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모(媤母)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는 가족치료사례 연구

        김인옥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시모로 인해 갈등을 겪는 가족치료 상담사례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의 대상은 40대 여성과 남편, 그리고 두 자녀이다. 본 사례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남편과 시모의 끈끈한 애착으로 인해 부인의 우울, 스트레스가 증폭되어 부부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가족의 문제로 까지 이어진 경우이다. 부인은 시모와 남편의 애착으로 인해 받은 스트레스를 남편과 10살 아들에게 폭발시킴으로 인해 이혼위기에 처했으며, 아들과의 갈등이 심해져 원만한 관계회복이 어려워 보였다. 특히 남편이 부재중일 때 부인의 분노가 10살 아들에게 향하면서 폭언과 폭력이 일상처럼 되어버렸고, 그사이에서 9살 딸아이는 불안을 경험하게 되었다. 가족치료 상담결과 아내는 자신의 힘든 감정을 남편에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고, 시모에게도 자신의 힘든 감정에 대해 일정부분 표현하게 되었다. 또한 남편이 시모와의 분리를 시도하게 되면서 가족관계에 새로운 애착이 형성되었으며, 부부갈등도 완화되었다. 부부관계가 회복되면서 부인과 아들의 갈등도 일정부분 감소하였으며, 부인과 아들사이에서 불안을 경험하던 딸아 이도 안정을 찾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Significance of Feminist Epistemology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nowledge as a Learning Experience Calls for Community as a Producer of Knowledge

        김인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8 기독교교육논총 Vol.19 No.-

        This paper introduces an attempt of feminist theorists to make sense of traditional philosophers from a contemporary standpoint. What comes about as a result of this effort is the construction of feminist epistemology. Consequently, another conversation must follow in which a conversation with post-modern philosophers more clearly delineates our search of knowledge that helps us understand God, the world and ourselves. Using our everyday life experiences as the source of valuable knowledge requires a relationship between a knowing subject(knower) and the object(known) while taking subjectivity seriously. This kind of knowledge also fully advocates objectivity with a socially situated standpoint. A dialogue between feminist theorists and post-modern philosophers reaches a consensus about the need for community to be a producer of knowledge, while at the same time, a particular individual in the community coexists as ‘knower’ and ‘known,’ and is encouraged to be an agent of knowledge. Finally, feminist epistemology brings together “strange”and “normal,” “the power” and “the powerless,” or “main”and “peripheral,” which will set an example of how to be together for the faith community.

      • KCI등재

        동아시아 전래동화 속에 나타난 여성 - ‘콩쥐 팥쥐’ 유형을 중심으로 -

        김인옥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9

        A traditional fairy tale is not one of mere stories but graphically reveals the culture, customs and life pattern of the age that it is written. So that makes it possible to grasp the values of contemporary people, which will serve, in turn,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ir culture. An attempt to read fairy tales from a new, multicultural perspective is expected to help liberate female characters from the world of written letters, especially female characters of Korean, Chinese, Vietnamese, Phillippine and Japanese traditional fairy tales who could all be called Cinderella in East Asia. Specifically, a Korean fairy tale "Kongjwi and Patjwi" could be said to represent East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terms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 This fairy tale reveals a hidden and distorted femininity, an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stepmother, Kongjwi and Patjwi to be reborn as new postmodern women when a matter of gender in traditional fairy tales became an issue. The fairy tale shows that a woman is able to become worthwhile ecologically only when she restores her essential value of maternity and life and doesn't give up her femininity. As for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the female character types of Kongjwi and Patjwi, they appeared in East Asia both before and after the printing technique was introduced in the West. So it became worth doing to orally hand down the fairy tale, and that has continued to b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early modern times. And now it's time to see East Asian fairy tales in a new light,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Fairy tales will be able to regain their characteristics as oral literature when they no longer have to remain as printed texts,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fairy tales in the form of storytelling to read them in a new light when they are produced as hypertexts, which are one of postmodern vehicles to convey information. 전래동화는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문화와 관습, 생활 모습을 담고 있어 전반적인 가치관 파악이 가능하므로 해당 국가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심리와 감정에 깊이 연관되어 있어 인간의 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적 자질들을 북돋을 수 있기에 인간의 삶에 깊이 있게 작용할 수 있다. 때문에 국내이주여성을 위한 다문화 차원의 새로운 동화읽기에 대한 시도는 문자화 된 동화 속에 갇힌 여성들을 동화와 더불어 해방시키는 작업에 그 의의를 둔다. 그 대상은 동아시아의 신데렐라, 곧 한국,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전래동화에 나타난 여성 유형들이다. 한국의「콩쥐 팥쥐」속 여성 유형과 그 관계가 동아시아 전래동화에 대한 대표성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감추어지고 왜곡된 여성성을 되짚는다. 전래동화 속 젠더문제는 ‘계모’와 ‘콩쥐’, 그리고 ‘팥쥐’가 탈 근대적 의미의 새로운 여성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하여 ‘모성’ 본래의 가치 회복, ‘생명’이라는 고유 가치, 더불어 ‘여성성’을 포기하지 않을 때 비로소 생태학적인 가치를 획득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동아시아의 ‘콩쥐 팥쥐’ 유형은 성립 및 전파시기에 있어서 서구의 인쇄 시대 전, 후를 두루 넘나듦으로써 전래동화의 구술적 가치를 회복하여 근대 이후로 연결시킨다. 이 지점에서 동아시아 전래동화를 탈 근대적으로 새롭게 읽을 수 있는 지평이 열린다. 구술성의 회복으로 탈 근대적 정보전달 방식인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진입함으로써 전래동화에 대한 스토리텔링 식 재구성의 기반을 마련하고 전래동화에 대한 새로운 읽기 방식이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교회 안에서 평신도의 신학하기를 함양하기 위한 성경연구방법 -쉐어드 프락시스(shared praxis) 접근에 근거한 커리큘럼 창조경험을 바탕으로 한 쉐어드 프락시스의 실용화에 대하여-

