking at the life and works of Song Chang-il,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past, in light of the particularity of the children`s literature of th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