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들의 인지적 융통성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리(Kim, Yuree),안도희(Ahn, Doe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인지적 융통성 및 공감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이들 세 변인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519명(중학생 255명, 고등학생 26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 인지적 융통성 및 공감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공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인 지적 융통성 및 공감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융통성은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공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인지적 융통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인지적 융통성이 청소년들의 공감을 증진시키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들의 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구축하는데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amily environment and cognitive flexibility on empathy, and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on gender in Korean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19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family environment, cognitive flexibility, and empath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Female students were higher in empathy than male students. Family environment had positively direct effects on cognitive flexibility, and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 Also, cognitive flexibility mediated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empathy.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enhanc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empathy of Korean adolescents in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네트워크 및 정보 알고리즘 기반 심리학 분석

        김유리(Yuree Kim),안새미(Sammy An),김학용(Hak Y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21세기 정신혁명 시대에 인문학과 더불어 중요성이 대두되는 분야는 인간의 마음을 다루는 심리학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의 대중화에 따른 올바른 이해, 심리학의 연구 동향,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연결고리로써의 심리학 세부 분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네트워크 기술과 정보기술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심리학개론에 등장하는 용어 및 그 용어를 설명하는 단어로 구성된 bipartate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핵심용어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리학 이해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심리학회지 및 Annual Review of Psychology에 실린 논문수를 기반으로 지금까지의 심리학 세부 분야의 발전 동향을 제공하였다. 최근 15년 동안 Psychological Review에 실린 논문 제목을 기반으로 정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심리학 세부분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연결고리로써 심리학 세부 분야의 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심리학의 대중화, 동향분석, 심리학 세부 분야의 위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심리학과 정보과학 기술을 접맥시켜 심리학 기반 융합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period of spirit revolution, psychology for studying human mind is one of the important fields with humanities. To analyze for correct understanding of popularization of psychology, for future psychology research trends, and for correlation of the psychological sub-fields as a linker between natural and social sciences, we employed network technology and informatic algorithm to be more objective. By elucidating core key words from bipartate network that consists of terms and their explaining words in psychological glossary, we provide psychological contents for understanding psychology. As analyzing lots articles obtained from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an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it was possible to observe research trends of the psychological sub-field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sub-fields of the psychology, we extracted and compared title words of the articles that had published on Psychological Review over the past fifteen years. We also employed a pair-wise comparison matrix algorithm and then elucidated the correlation among sub-fields of the psychology. By this research, we expect to contribute not onl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opularization of psychology,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correlation among sub-fields of the psychology, but also providing convergent contents that conflate the psychology and the informatic technologies.

      • KCI등재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유리(Yuree Kim),김현철(Hyun-Chul Kim),박진옥(Jin-Ok Park),권선향(Sun-Hyang Kwon),김누리(Nu-Ri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기존 인성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인성교육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성교육에 대한 관점은 교육 목적과 방법을 설정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되므로 이에 관한 충분한 고찰 없이는 앞서 제기된 교육현장의 혼란이 되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진흥법」 및 선행연구와 현행 국내 인성교육 정책들의 인성교육 관점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장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현직교원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인성교육은 사람에 대한 ‘사회적 기대ㆍ가치’를 전제하고 해당 사회가 요구하는 인성의 요소를 교육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ㆍ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었다. 인성교육의 비전으로 미래 지향적 역량을 갖춘 민주시민을 육성하고자 하였으나 인간의 본연지성(本然之性)으로서의 인성은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인간성으로 시간적・공간적으로 구분될 수 없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목표라고 보기 어렵다. 기존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인간계발의 관점을 현장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는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한 결과, 현장에서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인성교육 방법론에 대한 요구가 대부분이고 인성 개념 정립과 같은 비가시적이지만 필수적인 측면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인성이란 외부적인 것으로 가르쳐서 계발될 성질의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성적을 매기듯 인성을 평가하게 되고 결국 현장교육의 실패를 반복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이란 내재적인 것으로 스스로 발현되고 드러날 수 있도록 이를 방해하고 왜곡하는 문제들을 제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관점의 변화를 제기한다. 앞으로 인성교육은 지금까지의 계몽주의적 인간계발의 관점에서 벗어나 본래적 교육을 위한 인간개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예고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extant literature on character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viewpoint of character education is the standard for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methods, so that the confusion in schools, which has previously been raised, can be repeated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Therefore, the perspective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Delphi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from 30 teacher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has been operated as a subject(knowledge)-based curriculum to teach the elements of character required by the society, presupposing 'social expectation and value' for people. Most of the demands in schools are on concrete and visible character education methodology. However, the concept of character is not recognized as an essential aspect because it is invisibl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change in perspective that character is as an intrinsic attribute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eliminate the problems that disturb and distort character to be manifested and revealed by oneself. In the future, character education is expected to shift away from the viewpoint of human improvement based on enlightenment to a new paradigm of human development for original education, namely recovering character as human nature.