        김인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6 No.-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ay theology is considered and discussed as being one of the main discourses for church renewal. The need of church education based on lay theology is stressed not only for renewal inside the church, but also for an outward mission. In a time of postmodernism and post-Christianity, church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uthentic meaning of the gospel and its piety, rather than promoting ‘popular piety.’ How do Christians realize the authenticity of their belief? How do they make decisions using Christian values about a number of issues and problems facing their daily liv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laity needs the training to think theologically. To help laity’s theological thinking, the Shared Praxis approach provides an example of five movements. The Shared Praxis approach enables us to create a space for exploration about issues that the laity encounters in their work place. As a historical agent and subject of learning, participants engage in collabora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ir life situation with biblical texts. This will allow us to live out the calling of a Christian to be responsible for their authentic Christian identity. 이 논문은 교회갱신을 위한 담론 중의 하나로 평신도 신학하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평신도 신학하기를 통하여 교회 안의 갱신과 개혁을 이룰 뿐 아니라 세상을 향하여 하나님의 선교를 펼치는 교회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포스트 모던(postmodern)시대, 혹은 후기독교(postchristianity)시대의 교회교육은 ‘대중적 경건’을 진작시키기보다, 복음과 경건의 진정한 의미를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기독교인들이 교회 안팎에서 부딪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관하여 신앙적 가치관으로 일상(daily life)의 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는 신학적 사고의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 쉐어드 프락시스의 성경연구 방법은 이러한 사고와 훈련의 공간을 형성하여 준다. 이 공간에서 역사적 배움의 주체로서의 참가자들이 실존 속에서 경험하는 이야기와 비전들에 대한 질문과 탐구가 시작되고 대화를 통한 해석이 이루어진다. 이들의 일상의 이야기는 성경의 이야기와 만나서 서로를 해석하여 주고 서로의 뜻이 분명히 드러나면서 합의된 결정은 이 세상 속으로 나아가는 믿는자들에 의하여 삶으로 살아지게 되고 신앙적 행동과 성찰을 반복하는 동안 지역 교회의 신자들은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신학하는 기독교인으로서 자라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교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서 본 정체성 교육의 실제 : 한국고등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김인옥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천된 정체성 교육 사례를 통해 학생들의 경험 적 맥락과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질적 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등학교 1학년 창의적 재량 활동에서 정체성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한 학급의 한 모둠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3월 부터 12월까지 32주 동안 주 1회 32시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 분석 등의 연구를 수행하 였다. 본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체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개별자로서의 인간관 인식’, ‘충동적 반응 과 정서적 느낌 의식’,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실천적 주체의식’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관계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개별성과 관계성의 인식’, ‘보편적 수준의 일반화 된 관점 습득’, ‘나와 타인의 관점 및 감정 이해와 공감’, ‘성찰적 자기평가에서의 통합’ 등을 경험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간과된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의식을 알아차리는 과정들과 긍정적 인간관 과 긍정적 인간관계관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보였다. 자기평가의 성찰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통합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현장교육 차원의 연구와 실 천 그리고 청소년 자아의 정체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교사 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 하다는 현장 중심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