      • KCI등재

        기초학력 지원 방안을 위한 국제 비교 연구 : 아일랜드, 캐나다를 중심으로

        김유리(Kim, Yuree),배현순(Bae, Hyunsoon),신혜진(Shin, Hye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일랜드와 캐나다 사례를 통해 한국의 기초학력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아일랜드와 캐나다에서는 기초학력을 무엇으로 보고 어떻게 진단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기초학력과 관련한 정책과 교육과정 등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으며, 기초학력과 관련한 일련의 정책들이 그 철학적 기반과 교육정책 방향의 가치와 얼마만큼 맞닿아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아일랜드와 캐나다는 기초학력을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능력(역량)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아일랜드와 캐나다는 공통적으로 문해력과 수리력을 교육과정에서 가르쳐야 할 가장 기초적인 능력으로 보고 모든 교과(학문)영역에서 가르치고 있었다. 셋째, 역량에 기반한 기초학력에 대한 진단 및 평가는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교의 자율에 맡기고 있으며, 국가(주)차원의 표준화 평가를 통해 문해력과 수리력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을 시행함으로써, 기초능력으로 간주하고 있는 문해력과 수리력에 대한 정책적 보장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통해 학교와 교사가 교수학습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넷째, 미취학 아동 및 초등학생에 대한 문해력과 수리력 지원(학교, 교육청, 지역사회 및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 등)을 강화하여 이 시기 문해력과 수리력에 대한 보장을 확실히 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결론]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초학력의 개념을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역량’으로 이해하고, 문해력과 수리력을 보장해야 할 기초능력으로 명료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역량으로서 기초학력 지원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rive a way to support basic proficiency in Korea by exploring cases of Ireland and Canada. Methods: This study examined what basic proficiency has been understood and diagnosed in Ireland and Canada, how policies and curriculum related to basic proficiency have been implemented, and how many policies related to basic proficiency have been aligned in the value of their philosophical bases and directions. Result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Ireland and Canada understood basic proficiency as the minimum ability needed to live. Second, Ireland and Canada saw literacy and mathematics as the most basic skills that should be taught in the curriculum and taught in all areas of study. Third, th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basic proficiency based on competence are basically entrusted to teachers and schools, and hence, by conducting a continuous diagnosis of literacy and mathematical abilities through national standardized assessment, the results supported schools and teachers to be used to teach learning. Fourth, the government has tried to ensure that literacy and mathematics could be guaranteed during this period by strengthening literacy and mathematical support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basic proficiency in Korea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asic competence needed to manage their lives, and clarified the concept as the essential ability to ensure literacy and mathematical abilities. Also, the policy implications of supporting basic proficiency required for competence could be discussed.

      •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번역기 설계 및 구현

        이계영(Lee Gyeyoung),임재걸(Yim Jaegeol),김유리(Kim Yuree),감창수(Kam Changsu)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본 논문에서는 스크립트로 표현된 멀티미디어 시나리오를 윈도우 95 API를 이용하는 C++프로그램으로 번역하여 주는 스크립트 번역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스크립트 에디터로 직접 작성하거나, 혹은 비주얼 에디터에서 작성된 시나리오를 자동 변화하여 작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가 화면 단위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여, 스크립트 파일 역시 화면 Pi 단위로 정의되어 있으며, 한 개의 화면은 다수의 오브젝트로 구성된다. 각 객체를 표현하는 데 한 개의 윈도우가 필요하므로, 번역기는 각 Pi마다 하나의 Main Window와 여러 개의 Child Window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크립트 파일의 구성 내용을 정의하고, 저작도구의 스크립트 번역기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 페트리 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디자인

        임재걸(Yim Jaegeol),이계영(Lee Gyeyoung),김유리(Kim Yur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인 DMA(Dongguk Multimedia Authoring Tool)의 디자인을 소개한다. DMA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시나리오를 페트리 넷 모델로 표현할 수 있는 그래픽 환경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각 멀티미디어 개체는 페트리 넷의 place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흐름은 유향간선으로, 동기화 전략은 transition으로 표현된다. DMA는 사용자에게 각 입력 place에 대한 멀티미디어 type과 출력양식, transition의 동기화 전략을 물어본다. 시나리오의 흐름과 동기화 정보를 페트리 넷의 incidence matrix에, 멀티미디어 type과 출력양식에 대한 명세는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DMA는 시나리오의 타당성을 분석한 후에 incidence matrix와 버퍼의 내용을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